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포켓몬스터(2023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악의 조직}}}에 대한 내용은 [[익스플로러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익스플로러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익스플로러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포켓몬스터(2023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악의 조직: }}}[[익스플로러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익스플로러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익스플로러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1. 개요
Don't wander in the forest alone, kids.
Hinkik이 작곡한 뭄바코어[1] 장르의 음악이자 지오메트리 대시 2.21버전에 추가되는 23단계의 수록곡. 조성은 올림바단조(F♯ minor)이다.참고로 배경에 있는 캐릭터는 동방홍마향 1면 보스 루미아이다.[2]
아직 Newgrounds에 올라오지 않아서 정식 출시 전까지 Geometry Dash에어 사용은 아직 불가능하다.
2. Geometry Dash
Geometry Dash의 스테이지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5f5f5,#191919><tablewidth=100%> | ||
| 1. | 2. | 3. | |
| 4. | 5. | 6. | |
| 7. | 8. | 9. | |
| 10. | 11. | 12. | |
| 13. | 14. | 15. | |
| 16. | 17. | 18. | |
| 19. | 20. | 21. | |
| 22. | 23. | ||
| 1. | 2. | 3. | |
| 1. | 2. | 3. | |
| 1-1. Payload | 1-2. Beast Mode | 1-3. Machina | |
| 1-4. Years | 1-5. Frontlines | ||
| 2-1. Space Pirates | 2-2. Striker | 2-3. Embers | |
| 2-4. Round 1 | 2-5. Monster Dance Off | ||
| 아직 출시되지 않은 레벨은 취소선 처리 | |||
| }}}}}}}}} | |||
Geometry Dash의 스테이지
| <rowcolor=#fff> 데몬(Demon) Explorers (미출시된 스테이지) | ||
| ▲ RobTop이 공개한 Explorers 시작 부분이다. (0:35까지)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레벨 정보 | |
| 레벨 길이 | 1분 45초(추정) | |
| 오브젝트 수 | - | |
| 업데이트 버전 | 2.21 이후 | |
| 반영판 | 정식판 | |
| 해금 조건 | 미정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width=50%>
||보상
||| 16 500 | |
| <rowcolor=#fff> 노말 모드 | |
| - | - (올코인) |
| 연습 모드 | |
| - | |
| <rowcolor=#fff> 사용된 사운드트랙 | |||||||
| Hinkik - Explorers | |||||||
| <rowcolor=#fff> 레벨 순서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2. Dash | → | 23. Explorers | → | (추가 예정) | ||
2.21 업데이트 이후 추가될 Geometry Dash의 23번째 스테이지이자 4번째 정규 데몬 스테이지. 원래는 2.2 업데이트 당시 Dash와 함께 추가될 예정이였으나, Explorers는 약간 미뤄지게 되었다.[3]
2.1. 구간
[include(틀:Geometry Dash/레벨 구성,테두리색=#ffd7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300deg\, #0063F8\, #002F76),
상단글자색=white,
문구배경색=#ffd700, 문구글자색=black,
제목=Explorers,
항목1=문구 / 1구간,
항목2=가속1단,
항목3=칸분리,
항목4=문구 / 2구간,)]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300deg\, #0063F8\, #002F76),
상단글자색=white,
문구배경색=#ffd700, 문구글자색=black,
제목=Explorers,
항목1=문구 / 1구간,
항목2=가속1단,
항목3=칸분리,
항목4=문구 / 2구간,)]
1구간
1-1 구간:
무난해 보이지만 공식맵 첫 파트 치고는 생각보다 칼타가 꽤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큐브 구간. 순간이동 공점이 처음으로 등장하며, 포탈과 마찬가지로 파란 공점을 밟으면 노란 공점으로 순간이동한다. 처음 구간 부터 은근 빡센 칼타를 요구하며, 순간이동 공점이 포함된 3단가시 구간은 빡센 점프를 요구하기에 1-1 구간에서 가장 어려운 구간이다. 이후 토관을 지나는 구간은 어렵지 않으나 어느 정도 암기가 필요하며, 마지막 해골 공점 구간 역시 상당한 칼타이밍을 요구한다.
1-2 구간:
십자가 모양으로 길이 뚫리고, 위치가 바뀌며 지나가는 구간이다. 첫번째 패턴은 가로 거미, 두번째 패턴은 세로 거미로 굉장히 빡센 칼타이밍을 요구하며, 세번째 패턴은 2배속 미니 큐브 구간으로 분홍색 공점과 해골 장애물이 존재한다.[6], 네번째 패턴은 안그래도 좁은 구간에 좌우반전, 중력반전된 상태로 일자 비행을 요구하기에 상당히 까다롭다. 5번째 패턴은 2배속 세로 미니 웨이브가 나온다. 폭이 좁으며, 그 짧은 구간에 7번을 정확하게 쳐야하는 정신나간 컨트롤을 요구한다. 익숙하지 않으면 Deadlocked의 3배속 웨이브 보다 더 어려울 수 있으며, 4번째/6번째 패턴과 트랜지션이 굉장히 나쁘다. 6번째 패턴은 좌우반전된 큐브 구간이며 거미 점프링이 존재한다. 여기 역시 상당한 칼타를 요구한다. 7번째 패턴은 1번째 패턴과 똑간은 미니 거미 구간이며 이를 끝으로 십자가 구간이 끝나며, 거대한 네모 아이콘이 존재하는 구간으로 이어진다.
1-3 구간:
2배속 상태가 유지된 채로 거대한 네모 아이콘 주위를 통과하는 미니 큐브 구간으로 해당 구간 역시 빡센 칼타와 암기력을 필요로 하기에 어렵다. 몬스터 위를 지나는 구간은 가로와 세로, 상승과 하강으로 이루어진데다 공점과 점프를 정확하게 눌러야 한다. 이후 구간이 상당히 빡센데[7] 거미 공점을 누르고 곧바로 분홍색 대시링을 매우 정확하게 놓아야 하며 즉시 파랑색 사각형 공점을 밟아야 하는 악랄한 칼타를 요구한다. 노랑색 토관을 통과하면 1구간이 끝나며, 보스 파이트가 시작되기 전 까지 아주 잠깐 휴식을 취하자.
2구간
2-1 구간:
웨이브 모드로 전환되며 웨이브 포탈만 보이고 뒤에 구간은 어떤지 나오지 않았다. 오른쪽에 아주 살짝 로봇 모양의 보스가 있어 보스파이트 형식의 진행이 될 것으로 추측된다.
스피닉으로 공개된 구간만 봐도 Culbstep, ToE2 보다는 확실히 어려우며, 세로 미니 웨이브는 Deadlocked의 3배속 웨이브와 맞먹는 악랄한 난이도를 자랑할 것으로 보인다.
2.2. 비밀 코인
2.3. 여담
- Theory of Everything 3 또는 Electrodynamix 2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등장했다.
- Explorers, Theory of Everything 3, Electrodynamix 2가 동시에 나올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었는데, 여태껏 나왔던 데몬들은 Harder 또는 Insane[8] 정도 난도의 쉬운 맵과 같이 나왔으므로 세 개의 맵 중 하나가 Harder 혹은 Insane[9]이 될거라 예상되었다. 그러나 1차 스닉픽에 또 다른 새 스테이지 'Dash'가 공개되면서 예상이 빗나가게 되었다.
- Geometry Dash에서 두 번째인 글리치 합 BGM이다. 첫 번째는 Fingerdash.
- 검색하면 팬들이 만든 여러 레이아웃 맵이 있다. 그 중에는 편집으로 2.2 느낌을 낸 영상도 있다. 예를 들면 Move 트리거를 이용해서 백플립을 한다든가, 편집기를 이용해 화면을 확대한다든가.[10]
- Lite 업데이트로 유출된 정보에 따르면 'Explorers'는 Demon 16성이 될 것이라 한다.
- 중간에 포탈 공점으로 추정되는 것이 등장했다. 이는 실제로 2.2에 등장했으며, 직접 좌표를 지정할 수 있다.
- 참고로 스닉픽 끝에 Scratch의 대사가 나온다. 스크래치 왈, 자신의 비밀을 지켜야 한다는 둥.
- GDPS에도 있었지만, 2.2가 출시된 후 본격적으로 유저들이 스닉픽에서 공개된 분량까지 재현한 맵이 나왔다. Robtop이 몇년동안 만든 맵의 초반 부분을 3일만에(!) 똑같이 만들었다. ID는 98450100. 플레이 후기를 보면 생각보다 꽤 어렵고 게임플레이가 별로라는 부정적 평가가 주를 이루며[11] 왜 출시가 연기됐는지 이해된다는 반응이 많다.[12]
- 브금 편집본이 유출되었다.# iOS 2.2에서 찾았으며 이게 확실하다면 1분 45초[13] 또는 1분 56초[14] 가량의 상당히 긴 공식맵이 될 수 있다. 1분 18초부터 26초까지의 네 마디 파트[15] 마지막 부분의 음이 왔다갔다하면서 부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곡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여덟 마디가 아닌 네 마디에서 끊느라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Deadlocked에서도 비슷하게 맵의 길이를 고려해 네 마디에서 끊기는 파트가 있었는데[16] Explorers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 파트가 또 하필 곡의 하이라이트라 아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물론 이 레벨은 출시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것이 예상되는 만큼 이런 유저 의견을 반영하여 문제의 파트를 수정할지는 모르는 상황이니 희망은 있다.[17]
3.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Explorer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xplorers(MathisCreator & SwitchStepGD)#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xplorers(MathisCreator & SwitchStepG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Geometry Dash의 만우절 온라인 레벨: Explorer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xplorers(RobTop)#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xplorers(RobTop)#|]]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글리치 합으로 잘못 분류되었지만, 글리치 합이 갖춰야 할 스윙 리듬이 없고 음색이 거칠며, 킥과 스네어를 정박에 치기 때문에 뭄바코어에 해당한다. 들어보면 같은 장르인 스크릴렉스의 Bangarang과 유사점이 많음을 알 수 있다.[2] Hinkik같은 EDM 작곡가들은 영상의 배경에 아니메풍 일러스트를 집어넣는 경우가 많다.[3] 2.21 업데이트에 추가될 가능성이 높았지만, 롭탑이 2.21에는 아마도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다리기 싫으면 직접 만들라고 한건 덤. 근데 진짜 만들었다[4] 칼타이밍에 강한 경우
[5] 완벽하게 암기한 경우
, 칼타이밍에 약한 경우
[6] 이후 십자가 구간이 끝날때 까지 2배속 미니 상태로 가야 한다.[7] 이때 큐브가 화면에서 벗어나기 직전인 위치에 있어 큐브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기 어렵다.[8] 데몬 Clubstep과 같이 나온 인세인 맵인 Electroman Adventures은 원래 10성 Harder였으며, 1.7 버전에서 난이도만 Insane으로 조정되었다.[9] ToE3, Electrodynamix 2가 출시된다면 데몬맵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ToE2가 데몬이었던 선례도 있고.[10] 그중에는 2.2 크랙 버전이나 GDPS Editor 2.2를 사용한 경우도 있다.[11] 특히 외적으로는 호평을 받았던 십자가 파트는 계속되는 갑툭튀, 대형 거미 모드의 칼타이밍 등으로 겜플 면에서 상당히 많은 욕을 먹고 있다. 3단 가시가 많기로 유명한 공식맵인 Time Machine의 게임플레이는 저리 가라 할 정도로 게임플레이가 좋지 않다. 이외에도 데스 공점이 첨가된 공점 파트 등 문제되는 파트가 한둘이 아니다.[12] 만약 이 파트가 Explorers의 메인 파트였다면 어려웠어도 평가가 그렇게 부정적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 맵의 메인 파트는 로봇과의 보스전이며 로봇파트 바로 전 프리드롭 파트로 나온 것이라 욕을 먹은 것.[13] ToE2와 같이 맵 클리어 이후에도 몇초 가량 곡이 흘러나오다 끊기는 경우[14] 맵 클리어와 동시에 곡이 완전히 끊기는 경우[15] 기존 1, 2, 3마디까지는 연속으로 나오다가 갑자기 비교적 높은 음으로 시작하는 8마디가 나온다.[16] 72%부터 79%까지의 3배속 듀얼 웨이브 - 반배속 미니 웨이브 부분인데 이 파트도 일반적인 여덟 마디가 아닌 네 마디다. Deadlocked도 길이가 1분 40초로 꽤 긴 편이라 어쩔 수 없이 끊은 티가 난다.[17] 만약 수정이 된다면 하이라이트 부분은 원상복구하고, 그 뒤에 부분을 4마디로 자르는 방식으로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