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17:48:36

후루하시 쿄고


파일:버밍엄 시티 FC 로고.svg
버밍엄 시티 FC 2025-26 시즌 스쿼드
2 레어드 · 3 뷰캐넌 · 4 클라러
C
· 5 노이만 · 6 로빈슨 · 7 도일 · 8 백승호 · 9 후루하시
10 그레이 · 11 라이트 · 12 레너드 · 14 앤더슨 · 16 로버츠 · 17 다이크스 · 18 윌룸손
20 코크레인 · 21 얼솝 · 23 삼프스테드 · 24 이와타 · 25 비들 · 26 오새이새뮤얼
27 후지모토 · 28 스탠스필드 · 30 쿠마스 · 33 두크슈 · 41 카신 · 48 메이요
파일:UEFA EURO WAL.png 크리스 데이비스
{{{#423F3F {{{#!folding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후루하시 쿄고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PFA Scotland.jpg
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파일:셀틱 FC 로고.svg
파일:SFWA-logo-mast.png
베스트팀
파일:PFA Scotland.jpg
2021-22 · 2022-23
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2021-22 · 2022-23
}}} ||
파일:1000191603.jpg
<colbgcolor=#11437e><colcolor=#fff> 버밍엄 시티 FC No. 9
후루하시 쿄고
[ruby(古橋 亨梧, ruby=ふるはし きょうご)] | Kyogo Furuhashi
출생 1995년 1월 20일 ([age(1995-01-20)]세)
나라현 이코마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0cm / 체중 66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11437e><colcolor=#fff> 유스 코코쿠고등학교 (2010~2012)
주오대학 (2013~2016)
프로 FC 기후 (2017~2018)
비셀 고베 (2018~2021)
셀틱 FC (2021~2025)
스타드 렌 FC (2025)
버밍엄 시티 FC (2025~ )
국가대표 22경기 5골[1] (일본 / 2019~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1437e><colcolor=#fff> 역대 등번호 일본 대표팀 - 11, 18, 19
FC 기후 - 11
비셀 고베 - 11, 16
셀틱 FC - 8
스타드 렌 FC - 7
후원사 나이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일본 국적의 버밍엄 시티 FC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후루하시 쿄고/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루하시 쿄고/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후루하시 쿄고/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2023-match-japan-6-0-825299275.webp

2021년 3월 30일,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에서 몽골에게 2골을 넣으며 국가대표에서의 첫 득점을 올렸다. 6월 7일 오사카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에서 열린 타지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

2022년 11월 1일, 2022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 출전하는 일본 대표팀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마에다 다이젠, 우에다 아야세와는 스타일이 다른 만큼 사실상 아사노 타쿠마에게 밀린 셈이 되었는데, 분데스리가와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의 레벨 차이는 둘째치고 어쨌든 유럽파 일본 선수들 중 가장 많은 골을 기록 중인 선수를 대표팀에 뽑지 않은 것에 대해 일본 내에서 상당히 논란이 되었다.

다만 표면상으로 후루하시가 골을 많이 넣는 것은 사실이나, 정작 UEFA 챔피언스 리그나 국가대표 경기 등 조금만 수준이 높아지면 영향력이 급격히 줄어들어 왔기에 모리야스 감독 입장에서도 아무리 스코틀랜드에서 골을 많이 넣는다 한들 국가대표만 오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선수를 다른 대회도 아니고 스페인, 독일을 상대해야 하는 월드컵에 데려갈 바에야 다른 선수를 데려가는게 낫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후루하시 대신 뽑은 아사노가 조별리그 E조 1차전에서 독일을 상대로 역전골을 넣는 활약을 하자 이러한 반발은 쏙 들어가고 말았다.

K리그에서 2차례 득점왕에 오른 주민규가 대한민국 국대에 발탁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유로 외면 받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국가대표팀도 대한민국처럼 2선 자원이 강점이기 때문에 2선 자원의 공격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유형의 최전방 공격수를 원하는데 후루하시는 주민규처럼 2선의 득점 지원보다 마무리에 특화된 선수라 국가대표와 상성상 맞지 않는다. 그래서 같은 팀의 마에다 다이젠에게 국대 경쟁에서는 밀리는 걸로 짐작된다.

스코틀랜드 리그 1위와 득점 1위를 달리는 와중에도 2023년 3월 A매치에서도 일본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이 후루하시와 하타테 레오를 발탁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리그 레벨이나 놓여진 상황이 각각 다른 가운데 종합적으로 판단해 멤버를 결정했다"고 이유를 밝혔는데, 해석하기에 따라 스코틀랜드 리그의 레벨이 낮다는 뜻으로 읽힐 수도 있는 발언이라 현지에서 엄청난 파장이 일기도 했다. 일단 모리야스 감독은 월드컵에서 본인 입맛에 맞게 스쿼드를 짜가서 독일, 스페인을 잡고 크로아티아에 승부차기 끝에 석패하는 파란을 일으킨 상태라 뭐라 반박하기도 뭐한 상황. 다만 일본 대표팀의 주전 스트라이커 자리가 여전히 경쟁 상태임을 감안하면 결국 후루하시에게도 기회를 줄 것이라는 예상도 없지는 않다.

2023년 6월 A매치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오랜만에 국가대표에 승선했다. 6월 15일에 열린 엘살바도르와의 경기에서 후반에 교체 투입되어 72분에 헤더로 오랜만에 골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국가대표팀에 승선했고, 10월 17일에 열린 튀니지와의 친선 경기에서 선발 출장해 오랜만에 골을 기록했으나, 결국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대표팀 명단에는 또 포함되지 못했다.

4. 플레이 스타일

본래 J리그 시절에는 빠른 스피드와 좋은 드리블 능력을 보여주는 윙어였다. 발밑이 부드럽고 온 더 볼 능력이 좋으며, 빠른 스피드와 테크닉을 바탕으로 하는 1대1 드리블 돌파에서 매우 뛰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신체 밸런스도 좋고 볼 키핑 능력도 좋아서 잘 넘어지지 않고 공격 지역까지 볼을 안전하게 전개하며, 드리블 성공률도 높은 편.

패스도 좋은 편으로, 상술한 바디 밸런스를 활용해 버티면서 공격을 전개하는 능력이 좋다. 킥력도 좋은 편이라 종종 데드볼 키커로도 나서며, 특히 프리킥 정확도가 높다.

수비력은 공격수라서 아주 뛰어나다고 보긴 어렵지만, 활동량이 많아서 전방 압박을 성실하게 수행한다.

셀틱으로 이적한 이후에는 오프 더 볼을 바탕으로 하는 공간 창출이나 침투를 바탕으로 최전방 공격수로 기용되고 있는데, 순도 높은 골 결정력을 보여주면서 좋은 득점력을 과시하고 있다.

다만, 체격이 작은 탓에 몸싸움은 약한 편이다. 상술했듯 바디 밸런스는 뛰어난 선수라 넘어지지 않으면서 버티기는 가능하지만 그것도 상대와 체격 차이가 크지 않을 때에나 가능하고, 대놓고 피지컬로 밀어붙이는 선수를 상대로는 다소 고전하는 편.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 2021년 10월, 셀틱 FC 이적 직후 8골 1도움을 기록하고 있는 와중에 가진 인터뷰에서 "여기에서 성과를 내고 프리미어 리그에 진출하고 싶다"라고 말해 가브리엘 아그본라허 등 여러 전문가들에게 셀틱에 대한 존중이 부족하다고 비판을 받기도 했다.[4] 특히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사이 각자 축구 팀에 대해 어마어마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지에서 비판 받는 것이 당연한 부분이다. 물론 별개로 셀틱에서 뛴다는 자부심도 드러내고 있고, 활약상도 뛰어나기 때문에 셀틱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 미토마 카오루와 함께 2020년대 일본 선수들이 영국 무대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선수이기도 하다. 이전까지 유럽 스카우터들이 J리그의 기술적인 면을 높게 평가했지만 영국 무대의 거친 피지컬에 일본 선수들이 살아남을 수 있을까에 대한 의구심이 있어 이전까지는 J리그서 영국 무대로 직행한 선수들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미토마의 PL 직행, 그리고 후루하시와 함께 셀틱으로 직행한 마에다 다이젠, 레오 하타테 등의 일본 선수들이 단순히 좋은 활약을 하는 것을 넘어서 셀틱의 우승 레이스에 있어서 주축으로 활약해주면서 일본 선수들에 대한 평가가 확 올라갔다고 한다. 특히 낮은 이적료 대비 좋은 활약, 이미 기술적인 면을 유럽 축구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과 비교해도 비슷해 영국 리그, 특히 EFL에서 이후 일본 선수들을 주목하고 적극적으로 영입하기 시작한다.
  • 틱톡 리그 1 공식 채널에서 좋아하는 일본 음식 찍기 챌린지에서 스시를 매우 좋아한다며 스시만 고집하는 귀염성을 보여줬다. 영상

7. 같이 보기

파일:버밍엄 시티 FC 로고.svg
버밍엄 시티 FC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이선 레어드 Ethan Laird
3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 뷰캐넌 Lee Buchanan
4 DF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크리스토프 클라러 Christoph Klarer 주장
5 DF 파일:독일 국기.svg 필 노이만 Phil Neumann
6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잭 로빈슨 Jack Robinson
7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미 도일 Tommy Doyle [A]
8 M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승호 Paik Seung-ho
9 FW 파일:일본 국기.svg 후루하시 쿄고 Kyōgo Furuhashi
10 MF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데머레이 그레이 Demarai Gray
11 FW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콧 라이트 Scott Wright
12 MF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마크 레너드 Marc Leonard
14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케시 앤더슨 Keshi Anderson
16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패트릭 로버츠 Patrick Roberts [B]
17 FW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린든 다이크스 Lyndon Dykes
18 MF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윌룸 소르 윌룸슨 Willum Þór Willumsson
20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코크레인 Alex Cochrane
21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라이언 얼솝 Ryan Allsop
23 DF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알본스 삼프스테드 Alfons Sampsted
24 MF 파일:일본 국기.svg 이와타 토모키 Tomoki Iwata
25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비들 James Beadle [C]
26 D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브라이트 오새이새뮤얼 Bright Osayi-Samuel
27 MF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모토 칸야 Kanya Fujimoto
28 F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이 스탠스필드 Jay Stansfield
33 FW 파일:웨일스 국기.svg 루이스 쿠마스 Lewis Koumas
33 FW 파일:독일 국기.svg 마르빈 두크슈 Marvin Ducksch
41 DF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에이런 카신 Eiran Cashin [C]
48 G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래드 메이요 Brad Mayo
<colbgcolor=#1E3D8F> 구단 정보
구단주: 톰 와그너 / 감독: 크리스 데이비스 / 홈구장: 세인트 앤드루스
출처: 버밍엄 공식 홈페이지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6일

[A]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B] 선덜랜드 AFC에서 임대[C]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에서 임대[C]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에서 임대

}}}}}}}}} ||
<rowcolor=#263164>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73E5,#263164 20%,#263164 80%,#0073E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구단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스즈키 자이온
(Zion Suzuki)
2002년 8월 21일 ([age(2002-08-21)]세) 18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마 칼초 1913
12 오사코 케이스케
(Keisuke Osako)
1999년 7월 28일 ([age(1999-07-28)]세) 10 0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23 하야카와 토모키
(Tomoki Hayakawa)
1999년 3월 3일 ([age(1999-03-03)]세) 1 0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
DF 2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2000년 6월 28일 ([age(2000-06-28)]세) 15 2 파일:독일 국기.svg SV 베르더 브레멘
3 와타나베 츠요시
(Tsuyoshi Watanabe)
1997년 2월 5일 ([age(1997-02-05)]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4 이타쿠라 코
(Kō Itakura)
1997년 1월 27일 ([age(1997-01-27)]세) 37 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5 나가토모 유토
(Yuto Nagatomo)
1986년 9월 12일 ([age(1986-09-12)]세) 143 4 파일:일본 국기.svg FC 도쿄
16 세키네 히로키
(Hiroki Sekine)
2002년 8월 11일 ([age(2002-08-11)]세) 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드 랭스
22 세코 아유무
(Ayumu Seko)
2000년 6월 7일 ([age(2000-06-07)]세) 7 0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아브르 AC
25 아라키 하야토
(Hayato Araki)
1996년 8월 7일 ([age(1996-08-07)]세) 3 0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MF/FW 6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1993년 2월 9일 ([age(1993-02-09)]세) 70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7 미토마 카오루
(Kaoru Mitoma)
1997년 5월 20일 ([age(1997-05-20)]세) 27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8 미나미노 타쿠미
( Takumi Minamino)
1995년 1월 16일 ([age(1995-01-16)]세) 67 24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FC
9 우에다 아야세
(Ayase Ueda)
1998년 8월 28일 ([age(1998-08-28)]세) 31 1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0 도안 리츠
(Ritsu Dōan)
1998년 6월 16일 ([age(1998-06-16)]세) 57 10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1 마에다 다이젠
(Daizen Maeda)
1997년 10월 20일 ([age(1997-10-20)]세) 23 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13 스즈키 유이토
(Yuito Suzuki)
2001년 10월 25일 ([age(2001-10-25)]세) 2 0 파일:독일 국기.svg SC 프라이부르크
14 이토 준야
(Junya Ito)
1993년 5월 9일 ([age(1993-05-09)]세) 62 14 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15 카마다 다이치
(Daichi Kamada)
1996년 8월 5일 ([age(1996-08-05)]세) 42 1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17 후지타 조엘 치마
(Joel Chima Fujita)
2002년 2월 16일 ([age(2002-02-16)]세) 3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장크트파울리
18 마치노 슈토
(Shuto Machino)
1999년 9월 30일 ([age(1999-09-30)]세) 8 4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 오가와 코키
(Koki Ogawa)
1997년 8월 8일 ([age(1997-08-08)]세) 9 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NEC 네이메헌
20 쿠보 타케후사
(Takefusa Kubo)
2001년 6월 4일 ([age(2001-06-04)]세) 44 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소시에다드
21 사노 카이슈
(Kaishu Sano)
2000년 12월 30일 ([age(2000-12-30)]세) 6 0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24 호소야 마오
(Mao Hosoya)
2001년 9월 7일 ([age(2001-09-07)]세) 9 3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와 레이솔
26 모치즈키 헨리 히로키
(Henry Heroki Mochizuki)
2001년 9월 20일 ([age(2001-09-20)]세) 3 1 파일:일본 국기.svg FC 마치다 젤비아
27 사노 코다이
(Kodai Sano)
2003년 9월 25일 ([age(2003-09-25)]세) 1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NEC 네이메헌
일정 친선경기 2025년 9월 7일(일) 원정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2025년 9월 10일(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출처: JFA
2025년 9월 6일 기준
}}}}}}}}}}}}}}}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1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파일:세리에 A 로고.svg SERIE A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 가로형.svg
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파일:찬스 리가 로고 가로형.svg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윌리엄힐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파일:PKO 방크 폴스키 엑스트라클라사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덴마크 수페르리가 가로형 로고.svg
파일:logo-cssl-white.png
파일:알스벤스칸 로고 가로형.svg
파일:넴제티 버이녹샤그 I 로고 화이트.svg
파일:Liga I casa.png LIGA I
파일: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신 로고.jpg
파일: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 2024.png
파일:비르스리가.png
파일:베이카우스리가 로고.png
파일:BOV 몰타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이 리가.png A LYGA
파일:Telekom_Prva_CFL.png
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2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2.svg
파일:라리가 하이퍼모션 로고 화이트.svg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그 2 워드마크(2024).svg
파일:리가 포르투갈 Meu Super 로고 가로형.svg
파일:챌린저 프로 리그 로고.svg } }
파일:찬스 나로드니 리가 로고.svg
파일:FC_Sellier_&_Bellot_Vlašim.png No. -
아츠타 쇼야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1liga.png I LIGA
파일:수페레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세르비아 프르바리가.png
파일:리가 II 로고.png LIGA II
파일:위쾨스리가 로고_가로.png
파일:pirma-lyga-logo-e1590507665325.p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3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파일:리가 3 아이콘.svg
파일:폴란드 II 리가 로고.png II LIGA
파일:덴마크 세컨드 디비전 로고.png
파일:위쾨넨_white.png
}}}}}}}}}}}} ||

[1] 2024년 11월 19일 기준[2] 스코티시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가 운영하는 1~4부 리그 소속 선수 중 가장 많은 득점을 올린 선수에게 시상.[3] 성인 남성팀, 여성팀, 남성 B팀 선수들 가운데 가장 많은 득점을 올린 선수에게 시상.[4] 사실 대부분의 유럽 중소리그 선수들의 꿈은 당연히 성과를 내고 빅리그로 가는 것이기에 저 말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다. 문제는 그걸 공식 석상에서 대놓고 언급하면서 언젠가 이 팀을 떠나고 싶다고 말한게 되기 때문에 팀에 대한 존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조금 다르면서도 비슷한 사례로 이천수레알 소시에다드 입단식에서 "여기서 잘 해서 레알 마드리드 CF로 이적하겠다"라는 발언을 대놓고 했다가 현지에서 비판받은 적이 있다.[5] 나중에는 3개 정도 더 가져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