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lbgcolor=#ffd600><colcolor=#0072c6> KVC 베스테를로 No. 13 | |||||||
사카모토 이사 [ruby(坂本, ruby=さかもと)] [ruby(一彩, ruby=いさ)] | Isa Sakamoto | |||||||
출생 | 2003년 8월 26일 ([age(2003-08-26)]세) |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73cm / 체중 72kg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공격형 미드필더, 윙어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ffd600><colcolor=#0072c6> 유스 | 감바 오사카 (2019~2021) | |||||
선수 | 감바 오사카 (2022~2025) → 파지아노 오카야마 (2023 / 임대) → KVC 베스테를로 (2025 / 임대) KVC 베스테를로 (2025~ ) | ||||||
링크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d600><colcolor=#0072c6> 역대 등번호 | 감바 오사카 - 13번, 32번 파지아노 오카야마 - 48번 KVC 베스테를로 - 13번 | }}}}}}}}} |
[clearfix]
1. 개요
일본 국적의 KVC 베스테를로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2. 클럽 경력
2.1. 감바 오사카
구마모토 출신으로 어릴 때 홀로 오사카에서 기숙 생활을 하며 감바 오사카 아카데미에서 축구를 배웠다.2021년 9월 16일, 2022 시즌부터의 톱 팀 승격 내정이 발표되었다.
2.1.1. 2022 시즌
2022년 3월 2일, 리그컵 예선 오이타 트리니타전에서 선발 출전해, 톱 팀 첫 출전을 완수했다. 4월 6일, 7라운드 교토 상가 FC전에 교체 출전해, J1리그 데뷔를 장식했다.[1] 6월 29일, 15라운드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J1리그 첫 득점을 결정해 승리에 공헌했다.2.1.2. 2023 시즌
2023년, 파지아노 오카야마에 기한부 이적. 2월 18일, 주빌로 이와타와의 개막전에서 이적 후 첫 득점을 결정해 승리에 공헌했다. 동갑내기 사노 코다이와 좋은 모습을 보이며 24경기 4골 1도움을 기록했다.2.1.3. 2024 시즌
2024년 J1리그 4월 한 달 동안 6경기 3골을 기록하며 4월 이달의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다.J리그 여름 휴식기 동안 AFC 아약스 리저브팀에 훈련을 받으러 갔다.
2024 시즌 공식전 43경기 11골 1도움을 기록하며 리그에서 팀을 4위로 올리며 대활약했다. 올해의 영플레이어 후보에도 올랐지만 타카이 코타가 대신 수상했다.[2]
2.2. KVC 베스테를로
2.2.1. 2024-25 시즌
시즌 종료 후 해외 이적을 전제로 팀을 이탈했다는 오피셜이 올라왔다. 2025년 1월 12일, KVC 베스테를로로 임대됐으며 이후 3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이적 후 곧바로 로열 앤트워프 FC와 리그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며 유럽 리그 데뷔전을 가졌다. 다음 리그 경기인 KRC 헹크전에서는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 출전했고 데뷔골까지 넣었다. 이어서 KV 코르트레이크 전에 선발 출전하여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스탕다르 리에주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리그 2호골을 넣었다. 이어서 다음 경기인 세르클러 브뤼허 KSV와의 경기에서도 골을 기록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예선 경기에서 요르단을 상대로 해트트릭을 달성했다. 이후 본선에서 5경기 2골을 넣으며 활약했다.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에 참가했으나 많이 뛰지는 못했다. 조별리그 3차전 이스라엘을 상대로 처음으로 선발 출전했고 선제골까지 넣었으나 팀은 역전패를 당했고 조별리그까지 탈락했다.
4. 플레이 스타일
|
역시 최대 장점은 준수한 기동력을 바탕으로 좋은 움직임을 가져가며 골을 생산하는 능력이며 동나이대인 사노 코다이나 마츠키 쿠류에 비하면 종합적인 오버롤 자체는 아쉽지만 프로 데뷔 이후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