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16:22:40

Pressure(Roblox)


파일:Pressure로고.webp
파일:68456e3809873ac25fb9abe946bd1173.png
{{{#!wiki style="margin: -16px -11px" 괴물 및 개체 대사 시설 및 방 아이템 }}}
업적 점프수트 세계관 기밀 문서
파일:Roblox 아이콘.svg
파일:1px 투명.sv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파일:1px 투명.svg
제작 날짜
{{{#fff 최근 업데이트 날짜
}}}
{{{#fff 최대 플레이어 수
인게임: 1/2/3/4/8명
로비/인게임(패스): 50명
}}}
{{{#fff 플랫폼
}}}
{{{#fff 커뮤니케이션
파일:Roblox 마이크 아이콘 하양.svg 마이크
}}}
{{{#fff 장르
서바이벌 / 탈출
}}}
{{{#fff 수위
약함[3]
}}}
SNS

1. 개요2. 특징
2.1. 숨기2.2. 조작법
3. 게임 모드
3.1. 메인 게임 모드3.2. 서브 게임 모드3.3. 만우절 게임 모드
4. 요소5. 게임패스6. 코드7. 사운드트랙
7.1. 출시 예정 사운드 트랙
8. 평가
8.1. 긍정적 평가8.2. 부정적 평가
9. 여담

1. 개요

게임 트레일러
Worth the Wait 트레일러 [ 펼치기 • 접기 ]
당신은 소모품입니다. 당신의 귀환은 예상되지 않습니다.

<nopad>
파일:당신은 소모품 돌아오지 않을.jpg
'''
당신은 소모품입니다.
'''
게임 첫 접속 시 출력되는 문구

로블록스의 개발자 그룹인 Urbanshade: Hadal Division에서 제작한 1인칭 호러 게임[4]이다. 전반적으로 DOORS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지만, 기본적으로 난이도가 꽤 상당한 편이다. 그리고 한국어가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기에 영어 실력도 어느정도 필요하다.[5]

게임의 설명을 살펴보면 Iron Lung, SCP - Containment Breach, ULTRAKILL과 같은 게임에서도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6]

2. 특징

블랙기업 어반셰이드사에 수감된 한 죄수 신분인 주인공이 거액의 돈과 사면을 조건으로,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버려진 하달 블랙사이트라는 시설에 진입해 남겨진 중요 연구 자료들을 수집하고, 탈출한 괴물들과 다양한 환경적 위험 요소들에 맞서가며 무작위로 생성된 100개의 방을 통과한 후 '크리스탈'을 확보하여 탈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모티브가 된 게임인 Doors와 비슷한 게임성이 있지만, 배경이 세계관 내에 존재하는 블랙기업의 본거지가 있는 심해라는 차이가 있으며 SCP 재단을 모티브로 한 만큼 어반셰이드의 시설에선 변칙적인 능력을 지닌 많은 괴물들이 돌아다니며 직원을 학살한다.

2.1. 숨기

각종 위협요소들[7]을 피하는데에 기본이라고 볼 수 있는 요소.

시설 내에 놓여진 강철 사물함에 다가가 상호작용을 하면 들어가 숨을 수 있다.

숨은 상태에서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문을 살짝 열어 주변 상황을 볼 수 있다. 괴물이 지나간 것을 미리 보고 조금 더 일찍 나올 수 있게 해주는 기능.

오래 숨어 있으면 화면이 점차 어두워지고 심장 박동 소리가 들리며 강제로 나오게 된다. 이는 폐소공포증으로 인한 것으로, 폐소공포증을 증가시키는 연기를 뿜어대는 체인스모커가 지나가면 방출 속도가 굉장히 빨라진다.

2.2. 조작법

모바일은 모두 버튼 UI를 눌러 상호작용 하기에 PC만 서술한다.
<colcolor=#fff> PC
WASD, ↑↓ 이동
Ctrl, Shift, C, Space 앉기
E, E 홀드 상호작용[8]
Q 인벤토리 열기
왼쪽 마우스 장비한 아이템 사용
오른쪽 마우스 장비한 아이템 상호작용
1~7번 숫자키 해당되는 아이템 장비
마우스 휠 위/아래 아이템 선택[9]
G 장비한 아이템 버리기
R 배터리 사용하기
H 춤추기[10]
J 설정창 열기
F 기타 상호작용[11]

수중에서의 추가 조작법
<colcolor=#fff> PC
Space 위로 수영
Ctrl 아래로 수영

오퍼레이션: 하트번 게임모드에서의 추가 조작법
<colcolor=#fff> PC
Shift 달리기
왼쪽 마우스 발사
오른쪽 마우스 근접 공격
T 무기 둘러보기
F 손전등 토글

흉물과의 추격전에서의 추가 조작법
<colcolor=#fff> PC
Q 홀드 뒤 보기[12]
F 하이드로 글라이더 손전등 토글

특정 상황에서의 추가 조작법
<colcolor=#fff> PC
Q, E 바텀피더 상호작용[13]
Space(SPR-INT 사용 후, 또는 제트 슈트 장착 후) 점프, 2단점프(제트 슈트 장착 후)
Ctrl,C(SPR-INT 사용 후, 또는 제트 슈트 장착 후) 슬라이딩[14]
Shift(제트 슈트 장착 후 공중에서) 돌진[15]
Shift+P(설정에서 프리캠 모드를 켠 경우 한정) 프리캠 활성화
P(설정에서 프리캠 모드를 켠 경우 한정) 3인칭 활성화

3. 게임 모드

3.1. 메인 게임 모드

이 게임의 메인 컨텐츠 모드이다. 무한 모드를 제외하면 모두 번호가 100부터 1까지 내려가는 방식이다.
Main Expedition
메인 게임모드
파일:GT6S04UWUAAqbEi.jpg
위치 하달 블랙사이트 - 13번 부두
(Hadal Blacksite - Dock 13)[16]
수감자 등급 소모품 수감자(EXR-P)
깊이 -73,342 스터드 (-73,342 Studs)
목표 크리스탈 확보.

말 그대로 총 100개의 방을 통과해 크리스탈을 확보한 후, 나머지 15개의 방을 지나온 뒤 보스전을 치루는 기본적인 모드이다.

대부분의 챌린지 배지를 이 모드를 통해 클리어해야 한다.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솔로, 2, 3, 4, 8, 50(게임 패스)명.
Endless Mode
무한 모드
파일:프레셔배너.png
위치 하달 블랙사이트 - 버려짐
(Hadal Blacksite - Abandoned)
수감자 등급 소모품 수감자(EXR-P)
깊이 -70,042 스터드 (-70,042 Studs)
목표 생존.

일반 모드와 비슷하지만, 이름처럼 엔딩이 없고 죽을 때까지 끝없이 진행되며 진행할 수록 생존하기 어려워진다.[17] 맵은 블랙사이트, 릿지[18]다. 크로너 정산도 일반 모드와 동일하다.[19] 일반 모드와는 달리 무한 모드인 만큼 설정상의 대규모 시설을 어느 정도 체감해 볼 수 있고,[20] 낮은 확률로 출현하는 희귀한 괴물[21]을 적어도 한번은 볼 수 있다.
무한 모드 규칙
* 세바스찬 상점 없음[22][23]
* 그랜드 인카운터 없음
* 300번 방 도달 시 앵글러의 이동 속도가 소폭 증가함
* 300번 방부터 도어 스토퍼와 지뢰의 출현 빈도가 극도로 높아짐
* 400번 방 도달 시엔 도어 스토퍼 스폰률 정상화, 지뢰의 스폰률이 더 극도로 증가함[24]
* 방의 번호 수가 올라갈수록 불이 꺼진 방의 등장 빈도가 높아짐[25]
* 400번 방 부터 모든 방의 전력이 꺼짐[26][27]
* 판데모니움 출현 리미터 해제[28]
* 하빈저 스폰 가능[29]
* 스폰률을 증가시키는 빨간색 해골 제단 존재[30]
* 페인터 구출 불가[31]

끝이 없는 만큼 클리어 카운트가 아닌, 도달한 최대 방 수로 표기된다.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솔로, 2, 3, 4, 8, 50(게임 패스)명.

3.2. 서브 게임 모드

이 게임의 서브 모드들이며, 현재까진 탈출류 서브 게임 모드는 모두 공통적으로 40개의 방으로 이루어져있다. 때문에 플레이 타임이 위 모드들과 달리 상당히 짧다. 또한 모든 서브 게임 모드는 로블록스 공식 이벤트에 참가하여 등장한것밖에 없다.
The Raveyard
레이브야드
파일:THERAVEYARD.jpg
위치 스코틀랜드 (Scotland)
수감자 등급 소모품 수감자 (EXR-P)
현재 고도 5 스터드 (5 Studs)
목표 파티 종료.

24년 The Haunt 이벤트로 추가된 게임 진행 전체가 추격전인 모드.' 게임 시작시 자가 충전이 가능한 묘지 손전등[32]을 기본으로 지급한다.[33]

이 모드에서는 리서치 대신 쓰레기를 주워 돈을 얻는다. 물론 역할 자체는 리서치와 동일하다.

보스전 개념은 딱히 없으며,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1, 2, 3, 4, 8, 50(게임패스)명.[34]

클리어 시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가 올라간다. 표시 여부는 로비의 인벤토리 - 이름표 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35]

25/5/2 패치를 통해 번개가 내리쳐 주변이 밝아지는 효과가 추가되었고, 침수된 물 효과가 개선되었다.
The Hunted
헌티드
파일:rebarbart.webp
위치 하달 블랙사이트 (Hadal Blacksite)
수감자 등급 중급 수감자(MR-P)
깊이 -73,143 스터드 (-73,143 Studs)
목표 소모품 프로토콜 준비 지점 생성.

The Hunt: Mega Edition에 선정되어 출시된 이벤트 맵.

게임 시작 시 무한으로 사용 가능한 손전등과 작업등을 지급한다.
손전등은 버릴 수 있으나 작업등은 필수 아이템이기에 버릴 수 없다.[스포일러]

헌티드 게임 모드 클리어 시 "계속하기" 버튼을 눌러서 메인 게임 모드를 고급 손전등과 고급 작업등을 가지고 시작할 수 있게 된다.[고급아이템_위치][38] 참고로 이 고급 손전등과 작업등은 원래 성능이 조금 강화된 것 빼고는 달라진점이 없어 크게 쓸모가 없었지만 패치 후 헌티드 모드의 아이템들과 똑같이 무한대로 사용이 가능하게 바뀌어서 굉장히 유용하게 바뀌었다[39].

레이브야드와 마찬가지로 보스전 개념이 없으며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가 올라간다. 표시 여부는 로비의 인벤토리 - 이름표 탭에서 설정할 수 있다.

플레이 가능 인원 수는 솔로와 듀오[40], 또는 50(게임패스)

여담으로 리서치의 추가 모델이나 새로운 문 모델 등이 헌티드에 먼저 도입되었다. 아마 가장 최근에 나온 모드인 만큼, 업데이트될 최신 기능들을 전부 때려박아 만들어졌기에 베타 테스트 느낌으로 활용하는 듯.

[ 헌티드 추가 모드(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2><tablebordercolor=black><bgcolor=#556574><tablewidth=100%> The Vault
더 볼트
||
파일:PressureThevault.png
위치 하달 블랙사이트 (Hadal Blacksite)
수감자 등급 비자발적 참가자
(Involuntary Contestant)
깊이 -73,564 스터드 (-73,564 Studs)
목표 좋은 공연을 보여주기.
헌티드 모드를 통해 숨겨진 맵인 The Vault에 입장할 수 있다.[41] 한 번 입장한 이후부터는 로비에서 바로 이동할 수도 있다.

6분안에 메가토큰 조각 50개를 모아야한다. 중간중간 용암이 터져 흐르거나, 가스가 새어나와 산소를 압박해오므로, 난이도가 꽤 어렵다. 물론 이 게임을 어느정도 해봤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클리어가 가능하다.

참고로 해당 모드는 순수한 배지용으로 만들어진 맵이며, 클리어해도 로비로 강제 텔레포트만 될 뿐, 크로너를 주지 않는다. 크로너가 목적이라면 그냥 "헌티드"를 사용하자.

Worth the Wait 업데이트 이후 쪽지의 위치가 변경되었는데 현재는 2,3,4번까지 서술.

2번. 50명 옆에 동굴로 이어진 다리로 가다보면 컨테이너가 있는데 그곳에 쪽지가 있다.

3번. 3,4명 쪽을 보면 군사차량이 있는 곳이 있다. 그곳에 널판지를 보면 쪽지가 있다.

4번. 후원자가 표시되어있는 모니터 위로 올라간 뒤 오른쪽으로 가다보면 로비가 다 보이는 다리로 갈수 있다. 그곳에서 왼쪽으로 가다보면 포크레인 위로 갈수 있는데 그곳에 쪽지가 있다.
토큰 조각 갯수 목록
* 1개 - 크루키드와 마녀의 시간이 소환된다.
* 10개 - 핍스퀵과 리바브가 공격을 시작한다.
* 20개 - 구역 전체가 유독 가스로 가득차서 산소 탱크를 찾아야한다[42].
* 35개 - 파이프에서 용암이 터져나와 용암 웅덩이를 만든다. 용암을 밟으면 빠른속도로 체력이 5씩 깎인다.
* 50개 - 크루키드, 핍스퀵, 리바브, 마녀의 시간의 공격이 중지되고 호스트는 플레이어를 금고로 안내한다.

Operation: Heartburn
오퍼레이션: 하트번
파일:Pressure_Takeover.png
위치 하달 블랙사이트 - 점령당한 채석장
(Hadal Blacksite - Overtaken Quarry)
직급 하위 경비원 (Lower Guardsman)
깊이 -81,642 스터드 (-81,642 studs)
목표 심장 파괴 (Destroy the Heart)

프레셔가 The Takeover에 참가하면서 등장한 기존 게임 모드들과 진행 방식이 완전히 다른[43] 새로운 모드. 스토리상 메인 게임모드에서 EXR-P가 크리스탈을 회수한 이후의 시점이다. 한국 시간 기준 2025년 9월 13일에 출시되었으며, 이벤트가 끝난 후 잠시 삭제되었다가 문서와 각종 일부 추가 기능[44], 밸런스 조정[45]과 함께 재출시 되었다.

플레이어가 직접 어반셰이드의 경비원이 되어 임무를 수행하는 게임모드. 해당 임무의 궁극적인 목표는 썩은 산호의 중심인 심장을 제거하는 것이며, 부가적인 목표는 어반셰이드가 제작한 산탄총을 들고 썩은 산호에 감염된 모든 직원 및 수감자들을 말살시키는 것이다. 이들은 감염된 시점부터 인간에 해당되지 않고 대신 Z-863-2라는 하위 코드명으로 불리게 된다.

심장을 파괴시킨다는 것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모드 이름도 오퍼레이션(작전명): "하트번".

모드에는 총 4개의 섹터[46]가 있으며, 각자 목표가 정해져 있다.섹터를 진행할수록 맵은 점점 더 어두워지고 감염된 구역이 많아진다. 모든 섹터에서 공통적으로 남은 Z-863-2 개체가 10마리 이하라면 개체의 위에 표식이 생긴다. 섹터의 모든 Z-863-2 개체들을 처리했다면, 출구를 찾아[47]가면 된다.

출구를 찾았다면, 에어락에 들어가게 되며, NAVI.AI가 안내한다. 에어락에는 많은 수의 총알들과 후술할 제세동기가 배치되어 있다. 제세동기는 다음 섹터의 문을 여는 레버 옆에 무조건 하나가 놓여져 있기에 꼭 챙겨가야 한다.[48]

총알들은 제세동기가 있는 레버 옆 보급 상자에서 (12x3)36개,제세동기 바로 옆에 있는 문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방 맨 끝쪽 샤워실에 12개가 들어있는 상자가 배치되어있다.[49] 작전 시작 섹터의 직전방[50] 컨테이너 옆에도 총알이 있다.
[ 섹터별 목표 목록 (펼치기 • 접기) ]
> * 첫번째 섹터 - Z-863-2 개체 30마리를 죽이고 해당 섹터의 출구에 도달하기.
* 2번째 섹터 - Z-863-2 개체 75마리를 죽이고 해당 섹터의 출구에 도달하기.
* 3번째 섹터 - Z-863-2 개체 125마리를 죽이고 해당 섹터의 출구에 도달하기.
* 마지막 섹터 - Z-863-2 개체 175마리를 죽이고 드릴을 작동시켜 심장을 파괴하기.

레버넌트를 처치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스타일 막대의 게이지가 증가한다. 흰색 표시에 도달할 때마다 포인트 지급량이 +0.1배씩 증가하며, 막대가 가득 찰 경우 획득량이 최대 1.5배까지 증가한다. 일정 시간 동안 처치하지 않으면 막대가 완전히 사라지고 배수가 초기화되어버리니 주의. 다른 플레이어와 함께 플레이할 경우 막대는 모든 플레이어와 공유된다. 4번째 섹터 이후 마지막 시퀀스 도중에는 막대가 나타나지 않으며, 포인트가 더 이상 지급되지 않는다.

기본적인 포인트는 아래와 같다.
{{{#!folding [ 보너스 목폭 (펼치기 • 접기) ]<colbgcolor=#000000> 스타일 보너스 획득 점수량 방법
Normal Kill
일반 처치
최대 약 150점 레버넌트 처치
Melee Kill
근접 처치
최대 약 180점 근접 공격으로 레버넌트 처치[51]
Special Kill
스페셜 처치
500, 750점 특수 능력을 가진 레버넌트 개체 처치[52]
Collateral
관통
최대 약 300점 레버넌트 최소 2마리 이상을 하나의 탄약으로 처치[53]
Explosion
폭발
개체당 최대 450점 앱세스의 폭발로 다른 레버넌트 처치
Turret Kill
터렛 처치
개체당 최대 300점 마크스멘의 총알을 이용해 다른 레버넌트 처치

}}} ||

첫번째부터 마지막 섹터 중반부까진 주어진 수에 따라 전부 죽여야 하지만, 마지막 섹터의 후반부은 Z-863-2가 끊임없이 나오고, 굳이 죽일 필요가 없어진다.[54] 즉, 그냥 돌진해도 이론상 된다는 것. 허나 상당히 위험하기에 추천하지는 않는다.[55]

모든 난관을 해쳐 나가 4개의 작동 버튼을 모두 누르고 최상단층으로 가서 스콜 펄스 드릴을 작동시키면 Z-863-0을 불태우고 Z-863-2의 생산을 막아 목표를 이룩할 수 있다.[56]

Z-863-2의 스폰 위치는 플레이어가 이미 열어둔 방 & 플레이어가 위치한 곳에서의 근처 방 한정으로, 다음 방 문을 열지 않았다면 플레이어가 근처한 방들 외 다른 방에서 스폰되지 않는다.[57] 이것을 통해 한 방에서 모든 Z-863-2들을 처리하는 공략법도 있다. 하지만 산탄 최대 소지 제한도 있어서 결국 나아가긴 해야하는데다, 다른 Z-863-2개체들이 끼어있다면 한번에 당할수도 있으니 주의할것. 룩과 퍼라이어 두마리가 껴있는 절망적인 상황을 보고 싶지 않다면문을 여러개 미리 열어두어 도주 경로를 미리 짜두자.

시작할 때에는 잠수함을 타지만 막상 본게임에 입장했을때는 잠수함이 일체 나오지 않는다.[58]

게임 진행 방식이 Left 4 Dead와 비슷한데, 때거지로 몰려오는 좀비들을 죽이며 목표 지점에 도달해야하는 것, 가끔씩 특수한 능력을 가진 Z-863 개체들이 등장해 플레이어들을 방해하는 것, 총기에 정조준 기능이 없으며[59] 우클릭으로 적을 밀치고[60] 밀치기 기능에 소량이 대미지가 존재하며, 여러번 밀치면 일정 시간동안 밀치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등의 시스템이 유사하다. 실제로 개발자인 Zeal이 디스코드에서 Left 4 Dead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하였다.

여담으로 개발자가 이 게임모드를 단 40일만에 제작했다고 한다. 그만큼 이벤트에 얼마나 진심이였는지 알 수 있는 부분[61], 이벤트가 끝난다면, 이 게임모드에 더 많은 괴물이나 모드를 더 추가할 계획이라고 한다.

플레이 인원 수는 1~3, 50명. 특이하게도 이름표가 2개인데,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와 최대 처치 점수로 2개가 존재한다. 참고로 난이도가 꽤 높은 편이라 솔플은 그닥 추천하지 않는다. 공식 디스코드에서도 난이도가 어려우니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라고 할 정도. 물론 익숙해지면 난이도는 나름 줄어드는 편이다. 이전엔 산탄을 제한 없이 소지할 수 있었으나 재출시 이후에는 최대 소지 제한이 생겨서 난이도가 더 올라갔다. 대신 페리맨 토큰 사용 제한이 제거되었으며, 게임 플레이 미지장 기능으로는 애완 심해 토끼도 데려올 수 있게 되었다.

섹터의 섹션마다 무작위 일련번호가 주어져 있고, 기존의 게임플레이와 다르게 모든 문이 길이 될 수 있단 점에서 WtW 파트 4에서 진행된다는 게임플레이 오버홀이 여기서 먼저 테스트용으로 등장한 듯 하다.

3.3. 만우절 게임 모드

만우절 기념으로 추가된 한정 모드들이다. 현재는 TNatB 모드만 플레이 가능하다.
The Educator Mode
교육자 모드
24년 만우절 이벤트 모드. 게임에 들어가 코드 브리처 하나를 구매한 후, 시작 방에 빨간 키카드 리더기로 잠긴 문을 열고 버튼을 누르면 교육자 모드가 활성화 된다.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 대신 일반 클리어 카운트로 통합되어 올라가며, 싱글 플레이다.

현재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다.[62] "교육자 개체는 영원히 끝이다"라고 공식 디스코드에서도 밝혔듯, 이후에도 해당 모드의 재출시는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9월 4일에 갑작스럽게 리메이크 되어 새 이름을 가지고 재출시되었지만, 얼마 안 가서 삭제되었는데 이후 또 다시 재출시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외국쪽에서는 "이블 모드"라고 불린다. 이후 추가된 인형 모드도 초기엔 이 이름을 따서 이블 모드로 불린 적이 있다.
Three Nights at the Blacksite
블랙사이트에서의 3일 밤
파일:3natb.jpg

프레디 시리즈를 패러디한 모드. 현재는 오퍼레이션: 하트번 플레이 엘리베이터 이전의 계단 밑에 파란색 프레디와 입장 발판이 숨겨져있다.[63]

플레이 방식은 사실상 그냥 프레셔 버전 프레디이며, 등장 개체로는 앵글러와 그의 변종들[64], 판데모니움[65], 세바스찬, 크루키드, AI 화가[66]가 있다.

별도의 클리어 카운트는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싱글 플레이만 존재한다.

===# 히든 게임 모드 #===
Plushie Mode
인형 모드
파일:plushiemode.png
2025년 9월 4일에 아무 소식 없이 추가된 단 5일 동안 플레이 가능했던 모드였으나 이후 또 다시 배지와 함께 리워크되어 재출시되었다. 상술한 교육자 모드를 리메이크하여 재출시했다.

교육자 모드처럼 일반 모드의 시작 부두에서 코드 브리처를 사용하는 문을 열고 들어가면 교육자 모드 활성화 버튼과 동일한 버튼이 있는대 이걸 누르면 로블록스풍의 특유 버튼 소리와 함께 인형 하나가 있는 방의 문이 열린다. 이 인형을 집는 즉시 인형 모드 시작. 해당 판의 모든 플레이어가 버튼을 눌러야 문이 열린다.

위 교육자 모드와 마찬가지로 일반 모드 안에서 활성화하는 모드이기에 플레이 가능 인원은 일반 모드와 동일한 1~50명, 클리어 카운트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 리워크 이전 모드 설명 펼치기 • 접기 ]

인형 모드가 시작되는 즉시 모든 방의 불이 꺼지거나 릿지처럼 깜빡이는 상태가 된다. 또한 대부분의 몹이 대폭 강화된다. 노드 트래킹의 전조 증상인 전등이 깜빡이는 소리는 여전히 들리지만 전등이 깜빡이지는 않기에 사플이 매우 중요해진다. 또한 아이페스테이션의 화면 끌기 정도가 최대 격분만큼이나 강해지며[67] 벽과 장애물 뒤에 숨어도 무시하고 공격한다. 지뢰 또한 한 방당 3개 이상이 기본값으로 깔린다.[68]

중간 그랜드 인카운터는 달라진게 없지만 릿지를 통과하면 서치라이트 이전에 교육자가 먼저 반겨줄 것이다. 즉, 교육자를 깨고 서치라이트 2차전까지 같이 치뤄야한다. 이 둘의 진행은 다른건 없다.

강화된 몹은 다음과 같다.
  • 앵글러 계열 : 공격범위가 대폭 증가하여 시야가 가려진 공간이 아니면 대부분 죽는다. 또한 프로거처럼 리바운드를 한다.[69] 그리고 스폰된 후 일정시간 기다리던 기존과 달리 스폰되자마자 바로 돌진해온다. 이는 A-60도 포함된다.
  • 판데모니움 : 미니게임 난이도가 대폭 증가하며,[70] 판데모니움 소환 리미터가 해제된다.[71]
  • 아이페스테이션 : 끌어당기는 힘이 최대 격분치만큼 끌어당기며, 벽 뒤에 숨으면 영향을 받지 않았던 기존과 달리 벽 뒤에 숨어도 영향을 받으며, 대미지도 정상적으로 받는다.
    • 건틀릿 시련 : 타이머 길이가 25초로 증가하며, 숨어있는 경우 타이머가 역으로 올라간다.
  • 좋은 사람들 : 정상 방의 번호 빛이 정전된 방에서도 켜지도록 변경된다.
  • 월 드웰러 : 등장할 때 내던 작은 소리를 내지 않으며 쫒아내도 무조건 한 번 더 추격한다.
  • 공허 물질 웅덩이 : 소리를 내지 않으며, 액체까지 흘리지 않아 캐비넷 틈으로 보이는 분홍색 눈으로만 분별해야한다.
  • 내부 방어 시스템 : 터렛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며, 터렛이 비추는 빛의 색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72] 건틀릿에서도 등장한다.
  • 세바스찬 솔리스 : 상점 이용 불가. 상점은 존재하나 들어가서 조우하자마자 세바스찬이 즉시 총을 쏴 즉사시킨다. 대신 세바스찬의 상점이 있는 방은 키카드가 필요하지 않다.
  • 대인용 지뢰 : 99번 방 이후부터 스폰되며, 그 수가 대폭 증가한다. 릿지에서는 스폰하지 않는다.
  • 촛대짐승 : 공격 속도가 증가한다.

[ 리워크 이후 모드 설명 펼치기 • 접기 ]

기본적인 틀[73]은 리워크 이전과 동일하나 강화되는 몹과 강화 내용이 다르다. 아직 모든 개체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확인되지는 않았다.

현재까지 확인된 강화된 몹은 다음과 같다.
  • 앵글러 계열 : 공격범위가 대폭 증가하여 시야가 가려진 공간이 아니면 대부분 죽는다. 또한 프로거처럼 리바운드를 한다.[74] 그리고 스폰된 후 일정시간 기다리던 기존과 달리 스폰되자마자 바로 돌진해온다. 이는 A-60도 포함된다.
  • 아이페스테이션 : 끌어당기는 힘이 최대 격분치만큼 끌어당기며, 벽 뒤에 숨으면 영향을 받지 않았던 기존과 달리 벽 뒤에 숨어도 영향을 받으며, 대미지도 정상적으로 받는다.
  • 내부 방어 시스템 : 터렛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며, 터렛이 비추는 빛의 색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75]
  • 대인용 지뢰 : 99번 방 이후부터 스폰되며, 그 수가 대폭 증가한다. 모든 지뢰들은 각기 다른 색과 효과[76]를 가지고 있다. 릿지에서도 스폰한다.
  • 서치라이트(1차전) : 보스전 시작 시 개체가 투명화된다. 보스전 내용으로는 고쳐야할 발전기 수가 솔플 기준 15개가 되며, 기존과 다르게 회전 침이 초록 부분에 있을 때 고쳐야 한다. 빨간 부분에서 고칠 시 25의 피해를 받는다.
  • 세바스찬 : 리워크 이전과 똑같긴 하나, 인형을 버린 후 상점에 들어갈 경우 평소처럼 아이템을 살 수 있다.

테스트 기간때의 교육자 모드와 다른 점은 당시 해당 모드보다 훨씬 난이도가 어렵고 인형을 처음 집은 사람이 일정 시간[77]동안 인형을 손에 들고있지 않으면 A-60에게 죽을때처럼 소멸되버린다. 또한 캐비넷에 숨었을 때, 구속자 미니게임 중, 발전기 수리 중이여도 손에 들고있지 않는 판정이다.[78] 즉, 원본격의 교육자 모드보다 훨씬 어렵다. 쉽게 말하면 "극악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는 미친 모드"[79].. 참고로 해당 모드에서는 부활이 비활성화된다.[80] 해당 모드를 활성화하면 친구 보너스로 10%의 크로너 배수를 받는다.

9월 9일, 모드가 출시된 지 단 5일 만에 배지와 함께 인게임에서 삭제되었다. 공식적인 이유는 제작자가 자세하게 밝히지 않았지만, 모드 클리어 배지가 공개된 당시 상황을 보면 공식 디스코드 커뮤니티 서버에서 일명 '배지 수집가', '올 뱃지' 유저들의 제작자 비난 사태로 인해 삭제된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이후 약 9월 19일쯤 모드가 배지와 함께 재출시되었다.

여담으로 모드 추가 당시엔 원본격의 모드 이름을 따 "이블 모드"로 불렸으나, 아주 잠시동안 게임에 추가된 해당 모드 클리어 배지의 설명을 통해 "인형 모드"임이 밝혀졌다.

4. 요소

4.1. 괴물 및 개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괴물 및 개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괴물 및 개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괴물 및 개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대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대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대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대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시설 및 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시설 및 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시설 및 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시설 및 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아이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업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업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업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업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점프수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점프수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점프수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점프수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7. 세계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세계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세계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세계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8. 기밀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essure(Roblox)/기밀 문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기밀 문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Pressure(Roblox)/기밀 문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엔딩 #===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반 엔딩
파일:PressureNormal.png
클리어 조건: 크리스탈을 확보하고 릿지를 통과해 보스전을 치루고 잠수함에 탑승해 탈출하기.
[ 컷씬 대사 펼치기 • 접기 ]
=내비 A.I, =병사1, =병사2, =병사3, =병사4
파일:프레셔_내비_아이콘.webp해치에서 물러나십시오.[81]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컨테이너를 들고 밖으로 나와!
섣부른 동작은 하지 말고!
그 물건을 내놔라.

*병사가 확인한다.*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이쪽으로.
셰이드 씨가 널 보러 올거다.

*휠체어를 탄 셰이드가 크리스탈을 받는다.*

파일:프레셔_내비_아이콘.webp(잘 안 보이는데) 좀 들어주겠나?[82]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예?
아,
음,
죄송합니다...

파일:프레셔_내비_아이콘.webp좋아.

*병사가 셰이드로부터 크리스탈을 회수한다.*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움직여.
갈아입을 옷과 집으로 갈 승인표가 준비되어 있다.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완전히 미쳤지, 안그래? 이런 데 수천 명의 소모품 놈들을 던져대는게 실제로 효과가 있을 거라고는 몰랐네. 블록스-오프에 나오는 누군가라 해도, 거기에 충분한 시체를 던지면 운이 좋을 수밖에 없었겠지.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그러게, 맞지? 그 아래 모든 것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았는지 누가 알겠어. 내가 잘 몰랐다면 무슨 아케이드 게임 같다고 했을 거야. 다시 해, 동전 넣어! 죽었네? 아, 아쉬워라.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낼 때까지 계속 돈을 내면서 플레이해야 하지.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닥쳐 인마, 말도 안돼! 만약 그게 사실이라고 상상해봐? 그 여자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범죄자에게 두 번째 기회를 준다고? 그런 일이 정말 일어났다면, 내 발을 스스로 물어 뜯어버릴거야.
*화면이 전환되고 차고로 이동한다.*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확인을 위해 대기하십시오.
확인되었습니다.
계속하셔도 됩니다.
이제 차량에 탑승하세요.
좀 쉬십시오.

*병사가 문을 닫고, 차량이 출발한다.*
*옆에 있는 병사가 말을 건다.*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저기, 할 말이 있다. *헛기침*

*무언가를 읽는다*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셰이드 씨가 당신에게 개인적인 감사를 표합니다... 죄수 이름은...' 와, 얘네는 이름도 안 적었네. *웃음*

어쨌든, 음... 당신의 공로로 범죄 기록이 말소되었고, 배상금은... 부당한 구금에 대한 보상이라는 명목으로 당신의 은행 계좌로 입금되었습니다. 지역 사회에서 당신의 평판을 회복하기 위해 뉴스 기사를 조작, 게재, 공유할 것입니다. 다시 한번, 어반셰이드는 당신의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음...
너 들었지?
넌 오늘부로 무죄야! 정말이지 우린 너가 자랑스러워!
*공항에 도착한다.*

파일:프레셔_병사_아이콘.webp도착했다. 공항 보안 검색대로 가면 입국 허가가 날거다.

그리고 네가 본 걸 발설하지 마라. 어차피 누구도 네 말은 믿지 않을 테니까.
크리스탈을 성공적으로 확보하고 로비로 다시 돌아온 플레이어는 가드의 안내를 따라 셰이드와 만난 후, 어반셰이드의 차량에 탑승해 목적지까지 무사히 도착해 귀환한다.

플레이어가 형식적으로 사면, 석방 상태이고 보상금까지 두둑히 받았으니 앞으로는 새 출발을 할 일만 남았으나, 어반셰이드는 계속 눈이 닿지 않는 곳에서 악행을 계속할 것이고, 플레이어도 자신의 죄와 어반셰이드의 존재를 계속 머릿속에 담아두고 살 테니 일종의 중과부적 엔딩으로 볼 수 있다.

참고로 현재 엔딩 컷씬은 이전 일반 엔딩을 애니메이션화해서 새로 만든 것이다.[83]

[ 이전 일반 엔딩 펼치기 · 접기 ]
파일:PressureEnding.png
2025년 10월 ██일 오전 11시 즈음, 하달 블랙사이트로 투입되었던 수많은 수감자들 중 플레이어가 크리스탈을 가지고 복귀하자, 어반셰이드는 약속대로 플레이어에게 즉시 석방과 범죄기록 삭제, 그리고 보상으로 ███████을 지급하고 렛반드 구역에서 가장 가까웠던 덴마크의 바가르 공항으로 보내주며 게임은 막을 내린다.

그리고 그곳에서 봤던 것은 절대 누구에게도 발설하지 말라는 경고와 함께.

파일:Pressure ending.png
부두에 도착하자마자 무장한 경비원이 강제로 크리스탈 보관함을 빼앗아 바퀴 대신 탱크 무한궤도가 장비된 휠체어를 탄 늙고 쇠약하고 역겨워 보이는 노인에게 가져다 줬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보관함을 열어 그 노인에게 보여줍니다, 당신은 그가 경비원에게 무엇이라 말하는지 잘 듣지 못했고, 다른 경비원들이 당신을 탈의실로 안내하여 새 옷으로 갈아입게 했습니다.
민간인 복장을 갖춰 입은 후 군용 차량으로 이송되면서, 당신과 한 경비원은 뒷좌석에, 다른 경비원은 운전석에 앉았습니다.
부두를 떠난지 12분 후, 당신 옆에 있는 경비원이 휴대폰으로 알림을 받고 휴대폰을 꺼내들어 무언가를 읽기 시작합니다.
"셰이드 씨가 당신에게 개인적으로 감사를 표했습니다, '누가 저 수감자에 대한 기록을 찾아줄 수 있나?' 귀하가 임무를 무사히 완수하기 위한 노고에 감사하기 위해, 당신의 범죄 이력은 삭제되었고, 돈은 불법 수감에 대한 피해보상이라는 명목으로 당신의 통장에 입금되었습니다."
"당신이 어느 사회에서 왔든 당신의 이미지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가짜 뉴스가 곧 게시될 예정입니다."
그런 다음, 그는 휴대전화를 치우고 운전하는 내내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몇 시간 후, 차는 바가르 공항에 도착했습니다.
당신 옆에 서 있는 경비원이 마지못해 휴대전화를 건네며 당신에게 말했습니다. "비행기 티켓은 여기 있습니다, 비밀번호는 ████입니다."
그리고 당신이 조수석 문을 열고 차에서 내리려고 할때, 경비원이 목을 가다듬고 당신에게 말했습니다.
"당신이 본 것에 대해 아무에게도 발설해서는 안됩니다."

"어차피 아무도 당신을 믿지 않을 테니까요."
최초 클리어 시 출력되는 문구.
"대본에 충실" 엔딩
파일:PressureSTSNew.png
클리어 조건: 페인터를 '구출'한 후 릿지의 끝까지 도달하기.
[ 컷씬 대사 펼치기 · 접기 ]
파일:프레셔_셉_아이콘.webp 너!!!
히든 엔딩의 발동 조건은 83번 방(17번 방)에서 확정으로 등장하는 터렛 룸의 부숴진 틈 사이나 중격리실에서 낮은 확률로 나오는 페인터에게 다가가 "구출" 버튼을 눌러 살해하는 것이다.

페인터가 죽었기 때문에 릿지에서 이상한 노래가 흘러나오지 않고 가짜 방도 더 이상 등장하지 않으나,[84] 세바스찬이 현재 플레이어를 찾으러 자리를 비운 상태이기 때문에 죽어도 문서를 보여주지 않으며,[85] 다른 플레이어 관전이 아닌 자신의 시체에서 그대로 시점이 고정된다. 당연히 부활이나 고스트로 전환도 불가능. 이 루트를 진행하던 중 기밀 서류를 찾은 경우, 서류를 적당히 펼쳐서 보다가 던져버린다.[86]

이후 조금 진행하다보면 갑자기 멀리서 세바스찬의 목소리가 들리는데[87], 페인터의 죽음을 목격한 것인지 처음엔 불안해하다가 마지막엔 슬퍼하며 목소리가 점점 떨린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페인터의 스크린을 부숴서 무참하게 죽이고 무덤덤하게 릿지의 끝에 도달한 플레이어는, 건너편에서 문을 열고 등장한 격분한 세바스찬에 의해 심장이 적출된 후 잠시간 의식이 남은 채로 빈사에 이른다.[88] 세바스찬은 다시 돌아오면 그때도 다시 죽여버리겠다, 절대로 여기서 빠져나가지 못할 것이다, 등 플레이어를 미친듯이 증오하며 적출한 심장을 그대로 땅에 처박아 뭉개버리고, 죽일 작정을 하지만, 갑작스레 등장한 로피에게 세바스찬은 소멸 당하고 기억이 일부 지워지면서 없던 일이 되어버리며 플레이어는 다시 부활해 로비로 이동된다.

엔딩이기는 하지만, 플레이어가 크리스탈을 확보하지 못하고 사망한채로 끝나 버렸기에, 클리어 수가 올라가지 않는다.

이후 다시 세바스찬을 만나면 정말 아무 일도 없던 듯 플레이어를 맞이하며, 페인터도 죽어있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엔딩의 컷씬이나 내용이나 상당히 고어한 편이다. 평범한 로블록스 게임답지 않게 붉은 피가 튀면서 아예 심장을 뽑아내는 연출이나 현실적인 사운드와 시각적 연출, 플레이어를 증오하는 세바스찬의 공포스럽고 위협적인 태도까지 평범한 도어즈류 게임이라는 인식과 틀에서 벗어나려는 개발자의 의도가 보인다.

5. 게임패스

<rowcolor=#fff> 게임패스 이름 효과 가격
파일:Pressure_KRONER25BONUS!!!.png Kroner Boost 25%
크로너 부스트 25%
게임 정산 시 계산되는 크로너 +25% 파일:Robux 아이콘 검정.svg599 R$
파일:PRESSURE_50PLAYERS!!!!!!!!!.png 50 Player Lobby
50 플레이어 로비
모든 게임 모드에서 50인 잠수함 호스트 가능[89] 파일:Robux 아이콘 검정.svg299 R$
파일:PRESSURE_GHOST.png Post-Mortem Haunting
사후 유령화
사망 시 유령 모드로 전환 가능, 9가지 능력[능력목록][91] 파일:Robux 아이콘 검정.svg199 R$
파일:심해 토끼 게임패스.png Deep Sea Buddy
심해 친구
게임패스 소유 시 게임을 시작할 경우 항상 시작방 어딘가[92]에 심해 토끼가 등장[93][94] 파일:Robux 아이콘 검정.svg149R$[95]

WtW 업데이트로 "게임패스 선물" 기능이 생겼는데, 이로인해 외국이나 한국이나 게임패스 선물[96]을 해달라고 구걸하는 유저들이 생겨났다(...).

6. 코드

게임 내 상점에서 후술할 코드를 사용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만료된 코드는 취소선 처리한다.

다른 게임들과 다르게 오히려 코드 입력시 보상을 잃을 수도 있는 코드도 존재한다(...).
코드 이름 보상 사용 가능 여부
SMILEYBOMB!!!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500
사용 불가
slederman 파일:Ferrymans quarter.webp
2
사용 불가
sorry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150
사용 불가
ApologyTour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750
사용 불가
WasteOfTime 파일:Ferrymans quarter.webp
2
사용 불가
Raveyard 파일:Ferrymans quarter.webp
2
사용 불가
200M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500
사용 불가
Christmas!!!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300
사용 불가
Decay 파일:Ferrymans quarter.webp
1
사용 불가
Fraud 파일:Ferrymans quarter.webp
2
사용 불가
2YearsWasted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750
사용 불가
ButTheDevWasMeanAndIncludedAnotherCodeThatWouldRemoveMyReviveAndIWasStupidEnoughToUseIt[97] 파일:Ferrymans quarter.webp
-1
사용 불가
ILookedUpTheGamesSocialMediasToGiveMyselfAnAdvantageInTheHuntMEGAEditionByUsingThisCodeToGetAFreeRevive[98] 파일:Ferrymans quarter.webp
1
사용 불가
1YEAR!!!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1(...)
사용 불가
Gullible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300
현재 사용 가능
MiserableLaunchOnceAgain 파일:Ferrymans quarter.webp
3
현재 사용 가능
YOURTAKINGTOOLONG 파일:Pressure_KRONERLOGO.webp
500
현재 사용 가능

만약 이 코드를 전부 사용했다면 크로너는 3,151원[99], 페리맨 토큰은 12개[100]를 얻을 수 있다.

7. 사운드트랙

재생목록 바로가기
{{{#!folding [ VolumeⅠ 목록 펼치기 · 접기 ]
Volume Ⅰ 재생 장소 플레이 링크
First Theme(첫 번째 테마)
Second Theme(두 번째 테마)
Third Theme(세 번째 테마)
로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ight Reading Material(가벼운 독서 자료) 기밀문서를 읽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One Way Trip(편도 여행) 잠수함을 타고 블랙사이트로 향할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xpendable(소모품) 사망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he Walls Are Painted With Blood(벽은 피로 칠해져있어)
Closed Casket Funeral(관 닫은 장례식)
Dying Campfire(꺼져가는 모닥불)
The Park On The Old Mountain(오래된 산의 공원)
최초로 노드트래킹 괴물이 공격하기 이전에 재생되는 음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anctuary of Mutualism(상호주의의 성소) 세바스찬의 상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an't Take My Eyes Off You(너에게서 눈을 뗄 수가 없어) 아이페스테이션의 염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NRAGED(격분) 아이페스테이션의 염력작업등 +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Voluntary Suicide(자발적 자살) 아이페스테이션의 염력작업등 +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ait Of The World(세상의 기다림)
Persistence(고집)
Knock Knock(똑 똑)
판데모니움의 미니게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yes In The Skies(하늘의 눈) 서치라이트 1차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elcome to The Ridge(The Ridge에 온걸 환영한다) 1번방 도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he Part Of The Game Where We Throw Everything At You(우리가 너에게 모든 것을 던지는 게임의 일부)[101] The Ridge의 첫 번째 게이트를 열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earch Party(수색대)[삭제] 서치라이트 2차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byss.wav(심연.wav) 로피가 등장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tay Seated(앉아있도록 해) Dead seater 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one-Deaf(음치) 게임 출시 트레일러 음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et's Waste Some Money(돈 낭비 할 시간)[삭제] 도박 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adal 1(하달 1)
Hadal 2(하달 2)
Hadal 3(하달 3)
트렌치블리더가 지나갈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folding [ Volume Ⅱ 목록 펼치기 · 접기 ]
Volume Ⅱ 재생 장소 플레이 링크
Pressure On Piano(피아노에 가해지는 프레셔)[104] 로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eeper(더 깊이)
Respite, Waxing Damnation(휴식, 저주의 시작)
Why Bother(귀찮게 왜)
Vicious Cycle(악순환)
최초로 노드트래킹 괴물이 공격하기 이전에 재생되는 음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acade(외관)
I Made A Promise(난 약속 했어)
I Heard Your Voice Again(너의 목소리가 들렸어)[105]
세바스찬의 상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hey Breathe, They Move(그들은 숨쉬고, 움직인다)[106] 산소 정원 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o Fish(낚시) 바텀피더의 침수된 구역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asteshredder(폐기물 분쇄기) 판데모니움의 미니게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 U N(도 망 쳐)[107] 방화벽이 작동될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ewer Creature(하수구의 괴물)[108] Z-264 "흉물"과의 추격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lasphemy(신성모독) 수호천사의 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ig Sister is Watching(누나가 지켜보고있다) NAVI A.I의 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 Dream of Dreaming(난 꿈꾸는 것을 꿈꿔) p.AI.nter의 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 Dream of Electric Sheep(난 전기 양을 꿈꿔)
[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p.AI.nter를 부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tick to the Script(대본에 충실히 따르라) 시크릿 엔딩 컷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eneath The Final Light(마지막 불빛 아래에서) 서치라이트 2차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eath Angel(죽음의 천사) 하빈저가 등장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eehee(ㅎㅎ) Worth The Wait Part 1 업데이트 트레일러 음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folding [ The Raveyard 목록 펼치기 · 접기 ]
The Raveyard 재생 장소 플레이 링크
One Spooky Trip(오싹 여행) 잠수함을 타고 레이브야드로 향할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uried Beneath The Stars(별 아래에 묻혀) 레이브야드에 도착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ress Code Violation(복장 규칙 위반) 경비원과의 추격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J Skeletunes(DJ 스켈레튠) DJ 스켈레튠을 마주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uture Dumpster Diver(미래의 쓰레기통 다이버) 스켈레피드와의 추격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fter The Dawn(새벽의 이후) 스펙트럼 및 도박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ightmare(악몽) 촛대지기와의 추격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inner's Plea(죄인의 간청) 경비원과의 마지막 추격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folding [ The Hunted 목록 펼치기 · 접기 ] The Hunted 재생 장소 플레이 링크
Adversary(적대자)[109] 크루키드가 등장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tar Of The Show(쇼의 스타) 볼트에서 첫번째 토큰 조각을 얻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he Vault(볼트) 볼트의 지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folding [ Operation Heartburn 목록 펼치기 · 접기 ] 목록 재생 장소 플레이 링크
Operation: Heartburn(오퍼레이션: 하트번) 로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One Rotten Trip(썩은 여행) 리프트를 타고 목적지로 향할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ldritch Horror, Meet:(엘드리치 호러, 만나보라:) 비전투 상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uman Ingenuity(인간의 독창성을) 근처에 Z-863-2가 존재할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ead)(납탄) 근처에 Z-863-2가 다수 있을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One-Two-Three Man Army(1-2-3인 군대)[110] 심장을 파괴하러 갈 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7.1. 출시 예정 사운드 트랙

{{{#!folding [ 목록 펼치기 · 접기 ] 목록 재생 장소 플레이 링크
Always Bet On Purple(항상 보라색에 베팅) 불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8. 평가

8.1. 긍정적 평가

  • 방대한 세계관과 설정
    동접자나 인기 등에서 조상격인 게임에게 다소 밀리는 경향이 있지만 모두가 인정하는 이 게임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디테일한 세계관 설정이다. 게임의 배경이 되는 하달 블랙사이트라는 시설이 어떻게 지어졌는지와 그 과정에서 무슨 사건이 있었는지에 대한 프롤로그, 괴물에게 죽을 경우 해당 괴물의 서사와 특징을 알 수 있는 기밀 문서, 인게임 내에서 등장인물들의 대사를 통해 알아볼 수 있는 캐릭터 간 관계 설정 등, 게임을 하며 만나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상황, 단순히 게임 시스템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죽음과 부활 마저도 세계관에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로블록스의 웬만한 스토리 공포 게임들과 비슷한 꽤나 설정에 진심인 게임이다.

    특히 괴물에게 죽고 나면 그 괴물에 대한 팁과 동시에 서사가 적혀 있는 문서가 열리는데, 이 문서들은 로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사실상 이 게임의 추가 컨텐츠라고 볼 수 있지만 이 시스템은 유저들로 하여금 이 게임에 존재하는 모든 괴물들을 적어도 한 번은 만나볼 수 있게 경험해주고 그 괴물들을 만나기 위해 게임을 계속해서 다시 시작하게 만들도록 하는 데 있다. 제작자가 얼마나 머리를 잘 썼는지 옅볼 수 있는 부분. 다만 이 문서 시스템이 후술하겠지만 고스란히 단점이 되기도 한다.
  • 높은 퀄리티와 완성도
    게임의 완성도가 매우 높다. 당장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더빙이 출력되고, 높은 그래픽에 긴장감 넘치는 추격전과 연출, 웅장한 OST, 6분이 넘는 엔딩 컷신 등 게임을 플레이하며 여러 번 감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괴물들의 소름끼치는 디자인[111], 판데모니움의 참신한 기믹, 여러 환경 소음으로 더해지는 공포감 등 굉장히 세밀하다.

    앞서 서술한 높은 퀄리티와 더해져 음악 또한 퀄리티와 완성도가 높아 게임의 몰입도를 최상으로 만들어준다. 예시로 판데모니움 미니 게임 도중 재생되는 긴박한 음악, 아이페스테이션이 격분했거나 건틀렛 이벤트 발생 시 재생되는 음악, 크리스탈 룸에 도착했을 때 긴장감을 더해주는 배경음 등 거의 모든 OST가 호평이 자자하다. 특히 어보미네이션 추격전 중 재생되는 Sewer Creature, 마지막 2차 서치라이트에서 재생되는 Beneath The Final Light는 프레셔에서 한 손에 꼽히는 명곡으로 평가받는다.

    추가로 이 게임에 존재하는 모든 배지들은 전부 그림이고, 배지의 획득 난이도와 무관하게 모든 배지가 고퀄이다. 거기에 프레셔 특유의 오각형 틀 디자인 또한 게임을 더욱 독보적으로 만들고, 때문에 챌린지 배지같은 어려운 업적들을 도전하는 사람도 많다.
  • 지루하지 않은 게임성
    엔딩을 한 번 보는 데 기본적으로 평균 플레이타임이 45분을 넘는다. 그럼에도 전혀 지루함을 느낄 틈이 없는데, 매판마다 정말 다양한 괴물과 요소를 만날 수 있고, 진행을 할 수록 방 타입이 로그라이크식으로 계속해서 다양하게 바뀌기 때문에 반복적이라는 느낌도 들지 않는다. 또한 초반에 첫번째 그랜드 인카운터, 후반에 세바스찬 상점, 중반엔 두번째 그랜드 인카운터, 마지막엔 긴장의 끈을 놓쳐서는 안되는 The Ridge 구간과 웅장한 음악과 함께하는 최후의 보스전까지 마련되어 있어 플레이어가 지루함을 느낄 때라면 항상 게임의 요소가 등장해 틈을 매꿔주어 지루함을 자주 느끼기 어렵다.

    특히 추격전의 경우 어보미네이션 추격전과 파이어월 추격전은 비록 난이도가 높지만 익숙해지면 이 게임에서 가장 재미있는 요소라고 평가받는다. 두 추격전 다 빠르고 시원시원한 속도로 진행되며 중간에 신박한 기믹도 존재하기에 대부분 첫 번째로 이 추격전들이 안 뜨면 아쉬워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추격전을 어려워하는 사람들과 모바일 유저들을 위한 배려로 설정에서 난이도를 조금 쉽게 만들어주는 옵션과 모바일 한정으로 파이어월 추격전을 안 뜨게 하는 옵션도 있다.

    서브 모드인 레이브야드와 헌티드, 오퍼레이션 하트번 또한 짧은 플레이 타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아쉬울 것 없는 게임성과 퀄리티를 지니고 있다. 레이브야드의 경우 처음부터 추격전으로 시작해서 마지막까지 추격전으로 끝나는 재미있는 구성을 보여주고, 헌티드는 크루키드의 참신한 기믹[112]으로, 오퍼레이션 하트번은 아예 FPS로 완전히 게임 플레이 방식을 뒤집어 기존 방식과는 다른 색다른 게임 플레이를 요구한다. 덕분에 이벤트가 끝난 현재도 서브 모드의 인기가 많은 편이다.
  • 최적화
    게임을 하다보면 매우 거대한 방이나 시설, 개체를 많이 볼 수 있는데, 눈에 전부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커다란 조형물 등이 여러번 나오더라도 왠만해선 렉이 걸리거나 끊기는 일이 없다. 이는 게임에 등장하는 모델의 최적화를 매우 잘한 케이스이며, 비교적 성능이 낮은 기기나 모바일 유저라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게 해준다. 물론 방의 규모가 크다면 문이 열릴 때(방이 생성 될 때) 잠깐 렉이 걸리기는 한다.

8.2. 부정적 평가

  • 높은 난이도로 인한 진입장벽
    게임 자체의 난이도가 매우 높아 초보자 혼자서의 입문이 어렵다. 우선 게임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개체들이 모티브 게임에서 얻은 아이디어 + 추가된 새로운 요소[113]가 합쳐져 있어 다소 외워두어야 할 것이 많고, 방화벽과 어보미네이션 추격전 중 어려운 구간들, 특히 환경적 요소 중 하나인 내부 방어 시스템은 프레셔 내에서도 악랄하다고 공인될 정도이다. 대체로 매 판 마다 예상치 못한 변수가 많이 생기기에 초보자 스스로 대처하기 힘들다는 것이 아무래도 어쩔 수 없는 단점 중 하나.[114]

    이 때문에 종종 인게임 로비에서 "처음 하는데 도와주실 분" 등 고인물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말들을 볼 수 있다. The Hunt: Mega Edition 이벤트 당시에도 이 문제로 인해 욕을 먹은 적이 있었는데,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당시 메가 토큰 수집 최고 난이도의 게임이 바로 이 게임이었다.[115]
  • 상당한 운과 시간을 요구하는 문서 및 배지 해금
    게임 내 문서의 대부분은 특정 방에서만 얻을 수 있는 문서가 많은데, 이런 문서들이 다 제발 이 방이 나와달라고 빌며 운에 기대야 하는 수준으로 게임 한 판에 문서 하나 찾기가 매우 힘들다.[116] 아예 죽으면 갈 수 있는 곳에 숨겨진 문서까지 존재한다.[117] 개체 및 위험요소 문서도 해당하는 개체에게 죽어야만, 그것도 대부분 여러번 죽어야 모든 검열이 지워지기에 진짜 챌린지에 가까운 배지와는 달리 문서는 이 게임의 확장 요소, 게임의 세계관을 분석할 수 있는 내용이 담긴 공식 컨텐츠임에도 모든 문서를 해금하는 것은 매우 힘들며 정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아예 생존해서 배지 얻기 VS 죽어서 문서 얻기 라는 주제의 이미지가 밈으로 돌아다닐 정도.

    문서와 더불어 올 배지 획득을 목적으로 게임을 한다면 정말 오랜 시간과 운이 필요하다. 이 게임은 일부 배지를 제외하면 배지를 얻는 난이도가 굉장히 악랄한데, 지금 당장 사물함 없이 클리어 배지만 해도 성공률이 고작 0.3% 남짓이며, 그마저도 운과 관련된 요소가 굉장히 필요하다. 멀티 플레이어 관련 배지로도 8명이서 플레이하여 아무도 죽지 않고 클리어해야 지급되는 배지도 있다. 최근 인형모드가 다시 추가되며 그에 관한 배지도 함께 추가되어서 올 배지 성공률이 더욱 낮아졌다.

9. 여담

  • 모티브가 된 게임과 서로 비슷한 괴물이 많다. 아무래도 모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게임인 만큼 괴물들도 해당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기 때문인듯.
  • 로비에서 1인플레이를 할 수 있는 잠수정의 끝쪽 서랍에서 시크의 눈을 확인할수 있다.[118]
  • 특정 게임과 콜라보할 경우 로비의 오른쪽 계단 옆의 벽에 콜라보한 게임과 관련된 포스터가 추가된다.[119]
  • 개발자가 FANDOM 위키를 아예 무인지대라고 부를 정도로 안좋게 보고있으며, 대신 공식 위키를 사용하라고 권유하고 있다. 실제로 프레셔의 팬덤 위키는 문서 훼손이 자주 일어나며 뻘 문서도 많이 존재하는 상태.
  • 침수된 방이나 에어락 등 플레이어 캐릭터가 물에 입수하게되면 캐릭터가 고글을 꺼내 쓰게되는데, 만약 플레이어의 체력이 45 이하라면 고글의 왼쪽하단이, 20 이하라면 고글의 중앙이 깨져서 시야 확보가 어려워진다. 특히 어보미네이션과의 추격전을 끝내면 무조건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지게되는데, 추격전 도중 풀피 기준으로 장애물에 딱 한번만 맞아도 고글이 깨지는것이 확정되므로 굉장히 주의해야한다.
  • 공식 UGC가 존재한다. 게임 내에서에서 상점 -> UGC 탭을 누르면 구매 가능한 UGC들이 창으로 나온다.[120] UGC를 구매한 경우 게임 접속 시 200 크로너와 페리맨 토큰 1개를 준다. 단, 점프수트는 해당하는 점프수트의 크로너 구매 가격만 할인해준다.
  • 어떤 상의와 하의를 입던, 인게임과 로비 모두 자체적으로 있는 점프수트로 바뀐다. 장신구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다이나믹 헤드도 사용할 수 없다.[122]
  • 외국인들과 게임할 때, 특히 뱃지작 같이 진지한 게임에서는 SS, PSS, X 등의 용어를 알아둔다면 유용하다.[123]
파일:1000012884.jpg
게임 출시 전 트레일러 속 개발자의 메시지
[ 펼치기 · 접기 ]
> 원문

If all things go well, that is. Just got a small handful of things left. IDK how really soon is? I’d assume maybe a month or 2, best outcome possible. We just need finish up the Searchlights encounter, the ending and the lobby UI stuff. On release, if you played the test, please don’t have the highest of expectations, as we’ve only added a handful of “new” features. Most new stuff isn’t something you’d really care about as a regular player. Stuff like the lobby UI, badges, monitiation, yada-yada who cares. We’ve been working on this for like a year and a half and we all just kinda want it out the door so we can start earning some money. Did you know that I’m kinda running low on funds? Unlike certain game studios, I actually want my employees to be paid, so I had to seek employment from others. So uhhh, shoutout to Regretevator and Phighting for coming in clutch and hiring me to do some things. Phighting stuff is NDA, but if you’re playing Regretevator and you see the new Reddy model, das my model babyyy. He was originally gonna have an endoskeleton but we didn’t add that due to optimization reasons. Soo like if you wanna see something funny, move your camera through his limbs and it’ll just be an empty shell. I’m also gonna be doing a handful of new floor maybe, working on one as im editing this trailer. Big open area so it’s gonna take a hot minute to decor. This whole document bit is just a joke, thanks for pausing the trailer and reading it . Go buy some of our UGC on the group page linking in the video description PLEEASSEEEEEEEE GIVE US MONEYYYYYY PELEAAAAAAAAAAAASEEEEEE Incase you haven’t noticed, the music for this trailer is incredibly un-serious compared to the tone of the game. Basically gist of why this is: I think all those typical doors trailers that’s like EPIC MUSIC. BIG WORDS ON SCREEN, CUT TO TITLE are really boring and lame, so I thought it’d be a funny idea to be a total contrarian, and commission the most tone deaf, “what the hell is this” type beat possible. Hope we succeeded!!! Be sure to check out “Survive the Night” by Aurek Team! They recently had a big update that rebalanced a lot of stuff across both gamemodes and made the game actually playable. Rach please make it so the HUNT tutorial isn’t a multiplayer sever vote thing just make it singleplayer man cmon it’s been a year now.
If these documents are shown to unauthorized personnel you’ll get a kiss on the cheek and a big hug :3 so cute cute and awesomesauce!!


번역본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이제 몇 가지 일만 남았어요. 얼마나 빨리 끝날지 모르겠네요. 한 달에서 두 달 정도면 가장 좋을 것 같아요. 서치라이트 조우, 엔딩, 로비 UI 정도만 손보면 됩니다. 출시 시에는 몇 가지 '새로운 기능'만 추가되었으니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마세요. 대부분의 새로운 기능은 평범한 플레이어라면 그리 신경 쓰지 않아도 될 기능입니다. 로비 UI, 배지, 모니터링 같은 것들처럼요. 저희는 1년 반 동안 이 작업을 해왔고, 모두 빨리 출시해서 돈을 벌고 싶을 뿐입니다. 개발 자금이 부족한 건 알고 계셨나요? 다른 게임 스튜디오와 달리 저는 직원들에게 급여를 주고 싶어서 다른 곳에서 일자리를 구해야 했어요. 그래서 리그레터베이터파이팅이 저를 고용해준 것에 대해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어요. 파이팅은 비밀유지협약(NDA)[124]으로 모델 공개를 못하지만 리그레터베이터를 플레이하다가 새로운 레디(Reddy)의 모델을 보게 되면 제가 만든 모델일겁니다. 원래는 골격이 있었지만 최적화 때문에 어쩔수없이 추가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웃긴점은 카메라를 그의 팔다리 사이로 움직이면 빈 껍데기만 보일 겁니다. 이 트레일러를 편집하면서 새로운 층도 여러개 추가할 예정입니다. 넓은 공간이라 꾸미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거예요. 아무튼 이 문서는 장난삼아 만들었습니다. 예고편 멈추고 읽어줘서 고마워요. 그룹 페이지에 있는 UGC 좀 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제발요 돈 좀 주세요오오오오 제에에에에에에발요오오오오
혹시 못 느꼈을 수도 있지만, 예고편 음악은 게임 분위기와 비교해서 엄청나게 진지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요: 저는 그 흔한 DOORS류 예고편 있잖아요, 막 웅장한 음악! 화면에 커다란 단어들! 타이틀 컷! 이런 스타일? 그런 것들이 너무 지루하고 진부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일부러 듣자마자 "이게 뭔데 ㅋㅋ" 싶을 정도로 완전히 정반대되는 음악을 만들어봤어요. 우리가 성공했길 바랍니다! Aurek 팀의 'Survive the Night' 를 꼭 확인해 보세요! 최근 두 게임 모드의 밸런스 패치를 하고 게임을 실제로 플레이할 수 있게 만든 대규모 업데이트가 진행중입니다. Rach 씨,[125] HUNT 튜토리얼을 멀티플레이어 서버 투표가 아닌 싱글플레이어로 만들어주세요 1년이 지났으니까요.
이 문서를 어느 누구에게든 유출시킬 경우, 볼따구 뽀뽀와 큰 포옹을 받을 것입니다.[126] :3 짱 귀여운 개쩌는 소스!!!!
파일:1335677301_12411473842_1731637369975.png
  • 가끔 여러 무작위 색 중 하나로 물들여진 서버를 만날 때도 있다. 음악도 다르다. 이것보다 더 낮은 확률로 아예 달에 붉은 별 문양이 세겨져 있을 때도 있다.[127]
  • 게임 소유권 판매에 대한 얘기가 돌았으나[128], 디스코드를 통해 Zerum은 Pressure의 소유권을 판매하지 않았고, 판매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 미국 시간 기준 [ruby(24년 12월 14일, ruby=한국 시간 24년 12월 15일)]에 업데이트 예정이였다가 하루 이틀 정도 연기된다고 밝혔다. 업데이트 당일에는 개발자 Zeal이 로블록스 오류로 인해 업데이트가 연기된다 했고[129] "아주 관대한 마음"으로 모든 게임 패스들을 1 로벅스(...) 할인해주겠다고 했었다. 이 할인은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 게임 출시 트레일러가 상당히 병맛이다. 먼저 영상속 게임 플레이 분위기와 맞지않는 평화로운 브금으로 시작해서, 미국 만화영화마냥 플레이어를 구출한 뒤 잠시 동안 공중에 떠 있다 떨어지는 것을 그대로 보여주는 등 개그 포인트가 있다.[130]
  • 간혹 게임을 하다 보면 심해 바다 소리, 터렛이 작동하는 소리, 플레이어 외에 누군가가 문을 여는 소리 등의 배경음이 재생되는데, 낮은 확률로 누군가 빠른 속도로 쫒아오는 발걸음 소리, 엄청나게 큰 소리로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재생되어 유저를 놀래키기도 한다. 물론 배경음이라 크게 놀라는거 외엔 문제가 없으나, 핑키같은 노드형 몬스터가 올때 재생된다면 소리가 일시적으로 묻힐 수 있으니 조심하자. 엄청 드물게 BFDI 애니메이션 특유의 비명소리가 재생될 때도 있다.
  • The Hunt: Mega Edition에 선정되어 The Hunted 맵이 추가되었다. 초기에는 악랄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로블록스의 난이도 하향 요청을 받아서 최대 2명까지 플레이 가능하게 하였고, 이후 2일 후에 또 요청을 받고 대규모 너프[131]를 받았었으나, 이벤트 기간이 끝난 지금은 다시 기존 난이도로 롤백되었다.[132] 하지만, 이때는 유일하게 The Vault만이 롤백이 아닌, 난이도 버프를 먹었다. 이후 헌티드의 리바브도 버프되었다.[133]
  • 4월 2일 새벽 2시에 25년 만우절 기념[134]으로 "TNatB"[135] 이벤트 모드가 출시되었다. 트레일러 링크 모티브는 이름부터 누가봐도 빼박 프레디. 심지어 게임 아이콘은 그냥 프레디의 팔레트 스왑 버전에 세바스찬 처럼 눈을 3개로 바꾼 것이다(...)
  • 게임이 일정 시간동안 셧다운 된 상태로 점검중인 경우 게임 이름이 "프레셔"에서 "유지 보수"로 변경된다. 당연히 이때는 게임에 접속할 수 없다.[136]
  • Worth the Wait (Overhaul) 업데이트 관련
[ 펼치기 • 접기 ]
* 추후 대규모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다. 너무 많은 나머지, 4개의 파트로 나눠서 업데이트 한다고한다. 원래는 5월 쯤 업데이트 예정이였으나, 여러 개발자가 이로 인해 건강이 나빠진 탓에 "델타룬의 정식 출시일인 6월 5일로부터 약 일주일 후 업데이트될 예정이다."라고 밝혔으나, 현재는 아무런 소식이 없는 상태.[137]
  • 이후에 7월 5일 업데이트라고 밝혔다가, 사람들이 크게 항의할 것을 예상했는지 25년 6월 20일 기준 작은 버그, 추가사항을 제외한 모든 콘텐츠가 완료되어 1주일 이내로 업데이트될 것이라고 밝혔다.
  • 그후 25년 6월 27일[138], Worth The Wait[139] Part 1 업데이트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업데이트 날짜는 한국 시간으로 25년 6월 30일이다.[140] 여담이지만 이 트레일러에서 쓰인 노래는 첫번째 출시 트레일러의 음악을 리믹스한 것이다.
  • 6월 29일 약 5시 경 서버 셧다운 메시지와[141] 그 밑에 업데이트 점검 소요 시간 메시지가 떴으며, 메시지대로 10분 이후 전 서버가 셧다운 되었으며 점검에 돌입했다. 점검은 5~8시간동안 진행될 예정[142]이기에 한국 시간 기준 6월 30일 출시였으나, 마지막 시험 단계에서 치명적인 버그가 발생하는 바람에 업데이트 날짜가 하루 밀려버렸다. 이후 한국 시간 2시 40분에 출시되었다. 여담으로 해당 업데이트 이후 동접자가 크게 늘었다.[143] 시간이 좀 지난 현재는 다시 떨어졌지만 평균적으로 유지되는 동접자 수는 약 2배 정도로 늘어났다.
  • 게임의 이름을 Pressure의 직역문인 "압력"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은데, 사실 이건 로블록스의 자동 번역 시스템으로 인해 생긴 직역문으로, 공식 번역이 아니다. 옆동네 게임인 RoomsDOORS를 그냥 "방/객실"이나 "문들"로 부르지 않고 "룸즈", "도어즈"라고 부르듯이 음차로 읽은 "프레셔"가 조금 더 자연스러운 제목이다. 굳이 한국어로 부른다면 게임의 스토리 진행 장소인 깊은 심해의 분위기와 맞춰 "수압" 정도의 의역이 있다.
  • 아이템 스킨이 추가될 예정이다. 공식 디스코드에서 스킨 제작이 완성될 때 마다 사진으로 공개하고 있으며, 크로너 구매 또는 업적 보상으로 스킨을 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는 손전등, 플래시 비콘, 랜턴, 무한 동력 손전등, 스프린트, 코드 브리처, 구급상자 총 7개의 아이템을 스킨으로 만들고 있다.
  • 공식 디스코드 서버인 Urbanshade: Hadal Division 서버에 가입되어 있을 시 "EXRP" 서버 태그를, 프레셔의 커뮤니티 서버인 Pressure Community 서버에 가입되어 있을 시 "NOST" 서버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 7월 7일 오후 7시에 게임 출시 1주년 기념으로 로비에 "1주년 기념일" 배지 지급기와 그 보상인 "1주년 점프수트" 전시대가 설치되었다. 추가로 쿠폰 코드인 "1YEAR!!!"가 적혀있는데, 이 쿠폰을 사용할 시 "1"주년 기념이라고 진짜 "1"크로너를 준다(...) 이 지급기는 7월 10일 7시 20분에 제거되었다.
  • 9월 9일, 인형 모드가 단 5일 만에 배지와 함께 삭제되었다. 인형 모드 클리어 배지가 공개되자마자 배지 수집가, 완벽 주의자들이 왜 배지를 추가했냐며 제작자를 비난하였고, 결국 커뮤니티를 진정시키기 위해 kibo는 모드와 그 배지를 완전히 삭제하고 다시 이 모드를 추가하지 않겠다고 언급했다. 그런데도 9월 20일쯤에 배지와 함께 재출시했다.언행불일치
  • 인게임 로비에서 다른 유저 주변에서 W, S키를 빠르게 눌러 앞 뒤로 움직이는 등 성행위를 묘사할 경우(...) 강제퇴장 당하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 다른 타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문제가 꽤 있는 편이다.[145] 물론 개발자 측에서 발견되는 즉시 영구 차단을 하고는 있지만 당연히 모든 핵쟁이가 영구 차단당하지는 않았으니 공개 방을 갈 때 참고.[146]

[1] 해당 사진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을 기준으로 상상의 친구, 촛대지기, 종말의 숙녀, 심해 토끼, 크루키드, 서치라이트, 아이페스테이션, 트렌치블리더 루시, 슬픔의 가면, 세바스찬, 그의 초롱불을 표현한 크리스탈, NAVI A.I,밑으로 떨어지는 소모품 수감자들, p.AI.nter, 판데모니움, 암흑 물질 웅덩이, 그리고 사진 뒷배경엔 어반셰이드의 로고가 박혀있다. 이 작은 썸네일 마크 안에 게임 요소의 거의 대부분을 모조리 넣어둔 것. WtW 업데이트로 추가된 배너이나, 제작은 이전에 완성되어서인지, 어보미네이션과 방화벽, 그외 추가 요소는 보이지 않는다.[2] 본 게임의 모델러이자, 총 관리자인 zeal이 운영하는 그룹이다.[3] 유혈 (경미함/비현실적), 공포 (반복적/약함), 폭력 (반복적/약함)[4] 공식적으로는 코미디라고 한다. 물론 게임을 플레이해보면 블랙 코미디에 더 가까운걸 볼 수 있다.[5] 영어 해석이 힘들다면 한국어 직역 기능을 키는것도 꽤 도움될 수 있다. 물론 직역 기능이기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참고할 것. 모든 글씨가 번역되는 것도 아니다.[6] 플레이어가 죄수인데다 소모품 취급이고 잠수함에 태우는 것과 괴생물체를 격리시키는 것, 플레이어가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많은 부분이 아이언 렁SCP - CB와 비슷하다.[7] 대표적으론 앵글러와 같은 노드 트래킹 형식의 괴물이 있으며, 터렛이나 서치라이트같은 괴물들에게 발각되어도 숨으면 안전하다.[8] 왼쪽 마우스로도 가능하지만, E 키를 쓰면 화면을 움직이지 않고도 적절한 거리에서 화면에만 들어와도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에 훨씬 편리하다.[9] 위로 스크롤하면 윗 번호로, 아래로 스크롤하면 아랫 번호로 선택된다.[10] 모바일에서 리서치를 먹은 뒤 리서치 표시가 있는 곳을 터치하면 춤이 춰진다.(PC도 된다)[11] 심해 토끼를 들고있는 상태에선 심해토끼를 던질 수 있고, 발전기 수리중 누르면 발전기 수리를 중단할 수 있다.[12] 수중 글라이더를 탄 상태에서 Z-264과 추격전 도중 꾹 누르면 뒤를 확인한다. 이를 이용해 Z-264와 거리가 얼마나 남았는지, 또는 가끔 넓은방에서 Z-264가 사용하는 돌진 패턴을 보고 피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13] 바텀피터라는 엔티티에게 붙잡힌 경우 탈출하기 위해 E와 Q를 번갈아가며 눌러줘야 한다.[14] 조금 앞으로 일정시간 달린 후 눌러줘야 제대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도중에 점프를 하면 슬라이딩이 멈춘다.[15] 돌진 기능을 사용하려면 공중에서 쉬프트를 눌러야한다.[16] 부두의 번호는 시작지점의 형태에 따라 바뀐다. 여기선 개발 초기부터 현재까지 존재한 기본적인 시작지점인 13번 부두를 기준으로 서술한다.[17] 특히 모든 방의 전력이 꺼지는 400번 방부터는 생존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18] 따로 전용 릿지 방이 존재하며, 거의 유일하게 불이 켜진 완전한 릿지를 볼 수 있는 수단. 일반 모드와는 다르게 노드 트래킹에 의해 불빛이 깜빡일 수 있으며 파괴되기도 한다. 그렇기에 일반 모드에서 나오는 모든 블랙사이트 방을 여기서도 볼 수 있으며, 희귀 괴물을 적어도 한번 쯤은 볼 수 있다.[19] 때문에 종종 크로너 벌이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엔 보통 난이도가 적당한 200~300번 방까지만 도달하고 사망하여 정산한다. 참고로 도달한 방 횟수의 크로너 정산 최대 제한은 423이다.[20] 예시로 인게임에서는 암흑 물질 웅덩이가 평균 40마리 정도만 나오지만 설정상 시설에 분포한 개체들은 6400마리 이상이니 대규모 시설임을 알 수 있다.[21] 대표적으로 A-60. 하빈저도 있긴 하나 하빈저는 따로 스폰률을 극도로 올릴 수 있다.[22] 리서치는 순수하게 크로너 정산으로만 쓰이지만, 낮은 확률로 도박방이 뜬다면, 여기서 리서치를 소모하여 운에 맞기거나 리서치 상점에서 아이템을 살 수 있다.[23] 상점이 없기에 배터리를 파밍이나 도박방으로만 얻을 수 있어서 시작부터 배터리를 충분히 구매하거나 얻지 못한다면 광원이 있어도 쓰기 힘들어진다. 때문에 시작 시 무한 동력 광원(젤리 손전등, 네크로블록시콘 등)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24] 어느정도냐 하면 한 방에 평균 2개의 지뢰가 있을 정도다. 1개만 있거나 없는 방도 나오긴 하지만, 재수 없으면 4개까지도 있을 수 있으며, 지뢰가 없는 방의 수가 있는 방의 수보다 더 적다.[25] 150~190번까지는 크게 체감이 안되지만 200번 방부터는 꽤 확실하게 체감된다. 400번 방 도달 시 모든 방의 불이 꺼지는것과 함께 무한 모드에서 무한 동력 광원을 중요시하게 만드는 주 원인.[26] 401번 방의 문을 여는 순간 특유의 정전 소리가 나며, 모든 방의 비상등을 제외한 모든 전등의 전력이 모두 꺼진다. 즉, 노드 몬스터의 전조가 사라진다. 사실상 이 구간부터는 맵만 블렉사이트인 일반 모드의 릿지가 된다.애초에 이 순간부터 오는 모든 앵글러는 릿지 앵글러처럼 눈이 없다. 전력이 꺼지는 소리가 상당히 크니 참고할 것.[27] 참고로 이 구간부터는 가짜 방이 절대 생성되지 않는다.[28] 쉽게 말해, 일반 모드와 달리 한 번 출현해도 계속 뜰 수 있다는 것이다.[29] 무한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30] 잠수함 옆쪽 그림자에 가려져 있다. 상호작용 시 스폰률이 극도로 증가한다. 물론 이걸 사용해도 스폰 확률이 비교적 극도로 증가할 뿐 여전히 어느정도 낮은 확률로 인해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31] Worth the Wait 업데이트 출시 초기에는 "구출"이 가능했으나, 며칠 뒤 패치로 막혔다. 참고로 이때는 버그로 번호판이 일반 모드처럼 100부터 내려가는 형식으로 되어서 번호대가 음수까지 내려가는(...) 현상이 있었다.[32] 이곳에서 지급되는 묘지 손전등은 버릴 수 없다.[33] 이 아이템 이외의 아이템은 쓰레기, 스펙트럼의 술을 제외하면 어떤것도 존재하지 않는다.[34] 이전엔 업데이트로 인해 8인 미만 로비가 전부 삭제되었으나 Worth The Wait 업데이트로 복구되었다.[35] 업데이트 이전엔 게임 클리어 카운트 밑에 작게 표시되었다.[스포일러] 특정 조건 만족 시 디코더도 함께 지급한다.[고급아이템_위치] 파일:Highgradethings.png
기본 시작지점인 13번 부두 기준, 잠수함에서 나온 후 오른쪽에 옆에있는 상자가 올려진 판자 위에 아이템이 놓여져있다.
[38] 데드 드롭도 제대로 사용 가능하다.[39] 게다가 이것들을 심해토끼에게 주면 무려 네크로블록시콘까지 주니...[40] 초기에는 솔로만 가능했으나 밸런스 패치를 먹은 이후 더 쉽게 깰 수 있도록 듀오를 만들었다고 한다.[41] 로비에서 총 4개의 비밀번호 쪽지를 찾은후 헌티드에서 디코더를 얻은뒤 코드확보 후 2번방에서 코드를 입력하고, 열차를 타면 된다. 쪽지의 위치는 후술.[42] 산소가 다 떨어졌을 경우 바로 죽지는 않지만 빠른 속도로 체력이 깎인다. 산소가 부족할 경우 플레이어의 캐릭터는 호흡 곤란을 증상을 겪으며 기침을 호소하는데, 특유의 먹먹한 산소 마스크 필터로 인해 처절함이 부각되고 오랫동안 유지될 수록 흐느끼다시피 과호흡을 하다가 숨소리가 점점 가빠져가는 모습이 보인다.[43] 프레셔의 최초로 탈출류가 아닌 PvE fps이다.[44] 산탄총으로 하는 각종 행동에 시야각 연출 및 사망 화면 추가 등.[45] 산탄 최대 소지량 80으로 조정[46] 등장인물들은 이를 '사분면'이라고 부른다.[47] 섹터 클리어 전에도 출구를 찾을 수는 있으나 목표 달성 이전까지는 출구가 열리지 않는다.[48] 버그인지는 알 수 없으나 제세동기를 얻은 후 레버를 내리면 제세동기가 리젠되어 2개를 얻을 수 있다.[49] 참고로 총알이 들어있는 상자는 3개의 빛나는 주황색 막대가 있다.[50] 첫번째 방에서 리프트를 타고 간 방을 의미한다.[51] 일반 처치와 점수차가 별로 없어보이지만 10만 점을 달성해야하는 배지의 경우 점수 하나하나가 중요하기에 웬만하면 근접 공격으로 처치해야한다.[52] 종류마다 처치 점수가 다르며, 특수 능력을 가진 레버넌트 개체는 근접 무기로 죽여도 스페셜 처치 하나로만 판정된다.[53] 근접 공격을 사용해 둘 이상은 죽인 경우에는 그냥 근접 처치로 2번 적립된다.[54] 이에 따라 처치 점수도 획득할 수 없다.[55] 멀티 플레이라면 뒤쳐진 사람들에게 어그로가 끌려서 매우 위험해지기에 욕까지 먹을 수도 있다. 그래도 내 팀이 아주 아주 잘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면 두명이 후방에서 Z-863-2 개체들을 잡고 한명이 가는 식으로 해도 된다.[56] 이때 Z-863-0이 비명을 질러댄다. 드릴도 그냥 드릴이 아니니...[57] 쉽게 말하자면, 섹터마다 요구하는 Z-863-2 개체들은 방 안에서 대기하고 있는것이 아니라 스폰되는 것이다.[58] 잠수함을 타고 도착해서 채석장 리프트쪽으로 오던 과정이 생략된 것이라고 추정해보면 어느정도 말이 되긴한다.[59] 레포데에서 일부 무기들은 정조준이 가능하지만 산탄총이나 대부분의 총기류는 정조준이 불가능하다.[60] 사실 프레셔에선 밀친다기보단 무기로 적을 가격해 잠시 스턴시키는 기능이다.[61] 하지만 이로인해 개발자들이 매우 피로해져 개발도중 이 게임을 감옥이라고 부를정도로 상태가 나빠졌었던 일이 있었다.[62] 이 모드와 관련된 아이템은 현재도 얻을 수 있지만 배지는 당연히 한정 배지가 되었다.[63] 만우절 기간에는 로비에 접속 시 바로 앞에 무대가 있었고 그 위에 파란색 프레디가 함께 있었으며 만우절이 지난 후엔 레이브야드 쪽에. 업데이트로 로비가 변경되었을땐 엘리베이터를 타면 나오는 공간 구석에 숨겨져있었다. 교육자 모드와는 다르게 위치가 변경될지언정 삭제할 생각은 일절 없는듯.[64] 핑키와 체인스모커는 등장하지 않는다.[65] 이 개체의 설정을 반영하여 녀석이 오면 문에 몸을 미친듯이 들이받으며 부수려 하고 옆쪽 창문으로 플레이어를 몇초간 노려보고 돌아간다. 앵글러 종류처럼 문만 닫으면 되긴 하나, 한쪽 문을 계속 닫아야 하기에 전력 소비가 꽤나 크다.[66] 직접적으로 나와서 플레이어를 죽이려 들진 않고, 컴퓨터에 팝업 창을 띄워 카메라 확인을 방해한다.[67] 특유의 핑크빛 색을 띈다[68] 무한 모드의 400번 방 이후보다도 훨씬 많다.[69] 간단하게 3번 지나간다고 보면 된다.[70] 하빈저 미니게임처럼 스태미나를 깎는 붉은 원이 존재하며, 판데모니움이 부딪힐 때마다 흰 원가 붉은 원의 위치가 바뀐다.[71] 다시 말해 한번 등장해도 또 스폰될 수 있다는 뜻이다.[72] 보라색 : 피격 시 일정시간동안 HP바가 보라색으로 변하며 독대미지를 받는다. 붉은색 : 공격속도가 대폭 감소하지만 탄착 지점에 폭발을 일으킨다. 주황색 : 화염을 일으킨다.[73] 전등 깜빡임 없음, 모든 불 점등 등.[74] 간단하게 3번 지나간다고 보면 된다.[75] 보라색: 일정시간동안 체력바를 보라색으로 변경시킨다, 붉은색: 공격속도가 대폭 감소하지만 탄착 지점에 폭발을 일으킨다, 주황색: 화염을 일으킨다(더 큰 피해를 받는다.), 분홍색: 5의 대미지를 주며 피격당한 플레이어를 제자리에서 잠깐동안 스턴시키며 춤을 추게(...) 만든다.[76] 보라색: 체력바를 보라색(독 대미지)으로 변경시킨다. 40 대미지를 주면 효과가 끝난다, 파란색: 15의 대미지를 주고 피격당한 플레이어를 그 자리에서 일정 시간동안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초록색: 대미지는 없지만 더 오랜 시간 넉백시킨다.[77] 체감상 5초 정도로 추정된다[78] 판데모니움 미니게임, 방화벽 인카운터와 같은 일부 상황에서는 밸런스상의 이유로 죽지 않는다.[79] 이러한 난이도는 배지 설명에서도 경고하고 있을 정도이다.[80] 제세동기는 사용이 가능하기에 멀티 플레이에 클리어를 목적으로 한다면 하나쯤 들고가는 것을 추천한다.[81] 인게임에서 잠수함 도착 대사는 랜덤으로 나온다.[82] 너무 노쇠한 탓에 제대로 된 거동이 아예 불가능하기 때문에 내비 A.I가 대신 대화를 해주는 듯하다.[83] 아래에 있는 이전 일반 엔딩을 보면 마지막에 나오는 대사와 현재 컷씬에서 나오는 거의 모든 행동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84] 물론 방화벽 그랜드 인카운터도 등장하지 않는다.[85] 로페의 코멘트가 출력되거나 아예 페이드인/페이드아웃 효과만 생겼다가 자신의 시체에서 시점이 고정되어버린다.[86] 기밀 서류에 딱히 무슨 내용이 적혀있진 않다. 어반셰이드 로고가 달린 백지가 보일 뿐이지만 로비로 갔을 때에는 정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87] 내용은 "모든걸 다 잃었어도 너 마저는 잃을 수 없어", 또는 "분명 널 고칠 수 있을거야" 등 페인터의 죽음에 슬퍼하는 대사도 있지만 가끔씩 "걔들이 뭔 짓을 한거야?!"등 플레이어를 증오하는 대사도 존재한다.[88] 심장이 적출된 직후, 심장이 박동하는 소리가 잠깐 들린다. 물론 몇초 이내로 멈춘다.[89] 한 명이 호스트해서 카운트다운이 시작된 경우 다른 사람은 게임패스가 없어도 들어올 수 있게 된다.[능력목록] 불 깜빡이기, 전등 부수기, 모든 플레이어의 광원 장비 해제, 광원 게이지 충전, 이상한 잡음, 폴터가이스트 현상, 빛나는 구 생성, 모든 플레이어에게 스프린트 효과 지급(약 3초간), 자신의 모습 반투명화.[91] 이로운 효과의 기능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효과가 더 많은만큼 이 패스를 소지한 유저와 함께 플레이할 경우 죽을 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게임 진행을 방해받을 수 있다.[92] 오퍼레이션: 하트번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93] 이 게임패스로 나오는 심해 토끼는 죽지 않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무조건 주인을 따라온다. 심지어는 구덩이에 던져버리더라도(...) 텔레포트로 따라온다. 일반 심해 토끼들과는 달리 2가지의 상호작용 모션이 추가로 존재하며 아이템화 상태로 안고 다닐수도 있다. E를 짧게 눌러 안을 수 있고, 길게 누르면 상호작용 모션을 취한다. 해당 토끼의 주인이 아니라면 들고다닐수 없고 상호작용 모션만 가능하다.[94] 상점의 게임패스 탭에서 토끼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스킨도 씌울수있는데 간단하게 분홍색부터 초록색까지. 심지어는 드라코블록서나, 핑크색과 노란색 안경을 쓴 누군가를 패러디한 스킨도 있다(...). 덤으로 Regretevator에서 "DEEP SEA BUNNY ACQUIRED" 뱃지를 얻으면 게임에서 등장하는 전용 고양이 스킨을 얻을 수 있다.[95] 업데이트 전에 출시된 게임패스다. 그래서인지 예약 구매로써 148로벅스 였으나 업데이트가 출시된 현재는 149 로벅스이다. 간단히 말해 예약 구매 할인을 1 로벅스(...)밖에 안해준 것.[96] 특히 심해 토끼를 데리고다닐 수 있는 심해토끼 게임패스가 가장 많이 언급된다.[97] 번역하자면 "하지만개발자는나빠서내부활을제거시킬다른코드를추가시켰고난그걸사용할만큼멍청함"이다(...)[98] 번역하자면 "난이코드를사용해서공짜부활을얻어더헌트메가에디션에서유리한위치를차지하기위해게임소셜미디어를찾았음"이다.[99] 크로너를 깎는 코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3,451원[100] 페리맨 토큰을 깎는 코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13개[101] The Walls Are Painted With Blood 곡을 느리게 재생한 것이다.[삭제] 더 이상 게임에서 재생되지 않는다.[삭제] 더 이상 게임에서 재생되지 않는다.[104] 이 게임의 이름인 Pressure의 메인 테마곡을 피아노로 연주하며 피아노의 건반을 누르는 압력을 합친 일종의 언어유희.[105] 보컬로 엘시 러브록잔니 마트라그라노가 참여하였다[106] Why Bother의 멜로디가 희미하게 섞여있다.[107] 원래는 흉물과의 추격전에서 재생될 예정이였으나 추격 시퀀스에 맞지 않아서 개발 도중 변경되었다고 한다.[108] 후반부 바이올린 파트에서 서치라이트의 테마 Eyes In The Skies, Beneath The Final Light의 라이트모티프가 약간 변형되어 사용되었다.[109] 이는 Volume Ⅱ에서 추가된 세바스찬의 상점 브금 중 하나인 Facade를 3.33배 느리게 재생한 것이다.[110] 분명 인게임에선 수십 마리의 레버넌트가 몰려오는 긴박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사운드트랙 장르가 재즈다.[111] 특히 괴물의 퀄리티면에서도 굉장히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는데, 당장 옆집의 러쉬앰부쉬만 봐도 글리치 효과 떡칠에 동그랗고 이빨이 보이는 공통적으로 단순한 생김새 등 그다지 퀄리티가 높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지만, 이 게임의 앵글러나 판데모니움을 보면 명암 표현이나 날카로운 이빨과 주름의 묘사, 변종마다 다양한 생김새 등 게임의 디테일과 퀄리티면에서 굉장히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112] 위협적인 개체에 자신의 몸을 방어하기 위해 사물함에 숨는다는 기믹은 적대적임과 동시에 새로운 엔티티 방식으로 다가온다.[113] 예시로 Z-317.[114] 주변에 친절한 고인물이 알려주지 않는 이상 위험한 상황에 처할 때 마다 계속 죽으면서 알아가야 한다. '계속 죽으면서 배우고 경험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아직 게임에 대해 잘 모르는 뉴비가 소위 억까를 지속적으로 겪게 된다면 뉴비는 게임을 바라보는 시선이 부정적으로 바뀔 수 밖에 없고, 점점 게임에 흥미가 떨어져 금방 접는 일도 생길 수 있다.[115] 현재는 이벤트가 끝남에 따라 난이도가 롤백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난이도가 더 올라갔다.(...)[116] 대표적으로 87번 계단 문서. 중격리실이 나올 확률도 그렇고 그 안에서 또 따로 확률적으로 등장하기에 상당한 운을 요구한다.[117] 부활 컷신 스킵을 켜놓았다면 당연히 얻을 수 없다.[118] 다만 원작과는 다르게 화면이 아닌 플레이어블 캐릭터 자체를 따라간다.[119] 예시로 Regretevator는 해당 게임의 npc중 하나인 닥터레트로가, Decaying Winter는 레이곤 섀도우중 하나이자 콜라보로 인게임에도 추가된 행어가 포스터에 있다.[120] 그냥 로블록스 게임 허브의 마켓플레이스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121] 외국 커뮤니티에선 세바스찬 솔리스의 성우가 울트라킬의 가브리엘역을 했었다는 점이 밈이 되었다.[122] 정확히는 인게임으로 들어갈 시 로블록스의 기본 ":)" 표정으로 변경된다.[123] 안전 구역(safe spot), 판데모니움으로부터 안전한 구역 (pandemonium safe spot), 자신이 머무는 방의 입구가 닫힘 (X, 자매품으로 한 구역 뒤가 닫히는 x1이 있다.) 등[124] 비밀유지협약을 언급한걸로 봐선 개발하는 것(모델, 스크립트)에 대해 비밀을 유지해야하는것으로 보인다.[125] 공동 개발자의 이름[126] 프레셔 게임내에 있는 A-60, 교육자 문서의 마지막엔 문서를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 보여줄 시 일가친척이 멸하고 강등된다고 써져있는데, 이것의 정 반대로 농담으로 적은 메시지이다.[127] 이 경우엔 로비 음악이 클래식 로블록스 사운드트랙의 리믹스 버전으로 나오며, 이 모양의 달은 인게임 내에서 부활하면 갈 수 있는 "밴 랜드"의 달과 일치한다.[128] 트위터의 Pressure 공식 계정서 판매 공지가 올라왔다.[129] 약 1시간 정도[130] 애초에 공식에서는 이 게임을 코미디 장르라고 설명하고 있다.[131] 메가 토큰 조각 획득 요구량 25개로 감소, 산소통 용량이 80초로 증가 등. 나머지 자세한 사항은 각 개체/BL1(넬로프레핀)(아이템) 문서 참조.[132] 클리어 크로너 보너스도 다시 받을 수 있다.[133] 메가 토큰 조각 요구량 50으로 증가, 이후에 또 한번 버프되어 마녀의 시간 공격 시간이 6분 20초로 감소했으며, 리바브의 데미지도 2배(40)로 증가했다.[134] 만우절 자체는 4월 1일이지만, 시차로 인해 4월 2일에 만우절 이벤트가 업데이트 되었다.[135] Three Nights at the Blacksite의 약자로, '''블랙사이트에서의 3일 밤이다.[136] 물론 비공개 서버도 막힌다.[137] 이외에도 5월 22일 기준 2주 뒤에 큰 소식이 있을거라고 했으나 22일로부터 2주 후는 6월 5일이다. 하지만 당시 큰 소식은 커녕 개발자들은 델타룬 하고 온다고 하루정도 쉰다는 입장을 밝혔다.(...)[138] 20일로부터 진짜 1주일 이후이다.[139] 이름의 뜻은 '기다릴만한 가치'. 오래 걸린 만큼 추가 내용도 상당히 많아서 붙혀진 이름인듯 하다.[140] 업데이트 내용으로는 새로운 방/배지/개체/아이템들, 심해 토끼 게임패스 추가, 엔딩 컷씬 추가, 서치라이트 보스전 오버홀 및 새로운 그랜드 엔카운터인 어보미네이션과의 추격전 등. 이 많은 추가 내용이 Part 1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part 2 업데이트까지 합하면 이 내용의 2배에 달하는 내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141] "10분 후에 서버가 셧다운 됩니다."[142] 빨리 끝나서 5시간만 해도 최소 10시이다...[143] 영어권 유저는 물론이고 기존에 잘 없던 중국인과 일본인, 가끔은 한국인 유저도 꽤 자주 보인다. 대부분이 한국인 손을 채팅으로 친다. 참고로 로블록스는 현재 중국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144] 해당 부문에서는 Clip It이 우승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결과에 동의를 못 하는 것으로 보인다.[145] 예시로 획득하기 어려운 배지(노 하이딩, 인형 모드 클리어 등)를 핵을 사용하여 매우 쉽게 클리어하고 그걸 착용해 당당하게 자신의 실력이라며 로비에서 과시거나 아예 그 과정을 유튜브에 업로드 하는 등. 다른 게임들도 그렇듯 체감상 보통 이 나라의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쓰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WtW part 1 업데이트 이후로 조금 더 심해졌다.[146] 만약 멀티중인데 핵이 있다면 그냥 판을 나가는 것을 극히 권장한다. 핵에 대한 가장 좋은 대처법은 핵에게 당해주거나, 동조하지 않고 무시 혹은 해당 판 자체를 떠나는 것이기 때문. 기본적으로 핵을 쓰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만 생각하고 빠르게 다음 방으로 넘어가는 것은 물론이고 특정 개체가 스폰되면 스폰되자마자 채팅으로 개체가 스폰되었다고 광고해서 재미까지 떨어지게 하거나 하다못해 무적 핵까지 남발하는 등 좋을 것이 단 하나도 없다. 하나만 있어도 이런데 둘 이상이 있다면 고민도 하지 말고 나가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