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일전쟁 ~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혁명군 항공병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기 | 복엽기 | CR.30, CR.32, 호크 III, I-15bis, I-153, 충-28을, 글래디에이터 mk.1, 블랙번 린콕 | ||
단엽기 | 드와틴 D.510, I-16 5식, I-16 10식, I-16 17식, 충-28갑, P-26 피슈터, Ki-36c, Ki-43c, A6Mc, Ki-61c, P-66 뱅가드, P-40C, P-40E-1, P-51 머스탱 | ||||
지원기 | 경폭격기/급강하폭격기 | DH-98 모스키토, Ki-48c, 마틴 B-10, 커티스 A-12 슈라이크, Hs 123 | |||
中폭격기 | He 111, DB-3, SB-2, 브리스톨 봄베이 | ||||
重폭격기 | TB-3, P1Yc, B-17, B-24 | ||||
공격기 | 벌티 V-11, 벌티 V-12D | ||||
프로토타입 | 훈련기 | XT-1 연교일식/옌차오이쉬(研教一式) XT-2 연교이식/옌차오알쉬(研教二式) XT-3 연교삼식/옌차오산쉬(研教三式) | |||
전투기 | XP-0 연구영식/옌추이링쉬(研驅零式/研驱零式) XP-1 연구일식/옌추이이쉬(研驅一式/研驱一式) | ||||
수송기 | C-0101 중운일호/중윤이하오(中運一號/中运一号) | ||||
폭격기 | XB-3 연굉-3/옌홍-3(研轰-3) | ||||
기타 | UC-43, C-45 Expeditor | ||||
플라잉 타이거즈 운용기체 | P-40 워호크 | ||||
소비에트 의용군 운용기체 | 전투기 | I-15bis, I-153, I-16 | |||
폭격기 | TB-3, 투폴레프 SB | ||||
윗첨자c: 노획 기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과테말라 항공병기| 과테말라 ]]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XP-1 옌추이이쉬(研驱一式) |
1. 개요
제2차 세계대전 시기 XP-0과 함께 중국[1]이 만든 최초의 전투기이다. 다만 당시 중국의 열악한 기술력과 시설로는 온전히 자체개발을 할 수 없었기에 주요 부품은 추락한 미국제 비행기에서 뜯어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미 해군 항공대의 F4U이나 독일 공군의 Ju87같은 역갈매기형 날개가 특징이다.2. 제원
무장:12.7mm 기관총 1정, 7.7mm 기관총 1정 항속거리: 1400km 최고속도: 504km/h Length: 8.72 m Wingspan: 12.1m 엔진:Wright Cyclone SGR-1820 710hp[2] |
3. 역사
군벌 중에서는 장제스의 월계군벌을 제외하고는 가장 강력한 공군력을 보유했던 광시 공군은 영국제 Avro 631 복엽기와 일본제 나카시마 91식 복엽전투기, 미츠비시 92식 복엽전투기 등 주로 영국과 일본에서 수입한 복엽기들을 보유했다. 그러나 1936년 2차 양광사변에서 리쭝런이 장제스에게 복종을 선언하면서 강력한 공군력을 보유했던 광시 공군은 월계군벌의 장제스의 손에 들어가게된다.평소부터 항공산업에 관심이 많았던 장제스는 1929년에 정부와 민간 합작으로 중국항공공사를 설립하여 국제, 국내 항공 노선을 확대하는 등 본격적으로 항공산업에 뛰어들었다. 또한 중국 공군의 강화를 위해 미국과 독일, 이탈리아, 일본, 프랑스 등 구미 항공선진국로부터 많은 항공기를 수입하는 한편, 항저우와 난징, 광저우 등에 항공기 제조창을 건설하고 미국 커티스사로부터 BF2C 호크 III 복엽전투기와 P-36 호크 단엽전투기의 라이선스를 구매해 자체적으로 생산하기도 했다. 또한 국산 항공기 설계에도 도전하여 중일전쟁 직전에는 샤먼의 해군 항공창에서 여러 종의 국산 수상정찰기를 제조하여 순양함 '닝하이'에 탑재하기도 했고, 난닝의 비행기공장에서도 ‘광시廣西’라는 연습기를 제조하였다. 물론 구식 복엽기에 불과한데다 성능도 결코 우수하다고 말할 수는 없었으나 수년 전만 해도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상황에서 이렇게 성장한 것은 분명 괄목할만한 성과였다. 이런 노력을 통해 중국은 선진 기술을 축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중국의 항공산업은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항공기 제조창과 주요 공장이 모두 동해안 연안가에 집중되어 있었기에 제일 먼저 일본에 점령당했기 때문입니다. 중일전쟁 중 중국공군은 전적으로 미국과 소련이 원조한 항공기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그 와중에도 기술 축적을 위한 노력은 있었습니다. 여기에는 저우찌아런 공군 소장이 있었다.
저우찌아런은 1941년 4월에 쿤밍에 있는 항공기 제조창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는데 그는 당시 중국에 있던 클레어 셰놀트의 협력을 얻어내 국산 전투기를 개발하기로 했다. 다만 당시 중국의 힘으로는 처음부터 모든 걸 설계 및 생산할 수는 없어서 P-36 호크를 기반으로 추락한 비행기의 잔해를 뜯어내 조립한 후 1943년 1월에 첫 시제기가 3항공창 소속으로 배치되어 쿤밍 비행장에서 처녀비행을 하게 된다.[3] 그러나 처녀비행 도중 실속하여 기체가 박살나버렸고, 새로 기체를 만들어야할 상황에 처했다. 그리고 그러는 사이에 미국으로부터 P-51 머스탱을 렌드리스로 수령해 와서 이미 구식기로 전락한 XP-1에 대한 관심은 점점 떨어졌다.[4] 이후 중일전쟁이 끝나고 국공내전을 거치면서 XP-1은 잊혀졌다.
4. 기타
이후 중국은 국공내전을 거치면서 자체적인 비행기를 만들 여력이 없어 시간이 한참 지나 국민당 정부가 아니라 공산당 정부 시절인 1956년에 최초의 고유모델 전투기인 JJ-1을 만들어 내지만 세 대만 생산되었다.[1] 당시 중화민국[2] 추락한 C-47에서 뜯어냄[3] 뜯어낸 기체는 CW-21의 꼬리 날개와 콕핏 일부, C-47의 엔진이다. 그나마 프로펠러와 랜딩기어, 날개의 형상은 중국이 직접 설계한 부분인데 프로펠러도 재활용하려 했으나 실수로 부숴먹어서 자신들이 직접 설계했다.[4] 개발진들은 이후 개량형인 XP-2를 개발하려 했지만 여러 사정이 겹쳐서 결국 만들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