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0:37:16

츠네모토 케이고

파일:츠네모토 케이고 25-26.png
<colcolor=#ffd400> FC 바젤 No. 6
츠네모토 케이고
[ruby(常本, ruby=つねもと)] [ruby(佳吾, ruby=けいご)] | Keigo Tsunemoto
<colbgcolor=#034694> 출생 1998년 10월 21일 ([age(1998-10-21)]세)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 미나미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 체중 69kg[1]
포지션 라이트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34694><colcolor=#ffd400> 유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05~2016)
메이지대학 (2017~2020)
프로 가시마 앤틀러스 (2020~2023)
세르베트 FC (2023~2025)
FC 바젤 (2025~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1. 개요2. 클럽 경력3. 기록
3.1. 대회 기록
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일본 국적의 FC 바젤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라이트백.

2. 클럽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유스 출신이지만 톱 팀 승격에 실패하고 고교 졸업 후 메이지대학에 진학했다. 2020년 6월, 2021년부터 가시마 앤틀러스에 입단하는 것이 내정되었다. 같은 해 9월에 특별 지정 선수로 승인되었다.

2.2. 가시마 앤틀러스

2020년 11월 3일, 요코하마 F. 마리노스와의 리그 31R 경기에서 후반 79분 교체 출전하며 J1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2021년 6월 27일,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와의 리그 20R 경기에서 J1리그 데뷔골을 기록했다.

2.3. 세르베트 FC

2023년 7월 15일, 메디컬 테스트 통과 후 세르베트로의 이적을 완료했다. 계약 기간은 3년.# 이로써 가시마 소속 당시 감독이었던 르네 와일러와 재회하게 되었다.

7월 22일,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와의 리그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풀타임을 소화하며 팀의 3-1 승리를 이끌었다.

7월 25일, KRC 헹크와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전에서 선발 출전하며 유럽 대항전 데뷔전을 치렀다.

10월 5일, AS 로마와의 UEFA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 경기에 출전하며 유로파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11월 2일, FC 스타드 로잔 우치와의 스위스컵 경기에서 크리스 베디아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이적 후 첫 공격 포인트를 올렸다.

2024년 2월 1일, FC 장크트갈렌과의 리그 21R 경기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리그 30경기에 출전해 3도움을 기록했고, 스위스컵 3경기 2도움, 유럽대항전 9경기에 출전했다.

7월 24일, BSC 영 보이즈를 상대로 이적 후 첫 득점을 기록했다.

2024-25 시즌 41경기 1골 3어시를 기록했다. 팀은 리그 준우승을 했다.

2.4. FC 바젤

2025년 7월 2일, 같은 리그의 디펜딩 챔피언 팀인 FC 바젤로 이적했다.

개막전부터 선발 출전하며 주전 라이트백으로 활약 중이며 리그 3R BSC 영 보이즈와의 경기에서는 시즌 첫 도움을 기록하며 4대1 승리에 기여했다.

3. 기록

3.1. 대회 기록

4. 여담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2025-26 시즌 FC 바젤 1군 스쿼드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르빈 히츠 Marwin Hitz
3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니콜라 부유아즈 Nicolas Vouilloz
5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미하엘 랑 Michael Lang
7 M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필립 오텔 Philip otele
8 MF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코바 쿠앙드르디 Koba Koindredi [1]
9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케빈 카를로스 Kevin Carlos
10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제르단 샤키리 Xherdan Shaqiri 주장
11 FW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베니 트라오레 Bénie Traorè
13 GK 파일:스위스 국기.svg 미르코 살비 Mirko Salvi
18 MF 파일:가나 국기.svg 엠마누엘 에시암 Emmanuel Essiam
21 MF 파일:조지아 국기.svg 가브리엘 시구아 Gabriel Sigua
22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오 르루아 Léo Leroy
23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알비안 아예티 Albian Ajeti
25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핀 판 브리멘 Finn Van Breemen
27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케빈 뤼에그 Kevin Rüegg
28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보겔 Hugo Vogel
29 DF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아노 온예그불레 Adriano Onyegbule
30 FW 파일:독일 국기.svg 안톤 카데 Anton Kade
31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도미니크 슈미트 Dominick Schmid 부주장
34 MF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타울란트 자카 Taulant Xhaka 부주장
35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메오 베네이 Romeo beney
38 MF 파일:스위스 국기.svg 야니크 마르한트 Yannick Marchand
39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아를레 주니어 제 Arelet junior zè
40 MF 파일:스위스 국기.svg 리엄 치퍼필드 Liam Chipperfield
<colbgcolor=#09428f> 구단 정보
회장: 레토 바움가르트너 / 감독: 뤼도빅 마냉 / 홈구장: 장크트 야코프 파르크
출처: 공식 웹사이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7월 13일

[1] 스포르팅 CP에서 임대

}}}}}}}}} ||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1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파일:세리에 A 로고.svg SERIE A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 가로형.svg
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파일:찬스 리가 로고 가로형.svg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윌리엄힐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파일:PKO 방크 폴스키 엑스트라클라사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덴마크 수페르리가 가로형 로고.svg
파일:logo-cssl-white.png
파일:알스벤스칸 로고 가로형.svg
파일:넴제티 버이녹샤그 I 로고 화이트.svg
파일:Liga I casa.png LIGA I
파일: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신 로고.jpg
파일: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 2024.png
파일:비르스리가.png
파일:베이카우스리가 로고.png
파일:BOV 몰타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이 리가.png A LYGA
파일:Telekom_Prva_CFL.png
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2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2.svg
파일:라리가 하이퍼모션 로고 화이트.svg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그 2 워드마크(2024).svg
파일:리가 포르투갈 Meu Super 로고 가로형.svg
파일:챌린저 프로 리그 로고.svg } }
파일:찬스 나로드니 리가 로고.svg
파일:FC_Sellier_&_Bellot_Vlašim.png No. -
아츠타 쇼야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1liga.png I LIGA
파일:수페레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세르비아 프르바리가.png
파일:리가 II 로고.png LIGA II
파일:위쾨스리가 로고_가로.png
파일:pirma-lyga-logo-e1590507665325.p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3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파일:리가 3 아이콘.svg
파일:폴란드 II 리가 로고.png II LIGA
파일:덴마크 세컨드 디비전 로고.png
파일:위쾨넨_white.png
}}}}}}}}}}}} ||



[1] 세르베트 FC 공식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