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전쟁 ~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혁명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기 | 복엽기 | 피아트 CR.30, 피아트 CR.32, 호크 III, I-15bis, I-153, 충-28을, 글래디에이터 mk.1, 블랙번 린콕 | ||
단엽기 | 드와틴 D.510, I-16 5식, I-16 10식, I-16 17식, 충-28갑, P-26 피슈터, Ki-36c, Ki-43c, A6Mc, Ki-61c, P-66 뱅가드, P-40C, P-40E-1, P-51 머스탱 | ||||
지원기 | 경폭격기/급강하폭격기 | DH-98 모스키토, Ki-48c, 마틴 B-10, 커티스 A-12 슈라이크, Hs 123 | |||
中폭격기 | He 111, DB-3, 투폴레프 SB, 브리스톨 봄베이 | ||||
重폭격기 | 투폴레프 TB-3, P1Yc, B-17, B-24 | ||||
공격기 | 벌티 V-11, 벌티 V-12D | ||||
프로토타입 | 훈련기 | XT-1 연교일식/옌차오이쉬(研教一式) XT-2 연교이식/옌차오알쉬(研教二式) XT-3 연교삼식/옌차오산쉬(研教三式) | |||
전투기 | XP-0 연구영식/옌추이링쉬(研驅零式/研驱零式) XP-1 연구일식/옌추이이쉬(研驅一式/研驱一式) | ||||
수송기 | C-0101 중운일호/중윤이하오(中運一號/中运一号) | ||||
폭격기 | XB-3 연굉-3/옌홍-3(研轰-3) | ||||
기타 | UC-43, C-45 Expeditor | ||||
플라잉 타이거즈 운용기체 | P-40 워호크 | ||||
소비에트 의용군 운용기체 | 전투기 | I-15bis, I-153, I-16 | |||
폭격기 | TB-3, 투폴레프 SB | ||||
윗첨자c: 노획 기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Curtiss BF2C Goshawk III |
1. 개요
비행 중인 미 해군 항공대 소속 BF2C |
"세계 최초로 랜딩기어가 접히는 복엽합재기"라는 독특한 타이틀과 더불어, 당시 기술로는 범접하기 힘들었던 여러 혁신적인 구조가 적용된 함재기라고 볼 수 있다.
본국에서의 악평 탓에, 약 166기만이 생산되었으며, 그마저도 이 중 90기는 중화민국이, 50기는 태국이 라이센스 생산한 것으로, 실상 생산된 기체는 고작 36기 남짓밖에 되질 않았다. 그러나 이 작은 수량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수출된 BF2C들은 자신보다 더욱 강력한 저익단엽기들과의 공중전에서 밀리지 않고 대활약하였으며, 제공권을 사수하는데에 큰 공을 세웠다. 태국에 수출된 BF2C의 경우, 실제 전투에서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당시 태국 공군의 부족한 전력을 보충하는데 일익을 담당했다고 평을 받는다.
2. 제원
<colbgcolor=#2f4f2f> Curtiss BF2C "Goshawk III" | |
제원 | |
개발국가 | 미국 |
개발기관 | 커티스-라이트 |
개발연도 | 1933년 ~ 1934년 |
생산기관 | 커티스-라이트, 항저우중앙항공기제조창 |
초도비행 | 1933년 5월 |
생산연도 | 1934년 10월 |
생산 댓수 | 미국: 36기 중화민국: 90기 태국: 50기 도합 166기 |
운용 연도 | 1934년 ~ 현재[1] |
운용 국가 | 중화민국 포함 4개국[2] |
전장 | 7.17m |
전폭 | 9.6m |
전고 | 3.03m |
익면적 | 24.34m² |
전비 중량 | 1,509kg |
최대 상승 고도 | 8,230m |
최대이륙중량 | 556Kg |
상승률 | BF2C-1: 13.5m/s 호크 III: 15.2m/s |
탑승 인원 | 1명 (조종수) |
엔진 | BF2C-1: 라이트 사이클론 R-1820-04 9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호크 III: 라이트 사이클론 R-1820-84 9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
최고 출력 | BF2C-1: 650hp 호크 III: 770hp |
최고 속도 | BF2C-1: 410km/h 호크 III: 450km/h |
항속 거리 | 1,167km |
주무장 | BF2C-1: 7.62mm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2정 (1,200발) 호크 III: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 (200발), 7.62mm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1정 (600발) |
폭장 | BF2C-1: 100lb AN-M30A1 폭탄 4정 호크 III: 100lb AN-M30A1 폭탄 4정, 500lb AN-M64A1 폭탄 1정 |
3. 내부
BF2C 호크 III 내부 상세도 |
우선, BF2C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단연 접이식 랜딩기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하였듯, "세계 최초로 수납식 랜딩기어를 장착한 함재전투기"라는 타이틀을 획득할 정도로 진보적인 기술이라 볼 수 있다. 이 덕에 공기저항계수를 낮출 수 있어, 실전에서 저익단엽기를 상대로도 기동성에서 밀리지 않고 외려 압도할 수 있도록 했으며, 후대 항공기들에도 해당 설계가 적용되어 항공 및 전투기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업적이라 볼 수 있다.
구동계에 대해 논하자면, BF2C가 사용하는 엔진은 라이트제 사이클론 R-1820-84 9기통 성형엔진으로, 해당 엔진은 기존 사이클론 R-1820-04 엔진의 개량형으로 R-1820-04 엔진에 비해 100마력이 증가하여 고출력을 통해 이전, 미 해군이 사용하던 BF2C와 비교하면 더 높은 최고속력과, 상승률을 낼 수 있었다.
프로펠러의 경우, 미 해군이 사용하던 BF2C은 2엽식 프로펠러를 사용했다가, 개선점을 적용한 호크 III에 와서는 3엽식 프로펠러를 사용해 더 높은 효율을 내었다.
무장의 경우, 7.62mm 브라우닝 기관총 2정을 장비하고 있었는데, 이 또한 무장 증강의 일환으로 호크 III에 와서는 좌현 기관총을 12.7mm M2 중기관총을 장비하였다. 이는 중일전쟁 당시 7.62mm 빅커스 기관총의 라이센스형인 89식 기관총을 무장으로 하고 있던 일본군과의 공중전에서 화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밖에도, 원본이 함재전투기였기에 테일후크가 달려있어 항모에서의 이착함이 매우 용이했으며, 추가적으로 지상타격 임무 수행을 위해 500파운드 폭탄 1개, 100파운드 폭탄 4개를 장비할 수 있었다.
4. 개발사
XF11C-3 |
그것은 바로, 신형 항공모함인 CV-3 새러토가와, CV-2 렉싱턴이 신규 취임하게 되었던 것으로, 이 시기 전세계적으로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허점을 노려 많은 국가에서 신형 항공모함과 함재기를 제작하고 있었기에 미 해군 항공대에서도 신형 함재기의 필요성을 의회에 어필하였다.
이것이 통과가 되면서, 커티스-라이트 社와, 보잉 社에서 서로 경합을 펼쳤으나, 당시 보잉 社에서는 F4B 함재기를 개발하며 커티스 社를 몰아내고 함재기를 지속생산하는 유일한 기업이 되었다.
이후, 1932년이 되며, 혁신적인 설계가 그루먼 社에서 등장하는데, 그것이 바로 "FF-1"이라는 이름의 신형 시제 함재기로, 해당 함재기는 랜딩기어를 기체 내로 수납할 수 있다는 어마어마한 장점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를 본 커티스 社에서도 자사 설계에 해당 방식을 적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당시 커티스에서 심혈을 기울여 개발한 F11C 고스호크를 개조하여, 해당 방식을 적용한 신형 함재기를 "XF11C-3"이라는 명칭으로 칭하게 되는데, 이후 해당 항공기의 개발이 통과되며 "BF2C"라는 이름으로 재지정되었다.
그러나 BF2C의 고난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데, 미 해군 항공대에 납품되었지만 주 특징인 수납형 랜딩기어와, 날개의 금속 프레임이 함재기로는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받게되어 고작 몇 달만에 도입이 취소되고 만다.
커티스 社에서는 잉여로 남은 재고 비행기를 어떻게 처리할까 고심하다, 반품된 기체들을 공장에서 엔진을 변경하고, 금속제 프레임의 날개를 목재 프레임과, 클라크 Y 방식 날개로 변경한 뒤, 테일후크를 제거하고, 폭탄 장착용 조인트를 장착하는 개수를 거쳐 마침내 "호크 III"라는 명칭으로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를 판매할 판매처가 없어 커티스는 난항을 겪었는데, 마침 중일전쟁이 발발하며 중국 국민당 측에서 전투기가 매우 필요해져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국민당에 BF2C를 판매하게 되었다.
실전에 투입된 BF2C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매우 대등하게 맞서 싸웠으며, 좋은 전투기임을 증명해내었다.
비록 본래 목적인 함재기로는 사용되지 못하였으나, 타국에서 빛을 발한 비행기로 평가받고 있다.
5. 형식
5.1. BF2C-1
BF2C-1 |
당시 BF2C-1은 금속 프레임의 날개와, 2엽식 프로펠러, 라이트제 사이클론 R-1820-04 엔진, 2엽식 프로펠러를 채용하고 있었으며, 해당 금속 프레임의 날개와, 접이식 랜딩기어의 수납 및 개방 문제로 몇 달만에 도입이 취소되었으며, 이후 해당 단점을 보완한 "호크 III"로 전량 개수되었다.
5.2. 호크 III
Hawk III |
커티스 사에서 해외에 판매한 BF2C는 전부 이 개수형인 호크 III이며, 중일전쟁 당시 국민당군에게 큰 도움이 되었고, 현재까지도 구국의 영웅으로 대우받는 항공기이기도 하다.
6. 파생형
6.1. 미국
6.1.1. 현대화 개수형
6.1.1.1. 호크 IV
Hawk IV |
커티스 사에서는 아르헨티나에 이를 어필하였으나, 호크 III 및 호크 II를 운용하고 있었던 아르헨티나 공군은 이에 대해 시큰둥하였으며, 결국 해당 시제기는 1기만 만들어져 아르헨티나군에 판매되었다.
7. 실전
7.1. 대전기
7.1.1. 제2차 세계 대전
7.1.1.1. 중일전쟁
중일전쟁 당시의 중화민국 공군 소속 호크 III "2509번기" |
중일전쟁 중, 호크 III가 활약한 대표적인 전장은 난징과 상하이가 있다.
특히, 상하이 전투 이후 벌어졌던 난징 전투에서도 가오지항이 이끄는 호크 III 편대가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 등, 각지에서 활약하였다.
7.1.1.1.1. 상하이 전투
상하이 전투 당시의 중화민국 공군 산하 제4대대 소속 호크 III 가오즈항 조종 기체 "IV-1번기" |
특히, 대대장이었던 가오즈항과, 그의 전용기체, "IV-1번기"의 활약이 유명한데, 가오즈항과 함께 출격한 4대대의 항공기들은 닛타 신이치 (新田 慎一) 소령의 지휘 하에 대만에서 출격해 도양폭격을 해 온 G3M 9기를 발견하고 교전을 벌였으며 이 교전에서 가오즈항은 1기를 격추, 1기를 반파시켰다.
다음날인 8월 15일에는 항공모함 카가에서 발진한 89식 함상공격기 대대와 교전을 벌여 1기를 격추시키고 두번째 기체를 공격하던 중 총탄에 피격당해 오른팔에 부상을 입은 상황에서도 끝까지 분전하여 적기들을 모두 퇴각시키는 대활약을 했다.
7.1.2. 프랑스-태국 전쟁
프랑스-태국 전쟁 시기의 타이 왕립 공군 소속 호크 III |
당시 수적 열세에 몰려있던 프랑스 공군 측에서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야간 기습 폭격을 감행하였는데, 이를 막기 위해 타이 공군 측에서는 호크 III들이 투입되었으며, 동년 11월 21일에는 프랑스 공군과 타이 공군과의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당시 새벽 시간, M.S.406 5기가 태국 나콘파놈을 선제 타격했으며, 태국군은 이에 대응하여 호크 III 2기와 콜세어 1기를 출격시켜 전투를 치렀으며, 그 결과 M.S.406 1기가 격추되었다.
1941년 1월에야 전쟁이 선포되었고, 같은 달 일본의 중재로 휴전이 이루어졌다. 태국군의 주장에 따르면 호크 III 3기를 잃은 데 반하여, 프랑스 항공기 5기를 격추했다고 밝혔다.
8. 사용 국가
8.1. 아메리카
8.1.1. 북아메리카
8.1.1.1. 미국
비행 중인 미 해군 항공대 산하 USS 레인저함 소속 BF2C-1 |
8.1.2. 남아메리카
8.1.2.1. 아르헨티나
비행중인 아르헨티나 공군 소속 호크 III 편대 |
아르헨티나에 판매된 호크 III들은 같은 시기 판매된 타사의 미제 항공기와 비교하여 크게 나은 점이 없었기에 후방 병력으로만 편제되었으며, 이후 1947년 9월 11일 전량 퇴역하였다고 한다.
8.2. 아시아
8.2.1. 동아시아
8.2.1.1. 중화민국
항일역사박물관 소장 중화민국 공군 산하 4대대 소속 호크 III 가오즈항 조종 기체 "IV-1번기" |
중일전쟁 당시 다수의 개체가 일본군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국공내전 시기까지도 몇몇 기체가 살아남아 국부천대 이후 타이완 섬에 몇몇 기체가 같이 실려갔으며, 현재는 항일역사박물관에 중화민국 공군 에이스 가오즈항이 사용하던 1기가 정태보존되어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3]
항일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중화민국 공군 소속 호크 III |
8.2.2. 동남아시아
8.2.2.1. 태국
방콕 왕립 태국 공군 박물관 소장 타이 왕립 공군 소속 10식 전투기 "KH-10번기" |
9. 미디어
9.1. 영화/드라마
9.1.1. 8.14 항공전
8.14 항공전에 묘사된 중화민국 공군 산하 4대대 21중대 소속 호크 III "IV-1번기" |
비단 IV-1번기 뿐만 아니라, 가오즈항과 같이 출격한 22중대의 유이친의 "2204번기"도 96식 지상공격기의 시선을 분산시켜 가오즈항이 96식을 격추하는데 도움을 주는 등, 대활약하였다.
9.2. 게임
9.2.1. 워 썬더
호크 III |
9.2.2. 월드 오브 워플레인
10. 참고 문헌
11.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태국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전투기 | 복엽 전투기 | <colbgcolor=#fefefe,#393b42>보잉 P-12, 10식 전투기 | ||
단엽기 | P-36 호크, Ki-27, Ki-43 하야부사 | ||||
폭격기 | 中폭격기 | 마틴 B-10, 97식 중폭격기 | |||
경폭격기 | Ki-30 | ||||
정찰기 | Ki-36, 보우트 O2U 커세어, E13A, E8N | ||||
훈련기 | Ki-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태국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 대만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만군| 중화민국 국군 (1947~현재) ]]''' 中華民國國軍 | ||
<colbgcolor=#000096> 회전익기 | <colbgcolor=#000096> '''[[무장헬기| 경헬기 ]]''' |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OH-6A 카유스■ | S-51 | |
''' 다목적 헬기 ''' | EC225 슈퍼 퓨마 | S-70(C-1/C-6) 슈퍼 블루 호크 | UH-60M 블랙 호크■ | UH-1(B/H) 휴이■ | UH-34D 초크토우■ | ||
수송헬기 | CH-47SD 치누크■ | ||
공격헬기 | AH-64E 아파치■ | AH-1W 슈퍼 코브라■ | ||
대잠헬기 | S-70C(M)-1/2 썬더호크■ | 500MD ASW■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P-51(B/C/D/K) 머스탱 | P-47(D/N) 썬더볼트 | P-40(E/K/N) 워호크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F-84G 썬더제트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A/B/C/D/G/J) 스타파이터 | F-100A 슈퍼 세이버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5E/F 중정호 | ||
4(.5)세대 | F-16(A/B) 블록 20 → F-16(C/D) 블록 70 파이팅 팰콘 | 미라주 2000-5(Ei/Di) | F-CK-1(A/B) 경국 | | ||
공격기 | |||
폭격기 | B-26(B/C) 머로더 | B-25(C/D/J) 미첼 | B-24M 리버레이터 | 모스키토 FB.26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16A | RF-5E 타이거아이 | RB-69A | RB-57(D/F) 캔버라 | RF-104 | RF-101A 부두 | RF-100A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 |
전술 | C-130H 허큘리스 | C-54(D/G)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 C-119(G/L) 플라잉 박스카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
다목적기 | C-45 익스퍼다이터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2K 호크아이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3C 오라이언 | S-2(A/E/G/T) 트래커 | P-2 넵튠 | PB4Y-2 프라이버티어 | ||
전자전기 | C-130HE | ||
''' 연락기 ''' | O-1버드 도그■ | L-5 센티넬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홍작미-(1/2)형■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예연■■클래스 3 - MALE급 등운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34C 터보 멘토 | T-CH-1 중흥호 | T-28A 트로젼 | AT-11 캔전 | AT-6 · T-6 텍산 | PL-1(A/B) 개수호■■ | |
제트 | T-BE-5A 용응 | AT-3 자강 | T-38A 탈론 | TF-104G · F-104DJ | T-33A 슈팅스타 | ||
헬기 | TH-67A 크릭■ | TH-55A 오세이지■ | ||
VIP 탑승기 | B737-8AR | 포커 50 | 비치 B1900C | B727-109 | B720-051B | VC-118 | VC-47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현대 아르헨티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르헨티나군| 아르헨티나 공화국군 (1945~현재) ]]''' Fuerzas Armadas de la República Argentina | ||
<colbgcolor=#74ACDF> 회전익기 | <colbgcolor=#74ACDF> '''[[무장헬기| 경헬기 ]]''' | MD 500D | 벨 407GXi | SA.315 라마■■ | AS555 SN 페넥■ | AW109A■ | FH-1100■ | SA.319B 알루에트 III■ | 벨 47G■■■ | S-51■ | |
''' 다목적 헬기 ''' | {H215M} | 벨 412EP | 벨 212 | Mi-171E | AS332 B 슈퍼 퓨마■ | UH-1(D/H) 휴이■■ | SA.330L 퓨마■ | UH-3H■ | S-58T | S-55■ | ||
수송헬기 | CH-47C 치누크■■ | ||
대잠헬기 | S-61D-3 시킹■ | 링스 Mk.23■ | AS-61(D/H)■ | S-58■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G.59-2A | P-36 호크 | F4U-5(N/NL) 콜세어■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세이버 | 미티어 F.4 | F9F-2 팬서■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미라주 III(BE/BJ/CJ/EA/DA) | 대거 A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 F-16(AM/BM) 블록 20 MLU 파이팅 팰콘 | ||
공격기 | A-4AR 파이팅 호크 | 쉬페르 에탕다르■ | IA 58A 푸카라 | 미라주 5P | A-4(B/C/Q■) 스카이호크 | I.Ae. 24 칼퀸 | ||
폭격기 | 캔버라 B.62 | 랭커스터 · 링컨 | B-10■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DA42■ | PA-18 슈퍼 컵 | |
전자 | L-188 ELINT■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ERJ-140LR | 사브 340 | C-212■ | 포커 F28■■ | 포커 F27 | G.222■ | DH.104 도브 | 브리스톨 프레이터 | IA 50 과라니 2 | C-47 스카이트레인■■ | DC-3■■ | DC-2■ | AS.65 콘술 | CT-32 콘도르■ | |
전술 | C-130(E/H) 허큘리스 | L-188PF 일렉트라■ | DC-6 | C-54 스카이마스터■■ | ||
수상기 | HU-16 알바트로스 | PBM 마리너■ | PBV-1A 칸소 A■ | 월러스 I■ | 사우스햄튼 Mk.3■ | G-21 구스■ | P2Y■ | J2F 덕■ | ||
다목적기 | TC-12B 휴론 | DHC-6 트윈 오터■ | 세스나 208■ | PC-6B-H2■ | 비치 B65 퀸에어■ | C-45H 익스퍼다이터■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3(B/C/N) 오라이언■ | 비치 B200 슈퍼 킹에어■ | L-188A■ | SP-2(E/H) 넵튠■ | S-2(A/E/G/T) 트래커■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130H | ||
전자전기 | EC-21A | ||
'''[[UAV| 무인기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비히아 2A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T-6C+ 텍산 II | G 120TP | EMB 312 투카노 | T-34C 터보 멘토■ | Su-29AR | T-28P 트로젼■ | SNJ-5C■ | AT-11 캔전■ | 피아트 G.46 | I.Ae. 22 DL | 프렌티스 T.1 | NA-16 | CW-16E.3■ | N2S■ | Fw 58 | |
제트 | IA 63 팜파 | 대거 B | MB-339A■ | MB-326(GB/GC)■ | 캔버라 T.64 | F9F-8T 쿠거■ | ||
헬기 | 벨 206B-3 제트레인저 III■ | UH-12ET 레이븐■ | ||
VIP 탑승기 | B757-256 | B737-76N | 세스나 550 사이테이션 II■ | S-70A | S-76B | 리어젯 35A | B707 | 카라벨 | HS.125■ | S-61R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