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C192B,#1C192B> | LCK 참가팀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bgcolor=#000,#000> Gen.G | Hanwha Life Esports | kt Rolster | T1 | Dplus KIA | ||
| | | | | ||
BNK FEARX | Nongshim RedForce | OKSavingsBank BRION | DRX | DN FREECS | ||
<bgcolor=#1C192B,#1C192B> LCK CL 참가팀 | 해체된 아시아퍼시픽 LoL 프로게임단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DN FREECS DN FREECS Challengers DN FREECS Academy |
| DN FREECS | |
| DN FREECS | |
| DN FREECS | |
| DN FREECS | |
| DN FREECS |
| ||||
<colbgcolor=#0C50F1><colcolor=#fff> 디엔 프릭스 | ||||
DN FREECS | ||||
창단 | 2014년 4월 | |||
소속 리그 | LCK | |||
팀명 | Anarchy(2014.4~2015.7) Rebels Anarchy(2015.7~2015.12) Afreeca Freecs(2015.12~2021.12) KWANGDONG FREECS(2021.12~2024.12) DN FREECS(2024.12~) | |||
모기업 | SOOP | |||
대표 | 이민원 | |||
단장 | 김성한 Yaki | |||
매니저 | 호진솔 | |||
감독 | [[주영달|주영달 oDin ]] | |||
코치 | [[정민성(e스포츠)|정민성 RapidStar ]]|[[김창성(프로게이머)|김창성 Cube ]] | |||
주장 | [[홍창현|홍창현 Pyosik ]] | |||
약칭 | DNF | |||
| ||||
우승 기록 | ||||
CK (1회) | 2015 스프링 1차[1][ANC] | |||
KeSPA Cup (1회, 최다) | 2019[AF]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C50F1><colcolor=#fff> TOP | DuDu ]] | ||
JGL | Pyosik ]] | |||
MID | BuLLDoG ]] | |||
BOT | Berserker ]] | |||
SPT | Life ]]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1. 개요
|
|
#CutThrough,Dominate |
2. 상세
2016년 아프리카TV(現 SOOP)가 Rebels Anarchy를 인수하면서 '아프리카 프릭스'라는 이름으로 창단했다. 이후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광동제약과 네이밍 스폰서십을 체결해 '광동 프릭스'라는 이름을 썼고, 2025년부터는 DN그룹과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맺어 'DN 프릭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15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Spring 1차 토너먼트 우승 | ||||
SK telecom T1 K[5] | → | Anarchy | → | Winners |
2019 LoL KeSPA Cup ULSAN 우승 | ||||
Griffin | → | Afreeca Freecs | → | DAMWON Gaming |
준우승 경력 | ||||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 ||||
SK telecom T1 | → | Afreeca Freecs | → | GRIFFIN |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 ||||
LCK[6] | → | LCK[7] | → | LPL[8] |
LCK 어워드 선정 |
2023 LCK 어워드 베스트 쇼맨십 상 |
4. 스폰서
| | |
DN그룹네이밍[9] | SOOP모기업 | logitech G |
| | |
STADE의류 | PRISM Korea |
5. 역사 및 역대 시즌
| | |
Anarchy | Anarchy | Rebels Anarchy |
아나키 | 아나키 | 레블즈 아나키 |
2014 | 2015 | |
| | |
Afreeca Freecs | Afreeca Freecs | KWANGDONG FREECS |
아프리카 프릭스 | 아프리카 프릭스 | 광동 프릭스 |
| 2021 | |
| ||
DN FREECS | ||
디엔 프릭스 | ||
6. 플레이 스타일
DN 프릭스는 창단 이래 한두 시즌을 제외하고 거의 매년 로스터가 물갈이되고 있으며, 거기에 선수들이 예상치 못한 기복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시즌마다 아예 다른 팀이 될 정도로 플레이 스타일이 바뀐다.그러나 팀 컬러가 확 바뀌는 와중에도 중위권 수문장 역할을 기가 막히게 잘했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5프리카. 심지어 2016, 2017 시즌은 4시즌동안 계속 5위만 했고 2020 시즌도 6위, 4위라 평균 순위가 딱 5위다. 물론 2016~17 시즌에는 강팀을 잘 때려잡고 약팀에게 퍼주는 의적의 모습을 보이며 중위권을 수성했다면[10] 2020 시즌에는 상위권을 못뚫는 대신 하위권을 양학하는 판독기로서 중위권을 형성한다는 점이 다르긴 하다. 하지만 2021 시즌에는 한 단계 낮은 6위를 기록하며 5프리카 징크스가 깨졌는데 이것도 동부의 왕이자 플옵권 말석 자리라는 걸 감안해보면 여전히 중위권 수문장 역할은 잘 해준 셈이다.하지만 2022년 스프링 이후로 2년 가까이 플레이오프에 가지 못하면서 이러한 별명도 퇴색되었다. 이후 씨맥을 선임하여 2023 스프링과 서머를 7등, 10등으로 마무리하는 등 인고의 세월을 견딘 끝에 마침내 2024년 스프링에서 6위를 달성하며 다시 플레이오프로 복귀하게 되었다. 물론 브리온과 DRX에게 승리를 퍼주고 디플러스 기아를 두 번 연속으로 잡아내서 간신히 중위권을 수성, 의적 역할은 또 충실하게 해냈다.
그러나 2025년 5월 21일 기준, 1승 13패를 달성하여 lck 팀 사상 최악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강등제 폐지가 없었더라면 진작에 강등되었을 팀이다. 8월 3일, 1승 21패를 달성했다. 팀 다크를 제외하면 lck 역사상 최악의 쓰레기 팀이라는데 이견이 없을 정도. 이후 시즌 아웃이 확정된 후 폼이 갑자기 오르는 모습을 보여 의아함을 자아냈다.
===# 2017 시즌 #===
2017 스프링 초반에는 좋은 의미로도, 나쁜 의미로도 마린이 중심인 팀이었다. 하지만 시즌 후반으로 갈수록 스피릿과 크레이머의 폼이 살아나면서 로밍형 미드인 쿠로가 덩달아 탄력을 받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린이 상대에게 라인전을 져도 아래쪽이 다 터뜨리거나 정석적인 미드 정글 캐리로 롱주전을 승리하는 등 점점 마린 원맨팀에서 탈피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7 서머에는 마린과 스피릿의 기복이 심해지고,[11] 바텀 듀오의 기량이 올라오면서 스프링과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린이 흔들리자 스피릿도 영향을 받았는지 같이 흔들리는 중이다. 그러나 폼이 올라온 바텀을 기반으로 상체가 터지면 크레이머를 키우고 투신의 이니시에이팅을 이용해 게임을 뒤집는 전략이 가능하다는 점이 호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탑- 정글의 안정성 결여와 밴픽능력의 부족이 약점으로 작용했다.
결론적으로 쿠로는 1위를 기록한 MVP 포인트가 증명하듯 LCK 최고의 미드 라이너 중 한 명이었고, 바텀 듀오의 기량이 LCK 정상에 준할 정도로 크게 향상되었으나 마린과 스피릿이 불안한 모습을 많이 보이면서 결국 강팀이 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 2018 시즌 #===
그러나 기인이 들어온 2018 시즌부터는 기인이 피지컬을 살려 스플릿 구도에서 1:1을 압도하거나 상대 탑 라이너와 반반 이상을 가져가주면, 쿠로와 투신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중심으로 게임을 서서히 폭파시켜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작년을 풍미했던 향로 서폿 메타를 벗어나 탱서폿 메타가 도래하자 세체폿 수준의 모습을 보여주는 투신의 압도적인 기량이 고무적이다. 쿠로도 또한 언제나와 같은 기량을 보여주고, 에이밍과 크레이머 둘 다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캐리 라인에 대한 걱정도 줄었다. 기인은 신예 같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그나마 불안한 건 정글인데, 모글리와 스피릿이 교체 출전하며 번갈아가며 서로를 보완해주는 모습을 보여주기에 진정한 강팀으로 나아가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밖에 특기할 만한 사항은 바론과 같은 대형 오브젝트 시도시 팀적으로 상대 정글러 마크하는데는 LCK 정상급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2017 서머부터 정글러끼리 강타 싸움을 붙으면 지는 경우가 워낙 많았기 때문에 아예 변수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팀 전체가 도와주는 듯. 물론 이런 변화가 더 이상적인 움직임이다.
밴픽 능력도 2017 시즌에 비하면 향상되었다. 물론 바루스 - 말자하를 쥐어주지 않으면 다소 쉽게 무너져내리는 스프링의 존끄 투신이나 레넥톤 - 자르반 등을 쥐어주거나 정글과 스왑 낚시를 하지 않으면 망해버리는 서머의 마린으로 인해 밴픽 난이도가 높다는 평이 있긴 했지만, 세트/사이드별 승률 차이가 심해 1세트 여포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17 아프리카의 밴픽은 상당히 불안정했다. 반면 2018 시즌에는 기인 - 쿠로의 챔피언 폭과 팀 차원의 연구를 바탕으로 안정적이면서도 참신한 밴픽을 선보이면서 호평을 받았다.[12] 그러나 스프링 결승의 4연 카이사나 서머 PO 2라운드 4세트의 제이스 노밴 및 퀸 거르기 등 승부처에서는 한번씩 밴픽이 삐끗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2018 서머에는 스프링에 비해 기복이 생긴 밴픽과 기인 의존도 상승으로 기인이 라인전에서 상대 탑을 찍어눌러야만 팀 운영이 성립되는, 소위 기인 원맨팀으로 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비원딜을 못하는 크레이머와 원딜 포지셔닝이 안되는 에이밍 둘 다 폼이 불안정해지면서 바텀 쪽에 구멍이 뚫렸고, 밴픽 또한 의아한 부분이 많아지면서 10인 로스터의 한계가 드러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 2019 시즌 #===
미드에 유칼을 영입했으나 바텀 보강에 실패하면서 상체에 비해 하체가 너무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여기에 유칼마저 부진하기 시작해 결국 2018 서머보다도 극단적인 형태의 기인 원맨팀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결국 기인에게 원거리 딜러 챔피언을 쥐어주고 스피릿이 서폿 등 타 포지션에 서는 변칙적 기인 몰아주기 조합만이 팀의 유일한 승리 플랜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는 와중에도 초반 15분 지표는 상위권을 찍었고, 드레드와 에이밍의 기량이 상승하면서 공격적인 팀컬러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리고...
혹자는 아프리카와 담원이 비슷하게 화끈한 한타를 보여주는 플레이 스타일을 가졌다고 한다. 하지만 엄연히 다르다.
담원은 이길 한타를 잘 설계해서 싸우는 거고, 아프리카는 일단 꼬라박고 봤더니 이길 각인거다.
주사위는 아프리카가 굴리지 않는다. 아프리카가 일단 꼬라박고 나면 상대 팀이 주사위를 굴리는 거다.
아프리카 프릭스에 대해 알아보자
서머시즌에는 일명 주사위 팀이 되어[13], 아예 초반부터 교전을 지향하는 호전적인 팀으로 탈바꿈했다. 담원이 상체의 파괴력을 바텀이 받쳐주는 IG식 운영을 보여준다면, 아프리카는 정글러의 개입을 통해 벌어진 상체 차이를 이용해 바텀을 시팅하는 2017 ~ 2018 시즌의 EDG식 운영을 보여준다. 이러한 플레이 스타일로 인해 어떤 상황에서도 교전을 피하지 않는 패기와 함께 유리할 때는 LCK식 운영으로 상대를 말려죽이는 두 가지의 승리 패턴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담원은 이길 한타를 잘 설계해서 싸우는 거고, 아프리카는 일단 꼬라박고 봤더니 이길 각인거다.
주사위는 아프리카가 굴리지 않는다. 아프리카가 일단 꼬라박고 나면 상대 팀이 주사위를 굴리는 거다.
아프리카 프릭스에 대해 알아보자
그러나 잘할 때는 담원과 그리핀을 때려잡고도 못할 때는 한화생명과 함께 승강전 경쟁을 벌이던 KT에게 압살당하거나 도합 1승 밖에 거두지 못하며[14] 최악의 부진을 겪던 진에어와도 졸전을 벌이는 등 경기력의 기복이 매우 크다는 게 가장 큰 단점. 또한 특유의 호전성은 선수들의 경험 부족으로 인해 뇌절로 이어질 때가 많고, 오브젝트 싸움에도 취약해서 바론 버스트 타이밍을 놓치고 한타를 했다가 대패하거나 바론을 먹고도 한타를 지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게다가 쿠로, 페이커, 앰비션, 마타, 고릴라 등 팀 전체의 컨트롤 및 메인 오더가 가능한 선수가 없어 일단 꼴아박기는 하는데 그게 이길 각인지 아닌지는 못 보는 한계가 있었다.
===# 2020 시즌 #===
유칼과 에이밍이 떠난 자리에 플라이와 미스틱을 영입하면서 직전 시즌과 달리 베테랑 중심의 엔트리로 회귀하였다. 그러나 미드, 정글의 캐리력이 중요한 메타에서 스피릿, 드레드, 플라이 모두 부진을 면치 못했고 케스파컵에서 보여준 R키만 눌러서 이기는 조합 이상의 무언가를 선보이지 못한 채 팀이 휘청이기 시작했다.
여러 변수들이 발생한 상황 속에서 중반부터서는 경기력의 기복이 심해졌고, 오브젝트 싸움에서도 취약한 모습을 꾸준히 노출했다. 또한 기인이 무엇을 해주지 못하면 이길 수 없다는 인식을 깨는 데도 실패했고, 그 기인마저 2라운드 이후 침몰하면서 결국 2년 연속으로 스프링 시즌을 망치게 되었다.
서머시즌에는 기인 원맨캐리라는 원패턴에서 벗어나 플라이의 로밍과 미스틱의 딜링으로 승리를 견인하는 팀 컬러를 확립했다. 그러나 1~3위 팀에게는 2:0으로 완패[15], 4위에게는 2:1 패배, 6위 팀에게는 2:1 승리, 7~10위 팀에게는 2:0 완승을 거두는 역대급 강팀 판독기로 전락했다.
결국 전형적인 강약약강 정글러 스피릿, 기복이 심한 미스틱, 변수창출보다 원딜 보조에 특화된 서포터 벤 모두 강팀 입장에서 파훼법이 너무 명확했고, 노장 위주로 이루어진 팀의 체급에도 한계가 있어 T1을 와일드카드전에서 잡아낸 것을 빼면 별다른 이변을 보여주지 못한 채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 2021 시즌 #===
스토브리그를 역대급으로 망치면서 이미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지만 스프링 시즌의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점은 바로 마의 25분이라 불릴 정도로 떨어지는 후반 운영 및 집중력이다. 초반 체급은 의외로 해설진도 몇 차례나 언급할 만큼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우선 팀 합이 엉망이고 그나마 강하다는 초반에도 상대를 확실히 누르지 못하면서 결국 역공의 기회를 내준다는 게 치명적인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리라의 코칭 아래 포텐을 터뜨린 드레드만이 팀의 에이스로서 분전할 뿐 플라이는 항상 딱 1인분만 해주고,[16] 팀의 믿을맨들로 불리던 기인과 리헨즈는 기복이 심했으며 아예 뱅은 최악의 원딜러 자리를 다툴만큼 폼이 완벽히 망가져버렸다. 선수단의 경력이 무색하게 운영 능력도 처참했다.
서머 시즌에는 감독과 원거리 딜러가 교체되면서 스프링에 비해 훨씬 안정화된 운영과 짜임새 있고 일관된 밴픽, 확실한 컨셉의 조합을 들고 연승을 거두어 클템에게도 'LCS의 강팀처럼 묵직하다'는 호평까지 듣는 등 경기력이 확실히 개선되었다. 탑-정글이 강하다는 팀의 강점을 십분 활용해 사이드 푸셔, 포킹 조합 등 다양한 승리 플랜을 선보이며 원딜이 캐리하지 않아도 이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초반에 벌어놓은 포인트를 난전, 정식 한타 등으로 굴려 게임을 진행하고 있다.
단점은 반독기[17]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경기력의 기복이 심하다는 것이다. 고점일 때는 젠지와 담원을 연파하고 농심을 셧아웃으로 때려잡을 정도지만 저점을 찍었을 때는 하위권으로 쳐진 브리온과 DRX에게 허무하게 패할 정도로 도깨비, 의적 기질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게다가 스프링 당시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운영 이슈가 완벽하게 고쳐진 것은 아니라서 가끔씩 운영적 실수로 인해 포인트를 내주거나 역전을 허용하는 경우도 있고, 난전 유도 능력은 나쁘지 않으나 정작 정식 한타에서는 약점을 노출했다.
===# 2022 시즌 #===
일단 확실한 강점 하나를 꼽자면 바로 라이너들의 단단한 체급. 체급 면에서는 이미 검증이 끝난 기인과 테디는 물론 작년 샌드박스에서 4대 미드에 버금가는 수준이라는 호평을 받았던 페이트 역시 설 연휴 후에는 특유의 단단한 라인전, 작년보다 더 올라간 캐리력과 플레이 메이킹 능력을 바탕으로 팀의 캐리롤을 맡아 맹활약했다. 탑과 바텀은 물론 미드도 부진했던 시즌 초에 비해 회복된 기량을 보여주다 보니 후반부터서는 라이너들의 개인 기량과 체급이 발휘되는 경우가 많았고,[18] 거기에 더해 엘림과 호잇도 폼을 회복하여 1인분을 충분히 해주었다. 이러한 체급의 강점을 활용하여 초반부터 우세를 잡은 다음 정글러 엘림과 서포터 호잇을 필두로 하여 적극적으로 잘라먹기나 소규모 교전, 정식 한타를 유도하여 스노우볼을 굴리는 승리 패턴을 주로 선보였다.
다만 단점도 큰데, 바로 떨어지는 운영 능력. 체급은 상위권 팀에게도 한 번씩 펀치를 먹일 만큼 매서웠으나[19] 정작 게임을 승리로 가져가는데 필요한 운영 능력이 떨어지다 보니 이 부분에서의 격차로 인해 상위권 팀을 상대로는 플레이오프 전까지 단 한 번도 매치 승리를 올리지 못했다. 실제로도 인원 배분의 실수로 인해 포탑을 공짜로 헌납하는가 하면 초반에 우위를 잡았음에도 제대로 스노우볼을 굴리지 못해 비벼지거나 역전을 허용하는 등 운영 면의 단점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경우가 많았다.
서머 때도 스프링과 똑같은 단점을 답습하고 있다. 떨어지는 정글 - 서폿의 무게감이 바로 그것인데, 더 큰 문제는 마치 스프링 초반으로 회귀한 것처럼 승리 공식도 확실하지 않고 테디를 제외한 라이너들의 기량도 점차 무뎌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나마 T1전 업셋의 경우처럼 세나 - 세라핀 같은 주유소 조합을 시작으로 미드 오른과 비원딜 세라핀, 테디의 서폿 단식 애쉬 등 다채로우면서도 번뜩이는 밴픽과 전술을 선보이며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거기에 더해 부진했던 호잇 대신 모함을 기용해서 서폿 포지션의 약점도 채워나가고 있다.
하지만 끝내 정글 - 서폿의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면서 라이너들도 점차 기량이 우하향했고, 끝내 조커 픽에 집착하는 밴픽과 맞물려 7위로 선발전조차 가지 못하게 되었다.
===# 2023~2024 시즌 #===
스프링엔 모함을 제외한 멤버 전원이 중고 신인들로 교체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컸으나 그걸 상쇄시킬 만한 경기력으로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가장 큰 강점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신인치고 나쁘지 않은 초반 체급이다. 15분 기준 팀 지표가 -190이고 포탑 골드 획득량 역시 게임당 평균 4.56개로 상위권 팀과도 맞먹는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 준수한 체급과 라인전 기량을 바탕으로 초, 중반부터 우세를 잡은 뒤 안정적으로 스노우볼을 굴려 이기거나 최대한 버텨낸 뒤에 늪롤을 구사하여 KT, 리브 샌박, 젠지 같은 강팀들도 한 번씩 잡아내는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
다만 신인 위주의 라인업답게 고점과 저점의 낙차가 꽤 심한 편이다. 15분 골드 리드시 승률이 61%로 동부 5팀 중 가장 낮은 수치이고, 실제로 끊임없이 상대를 물고 늘어지거나 미드를 중심으로 버티면서 후반을 바라보는 등 늪롤 방식으로 승리를 거둔 적이 많았다. 게다가 서부권 팀들을 상대로 업셋을 만들어내다가도 브리온에게 더블을 내주거나 DRX를 상대로 자강두천 끝에 참패를 당하는 등 기복이 심한 것 또한 아쉽다.[20]
2023 서머에서는 포텐을 터뜨린 두두의 파괴적인 기량을 중심으로 한 상체의 파워와 단단한 스노우볼링을 통해 승리를 가져가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믿음직스러운 상체에 비해 바텀 듀오의 부진이 계속되었고, 2라운드에 접어들어서는 상체 3인방마저 폼이 저하되면서 최하위로 추락하고 말았다.
2024 스프링 시즌에는 커즈가 합류하면서 상체 싸움 중심의 팀컬러가 보다 강화되었다. 탑-정글만큼은 서부 팀들에게도 충분히 위협적인 수준이었고, 1라운드 후반까지 약점 취급을 받았던 불독도 폼이 회복되어 상체의 힘을 기반으로 한 교전과 운영을 통해 상대를 무너뜨린다는 승리 플랜이 확립되었다. 다만 계속되는 바텀 라인의 부진이 팀의 발목을 잡았다. 긴급 콜업된 불은 시즌 후반으로 갈수록 챔프폭 이슈가 부각되었고, 안딜의 건강 문제로 인해 급하게 투입된 퀀텀은 그의 빈자리를 채우지 못했다.
서머 시즌에 들어와선 불을 리퍼로 교체하는 강수를 두었는데 이것이 초반엔 잘 적중하면서 호성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전임자들에 비해 괜찮은 캐리력을 보여주며 바텀 캐리라는 새로운 희망을 보여주기도. 게다가 운영 능력 역시 여전해서 강팀들을 상대로 1세트 씩 따내거나 KT를 더블내는 등 저력을 선보였다. 허나 후반부로 갈수록 떨어지는 팀 체급이라는 치명적인 약점을 극복하지 못한 채 배드엔딩을 맞이했다.
6.1. 2025 시즌
DN 프릭스는, 극단적으로 말씀드리면, 교전을 안 하면 꽤 괜찮은 팀이에요. 1:1, 2:2만 하고, 정글도 정글만 돌고 하면 꽤 괜찮아요. 그런데 교전을 하는 순간 망가집니다.
어떻게 보면 개인 기량은 DN 프릭스가 조금 더 좋을지 몰라도 DN 프릭스는 다 각자거든요. 여기는 체계가 없어요.
DN 프릭스는 사실 투자를 꽤 한 팀이에요. 꽤 과금을 한 거야. 따지고 보면, 이 정도 과금 수준에 이 정도 경기력이면 이건 좀 반성하긴 해야 돼요. 진짜. 좀 프로답게 게임하긴 해야 돼. 더. 사회 나가면 그 돈 못 받아요. 진짜. (중략) 사실, 서로 간에 친하고 안 친하고는 아무 쓸모가 없어요. 아무 짝에 쓸모가 없어. 그냥 공과 사 구분하고 비즈니스적으로 게임 열심히 하면 돼, 감정 배제하고. 그게 제일 중요해요. 그걸 잘해야 돼 그걸. 내가 쟤랑 아무리 사이가 안 좋아도 게임 내에선 그냥 칼같이 공사 구분하면서 할 거 해야 된단 얘기야. 그리고 내가 쟤가 맘에 안 들어도 이기기 위해선 맞춰줄 건 맞춰줘야 되고.(중략)
워낙 역체 최하위권이다 보니까 제가 조금 더 바라는 게 많은 것 같아요 사실. 막말로 그냥 완전 소과금 팀이면 내가 뭐하러 이런 얘길 하겠어. 약간 이런 식으로 얘기할 걸? 아마 그런 기억 많이 있으실 걸요 내가 찍어 하면서? "어쩔 수 없어요 여러분. 이 팀이 10위 하는 거? 어쩔 수 없어요" 내가 이 얘기 하는 거 많이 기억할 걸 여러분? 근데 내가 DN 프릭스한테 그런 얘길 할 수는 없다고. 어쩔 수 없는 팀이 아니야 이 팀은. 그래서 이건 좀 더 세게 피드백이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 이현우 해설위원[21]
어떻게 보면 개인 기량은 DN 프릭스가 조금 더 좋을지 몰라도 DN 프릭스는 다 각자거든요. 여기는 체계가 없어요.
DN 프릭스는 사실 투자를 꽤 한 팀이에요. 꽤 과금을 한 거야. 따지고 보면, 이 정도 과금 수준에 이 정도 경기력이면 이건 좀 반성하긴 해야 돼요. 진짜. 좀 프로답게 게임하긴 해야 돼. 더. 사회 나가면 그 돈 못 받아요. 진짜. (중략) 사실, 서로 간에 친하고 안 친하고는 아무 쓸모가 없어요. 아무 짝에 쓸모가 없어. 그냥 공과 사 구분하고 비즈니스적으로 게임 열심히 하면 돼, 감정 배제하고. 그게 제일 중요해요. 그걸 잘해야 돼 그걸. 내가 쟤랑 아무리 사이가 안 좋아도 게임 내에선 그냥 칼같이 공사 구분하면서 할 거 해야 된단 얘기야. 그리고 내가 쟤가 맘에 안 들어도 이기기 위해선 맞춰줄 건 맞춰줘야 되고.(중략)
워낙 역체 최하위권이다 보니까 제가 조금 더 바라는 게 많은 것 같아요 사실. 막말로 그냥 완전 소과금 팀이면 내가 뭐하러 이런 얘길 하겠어. 약간 이런 식으로 얘기할 걸? 아마 그런 기억 많이 있으실 걸요 내가 찍어 하면서? "어쩔 수 없어요 여러분. 이 팀이 10위 하는 거? 어쩔 수 없어요" 내가 이 얘기 하는 거 많이 기억할 걸 여러분? 근데 내가 DN 프릭스한테 그런 얘길 할 수는 없다고. 어쩔 수 없는 팀이 아니야 이 팀은. 그래서 이건 좀 더 세게 피드백이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 이현우 해설위원[21]
사전 예상과는 아예 다르게, 나름 윈나우를 노리는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랜차이즈 전환 이래 최악의 LCK 팀 타이틀을 확정지은 것은 물론이고, LCK 전체 역사를 통틀어 Team Dark와 ahq Korea와 함께 역대 최악의 팀 1위를 다투는 게임단으로 전락한지 오래인 상태다.[22]
1~2라운드 1승 17패에 이어 3라운드에서도 전패를 하며, 8월 3일 마침내 1승 21패라는 결과로 역대급 최악의 성적을 찍고 있다. 농심이 내준 1승만 없었더라면 LCK의 연패 기록을 나날이 갱신했을 것으로 보이며, 팀원 5명 모두 최악의 폼을 기록하고 있다. 5명 모두 방출해도 할 말이 없을 수준이다.
운영이 약점으로 꼽히는 데다 최저점을 보여주는 표식 & 라이프 듀오와 체급은 살아있지만 롤 지능이 전무하여 결정적인 순간에 게임에서 사라져서 패배의 최대 원흉이 되는 두두, 최소한의 지능은 있으나 막내라는 문제점 + 지나치게 유약한 성격으로 자기 주장을 안 해서 게임이 파멸로 가는 것을 막지 못 하는 불독, 통나무를 드는가 했으나 좁은 게임 시야에 비해 강한 에고로 우려를 낳던 도중 폼 하락까지 겹친 버서커까지 어느 라인 하나 문제가 아닌 곳이 없는 수준이다.
심지어 선수들 간에 메인 오더와 콜이 갈린다라는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는데, 2라운드 절반에 다다르도록 팀내에서 콜이 갈린다는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교통정리에 실패한 정민성 감독의 선수단 장악 실패, 손민혁 코치의 재앙급의 밴픽 실력이 겹쳐져 역대 최악의 팀이 완성되고 말았으며, 이 팀보다 더 안 좋았던 팀은 과거 트롤링 논란 수준의 팀 다크밖에 없다. 문제는 오더와 콜이 갈리는 것에 비해, 오더와 콜을 제대로 할 줄 아는 선수가 없는 병사형 팀이라는 것이다.
초반이라고 일컫어지는 10분 성적 자체는 5~6위권으로 역사에 남을 만한 압도적 꼴찌 팀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체급을 보여주고 실제로 해설진들도 역대 꼴지 팀 중에 체급이 가장 높다는 언급까지 했으나 선수간에 계속 갈리는 메인 오더와 콜, 그로 인한 치명적인 운영 미스가 더해져 10분 이후 5분이 지날 때마다 기대 승률 및 모든 지표가 기하급수적으로 곤두박질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와 같이 LCK CL에서도 통할지를 장담하기 어려운 극악의 운영 실력으로 사실상 시즌 절반이 채 가기 전에 시즌이 끝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모습으로 결국 2라운드 중반부터 재앙적인 밴픽 실력을 보여주던 손민혁 코치를 2군으로 센드다운시키고,[23] 시즌 전 6~7위권이 예상되던 체급 대비 성공적인 성적(당시 3위)을 보여주며 CL팀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던 김창성 코치와 양현민 코치가 긴급히 호출되어 정민성 감독의 밴픽(김창성 코치) 및 피드백(양현민 코치) 권한을 모두 회수하며 허수아비화 시킨 후 팀 봉합을 시도했으나 이것 또한 소용은 없었다.
오죽하면 약팀이라 할지라도 옹호하고 응원해주는 이현우 해설위원조차 공식 중계 도중에 DN 프릭스를 저격하며 교전을 안하면 괜찮은 팀이라고 비판할 정도인데 문제는 롤에 있어서 교전, 그러니까 한타 자체를 안한다는 것은 게임을 대놓고 포기한다로 귀결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개인적인 라인전 체급만 봐도 답이 없는데 교전을 하면 더 답이 없다는 것이고 이는 DN 프릭스의 이번 시즌 취급을 정확히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방송에서는 "DN 프릭스의 팀원들은 이정도의 돈을 받고 이 정도의 경기력이력은 납득할 수 없고, 더욱 강한 피드백이 필요하다. "라고 수위 높은 비판을 하였는데 문제는 이에 대해 팬들과 시청자들은 말이 심하다는 비판을 하지 않고 이현우 해설의 비판에 모두 다 동의를 한다는 점이다.
그도 그럴게 이현우 해설의 경우 본인이 현역 시절 몸을 담았던 CJ 엔투스 프로스트는 서로가 연습중이나 일상에서 주먹다툼과 말싸움이 일상일 정도로 팀원들끼리의 사이가 험악한데도 막상 경기가 시작되면 일상에서의 개판이던 분위기는 단번에 사라지고 팀의 단합력을 막강하게 드러내는 귀신같은 한타력으로 리그 강팀으로 군림했고, 프로와 현실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프로정신을 지닌 사람인데 DN 프릭스 때보다도 더한 분위기와 상황을 겪었던 이현우 해설조차 자신의 현역 시절 팀보다 프로 정신은 물론 상황 자체가 답이 없다고 평가를 내린 시점에서 이번 시즌의 DN 프릭스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에 놓였는지를 보여준다.[24]
오죽하면 LCK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비하인드 영상에서 2군으로 뛰고 있던 갓 신인이던 풍연이 뜬금포로 팀원들과의 합을 맞출 시간도 안주는 감코진에 의해 1주일이란 짧은 시간만 스크림을 하고 1군으로 긴급콜업당한 채 출전해서 굴욕적인 패배에 대하여 "내가 비록 1주일밖에 안뛴 신인이라지만 피드백이 안 먹히고 스크림 때 나왔던 문제점이 다시 나오고 셋업도 콜도 없어서 답답하다. 어디서부터 고쳐나가야 될 지 모르겠다"[25]라고 말을 할만큼 신인 선수의 입에서 엄연한 현역 선배들과 감코진에 대해 강한 비판을 하는 의견이 나온다는 점에서 상황의 심각성이 여실히 드러나는 상황이다.
이렇게까지 답이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자 결국 2025년 7월 4일, 사무국장을 신규 영입한 후에 감독 시절 선수단 장악에는 일가견이 있었던 DN 프릭스 사무국장 주영달 국장을 전체 총 감독으로 선임하고 정민성 감독을 수석코치라는 직책으로 내려서 감독 권한을 공식적으로 회수하는 특단의 조치를 내리게 되었다.
하지만 그런 조치가 무색해질 정도로 체급의 성장세가 보일지언정 가장 중요한 교전과 한타는 전혀 성장하지 않고 2:0으로 굴욕적인 패를 당하는 수치를 3라운드 1주차에서부터 당하고 만다. 이 때문에 사실상 DN 프릭스에 대한 기대가 완전히 접혀져버린 상황만 되었다. 오죽하면 꼬꼬갓조차 이렇게 잘 만든 팀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까지 팀 호흡이 안맞고 각과 이니시도 못여는 팀은 처음이다라는 악평이 나올 만큼 대회 관계자들조차 이젠 3라운드를 기점으로 DN 프릭스에 비판을 한다 점을 보면 그야말로 암울의 극치에 도달해있는 상태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이는 DN 프릭스를 상대하는 팀의 선수들도 마찬가지로, 심지어 2라운드에서 T1이 페이커가 대표로 왜 우리가 이겼냐며 어처구니 없다는 반응을 보일정도고, 3라운드에서 DN 프릭스와 싸웠던 피어엑스와 브리온도 DN과의 경기 승리 후의 인터뷰에서 황당함을 표현하며 DN 프릭스한테 이김당했다라고 적나라하게 표현했다.[26]
결국 이러한 DN의 행보에 이현우 해설도 이젠 지쳤다는 듯 개인방송에서 DN 프릭스가 유일하게 잘해주는 역할이 있다면 선수의 연봉이 결정되는 스토브리그의 정상화의 선봉장이 되었다라고 비판하기에 이르렀다. 이 말에 대해 설명하길 선수들의 경력과 실력을 비례하며 대조해서 A급과 B급을 나누는 등의 계산을 통해 연봉과 랭크를 매기기 마련인데 이 부분에서 미진하고 미흡한 흐름의 기류가 생성되던 것이 DN 프릭스 본인들의 졸전 덕분에 못하는 선수들의 연봉 하향 조정 및 랭크 하락의 훌륭한 지표이자 기준점이 되었다라고 비판했다.[27]
3라운드 막바지에 시즌 최악의 경기를 펼치며 시즌 종료가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라이프를 내리고 퀀텀을 올려 DRX를 상대로 감동의 두 번째 승리를 올리는 쾌거를 달성했다. 그러나 DK에게 패배를 당하며 시즌 아웃이 확정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시즌 아웃이 가까워지면서 경기력에 물이 오르기 시작하는 모습을 보였다. DRX전 2:1 승리로 회광반조를 띄우나 싶더니 시즌 아웃이 확정된 이후에도 하나씩 세트승을 챙겨가며 하위권 경쟁에 고춧가루를 톡톡히 뿌리는 중이고, 특히나 브리온 상대로 2:1 승리를 2번이나 따 가면서 3라운드의 굴욕을 제대로 갚아 주었다.
이쯤 되니까 25년 갤주팀의 지위를 확고히 차지하는 중으로, 분명 라인전 체급은 높아 항상 초반을 압도하지만 중반이 넘어가면 각종 창의적인 모습으로 경기를 던지며 역전당하는 모습이 시청자들에게 도파민을 선사하며 든프해적단, 든타닐 등등의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라이즈 그룹에서 DNF의 경기가 있는 날이면 시청자들에게 이번엔 또 어떤
7. 성적
7.1. Anarchy
| |||||
기간 | <colcolor=#fff>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2014.06.05 | 2차 예선 | HOT6 Champions Summer 2014 | 0:1 | Prime Sentinel | - |
2014.07.22 | 12강 | IT ENJOY NLB Summer 2014 | 0:2 | IM #2 | ₩ 500,000 |
2015.02.12 | 우승 | 2015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Spring 1차 토너먼트 | 3:2 | Winners | ₩ 10,000,000 |
2015.03.10 | 16강 | 2015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Spring 2차 토너먼트 | 0:2 | Hungry | - |
2015.05.15 | A조 2위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승강전 | 2:1 | Winners | - |
7.2. Rebels Anarchy
| |||||
기간 | <colcolor=#fff>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2015.08.08 | 8위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 1:2 | kt Rolster | ₩ 10,000,000 |
2015.11.10 | 5위~8위 | NAVER 2015 LoL KeSPA Cup | 1:2 | ESC Ever | ₩ 5,000,000 |
7.3. Afreeca Freecs
7.4. KWANGDONG FREECS
| |||||
기간 | <colcolor=#fff>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2022.03.26 | 4위 |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 0:3 | T1 | ₩ 25,000,000 |
2022.08.14 | 7위 |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 0:2 | NongShim REDFORCE | - |
2023.03.17 | 7위 |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 0:2 | kt Rolster | - |
2023.08.06 | 10위 |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 0:2 | DRX | - |
2024.03.30 | 6위 |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 0:3 | Hanwha Life Esports | - |
2024.08.16 | 7위 |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 | 1:2 | DRX | - |
2024.12.02 | 11~12위 | 2024 LoL KeSPA Cup | 1-4 | 조별리그 | - |
7.5. DN FREECS
| |||||
기간 | <colcolor=#fff>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팀 | 획득 상금 |
2025.02.07 | 9위 |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 0:2 | DRX | - |
2025.08.30 | 10위 | 2025 LoL Champions Korea | 라이즈 그룹 5위 | - |
8. 상대 전적
2019 서머 기준으로 SKT전 50전 26승 24패로,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SKT 상대로 상대 전적에서 앞서고 있었다. 매치승 기준 11승 10패로 최초로 SKT를 상대로 매치승 10패보다 10승을 빨리 기록한 팀이다. T1 입장에서는 꽤 질기면서도 기분 나쁜 상성인데 2019년 스프링 당시 아프리카가 하위권에서 허덕였음에도 서머 때는 T1을 정규 시즌 때 한 번 잡아내더니 와일드카드전에서도 저력을 뽐내며 T1을 고전시켰다. 2020 서머 당시에도 서부권 판독기로 조롱받던 아프리카가 와일드카드 전에서 T1을 상대로 업셋을 내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으며 2021 시즌에 와서도 스프링 때 나름 잘 회복하며 기세를 타던 T1이 졸전을 거듭하던 아프리카를 만나 지지부진한 경기력을 선보이며 겨우 승리를 당했을 정도.결국 2021년 7월 3일 서머 1라운드에서 T1이 아프리카에게 패배하면서, 1승 차이로 좁혀졌으나 2라운드에서 T1이 복수에 성공하면서 다시 2승 차이로 벌어졌고 T1의 전력이 급상승한 2022년 스프링 때는 도리어 T1이 리그 더블에 이어 플레이오프에서까지 완승을 거둠으로써 상성이 완화되는 듯했다. 그러나 끝모를 부진에 시달리던 중 6월 29일 경기에서 T1의 정규시즌 25연승을 저지하는 초대형 업셋을 통해 3연패를 탈출하며 다시 한 번 T1을 넘어뜨리는데 성공했다.
사실 T1의 경우 전적 상으로만 놓고 보면 전형적인 엄대엄이라 보는 게 맞다. 그러나 상성으로 꼽히는 까닭은 T1이 침몰함과 동시에 아프리카가 상위권을 기웃거리던 2018 시즌을 빼면 줄곧 T1이 선두권을 포함한 상위권에서 놀았던 것에 비해 아프리카의 경우 플옵 수문장 ~ 하위권에서 허덕이는 등 전력 차이가 극심했음에도, 유독 주요 고비 때마다 T1에게 일격을 날리는 경우가 빈번히 나왔고 다른 경기에서도 은근히 고전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아예 팬덤에서는 전통의 상성 쯤으로 여기고 있을 정도.[28] 하지만 2023 시즌부터 만날 때마다 연패를 누적해 역상성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반면 2020 스프링부터 시작해 젠지를 상대로 세트 13연패를 찍으며 새로운 상성이 만들어지는 분위기. 그나마 2021 스프링 2R 맞대결에서 세트 연패를 끊어내긴 했지만 또 다시 석패하며 매치 6연패를 벗어나진 못했다. 또 담원에게도 마찬가지로 2020 스프링 2라운드부터 세트 11연패, 매치 6연패를 달성하며 젠지와 더불어 약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2021 서머 2~3주차에도 귀신같이 젠지와 담원에게 완패하며[29] 나란히 매치 7연패를 찍고 말았다. 그러나 젠지를 상대로 2라운드에서 처절한 승부 끝에 겨우 역전승을 거두며 지긋지긋했던 연패를 끊어냈고, 뒤이어 담원을 상대로도 일진일퇴의 공방 끝에 2:1 신승을 거두며 겨우 상성 관계를 끊어냈다.[30] 그러나 22 스프링과 서머에 나란히 양 팀에게 더블을 당하며 다시 상성 관계가 재발해버렸다.[31] 그나마 젠지를 상대로는 2023년 스프링 시즌 2라운드 경기에서 2:1로 역전승을 거두면서 스스로 상성 관계를 끊어냈다. 그리고 1년 후 디플러스를 상대로 2:0 완승을 기록하며 매치 8연패를 끊어냈고 2라운드 맞대결에서도 압승을 거두며 처음으로 디플러스 상대 더블을 기록한 것은 물론 자력으로 PO 진출까지 확정지었다. 비록 서머 시즌에 들어와 1:2 패배를 2번이나 당하긴 했지만 그래도 한 세트 씩 따내면서 2024 시즌 한정으로 세트 전적 만큼은 우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전신인 킹존 시절부터 약했던 DRX에게도 2021 시즌까지 매치 7연패를 기록했었다. 그러나 6월 13일 DRX전에서 2:0 완승을 거둠으로써 상성을 끊어내는데 성공했으나 2라운드에서 귀신 같이 업셋을 헌납하며 상성이 어디가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해 보였다. 그 뒤 21 스프링에서도 더블을 당하며 상성이 다시 굳어지는듯 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업셋에 성공하며 다시 한 번 상성을 깨부쉈다. 하지만 서머 때 두 번의 맞대결에서 모두 무릎을 꿇었고, 멸망전으로 비화된 2023년 스프링 시즌 1R 맞대결에서도 셧아웃을 당하며 악연을 청산하지 못했다. 그러나 2라운드 맞대결에선 2:1로 승리하면서 실로 오랜만에 DRX 상대 귀중한 승리를 거두게 되었고 서머 첫 경기에서도 완승을 거두며 오히려 매치 연승을 거두는데 성공했다. 2023년만 놓고 보면 매치 기준 2:2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후 멤버가 다수 바뀐 2024 시즌에 들어와선 첫 경기를 승리로 장식하며 상성 관계를 부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비록 2라운드에서 다시 패배하며 더블에 실패했지만 전적을 좁히는데는 성공했다. 이후에도 팽팽한 상대 전적을 유지하며 상성 관계는 거의 희석되었다.
또한 브리온에게도 기이할 정도로 승리를 헌납하는 편인데, 2023 시즌에는 상대전적이 1승 3패에 그쳤으며 2024 스프링에도 0승 8패 중인 브리온에게 2경기 연속으로 참패하면서 상성 관계로 떠올랐다. 그러다 서머 시즌에 들어와 영입생 리퍼의 활약을 앞세워 브리온을 제압, 대 브리온전 연패를 끊어낸 줄 알았으나 2라운드에서 또다시 패배하며 1라운드 전패를 기록한 브리온에게 처음 패배한 팀이 되었다. 2025 시즌에도 1~2라운드에서 1:2 패배를 2번 당하고 3라운드에선 0:2 패배도 모자라 2세트에선 1만여 골드 앞서던 게임을 말아먹어 1만여 골드 뒤쳐지는 게임으로 패배해 가장 극단적인 방법으로 1만 골드 클럽에 가입하는 굴욕을 당하면서 상성 관계가 이어지고 있다. 그래도 3라운드의 막장 경기 이후로 조금이나마 절차부심했는지 경기력이 조금이나마 올라갔고, 기어이 4~5라운드 브리온 전을 연달아 이기면서 순위 경쟁하기 바빴던 브리온에게 제대로 복수했다. 브리온을 2025 시즌 DN에게 공식전 2연패를 당한 유일한 팀으로 만들어준 것은 덤이다.
반면 농심에게는 2023년 이후로 유난히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24년 서머 시즌 1라운드까지의 매치 전적만 놓고 봐도 6승 1패로 압도하고 있다.[32] 24년 스프링 당시 디플러스와 함께 유이하게 더블을 따낸 팀이 농심일 정도. 이후 서머 2라운드 맞대결에서도 2:0으로 완승을 따내며 5연패에서 탈출, 기분 좋은 상성 관계를 이어갔다. DN으로 이름이 바뀐 2025 시즌에도 LCK 컵에서 승리를 따내며 상성 관계를 이어가는 듯했으나 정규 시즌 1R 맞대결에서 0:2로 완패하면서 매치 연승이 끊겼다. 하지만 전패를 달리던 6주차 때 기어이 승리를 가져오며 다시금 상성을 일깨워주었다. 특히 2025 시즌의 DN은 LCK 컵부터 정규시즌 3라운드까지 매치승이 2번밖에 없을 정도로 총체적 난국인데 그 2번의 매치승 모두 농심한테 거둔 것이라 이 상성이 더 크게 부각된다.
9. 구성원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b50f2> | 이동주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b50f2><colcolor=#fff> 소속 구단 | | Hanwha Life Esports |
2020 · 2021 · 2022 | |||
| DN FREECS | ||
2023 · 2024 · 2025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주요 경력 | ||
기타 | 별명 · 여담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b50f2> | 홍창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b50f2><colcolor=#fff> 소속 구단 | | DRX |
2020 · 2021 · 2022 | |||
| Team Liquid Honda | ||
2023 | |||
| kt Rolster | ||
2024 | |||
| DN FREECS | ||
2025 · 2026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대회 경력 · 주요 경력 | ||
기타 | 여담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b50f2> | 이태영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b50f2><colcolor=#fff> 소속 구단 | | KWANGDONG FREECS Challengers |
2021 · 2022 | |||
| DN FREECS | ||
2023 · 2024 · 2025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주요 경력 | ||
기타 | 여담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b50f2> | 김민철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b50f2><colcolor=#fff> 소속 구단 | | T1 Challengers |
2021 | |||
| Cloud9 | ||
2022 · 2023 · 2024 | |||
| DN FREECS | ||
2025 | |||
기록 | 주요 경력 | ||
기타 | 여담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b50f2> | 손정환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b50f2><colcolor=#fff> 소속 구단 | | KWANGDONG FREECS Challengers |
2024 | |||
| KWANGDONG FREECS | ||
2024 | |||
| DN FREECS Challengers | ||
2024 · 2025 | |||
| DN FREECS | ||
2025 | |||
기록 | 주요 경력 | ||
기타 | 여담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b50f2> | 김정민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b50f2><colcolor=#fff> 소속 구단 | | Gen.G |
2018 · 2019 · 2020 · 2021 | |||
| kt Rolster | ||
2022 | |||
| Hanwha Life Esports | ||
2023 | |||
| FunPlus Phoenix | ||
2024 | |||
| DN FREECS | ||
2025 · 2026 | |||
평가 |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 ||
기록 | 대회 경력 | ||
기타 | 별명 · 여담 |
9.1. 로스터 연혁
||<-7><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C50F1><bgcolor=#0C50F1> 로스터 연혁 ||
<rowcolor=#fff> ID | 이름 | 역할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
cvMax | 김대호 | | | 2014년 6월 24일 | 2015년 7월 24일 | |
Savila | 김지환 | | Team Dark | 2015년 1월 8일 | 은퇴 | |
Rynder | 최상문 | | | 2014년 12월 24일 | ||
Sangyoon | 권상윤 | | N/A | 2016년 11월 30일 | | |
SnowFlower | 노회종 | | | |||
Uijin | 박의진 | | 2014년 8월 | | ||
Vitamin | 이형준 | | | 2014년 12월 | 2015년 4월 | |
Bubbling | 박준형 | | N/A | 2015년 1월 5일 | 2015년 5월 15일 | |
Mickey | 손영민 | | | 2016년 11월 30일 | | |
LirA | 남태유 | | | 2015년 5월 15일 | 2016년 11월 1일 | |
ikssu | 전익수 | | | 2015년 5월 19일 | 2016년 11월 1일 | |
BBO | 허청 | | N/A | 2015년 10월 31일 | 2015년 12월 29일 | |
SeongHwan | 윤성환 | | 2016년 1월 6일 | 2016년 11월 30일 | | |
Lindarang | 허만흥 | | ||||
Kuro | 이서행 | | | 2016년 12월 7일 | 2018년 11월 20일 | |
Kramer | 하종훈 | | | | ||
MaRin | 장경환 | | | 2016년 12월 12일 | 2017년 11월 29일 | |
Spirit | 이다윤 | | | 2016년 12월 16일 | 2020년 11월 17일 | |
Mowgli | 이재하 | | N/A | 2018년 11월 20일 | | |
TusiN | 박종익 | | | | ||
Summit | 박우태 | | N/A | 2017년 11월 20일 | 2018년 12월 23일 | |
Ruby | 이솔민 | | | 2018년 12월 15일 | | |
Aiming | 김하람 | | N/A | 2019년 11월 19일 | | |
Jelly | 손호경 | | | | ||
| 2019년 12월 16일 | 2020년 11월 17일 | | |||
Kiin | 김기인 | | | 2017년 12월 19일 | 2022년 11월 22일 | |
Dread | 이진혁 | | | 2018년 11월 6일 | 2021년 11월 16일 | |
Ucal | 손우현 | | | 2018년 11월 22일 | 2019년 11월 19일 | |
Proud | 이정재 | | | 2018년 12월 5일 | 2019년 4월 1일 | |
ALL IN | 김태양 | | | 2018년 12월 8일 | 2020년 11월 17일 | |
SS | 서진솔 | | | 2018년 12월 17일 | | |
Hoon | 이장훈 | | | 2018년 12월 23일 | | |
Senan | 박희석 | | N/A | 2019년 2월 19일 | 2019년 12월 16일 | |
Fly | 송용준 | | | 2019년 11월 19일 | 2021년 11월 16일 | 은퇴 |
Mystic | 진성준 | | | 2019년 11월 25일 | 2020년 11월 17일 | |
Ben | 남동현 | | | 2019년 12월 19일 | | |
Bang | 배준식 | | | 2020년 11월 30일 | 2021년 11월 16일 | |
Lehends | 손시우 | | | | ||
Keine | 김준철 | | | 2020년 12월 6일 | 2021년 2월 18일 | |
MapSSi | 김도영 | | | 2021년 2월 18일 | 2022년 2월 14일 | |
Leo | 한겨레 | | | 2021년 4월 19일 | 2022년 10월 24일 | |
Ellim | 최엘림 | | | 2021년 11월 20일 | 2022년 11월 22일 | |
FATE | 유수혁 | | | | ||
Teddy | 박진성 | | | | ||
Hoit | 류호성 | | N/A | |||
Moham | 정재훈 | | | 2022년 5월 28일 | 2023년 7월 7일 | |
YoungJae | 고영재 | | | 2022년 11월 22일 | 2024년 5월 2일 | |
| 2024년 8월 21일 | 2024년 11월 19일 | | |||
Taeyoon | 김태윤 | | | 2022년 11월 22일 | 2024년 1월 23일 | |
DuDu | 이동주 | | | 2022년 12월 1일 | ||
Jun | 윤세준 | | | 2023년 11월 10일 | | |
BuLLDoG | 이태영 | | | 2025년 4월 24일 | | |
| 2025년 5월 9일 | |||||
Andil | 문관빈 | | | 2023년 7월 9일 | 2024년 3월 19일 | |
2024년 6월 7일 | 2024년 11월 26일 | | ||||
Cuzz | 문우찬 | | | 2023년 12월 5일 | 2024년 11월 19일 | |
Bull | 송선규 | | | 2024년 1월 24일 | 2024년 8월 12일 | |
Quantum | 손정환 | | 2024년 3월 21일 | |||
| 2025년 8월 7일 | 2025년 9월 1일 | | |||
Leaper | 최기명 | | | 2024년 5월 22일 | 2024년 11월 19일 | |
Berserker | 김민철 | | | 2024년 11월 19일 | ||
Life | 김정민 | | | |||
Pyosik | 홍창현 | | | 2025년 5월 4일 | | |
| 2025년 5월 9일 | |||||
Pungyeon | 이종혁 | | 2025년 4월 24일 | 2025년 5월 8일 | | |
DDoiV | 방문영 | | 2025년 5월 4일 |
9.2. 스태프 연혁
||<-7><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C50F1><bgcolor=#0C50F1> 스태프 연혁 ||
<rowcolor=#fff> ID | 이름 | 역할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
Hachani | 하승찬 | 코치 | | 2015년 5월 29일 | 2015년 12월 22일 | |
이재균 | 감독 | SC | 2015년 7월 11일 | 은퇴 | ||
OnAir | 강현종 | 감독 | | 2015년 12월 30일 | 2016년 11월 22일 | |
AnimalDAX | 정제승 | 코치 | 2016년 11월 30일 | | ||
iloveoov | 최연성 | 감독[34] | | 2016년 11월 30일 | 2020년 11월 3일 | N/A |
조계현 | 코치 | | 2016년 12월 16일 | 2017년 11월 20일 | 은퇴 | |
Comet | 임혜성 | 코치 | | 2017년 11월 23일 | 2018년 11월 19일 | |
Zefa | 이재민 | 코치 | | 2017년 12월 6일 | 2018년 11월 20일 | |
viNylCat | 채우철 | 코치 | | 2018년 12월 6일 | 2020년 11월 4일 | N/A |
Yeon | 양광표 | 코치 | | 2019년 12월 5일 | | |
NoFe | 정노철 | 감독대행[35] | | 2018년 12월 12일 | 2019년 11월 9일 | |
ActScene | 연형모 | 코치 | | 2019년 12월 5일 | 2020년 11월 4일 | |
Rigby | 한얼 | 코치[36] | | 2020년 6월 8일 | 2021년 11월 16일 | |
LirA | 남태유 | 코치 | | 2020년 11월 6일 | | |
Chaos | 변영섭 | 분석 | | 2021년 1월 6일 | 2021년 4월 15일 | N/A |
Cain | 장누리 | 감독 | | 2021년 5월 3일 | 2022년 9월 22일 | |
Spirit | 이다윤 | 코치 | | 2021년 6월 1일 | 2022년 11월 22일 | 은퇴 |
Alvingo | 최병철 | 코치 | | 2021년 12월 23일 | 2023년 11월 20일 | N/A |
cvMax | 김대호 | 감독 | | 2022년 9월 22일 | 2024년 11월 19일 | |
Milimas | 김건우 | 코치 | N/A | 2022년 12월 1일 | ||
FanTaSy | 정명훈 | 코치 | | 2023년 11월 8일 | 2025년 7월 4일 | |
Punch | 손민혁 | 코치 | | 2024년 11월 19일 | 2025년 5월 9일 | |
RapidStar | 정민성 | 코치[37] | | |||
Cube | 김창성 | 코치 | | 2025년 5월 9일 | ||
Minit | 양현민 | 2025년 9월 1일 | | |||
oDin | 주영달 | 감독 | | 2025년 7월 4일 |
10. 게임단 산하
10.1. DN 프릭스 챌린저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N 프릭스 챌린저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N 프릭스 챌린저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2. DN 프릭스 아카데미
| ||||
<colbgcolor=#0C50F1><colcolor=#fff> 디엔 프릭스 아카데미 | ||||
DN FREECS Academy | ||||
창단 | 2019년 5월 26일 | |||
소속 리그 | LCK AS | |||
팀명 | Afreeca Freecs Academy(2019.5~2021.12) KWANGDONG FREECS Academy(2021.12~2024.12) DN FREECS Academy(2024.12~) | |||
모기업 | SOOP | |||
코치 | 윤재민 Value | |||
약칭 | DNFA | |||
| ||||
우승 기록 | ||||
LCK AS (1회) | 2021 9월 | |||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C50F1><colcolor=#fff> TOP | Midir | Junu | |
JGL | Prever | |||
MID | Flip | |||
BOT | Pdx | |||
SPT | Kitten | }}}}}}}}} | ||
팀 컬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우승 경력 | ||||||
2021 LCK Academy Series 9월 오픈 토너먼트 우승 | ||||||
GEN Academy | → | AF Youth | → | Shadow Battlica | ||
준우승 경력 | ||||||
2020 LCK Academy Series 10월 오픈 토너먼트 준우승 | ||||||
DRX Rookie | → | AF Academy A | → | DRX Challenge | ||
2021 LCK Academy Series 2월 오픈 토너먼트 준우승 | ||||||
NS Academy | → | AF Academy | → | 아마추야호 | ||
2021 LCK Academy Series 상반기 챔피언십 준우승 | ||||||
DRX Academy | → | AF Academy | → | 배밥수빡고 | ||
2022 LCK Academy Series 1월 오픈 토너먼트 준우승 | ||||||
Shadow Battlica | → | KDF Academy B | → | Shadow Battlica | ||
2023 LCK Academy Series 4월 오픈 토너먼트 준우승 | ||||||
Shadow Cool | → | KDF Rookie | → | BRO Academy |
DN 프릭스의 연습생으로 구성된 세미프로 팀이다.
11. 팬덤
적어도 중위권은 유지했던 팀 성적에 비해 팬덤의 규모가 미약한 편이다. 2년동안 성적이 바닥을 치고 팬들과의 소통조차 없어서 엉망진창으로 사분오열되는 바람에 소규모로 축소된 KT 팬덤과 스토브리그에서 멸망하면서 팬덤이 찢어진 DRX보다도 작고, 심지어 2021년 1월 기준으로는 유튜브 구독자수만 따지면 업로드 주기가 비슷한 리브 샌드박스가 더 많을 정도.[38] 게다가 조금 잘하는 것 같다가도 DTD는 일상이고 지리멸렬하고 무기력한 패배를 자주 보여주며 최하위권 팀의 1승 제물 노릇까지 해주니아나키 - 구 아프리카 시절에는 그래도 선수들의 화끈한 플레이 스타일과 더불어 선수 개개인이 가진 아프리카 방송 개인팬들로 인해 팬들의 유입이 꽤 많았으나, 구 아프리카의 공중분해 이후로는 여러 요인들이 겹치는 바람에 영입 선수를 통한 팬 유입 자체가 적었다.
예를 들어 마린의 팬이 유입되기에는 SKT가 건재했고, 스피릿의 구삼성 팬들은 대부분 데프트/폰/마타가 있는 KT로 갔으며 구 ROX 팬들이 쿠로를 따라오는 경우는 적었다. 그 이후에도 유칼, 플라이, 미스틱과 같은 선수들도 애초에 개인 팬덤이 작았거나 굳이 그 선수를 따라올 이유가 없는 상황이라 많은 팬들을 유입시키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아프리카 팬덤은 사실상 아나키 시절부터 내려온 팀 팬과 기인의 활약에 매료돼서 유입된 기인 개인팬이 팬덤을 양분하고 있는 형세다.
팬덤 규모가 워낙 작다보니 다른 팀 팬덤과 충돌도 거의 없는 편이다. 충돌을 하면 규모가 적은 아프리카 쪽에서 여론에서 밀리다 보니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 그래서 딱히 라이벌리로 엮이는 팀은 없고, 간혹가다 도원결의 3팀(젠지, KT)끼리 옆집이라고 부르는 정도의 교류만 있는 수준이다. 단 에이밍이 KT로 이적할 때 약간 지저분한 문제가 있었다는 서수길의 발언 때문에 2020 시즌에는 KT와 관계가 썩 좋지 않았었다.[39] 이후 2021년 스토브리그 당시 전 그리핀 소속 카오스 코치가 아프리카 전력분석원으로 오자 DRX에서 씨맥을 신봉하는 팬덤의 분탕질로 인해 갈등이 있었던 것과 기인 악성팬의 타 경쟁자 비하를 제외하고는 어떤 팀과도 별다른 대립 없이 조용한 편이다.
2022 시즌에는 테디, 엘림, 호잇 등 T1 출신 선수들이 영입되면서 T1 팬이 일부 유입되기도 했으나 한 시즌만에 로스터가 분해되면서 이쪽도 거의 와해되었고, 2023 시즌부터는 씨맥이 감독직을 맡게 되면서 감독 개인팬들의 비중이 많이 늘었다.[40] 네이밍 스폰서로 광동이 들어오기도 했고, 게다가 미드 라이너의 닉네임이 하필 불독이라 긍정/부정적인 것과 상관 없이 '광견'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2023년 롤드컵에서 연달아 스크림을 진행하는 등 광동 측에서 적극적으로 T1을 도와주었고[41], 이후 롤드컵 우승을 함과 동시에 톰 감독 대행과 조 마쉬 CEO가 광동을 샤라웃 해주면서 양 팬덤 간의 사이도 꽤 괜찮아졌다. T1 팬들 중 광동을 서브 팀으로 응원하고 싶다는 의견이 자주 보일 정도.
2024 시즌에는 스프링 초반부 한정이지만 서부권으로 분류되었던 KT와 DK, 유력한 플레이오프 후보로 꼽히던 NS를 연파하면서 많은 팬들의 기대를 받기 시작했다. 이 와중에 부진을 겪던 태윤과 스위칭되어 1군에 올라온 불의 상남자스러운 캐릭터성과 커즈의 맹활약까지 겹쳐지면서 광동 팬을 자처하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다.
2025 시즌 초에는 나름 윈나우를 노리는 투자를 했던지라 기대를 모은 바 있지만 선술했듯 그 결과는 너무나도 시궁창이라 팬덤도 좋을리 없다. 이렇다보니 2025 시즌 전반적인 팬덤은 '든럼 든렇지'로 요약이 가능하다. 오죽하면 하이라이트마다 DN 선수를 응원하긴커녕 타 팀팬들이 DN 프릭스의 팬들을 응원하고, 농심 상대로 1승을 챙긴 후에는 거기에 '전패로드 깬 농심 용서 못함'이 끼얹어지는 정도. 그런데 망할거면 제대로 망가져서 오히려 다른 의미로 컬트적인 인기를 끌며 팬이 늘어난 웃지 못할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12. 여담
- 롤 프로 게임단 중에서도 식사 퀄리티가 우수한 팀 중 하나로 손꼽힌다. 특히 광동 프릭스 게이밍하우스의 조리사님(광모님)은 전 프로들이 입을 모아 칭찬할 정도이며, 2022년 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재계약 오피셜이 떴다. 2022년 12월 28일 공식방송국 인터뷰에 따르면, 시그니처 메뉴는 돈가스라고 하며 가장 가리는 것 없이 잘 먹는 팀원은 최병철 코치라고 한다.[42]
- LCK에서 다섯 번째로 '공중분해'를 겪은 팀이다.[43] 그러나 공중분해 이후 유일하게 연속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이기도 하다. 심지어 공중분해 후 롤챔스 준우승과 창단 첫 롤드컵 진출을 이뤘음을 감안하면 전형적인 리빌딩의 성공적 사례라고 볼 수 있다.
- 2017 시즌에는 롤갤에서 KT와 진에어, 삼성과 더불어 개그화가 많이 된 상황이었다. 번역기 말투를 쓰고 정글러들을 핍박하는 마린, 그런 마린을 때리는 투신, [44] 그런 투신의 카운터지만 마린에게는 당하지 못하는 크레이머라는 상성관계가 형성되었다. 또, 모글리는 팀내에서 서열이 낮은 터라 많이 핍박받지만 그와중에 반격을 하려고 하는 이미지가 생겼다. 하지만 마린이 이적한 뒤로는 이런 개그 이미지는 대부분 사라졌고 기인의 끝나지 않는 고통롤이나 가끔 마린이 팀이 그리워서 뒷텔을 타는 정도만 남게 되었다.
- 2018 시즌 KT의 우승 유무에 따라 팀의 롤드컵 진출결과가 걸리는 상황이 되자 KT 팬클럽 기믹이 붙어버리면서 다시 갤주화됐다. 마침 스피릿-폰/데프트/마타(형제팀포함), 쿠로-스멥으로 과거 같은 팀원들이 있기도 해서 페이스북 등지에서 갑자기 KT 멤버들에게 친목질을 시전하거나, 진짜로 스크림을 도와주는 등 KT의 열렬한 신도, 제 2의 대퍼팀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결승 당일 쿠로, 젤리, 에이밍을 제외한[45] 선수진/코치진 전원이 해당 경기의 실시간 중계 및 편파해설을 시전, 온갖 편파적인 KT 찬양과 리액션을 보여주면서 웃음거리가 되었다.
- 은근 탑솔러의 명가인 팀이다. 이 팀에 몸담았던 탑솔러들은 대부분 팀의 에이스였거나, 팀을 떠난 후 좋은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46]
- 스트리밍 사이트가 운영하는 팀임에도 불구하고 선수들의 개인방송을 보는 것이 유독 힘든 팀이었다. 심지어 개인방송 의무 시간도 딱히 없었다. 2021~22년 이후에는 다른 팀들처럼 정기적으로 개인방송이 이루어졌고, 2023 시즌에는 아예 선수들이 알아서 방송을 킨다. 그 중에서도 주로 영재나 태윤이 많이 키는 편이다. 정규 시즌이 종료된 후에는 태윤이나 안딜이 방송을 자주 키면서 팬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으며 24 시즌 이후로는 커즈와 안딜이 주로 방송을 키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25 시즌에 들어와 데뷔 전 스트리머로 활동했던 표식이 영입되며 좀 더 자주 개인 방송을 볼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 2022년 수피가 영입되기 전에는 게임단 공식 스트리머도 없어[47] 아예 스트리머에 의한 응원방송이 진행되지 않았다. 그렇다보니 팬들이 트위치 울프 방에서 심심치 않게 보였다. 이후 2023년에 효딤이 영입되었고, 2024 시즌에는 KIA 타이거즈 응원 방송으로 유명한 버추얼 스트리머 사이다, LPL 중계로 잘 알려진 아뚱, 우냥, 진스톤을 파트너 스트리머로 데려왔다. 2024년 11월 19일에는 군 입대 이슈로 인해 한 시즌만에 프로게이머 생활을 마치게 된 리퍼를 추가로 영입했다.
- 서수길 대표가 밝힌 바에 의하면 처음 시작했을 때 연간 운영 비용이 10억이었는데 점점 늘어 2020 시즌에는 35억까지 늘어났다고 한다. 아프리카TV가 현재 e스포츠 시장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고, 가장 인기가 많은 종목이 리그 오브 레전드다 보니, 점점 투자 금액이 늘고 있는 것. LCK 프랜차이즈도 참가 의사를 밝히며 아프리카TV 기업 내에서도 굉장히 공을 많이 들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2022 서머시즌에 T1, 젠지, DRX의 아프리카 스트리밍 계약[49]과 정찬용 단장의 2022년 2분기 컨퍼런스콜, 답이 없는 팀 사무국으로 인해 제발 광동 프릭스도 잘 챙기라고 서운해하는 팬들이 많은 편이다.
- 정규시즌에 5위를 많이 한다.[50] 특히 16 시즌 이후에는 매 서머시즌 5위를 수성하면서 '5프리카'라는 별명이 붙었다. 다만 역대급 부진을 겪은 이후인 2021 서머 때는 딱 플옵 마지노선인 6위에 랭크되며 이 징크스가 깨질 만한 상황이 조성되었다.
- 준우승을 기록한 2018 시즌 이후 스프링은 말아먹고 서머에 플옵권 턱걸이에 들어가는 패턴이 반복되었다. [51] 2022 스프링에서는 이례적으로 4위를 기록했으나 이번에는 서머 시즌에 7위를 기록하며 플옵에 실패했다.
- 회사가 회사인데도 불구하고 경쟁자 파트너 스트리머가 네 명이나 현재 소속되어 있었다. 또한 의외로 팀을 나간 프로들이 아프리카에서 방송하는 경우가 적은 편인데[52], 릭비도 EG 감독 퇴임 후 트위치에서 방송을 하고 있다. 그나마 스피릿이 계약 종료 이후에 아프리카에서 꾸준히 개인 방송을 진행 중이고 미스틱 역시 은퇴 이후 스트리머 생활을 하고 있다.
- 2021년부터 연습실에 '남탓금지 - 나를 믿고 동료를 믿자'라는 문구를 붙여 놓았다. 그리고 이 문구가 플라이와 드레드의 캠에 보일 때마다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팀의 순위가 곤두박질치자 팬들은 성명서를 보내 문구를 뗄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실제로 10주차 LSB전을 앞두고 문구를 떼어 놓은 것이 확인되었고 그 후 곧바로 LSB전을 2:0으로, 경기 내용조차 파괴적인 모습을 보이며 상대의 플레이오프 경쟁을 물거품으로 만들어 버렸다. 서머시즌 초반에도 상승세를 타며 남탓금지가 억제기였다는 드립이 속출했다. 참고로 이 문구는 채정원 대표 이사가 붙여놓은 것이라고 한다.[53] 결국 2021년 롤드컵 뮤직비디오에도 나왔다.
- T1과는 서로 유서깊은 애증의 관계다. 2020년 서머 시즌에 T1에 역대급 고춧가루를 먹이고 T1만 만나면 경기를 늪롤급으로 끌고 가서 T1 팬들이 아프리카전을 유독 두려워하고 있는데, 정작 팀에서는 마린, 뱅 등 T1 출신들이 좋지 못한 경기력을 선보이는 경우가 많아 아프리카 팬들에게 원망을 받고 있다.[54] 그리고 2022 시즌을 앞두고 T1의 서브였던 엘림과 호잇, 그리고 주전 경쟁을 벌이던 테디를 영입해오며 T1과의 길고 긴 인연을 이어가게 되었다.
- 다만 2022 시즌에 들어와서는 T1 팬들이 오히려 아프리카에 대해 호감을 보이는 경우도 생기기 시작했다. 특히 전술한 것처럼 무려 세 명의 T1 출신 선수들이 영입됨에 따라 T1 팬들이 아프리카를 'T1 2중대'라 칭하고 세컨드 팀으로 응원하겠다고까지 하는 등 은근 유화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세 선수 모두 T1에서 이미지가 좋았던지라 그런 듯. 아프리카 팬들 역시 대체적으로 환영하고 있지만, T1 2중대라는 별명에 대해서는 그리 달갑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 2021 시즌 리라와 릭비 감코진 구성을 시작으로 2년 간 LCS서 뛰다 온 뱅에 스프링 시즌 후에는 감독으로 LCS에서 장기간 머물렀던 카인을 영입하면서 정말 북미 향우회가 된 것 아니냐는 비웃음 섞인 반응이 많아졌다. 다만 서머때 스프링보다 확실히 나은 경기력과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보니 이런 의견은 많이 희석된 줄 알았으나, 2라운드 들어 의적같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다시 이 평가가 우스갯소리로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릭비와 리라, 뱅이 팀을 떠나면서 이 기믹은 자연스레 사장되었다.
- 그러나 2025 시즌을 앞두고 TL에서 활약한 바가 있는 표식, C9에서 3년간 활동했던 버서커, 직전 시즌 LCS에서 코치 생활을 했던 빠른별을 영입하며 다시 북미 향우회로 돌아간 것 같다는 반응이 팬들 사이에서 소소하게 나왔다.
- T1과의 묘한 인연 때문에 부각되지 않는 사실이지만 2022 시즌 라인업 중 세 명이 Winners 출신이다. 테디와 기인은 Winners의 전신인 Ever 8 Winners 소속으로 뛰었고, 페이트도 위너스 소속으로 CK 무대에 입성했었다. 심지어 챌린저스의 감독인 알빙고와 원딜러 발키리 역시 Winners 출신이다.
- 2022년 광동 프릭스로 팀 이름이 바뀌면서 로고도 새롭게 선정하였는데 이에 대한 불호 의견이 상당한 편이다. 오죽하면 모든 커뮤니티에서 최악의 로고로 선정되었을 정도. 그러나 이후 개인 방송에서 바꿀 일이 없을 것이라고 천명하였고 자연스레 불호 의견은 사그라들었다.
- 릭비, 리라가 합동 방송을 진행했을 때 나온 말에 의하면 숙소 바로 앞 아파트에 ITZY가 살아서 출퇴근하거나 전화를 하는 모습을 자주 목격했다고 한다.
- 2019 시즌부터 매 스프링을 망치고 있음에도 추가 선수 영입이나 감코진 교체, 콜업 등을 잘 하지 않아 의리의 광동으로 비꼼을 당하고 있다. 채정원 대표이사 역시 소통방송을 통해 의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기조도 2023년부터 서서히 바뀔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스토브 때 영재 대신 주전으로 직전 시즌 올 프로 퍼스트를 수상한 커즈를 데려오며 전력 보강을 마쳤다. 게다가 2024년 스프링에 들어와서는 역캐리를 일삼던 태윤을 단 1주일 만에 내리고 불을 올려 2년 만의 포스트 시즌 진출이라는 성과를 냈으며, 이마저도 중간에 불이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자 서머 시즌을 앞두고 BJ로 활동하던 최기명을 과감히 영입하며 다시금 로스터를 보강했다.
- 2015년 스플릿 제도가 개편된 이후 두 번밖에 치러지지 않은 타이브레이커에 모두 참여한 이력을 갖고 있다. 2017, 2022 스프링 시즌으로 두 번 모두 광동(당시 아프리카) 측이 승리를 거두었다.[55]
- 광동 프릭스의 전신이었던 아나키의 창단 멤버인 씨맥이 2023 시즌 광동 프릭스의 감독으로 들어오면서 약 7년만에 친정 팀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씨맥의 개인 팬들이 많이 유입되었다.
- 부각되지는 않는 사실이지만 은근히 서폿 운이 없는 팀이다. 눈꽃[56] - 투신 이후 19시즌 영입된 프라우드는 1군 주전을 하기에는 부족한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세난도 팀의 가장 큰 불안요소라는 평가를 받았다. 20시즌의 젤리와 벤은 무난했지만 한계가 너무 명확했다. 심지어 21 시즌에 야심차게 영입되었던 리헨즈조차 극심한 기복에 시달렸고 22 시즌의 호잇/모함은 아예 LCK 최약체 서포터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나마 23 시즌에는 준과 모함이 나름 포텐을 보여주었으나 약점 역시 뚜렷해서 갈 길이 한참 남은 상황이다. 결국 서머 5주차 때 안딜이 선발로 출전하면서 자연스레 준은 서브로 밀려났고 모함도 2군으로 내려가는 운명을 맞이했다. 그리고 기대를 받던 안딜마저 몇 경기 지나지 않아 번뜩임을 잃은 채 헤매는 신인의 모습을 보여주며 팀과 함께 침몰했다. 결국 준은 스토브가 시작되기 전에 열린 소통 방송에서부터 이적이 확정되어 팀을 떠나게 되었고,[57] 대신 안딜이 주전으로 낙점되어 계약 연장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끝내 안딜이 스프링 초반의 부진을 딛고 태윤 대신 콜업된 불과 함께 팀의 상승세를 이끌자 재평가 여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제서야 포텐 넘치는 서포터를 찾게 되었다는 평이었다. 그러나 건강 악화로 인해 폼이 지하를 뚫을 기세로 내려갔고 이에 2군에서 갓 데뷔한 퀀텀이 콜업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서폿 포지션의 불운이 끝나지 않았다는 것만 증명되었다. 서머 시즌에도 똑같은 패턴이 재현되면서 팬들은 아예 자조하는 중. 결국 25 시즌을 앞두고 FPX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 라이프를 데려오면서 서폿 포지션의 불운을 끝낼 수 있을지 많은 팬들이 기대를 모았으나 25시즌은 아예 팀 차원에서 최악의 평을 받고 있다.
- 2023년부터 SNS 등에서 메인 컬러인 다홍색 대신 어두운 보라색을 활용하고 있다. 2024년에는 아예 유니폼에도 보라색을 사용하고 있다.
- 최하위 팀이나 전패 중인 팀에게 1승을 헌납하는 일이 많다. 19년 스프링 시즌에는 진에어, 21년 서머 시즌에는 DRX에게 1승을 내줬고, 이후에는 브리온의 전패행진을 두 번이나 끊어주면서 브리온의 영양간식으로 전락했다. 아예 팀이 개 이미지와 엮이는 것을 이용해 브리온을 '주인님'이라 부르는 밈이 생겼을 정도다.
- OK저축은행 브리온이 2024 LoL KeSPA Cup에서 다전제 경기를 치른 끝에 우승하고, 농심 레드포스가 2025 LCK Cup에서 다전제 승리를 거두면서 LCK에서 가장 오랫동안 다전제 승리가 없는 팀으로 남게 되었다.
12.1. 밈, 별명 관련
- 판독기/반독기: 창단 이후로 5위를 많이 하고, 그 과정에서 약팀을 패고 강팀한테 얻어맞는 강약약강 같은 모습을 여러번 보여주면서 굳어진 별명. 2021 서머에는 오히려 모든 팀들과 1승 1패를 맞추려는 기묘한 징크스를 보여주는 탓에 반독기라는 별명을 얻었다.
- 북미향우회: 2021 시즌 이후 북미 출신 코치 및 선수를 영입하면서 붙은 별명으로 프론트의 영입 방향성을 비판할 때 주로 쓰인다.
- 25분의 아프리카 : 2021 스프링 당시 꼭 25분만 되면 한타를 패배하거나 운영 면에서 치명적인 실책을 범하는 등 25분 즈음에 사고가 터져서 붙게 된 별명.
- 남탓금지: 2021 스프링 당시 연습실에 '남탓금지 - 나를 믿고 동료를 믿자' 라는 문구를 붙여놓아서 캠에 비춰질 때마다 조롱거리가 되었다. 심지어 저 문구를 제거한 뒤 플레이오프 진출을 노리던 샌드박스를 압살하면서 아예 억제기 취급을 받는 중. 훗날 이는 채정원 대표가 붙였던 걸로 밝혀졌다.
- 각프리카: 각성한 아프리카의 줄임말로, 갑자기 예상치 못한 경기력으로 상대를 압살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생긴 별명이다.
- 콩두 프릭스, 진에어 레드윙스: 광동 프릭스가 2022 시즌 스프링 초반에 전형적인 최약체팀의 모습을 보여준 것에 더해 선수들의 폼이 내려온 상황에서 유일한 상수이던 테디가 오더와 플레이 메이킹까지 도맡는 등 눈물겨운 분투를 보여주면서 진에어 그린윙스에 빗댄 진에어 레드윙스라 불렸다. 하지만 중반 이후 귀신 같이 팀 성적이 올라가면서 이 별명은 자연스레 사라졌다.
- 광견: 팀명이 광동 프릭스로 바뀐 이후로 생긴 별명. 2023 시즌 이후에는 미드라이너로 불독이 합류하고, 팀 슬로건마저 'Bite it'으로 바꾸면서 아예 팀 차원에서 광견 밈을 활용하고 있다.
- 광서 프릭스: 24시즌 스프링,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팀 순위가 서부에 있게 되자 광동의 동자를 서로 바꾸어 부르며 생긴 별명.
- 던파, 액션쾌감 : 25시즌부터 DN그룹의 네이밍 스폰을 받기 시작하면서 팀명이 DNF가 되고, 원딜러로 버서커를 영입하게 되면서 한타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줄때마다 동명의 게임이 내걸고 있는 표어가 밈처럼 활용되고 있다.
- 든럼 든렇지: 든(DN)+그럼 그렇지. 극초반 라인전 단계에서는 아주 조금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다가도, 결과적으로는 온갖 창조적이고 신박한 뇌절과 파멸적인 교전력으로 상대에게 처참하게 짓밟히는 DNF의 현주소를 냉정히 보여주는 밈.
- 리버스 젠지: 경기력에서나 승패 수에서나 젠지와 거의 정확하게 반대라 붙은 밈. 당시 승패수는 젠지는 전승, DNF는 전패였는데 6주차에서 DNF가 1승을 추가해 정확히 반대는 아니게 되었지만 레전드 그룹 3라운드에서 젠지가 T1에게 1패를 하면서 다시 두 팀의 전적이 정반대가 되어 진정한 의미로 리버스 젠지가 되었다.
12.2. 2라운드의 프릭스
2020년 이후 2라운드 성적이 1라운드에 비해 심각한 편이다. 1라운드에 비해 더 좋은 성적을 낸 적도 있지만 1~2승 정도임에 비해, 망할 때는 승 차이가 무려 -5까지 차이나는 경우도 있었다. 그 중 절정이 2020 스프링과 2023 서머, 2024 서머인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 2020 스프링 : 6승 3패 +4/1승 8패 -12(-5승)
- 2020 서머: 5승 4패 +2/5승 4패 -1(0승)
- 2021 스프링 : 3승 6패 -3/2승 7패 -7(-1승)
- 2021 서머 : 5승 4패 0/6승 3패 +4(+1승)
- 2022 스프링 : 3승 6패 -6/5승 4패 +3(+2승)
- 2022 서머 : 4승 5패 -5/2승 7패 -11(-2승)
- 2023 스프링 : 2승 7패 -6/4승 5패 -5(+2승)
- 2023 서머 : 4승 5패 -2/9패 -16(-4승)
- 2024 스프링 : 5승 4패 +1/2승 7패 -8(-3승)
- 2024 서머 : 5승 4패 +3/2승 7패 -6(-3승)
12.3. 프런트
2018 시즌 이후 계속 팀의 성적이 부진했고 팀의 에이스이자 프랜차이즈 스타인 기인을 장기계약으로 묶어두고도 애매한 방향성을 보여줬던 탓에 프런트를 향한 시선은 결코 좋지 않다.모기업의 규모가 작고 프런트의 인력도 부족해[58] S급 위주의 슈퍼팀 구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광동의 이적시장은 그것을 감안하고 봐도 의아한 무빙이 너무 많았다. 또한 대표이사 또는 사무국장이 그 의아한 무빙을 어떻게든 포장하려는 듯한 발언을 하는 경우가 잦아[59] 비난 여론에 기름을 붓기도 했다.
그래도 구단주인 서수길의 팀에 대한 애정과 지원으로 인해[60] 그에 대한 팬덤의 지지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2020년 스토브리그에서 쵸비에 대한 실언으로 템퍼링 논란이 불거짐과 동시에 과거 기인의 연봉에 대한 발언까지 재조명되면서 현재는 그 지지도가 크게 줄어들었다.[61] 한편 정찬용 COO에 대해서는 평가가 괜찮다. 팀 구성원들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나이 50에 선수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서툴지만 롤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 또한 SNS에서도 크게 어그로를 끌지 않으면서 무난한 팀 운영을 하는 중. 영상편집자도 나름 열심히 일한다.
강영훈 전 사무국장에 대한 평가는 매우 좋지 않았다. 사실상 프런트를 향한 비난 지분의 대부분을 담당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결국 채정원 대표에 의해 자진 퇴사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분위기는 아프리카 프릭스 갤러리에서 트럭시위까지 진행했던 2021년 말까지 이어지는 듯 했으나 2022 시즌을 앞두고 21 시즌 부진의 원흉으로 지목받은 뱅과 릭비, 올해 바닥을 찍은 리헨즈, 노장인 플라이 등을 계약 종료로 칼 같이 떠나 보내고 그 뒤 철통 보안 하에 페이트 - 테디를 영입하는 강수를 띄우면서 '드디어 프런트가 조금씩이나마 정신을 차리기 시작했다'는 반응이 생기기 시작했다. 게다가 11월 20일 공개된 신규 로스터 소개 영상에서도 다른 팀들과 달리 한 번에 모두 공개해 버리는 파격적인 행보를 보여주면서 호평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정글-서폿의 부진으로 2년 연속 선발전 탈락이라는 처참한 결과를 내면서 모든 비판여론을 해소하지는 못했고 결국 강영훈 사무국장의 대체자로 前 Gen.G 감독이었던 주영달이 영입되었다.
2023 시즌을 앞두고는 씨맥 감독을 중심으로 긁을 만한 유망주들을 영입하는 등 이전과 달리 그래도 방향성은 제대로 잡은 모양새이긴 했으나, 그 과정에서 기인을 또 붙잡으려고 시도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어이없다는 반응을 얻기도 했다.
2022 시즌 종료 후 씨맥 유튜브 편집자를 영입해 리그 오브 레전드 팀 유튜브를 '광튜브'로 독립시키며, 유튜브 및 SNS 소통 행보도 강화하는 등 적어도 컨텐츠 제작 측면에서는 확실히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광인log의 경우 팀의 광기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면서 평가가 꽤 좋은 편아다.
하지만 서머에 우하향하는 기량과 더불어 끝내 원딜 포지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팀 최초 10-10 클럽 가입이라는[62]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작성하면서 이러한 호평도 사그라들었으며, 채정원 대표에 대한 여론은 도리어 악화되었다. 장기적 팀 육성 방안을 감안한다고 해도 도리어 매년 반복되는 대책 없는 스토브리그 방침 덕분에 좌절하는 중이다.
오히려 스토브 시즌에 들어와서는 영입 없이 꼴찌로 박은 로스터를 계속 기용하겠다는 이해할 수 없는 고집과 그로 인한 소극적인 영입 시도 등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이전의 악명을 되찾는데 성공했다. 팀마갤이 프런트를 비판하는 의견으로 들끓고 있을 정도. 그러나 스토브 말미에 커즈를 데려오면서 평가를 반전시켰다. 그리고 좋은 평을 들었던 팀 자체 컨텐츠 역시 베스트 쇼맨십 상 수상으로 성과까지 인정받았다.
2024 시즌에는 두두와 커즈의 시너지, 폼이 상승한 불독과 부진을 겪던 태윤 대신 콜업된 불의 활약을 앞세워 2022년 스프링 시즌 이후 2년 만에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하며 팬들로부터 큰 호평을 받고 있다. 비록 중간 중간에 선수들의 부진이나 질병 이슈에 휘말려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그 때마다 콜업을 비롯한 과감한 용병술로 이를 극복해 나가며 이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머 시즌을 앞두고선 인터넷 방송인으로 활동해오며 아마추어 중에서도 프로를 노려볼 법한 케이스로 꼽힌 최기명을 과감히 영입하면서 또 한 번 팬덤에 반전을 선사했다. 이전부터 제기되었던 소극적인 영입 시도는 아예 생각도 나지 않는 수준이다.
그러나 2024 서머에서 또다시 PO 진출에 실패하여 월즈 선발전도 못 가고 시즌이 조기종료되면서 2023 시즌을 앞두고 천명했던 2년 육성 플랜이 사실상 성과 없이 끝났다고 봐도 무방한데다, 8월 17일 밤 X를 통해 광동의 한 프런트 직원이 X 비밀계정으로 선수들과 김대호 감독, 팬덤을 비하했고, 채정원 대표에게 내부 징계와 직원 교육을 약속받았으나 약 열흘만에 현장 업무에 복귀[63]했다는 폭로가 터지며 프런트에 대한 평가는 다시 나락으로 떨어졌다. 폭로 약 8시간만에 올라온 채정원 대표 명의의 사과문에서 해당 직원에게 인사위원회를 통한 징계를 예고했고, 8월 23일 공지를 통해 인사위원회 이후 퇴사했음을 밝혔다.
결국 2025년을 앞둔 스토브에서 칼을 빼든 것인지 씨맥과의 계약을 끝낸데 이어 두두의 재계약과 함께 표식과 버서커, 라이프를 영입해오며 최근 2년 간의 육성 기조와는 다른 행보를 보여주었다. 비록 그 과정에서 비디디의 발빠른 재계약 등으로 인해 미드 영입 플랜이 꼬여 팀의 약점으로 꼽혔던 불독과 재계약하는 선택을 했지만 미드 라이너 코칭으로 정평이 나있는 빠른별을 감독으로 선임하며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비록 LCK컵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지만 이름 있는 선수들인 만큼 각자 좋은 모습을 보인 점도 있어서 기대를 받았지만 팀이 LCK 11연패를 달성하면서 굳건한 최하위로 잡았다. 기대를 박살내며 나락을 찍고 있는 성적에 대해 프론트에 대한 책임론도 있지만 이 정도로 못할거는 아무도 예상 못한다는 옹호론이 난림하는 상황.
한편 채정원 대표 이사가 스토브리그 당시 꽤 공을 들인 로스터를 꾸린지 얼마 안돼서 퇴사를 한 것이 밝혀졌다. 김성회의 G식백과에서 출연해서 밝힌 이유는 회사와의 자신의 방향성 차이 때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자신이 꾸리고 나간 로스터가 처참한 모습과 성적을 거두게 되자 농담반진담 반으로 빤스런 했다는 오명을 얻게 되었다.
13. 둘러보기
주식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545b1><colcolor=#fff> DN FREECS | LoL · TCG · PUBG · FC ONLINE · FGC · Warcraft III |
경기장 | 프릭업 스튜디오 · 잠실 DN 콜로세움 · 상암 SOOP 콜로세움 | |
대표이사 | 최영우現 · 서수길現 · 문용식前 · 정찬용前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CK Special Award 수상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즌 | 수상 부문 | 수상자 | 소속 |
<colbgcolor=#fff> 2021 | <colbgcolor=#fff>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 <colbgcolor=#fff> Ruler | <colbgcolor=#fff> GEN | |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 Faker | T1 | ||
HP OMEN 실력으로 증명한 베스트 KDA 상 | ShowMaker | DK | ||
TikTok 베스트 LCK 숏하이라이트 상 | Pyosik | DRX | ||
KLEVV 올해의 기억에 남는 리신 플레이어 상 | Doran | KT | ||
로지텍 베스트 카이팅 플레이어 상 | Ghost | DK | ||
시크릿랩 베스트 펜타킬 플레이어 상 | ||||
2022 | 시크릿랩 어시스트 킹 상 | Keria | T1 | |
로지텍 최다 솔로킬 플레이어 상 | Rascal | KT | ||
JW중외제약 밝은 협곡에 눈뜨다 상 | Delight | BRO | ||
OP.GG 베스트 OP 스코어 상 | Ruler | GEN | ||
LG 울트라기어 최다 오브젝트 스틸 플레이어 상 | Oner | T1 | ||
HP OMEN 실력으로 증명한 베스트 KDA 상 | Chovy | GEN | ||
BBQ 베스트 이니시에이팅 플레이어 상 | Faker | T1 | ||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 Gumayusi | |||
롤파크 가정의 평화상 | Gen.G | |||
대머리가 되는 상상 | Oner | T1 | ||
올해의 밈상 | Deft | DRX | ||
2023 | LCK 글로벌 마케팅 상 | Morgan | BRO | |
10주년 특별상 | 성승헌 | LCK | ||
CloudTemplar | ||||
시크릿랩 어시스트 킹 상 | Delight | GEN | ||
몬스터 에너지 베스트 몬스터 슬레이어 상 | Peanut | |||
로지텍 G 베스트 파워플레이 상 | Deft | DK | ||
JW중외제약 밝은 협곡에 눈뜨다 상 | Kael | LSB | ||
OP.GG 서치 킹 상 | Faker | T1 | ||
LG 울트라기어 최다 오브젝트 스틸 플레이어 상 | Cuzz | KT | ||
HP OMEN 실력으로 증명한 베스트 KDA 상 | Aiming | |||
BBQ 황올한 퍼스트 블러드 상 | Oner | T1 | ||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 Gumayusi | |||
베스트 쇼맨십 상 | KWANGDONG FREECS | |||
올해의 밈상 | CloudTemplar | LCK | ||
2024 | 로지텍 G 베스트 파워플레이 상 | Aiming | DK | |
골든듀 영혼의 듀오 상 | Gumayusi | T1 | ||
Keria | ||||
JW중외제약 밝은 협곡에 눈뜨다 상 | Kellin | DK | ||
무신사 STYLISH PLAY OF THE YEAR 상 | Teddy | DRX | ||
OP.GG 서치 킹 상 | Faker | T1 | ||
모두의 보훈상 | 전용준 | LCK | ||
LG 울트라기어 베스트 오브젝트 스틸러 상 | Canyon | GEN | ||
올해의 카스 퍼블 플레이어 상 | Oner | T1 | ||
Lucid | DK | |||
우리WON뱅킹 골드킹 상 | Aiming | |||
공로상 | Atlus | LCK | ||
베스트 쇼맨십 상 | Teddy | DRX | ||
LCK 썸네일이 될 상 | ShowMaker | DK | ||
LCK 글로벌 마케팅 상 | Hanwha Life Esports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20237> | League of Legends KeSPA Cup 역대 우승팀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373a3c> 2015 | 2016 | 2017 | 2018 | |
| | | | ||
ESC Ever ★ | ROX Tigers ★ | kt Rolster ★ | Griffin ★ | ||
2019 | 2020 | 2021 | 2024 | ||
| | | | ||
Afreeca Freecs ★ | DAMWON Gaming ★ | DWG KIA Challengers ★ | OKSavingsBank BRION ★ | ||
2021 케스파컵은 LCK 소속의 1군 팀들이 전부 참여하지 않았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55d9><tablebgcolor=#bf55d9> |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2015 스프링 1차 | 2015 스프링 2차 | 2015 서머 리그 1 | 2015 서머 리그 2 | |
| | | | ||
Anarchy ★ | Winners ★ | Dark Wolves ★ | Jin Air Greenwings ★ | ||
<rowcolor=#fff> 2016 스프링 | 2016 서머 | 2017 스프링 | 2017 서머 | ||
| | | | ||
ESC Ever ★ | KONGDOO MONSTER ★ | Ever8 Winners ★ ★ | CJ Entus ★ | ||
<rowcolor=#fff> 2018 스프링 | 2018 서머 | 2019 스프링 | 2019 서머 | ||
| | | | ||
Griffin ★ | DAMWON Gaming ★ | ES Sharks ★ | Team Dynamics ★ ★ | ||
<rowcolor=#fff> 2020 스프링 | 2020 서머 | ||||
| | 리그 폐지 | |||
SEORABEOL Gaming ★ ★ | AWESOME SPEAR ★ |
[1] 초대 우승[ANC] Anarchy 시절 달성.[AF] Afreeca Freecs 시절 달성.[4] Rebels Anarchy 시절에는 ANC, Afreeca Freecs 시절에는 AFs → AF, KWANGDONG FREECS 시절에는 KDF.[5] 전신이었던 NLB의 마지막 우승팀[6] 2017 SKT, kt, SSG, MVP[7] 2018 KZ, AFs, KT, SKT[8] 2019 IG, JDG, FPX, TES[9] 2025년 ~ 2027년 (예정)[10] 이 시절 최강팀인 SKT를 상대로 유일하게 상대 전적이 앞서는 팀이었으니 말 다했다.[11] 1라운드 SKT와의 경기 3세트에서는 마린이 운타라에게 솔로킬을 내주자 그것을 복구하지 못하고 팀이 우왕좌왕하다가 잘 풀어나가던 게임이 터졌다.[12] 스프링 PO 2라운드에서 말파이트와 야스오를 꺼내거나, 서머 와일드카드전에서 퀸을 기용하고 PO 2라운드 3세트에서 바루스를 보고 이즈리얼 픽을 유도한 뒤 카이사를 뽑았다.[13] 다만 팬들에 의하면 각을 보고 꼬라박는게 아니기 때문에 주사위를 굴리는건 아프리카가 아니라 이를 받아내야하는 상대팀이라고 한다.[14] 공교롭게도 그 1승의 상대가 아프리카였다.[15] 특히 1위 담원이나 DRX, 젠지에게 상성이라도 잡힌 것 마냥 완패를 당했다. 22 시즌 현재까지도 상성이 유지되는 중.[16] 물론 기복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기인과 리헨즈, 최악의 모습만 보여주며 팀을 역캐리한 뱅을 감안하면 드레드와 함께 팀 내에서 유이하게 분전하고 있는 선수라고 볼 여지도 있다.[17] 1라운드에 이긴 팀에게는 2라운드에서 지고, 1라운드에 진 팀에게는 2라운드에서 이기면서 생긴 별명이다.[18] 2라운드 때 15분 골드 리드 시 승률 100%라는 지표가 이를 여실히 보여준다.[19] 실제로 2라운드 때는 상위권 팀인 젠지나 T1을 상대로 초반부터 우세를 잡은 후 특유의 승리 패턴을 선보이며 한 세트씩 압승을 따내기도 했으며 정규 시즌 때 더블을 헌납한 DRX를 상대로는 오히려 플옵 1라운드에서 체급 차이를 바탕으로 업셋을 일궈내기도 했다.[20] 브리온에게 유일하게 더블을 허용한 팀이 바로 광동이고 DRX에게도 첫 승을 헌납하였다.[21] 이번 시즌 내의 DN 프릭스의 행보에 대해 이현우 해설이 내린 평가이며 웬만해선 공식 중계에서도 비판을 거의 안 내뱉고 최대한 옹호해주려 하는 이현우 해설이 공식에서 대놓고 DN 프릭스를 저격할 정도로 비판을 크게 했으며 그걸로도 모자랐는지 개인 방송에서도 화를 크게 내며 일갈할 만큼 DN 프릭스의 상태가 어떤지를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22] 몇 시즌 내내 어떻게든 연봉이 적은 선수를 영입해서 7~8위를 유지하며 쌀먹을 하다가 LCK로부터 직접 경고를 받았던 브리온조차도 이따금 젠지, 티원, 디플러스 기아 같은 상대적 탑독들의 발목을 비틀어 넘어뜨리는 킹슬레이어 기질을 발휘했었으며 그 이전의 시드팀들도 이현우 해설의 설명처럼 애초에 한계가 정해질 정도로 약체 팀일 수 밖에 없는 환경과 그럼에도 분전을 해왔다는 명분과 변명거리라도 존재하는 반면 DN 프릭스는 그러한 모든 것들이 전부 배제된 수준으로 못하는 걸 넘어 불가능함만 시즌 내내 성적과 경기 내용을 통해 증명했다. 이 정도면 경기력으로만 봐도 연봉지출액이 뒤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웠던 브리온의 지난 시즌들과 비교하는 것도 미안할 지경. 심지어 DN과 최악의 팀 1위를 다투는 저 두 팀의 경우는 아예 승부조작과 고의성 패배를 목적으로 범죄를 지은 탓에 제명 처분을 받아 몰락하면서 LCK 최악의 흑역사 중 하나로 전락했음을 생각하면 저 두 팀과 동급 취급을 오로지 DN 프릭스 본인들의 실력만으로 이루어냈단 점에서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23] 손민혁 코치는 센드다운 이후 재앙적인 밴픽 실력을 아낌없이 보여주며 6연패 기간 중 4패를 3셋 밴픽 미스로 알아서 던져주는 재앙력을 보여주며 CL팀을 6연패의 수렁으로 이끌었고, 결국 3위였던 CL팀은 6위까지 굴러떨어져 트라이얼 행을 받아들이고 말았다.[24] 심지어 이현우 해설이 선수로 현역이었던 것은 무려 11~13년 전이다. 리그 규모나 시스템도 미흡했고, 팀들도 선수 관리나 연습 등의 체계가 깔끔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았던 시기였음을 생각하면 그 시절의 팀과 지금의 DN 프릭스가 비교당하는 것 자체가 굴욕인 상황이다.[25] 풍연의 비판장면[26] 특히 브리온과의 경기에서는 역대 최악의 경기라고 해도 이견이 없을정도 해설진들이 경악하는 경기가 나왔다[27] 이전의 기대치 대비 못하던 팀들을 살펴보면 스토브리그부터 다사다난했거나 시즌 직전에 선수의 멘탈이 심각하게 흔들릴 정도로 큰 사건에 휘말린 경우가 있어 변명거리가 존재했다. 허나 DN은 그런것도 없었으며, 이전 사례들처럼 개선을 위한 최소한의 노력조차 보이질 않고 있다.[28] 게다가 T1 담당일진 밈이 있는 드레드의 존재까지 있어서 유난히 아프리카가 T1을 잘 잡아낸다는 이미지가 컸다.[29] 그것도 젠지전에서는 유리한 흐름을 특유의 중후반 대퍼로 홀라당 퍼주며 역전패, 담원전은 고스트의 부진으로 말랑의 정글 투입에 미드 캐니언 - 원딜 쇼메이커로 출전하는, 아프리카 입장에서 좋은 상황이 만들어졌음에도 도리어 완패하며 연이어 추태를 선보인 셈이 되었다.[30] 다만 두 경기 모두 아프리카가 불리한 순간도 많았고 겨우 역전승을 해내는 흐름이 반복되었다. 거기에 젠지와 담원이 나란히 부진했던 시기인지라 두 팀이 온전한 전력을 갖고 있었다면 완패했을 것이라는 여론이 지배적이었다.[31] 광동 팬들 입장에서 더 어이없는 건 스프링 2라운드 때 흐름이 비슷했다는 것이다. 전 상대였던 KT와 농심을 압살하며 기대를 모았지만 담원 기아와 젠지에게 손쉽게 패배하며 가라 앉는 분위기가 지속되었다. 더욱 어이없는 건 광동을 상대할 당시 담원의 분위기는 T1전 완패로 인해 좋지 못했고 젠지는 코로나로 인해 쵸비 - 룰러라는 핵심 딜러진이 빠진 급박한 상황이었다는 것. 두 팀 모두 광동을 잡고 분위기 전환에 성공했다.[32] 세트 전적 역시 13:4로 가히 압도적인 수준이다.[33] MID → TOP 포지션 변경.[34] 감독 → 총감독 → 감독 포지션 변경.[35] 코치 → 감독대행 직책 변경.[36] 코치 → 감독 → 코치 직책 변경.[37] 감독 → 코치 직책 변경.[38] 샌드박스는 카트팀과 롤팀 유튜브를 분리해 놓은 상태지만 프릭스 공식 유튜브는 롤팀만이 아니라 카트, 배그팀도 같이 다루기 때문에 롤팀만의 실질 구독자 수는 더 적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유튜브 구독자 수만 가지고 샌드박스보다 팬덤이 작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39] 정작 KT 팬덤 쪽에서는 에이밍이 해당 문제에 대해서 사실 관계가 다르다고 해명했기 때문에 아프리카 팬덤이 왜 이러는지 잘 이해하지 못했다. 게다가 KT 팬들은 2020년에 DRX 팬덤과 충돌할 일이 많아 아프리카 쪽에는 신경을 많이 쓰지도 않았다.[40] 실제로 씨맥의 합류 인터뷰가 채널 내 영상 조회수 1위를 차지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광튜브로 독립한 이후 단기간에 본 채널과 비슷한 규모의 구독자 수를 기록하는데 성공하며 팬덤 확장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41] 이러한 과정에서 서로 윈윈을 이루었는데, T1도 광동과 계속 스크림을 진행하면서 롤드컵 결승을 대비할 수 있었고 광동 역시 꾸준한 스크림 경험을 통해 스텝업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42] 가장 먹성이 좋았던 사람은 자동문 축구단으로 간 모 코치라고 한다.[43] 첫 번째, 두 번째는 삼성 갤럭시 화이트, 삼성 갤럭시 블루, 세 번째는 나진 e-mFire, 네 번째는 ROX Tigers. LCK 출신 팀까지 포함하면 CJ 엔투스도 아프리카와 동시에 교체되었다.[44] 당황한 표정을 짓는 마린 앞에서 주먹을 쥐는 짤이 발굴된 것이 원인이다. 정확히는 카드를 든 투신이 마침 얼굴 쪽에 손을 올린 마린을 바라보는 짤에서 카드와 엄지손가락을 지워 주먹을 쥔 것처럼 수정한 사진이다.[45] 쿠로와 젤리는 직관을 갔고, 에이밍은 아직 일베 논란이 끝나지 않은 상태여서 나오지 않았다.[46] 익수는 APK에 합류한 후 챌린저스 1위를 달렸고 기인은 이하 생략, 기인에게 18시즌 내내 주전에서 밀린 서밋은 샌드박스 이적후 기량이 만개했다. 심지어 2021년 2군에 합류한 일리마도 챌체탑 포스를 보여주고 있으며, 기인이 떠난 뒤 영입된 두두 역시 엄청난 폼을 선보이며 23 서머 내내 분투하는 모습을 보였다.[47] 단, 수피는 본진이 배틀그라운드 등의 FPS라 멸망전 등 배그 관련 행사가 있으면 중계를 못 하기도 한다.[48] 실제로 롤파크에 광동 제품이 협찬되고 있다.[49] 특히 T1과 DRX 베릴의 경우 각각 무리한 스트리밍 일정, 원신 등을 즐겨 하는 베릴과 맞지 않는 플랫폼으로 말이 나오는 편이다. 그나마 채팅관리 직원들은 많이 투입하고 있는 편.[50] 16 Spring, 16 Summer, 17 Summer, 18 Summer, 19 Summer, 20 Summer, 21 Spring.[51] 19시즌 8위/5위, 20시즌 6위/4위, 21시즌 9위/6위.[52] 그나마도 2022년 이전까지는 먹방으로 자리를 잡은 투신이 유일하다시피 했다.[53] 소통 방송에서 이 사실을 밝히면서 지금도 이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54] 그나마 레오의 경우 부족한 모습도 있다지만 어쨌든 전임자인 뱅보다 한결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그나마 SKT 출신으로서는 아프리카에서 나름 잘 해주고 있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여지 없이 바텀 차이가 나면서 팀의 배드 엔딩에 일조했다.[55] 다만 2017년 당시에는 단순히 진영 선택권만 걸려 있었기에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진 않았지만 5년 후인 2022년에 치러진 타이브레이커의 경우 승패 결과에 따라 플레이오프에서 상대할 팀들도 달라지는데다 각 매치에서 패배한 팀들 중 정규 시즌 순위가 더 낮은 팀이 최종 순위에서도 더 낮게 랭크되어 롤드컵 및 선발전 진출에 꽤나 디메리트로 작용하기에 꽤 중요한 매치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광동이 22시즌 스프링 때 치러진 타이브레이커에서 브리온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4위 DRX를 만나 업셋을 이룩하면서 타이브레이커 승리로 이득을 본 상황이 나오기도 했다.[56]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16~18 시즌까지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특히 아프리카에 있었을 때는 아직 개인 기량이나 플레이의 날카로움이 살아 있었을 시기였다.[57] 모함 역시 2군에서 계약 종료로 풀려났으나 아직까지 팀을 구하지 못했다.[58] 광동 프릭스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종목을 운영하고 있는 e스포츠 팀들 중 하나다.[59] 감독을 영입하지 못해 코치였던 릭비를 감독으로 올려놓고 '담원 코칭스태프의 신화를 재현하기 위해서'라고 하는 등. 하지만 릭비는 훗날 방송에서 일방적으로 감독을 하라고 통보받고 월급은 코치 시절과 그대로 받았다고 밝혔으며, 2021년 아프리카와의 계약 종료 이후 LCS에서 EG, C9의 코칭을 맡으며 2년 연속으로 담당 팀을 롤드컵에 진출시켰다.[60] 배그팀과 카트팀에 대한 투자로 인해 롤팀 투자가 뒤로 밀리면 팬덤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한다.[61] 결국 기인은 2023년 KT 롤스터로 이적했다.[62] 특히 아카데미팀의 뎁스 등에 대한 평가가 상당히 좋지 못하여, 타 종목으로 치면 2023년 2군마저 최하위 성적을 거둔 주니치 드래곤즈 급 평가를 받고 있다.[63] 채정원 대표의 사과문에서 '비계의 내용이 너무 충격적이어서 동료 직원들에게 공유하지 못했고, 현장 배제 지시를 내렸으나 직원이 부족하고 동료 직원에게 현장 배제의 이유를 설명할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복귀했다' 고 해명했는데, 많은 팬들은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