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9:08:14

김정민(2000)/선수 경력/2020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정민(2000)/선수 경력
김정민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18 ~ 2019 시즌 2020 시즌 2021 시즌

1. LCK 스토브리그/2019

11월 8일, 1년 재계약을 맺었다는 얘기가 나왔고 20일, 라스칼, 클리드, 비디디가 젠지로 합류함과 동시에 정식으로 1년 재계약을 맺었다는 소식까지 나와 2020 시즌에도 젠지에서 활동을 하게 되었다.

2.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파일:2020 LCK 스프링 라이프.png
2020 Spring "GEN Life"
파일:LCK white.png 2020 LoL Champions Korea Spring 3rd Team
2주차까지는 켈린이 나오다가 T1전 패배 이후 3주차 한화전에 첫 선발 출전하여 럼블과 세트로 준수한 모습을 보여줬다. 켈린과 주전경쟁에서 근소하게 우위를 점하였다. 더 공격적인 픽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시즌 내내 무난한 모습을 보여주며 정규 시즌 1위를 기록했고 자신은 ALL LCK 서드 팀에 등극했다. 2위인 T1의 에포트와는 3포인트 차이

지난 시즌 라칸, 그라가스와 같은 공격적인 서포터를 픽하며 라인전 강한 봇 듀오를 상대로도 정글개입 없이 킬을 따내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줬고, 솔랭에선 '만능의 돌' 세트, '만능의 돌' 바드와 같은 특이한 픽들을 주로 사용하며 대회 내내 솔랭 상위권을 오래 유지했으나, 정작 본 대회에선 탐 켄치, 브라움, 유미, 타릭같은 원딜 시팅형 서포터만 유독 고집하고 있다. 또한 다른팀에서는 미드로도 돌릴 수 있어 선호하는 픽인 노틸러스는 단 한차례도 사용하지 않았다. 때문에 본인의 장점으로 평가받던 공격성을 보여줄 기회가 거의 없었다. 본인의 선택인지 코치진의 요청인지 밝혀지진 않았으나 정규리그 1위팀 주전, LCK 서폿 서드 팀임에도 수비적인 픽으로 인해 POG 0회라는 수치는 아쉬울 따름.

결승전에서는 존재감이 거의 없었다. 1세트에는 쓰레쉬를 보고 마지막 픽으로 유미를 플레이했는데, 상대팀의 조합이 이동기가 좋은 조합이다 보니 유미 궁이 제대로 들어가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며 유미의 시야 장악의 한계 때문에 렉사이가 두 번이나 죽으며 정글 차이가 났다. 2세트에는 갈리오 서폿을 했으나 존재감이 거의 없었다. 3세트에는 볼리베어를 픽하며 칼리스타와 함께 초반에 터트리려 했으나 1차 전령 한타에서 패배하고 이후 존재감이 옅어졌으며 26분 경 칼리 - 세주 궁과 함께 자신의 궁을 사용하며 아펠리오스를 잡으려 했으나 수은, 초시계, 점멸, 보호막을 모두 쓰며 흘려냈고 결국 패배했다. 마치 작년 서머 결승전 4세트처럼 볼리베어는 존재감이 없었다.

후에 젠지 팀 영상에 올라온 바로는 유미, 질리언, 볼리베어 등의 서포터를 라이프 본인이 고집했다고 한다.

3. 2020 Mid-Season Cup

파일:라잎.jpg
2020 MSC "GEN Life"
MSC B조 1경기 징동 게이밍과의 경기에서 스프링때 한 경기도 사용하지 않은 노틸러스를 픽하였고, 초반 교전에서 좋은 플레이를 펼치며 팀의 완벽한 승리를 이끌었다. 2경기 DRX와의 경기에선 세트를 픽해 룰러의 칼리스타와 함께 세나 - 탐 켄치를 상대로 주도적으로 플레이하며 다이브를 쳐 킬을 따내는 등 초반을 잘 풀어갔으나 상대 그레이브즈의 엄청난 성장과 탈진을 들지 않아 상대 케넨의 궁극기각을 제대로 마크하지 못함으로 인해 역전패당했다. 3경기 IG를 상대로 타릭을 픽하며 미드정글의 주도권으로 게임을 크게 앞서갔으나 바론근처에서 귀환을 하다 짤리며 큰 위기를 맞았으나 다행히 경기는 승리하였다. DRX의 패배로 인해 이루어진 3팀간의 순위결정전에서 DRX와 다시 맞붙었을 땐 오랜만에 그라가스를 픽하였다. 경기가 꽤 오랜 시간 소강 상태였으나 라이프의 배치기점멸로 녹턴의 궁과 연계하여 잘큰 쵸비의 조이를 끊어내고 이후 한타를 대승으로 이끌었다. 곧바로 넥서스까지 돌격하여 4강에 진출하였다. 아쉽게 MVP는 받지 못하였다. 아쉬웠던 모습도 있었지만 스프링때 쓰지 않은 노틸러스와 그라가스로 활약하는 등 공격적인 픽을 활용하며 전체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였다.

4강 1경기 TES와의 블라인드픽에서 노틸러스를 픽했다. 카이사 - 노틸, 엘리스 - 판테온을 활용한 스노우볼 조합을 생각했던 것 같으나 오히려 초반부터 무너지며 대패, 2경기는 켈린으로 교체되었다. 2경기 패배후 3경기에 다시 투입되었는데, 밴픽 과정에서 모데카이저를 먼저 뽑아 탑인것처럼 보이게 했고 상대가 갱플랭크를 뽑자 모데카이저를 단식 세나와 함께 서폿으로 돌려 상대 서폿인 유미를 카운터치고[1] 탑에 루시안을 뽑아 탑도 카운터치는 날카로운 밴픽을 보여주었다. 라이프의 챔프폭이 얼마나 넓은지를 알 수 있었던 장면. 재키러브의 미스 포츈을 솔로킬 따내는 등 맹활약했으나 루시안이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하고, 나이트의 신드라가 미친 폼을 보여주며 게임은 패배하였다. 라스칼, 클리드, 룰러가 혹평을 받은 반면 라이프는 비디디와 함께 그래도 잘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4.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파일:life2020summer.jpg
2020 Summer "GEN Life"
파일:LCK white.png 2020 LoL Champions Korea Summer 3rd Team
서머 1주차 DRX와의 개막전을 선발로 출전했으나 노틸러스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패배, 이후 KT전에서는 켈린과 교체되었다.

2주차 담원전에서 다시 선발 기용, 시그니처 픽인 그라가스와 타릭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다음 경기인 설해원전에도 선발로 출전하며 승리를 따내는데 일조했다.

이어진 3주차에서는 또다시 켈린과 교체되며 출전하지 못했지만 4주차부터 주전으로 고정된 이후에는 계속해서 상수 이상의 미친 폼을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라인전 능력은 파트너인 룰러와 함께 룰라 듀오라고 불리며 LCK에서 가장 강력한 바텀 듀오 중 하나로 평가받을 정도로 강력함을 뿜어내는 중이다.

스프링에 지적받았던 시팅형 서포터(브라움, 유미, 탐 켄치)에 치중되었던 픽들은 서머에는 그라가스, 노틸러스, 레오나 등 이니시에이터 역할의 챔피언들로 대체되었고, 이로 인해 룰러와 함께 강력한 라인전을 통해 시즌내내 대부분의 타 팀 바텀 듀오를 상대로 라인전 우세를 점하고 듀오킬도 심심찮게 냈으며, 패배했던 1, 2위팀 담원과 DRX를 상대로도 듀오킬을 내는 등 바텀만큼은 젠지가 더 강했다는 이야기를 들을 정도로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스프링에 비해 미드 - 정글의 파워가 약해졌음에도 스프링와 동일한 승수[2]를 기록한 것은 바텀 듀오의 힘이 크다. 서폿이 이니시에이팅이 가능한 챔프를 뽑다보니 라스칼이 오른 의존도가 떨어지며 칸나에 이어 솔로킬 2위를 기록할정도로 좋은 폼을 보여주게 되었고, 스프링 2라운드부터 보였던 클리드의 이니시 부담감을 줄여주며 팀적으로 다양한 전술을 시도할 수 있는 선순환으로 이어졌다. 덕분에 스프링 0점이었던 POG포인트를 300점까지 끌어올렸다.

다만 라이프의 유일한 단점은 저평가도 아닌 '무평가'. 서포터라는 포지션의 특수성도 있고 매 경기 솔로킬을 따는 라스칼, 슈퍼 토스 등 슈퍼 플레이를 보여주며 POG 1위를 차지한 Bdd, 그냥 잘하는 룰러가 주목도를 가져가며 경기 내내 좋은 모습을 보였음에도 언급이 거의 없다시피하다. 2라운드 샌드박스와의 경기에서 스킬샷 미스로 역전한 경기를 재역전당했던 점을 제외하면 시즌 내내 저점이 상당히 높은 편이고 기복이 적은 선수라 욕이나 비판도 거의 없는 편. 1경기 단위로 폼이 왔다갔다하는 투신이나 에포트와는 정 반대과의 선수이다.

칼날비 브라움, 난입 알리스타, 서폿 그라가스같은 자신이 연구한 특이한 룬들을 사용하거나, 다른 서포터들이 쓰지않는 픽을 보여주며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프리카 프릭스와의 플레이오프 1R에서 1경기 그라가스로 1레벨 인베이드 단계에서 윗쪽으로 올라가 4:2구도를 만들며 초반부터 게임구도를 쉽게 만들었고, 2경기 칼날비 브라움을 픽하며 상대 바텀을 방패로 찍어눌렀고, 대망의 3세트에선 그라가스의 배치기로 오른의 돌진을 끊거나 궁극기로 오른의 궁극기를 끊고, 갈리오의 돌진을 끊는 등 장인다운 플레이를 보이며 당시 해설을 맡은 와디드에게 극찬을 받으며 3세트 POG로 선정되었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 DRX와의 경기에서는 시그니처픽인 그라가스와 세트등을 이용해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팀의 패배를 막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했다.

이후 LCK All-Pro Team 서드팀에 들었다. 팬들은 정규시즌에서의 활약이 워낙 뛰어났어서 세컨드팀을 노려볼만 하다는 예상이 있었지만 아쉽게도 서드팀에 만족해야만 했다.

5.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CK

이어지는 선발전에서는 세트와 브라움으로 그야말로 엄청난 활약을 펼치며 팀의 3:0 승리와 롤드컵 진출의 일등 공신이 되었다. 본인도 생애 처음으로 롤드컵 무대에 진출하게 된 것은 덤 .

6.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파일:50502552167_31a3161362_o.jpg
2020 Worlds "GEN Life"

파일:1643957827.gif

자신의 첫 롤드컵 경기인 LGD Gaming과의 경기에서 자신의 시그니처인 서폿 세트로 다시금 하드 캐리를 선보이며 그룹 스테이지 첫 승의 주역이 되었다.[3] TSM전에선 카르마 특성상 존재감은 없었고 인터뷰에서도 '쉴드만 걸어주니 이기더라'고 언급할 정도로 무난하게 승리에 기여했다. 프나틱전에선 천상계 솔로 랭크에서 화제가 되고 있던 봉풀주 점화 탈진 라칸을 선택하여 프나틱의 바텀 듀오를 상대했는데, 초반에 안일한 부쉬 체크로 라인전이 터져버리며 게임 끝까지 굴러가 결국 패배했다. 그 와중에 킬 스코어를 따라붙는 데 기여하기는 했지만 바텀 라인전이 터진 것이 너무 커서 빛이 바랬다.

그룹 스테이지 2라운드에서 탐 켄치를 두 번, 타릭을 한 번 픽하며 모두 승리했다. 특히 프나틱전의 패배가 제대로 피드백되었는지, 세나와 함께 탐 켄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후반 캐리력에 힘을 보탰고 상대인 레클레스의 세나 픽은 아펠리오스 - 타릭으로 상대하는 전략을 택하여 라인전에서 듀오 킬을 내버리며 승리에 크게 일조했다.

8강에서 역대급 저점을 찍어 아쉬운 경기력으로 롤드컵을 마무리했다. 확실히 세트를 잡았을 때와 밴당했을 때의 폼의 차이가 큰 편. 다른 팀이었다면 바로 범인으로 몰릴 법한 폼을 보여줬지만 일단 데뷔 2년차기도 하고 전통적으로 서포터의 희생에 높은 가치를 두는 젠지라서 그다지 까이지 않았고 매우 부진했던 미드 - 정글이 욕을 먹었다. 스프링부터 서머까지 보여준 성장한 폼을 바탕으로 내년을 나름 긍정적으로 바라볼수 있게되었다.

[1] 모데카이저의 궁극기를 유미가 타고있는 챔피언에게 쓰면 유미가 떨어져나온다.[2] 14승. 다만 스프링은 정규시즌 1위였으나 각기 16, 15승을 기록한 담원과 DRX에 밀려 서머는 3위를 기록하였다.[3] 그 뒤로도 한경기만 제외하면 세트가 첫픽 밴이 될 정도로 인상 깊은 모습을 보여줬다. 기본적으로도 젠지가 세트를 고르면 원딜을 제외판 나머지 라인으로도 잘 굴리는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