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2:30:09

스즈키 유이토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 프라이부르크 2025-26 시즌 스쿼드
1 아투볼루 · 3 린하르트 · 5 · 6 오스터하게 · 7 셰르한트 · 8 에게슈타인 · 9 횔러 · 11 체레 · 14 스즈키 · 17 퀴블러 · 18 딩치 · 19 베스테 · 20 아다무 · 21 뮐러 · 22 이리에 · 24 후트 · 26 필리프 · 27 회플러 · 28 긴터 · 29 트로이 · 30 [[크리스티안 귄터|귄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521; font-size: .8em"]] · 31 마타노비치 · 32 [[빈첸초 그리포|그리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521; font-size: .8em"]]ㆍ33 마켕고 · 34 · 37 로젠펠더 · 42 도안 · 43 오그부스 · 44 만잠비
파일:독일 국기.svg 율리안 슈스터
*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1000181433.jpg
<colbgcolor=#e40521><colcolor=#fff> SC 프라이부르크 No. 14
스즈키 유이토
[ruby(鈴木, ruby=すずき)] [ruby(唯人, ruby=ゆいと)] | Yuito Suzuki
출생 2001년 10월 25일 ([age(2001-10-25)]세)
가나가와현 미우라군 하야마마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 체중 70kg
포지션 미드필더[1],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e40521><colcolor=#fff> 유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011~2013)
하야마정립하야마중학교 (2014~2016)
시립후나바시고등학교 (2017~2019)
선수 시미즈 S펄스 (2020~2023)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2023 / 임대)
브뢴뷔 IF (2023~2025)
SC 프라이부르크 (2025~ )
국가대표 3경기[2] (일본 / 2024~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40521><colcolor=#fff> 역대 등번호 일본 대표팀 - 20
시미즈 S펄스 - 23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 18
브뢴뷔 IF - 28
SC 프라이부르크 - 14
후원사 나이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둘러보기

1. 개요

일본 국적의 SC 프라이부르크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키 유이토/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즈키 유이토/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즈키 유이토/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2022년 1월, 20세의 나이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2022 U-23 아시안컵에 일본 대표로 출전해 3골을 기록하며 대회 최다 득점 공동 1위에 올랐다.[3]

2024년 6월 6일, 2026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B조 5차전 2경기 미얀마전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도안 리츠와 교체 출전하며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4. 플레이 스타일


폭발적인 스피드에 킥력까지 갖춘 미드필더 겸 공격수.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왼발도 수준급으로 사용 가능하다. 신인 시절부터 기술이 뛰어나고 시야가 넓은 만능형 어태커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J리그 시절에는 공격 포인트를 그닥 많이 기록하지 못했는데, 덴마크 리그 이적 이후 기량이 만개해 공격 포인트 생산 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5. 둘러보기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SC 프라이부르크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독일 국기.svg GK 노아 아투볼루 Noah Atubolu
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DF 필리프 린하르트 Philipp Lienhart
5 파일:독일 국기.svg DF 안토니 융 Anthony Jung
6 파일:독일 국기.svg MF 파트리크 오스터하게 Patrick Osterhage
7 파일:독일 국기.svg FW 데리 셰르한트 Derry Scherhant
8 파일:독일 국기.svg MF 막시밀리안 에게슈타인 Maximilian Eggestein
9 파일:독일 국기.svg FW 루카스 횔러 Lucas Höler
11 파일:가나 국기.svg FW 다니엘코피 체레 Daniel-Kofi Kyereh
13 파일:독일 국기.svg MF 노아 바이스하우프트 Noah Weißhaupt
14 파일:일본 국기.svg MF 스즈키 유이토 Yuito Suzuki
17 파일:독일 국기.svg DF 루카스 퀴블러 Lukas Kübler
1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FW 에렌 딩치 Eren Dinkçi
19 파일:독일 국기.svg FW 얀니클라스 베스테 Jan-Niklas Beste
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W 주니오르 아다무 Junior Adamu
21 파일:독일 국기.svg GK 플로리안 뮐러 Florian Müller
22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FW 시리아크 이리에 Cyriaque Irié
24 파일:독일 국기.svg GK 야니크 후트 Jannik Huth
26 파일:독일 국기.svg FW 막시밀리안 필리프 Maximilian Philipp
27 파일:독일 국기.svg MF 니콜라스 회플러 Nicolas Höfler
28 파일:독일 국기.svg DF 마티아스 긴터 Matthias Ginter
29 파일:독일 국기.svg DF 필리프 트로이 Philipp Treu
30 파일:독일 국기.svg DF 크리스티안 귄터 Christian Günter 주장
3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FW 이고르 마타노비치 Igor Matanović
3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빈첸초 그리포 Vincenzo Grifo
33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조르디 마켕고 Jordy Makengo
34 파일:독일 국기.svg MF 메를린 뢸 Merlin Röhl
37 파일:독일 국기.svg DF 막스 로젠펠더 Max Rosenfelder
3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W 미하엘 그레고리치 Michael Gregoritsch
43 파일:스위스 국기.svg DF 브루노 오그부스 Bruno Ogbus
44 파일:스위스 국기.svg MF 요한 만잠비 Johan Manzambi
<colbgcolor=#e40521> 구단 정보
구단주: 에버하르트 푸크만 / 감독 : 율리안 슈스터 / 구장 :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8월 17일
}}}}}}}}} ||

<rowcolor=#263164>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73E5,#263164 20%,#263164 80%,#0073E5); color:#ffc22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구단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스즈키 자이온
(Zion Suzuki)
2002년 8월 21일 ([age(2002-08-21)]세) 18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마 칼초 1913
12 오사코 케이스케
(Keisuke Osako)
1999년 7월 28일 ([age(1999-07-28)]세) 10 0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23 하야카와 토모키
(Tomoki Hayakawa)
1999년 3월 3일 ([age(1999-03-03)]세) 1 0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마 앤틀러스
DF 2 스가와라 유키나리
(Yukinari Sugawara)
2000년 6월 28일 ([age(2000-06-28)]세) 15 2 파일:독일 국기.svg SV 베르더 브레멘
3 와타나베 츠요시
(Tsuyoshi Watanabe)
1997년 2월 5일 ([age(1997-02-05)]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4 이타쿠라 코
(Kō Itakura)
1997년 1월 27일 ([age(1997-01-27)]세) 37 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5 나가토모 유토
(Yuto Nagatomo)
1986년 9월 12일 ([age(1986-09-12)]세) 143 4 파일:일본 국기.svg FC 도쿄
16 세키네 히로키
(Hiroki Sekine)
2002년 8월 11일 ([age(2002-08-11)]세) 1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타드 드 랭스
22 세코 아유무
(Ayumu Seko)
2000년 6월 7일 ([age(2000-06-07)]세) 7 0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아브르 AC
25 아라키 하야토
(Hayato Araki)
1996년 8월 7일 ([age(1996-08-07)]세) 3 0 파일:일본 국기.svg 산프레체 히로시마
MF/FW 6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1993년 2월 9일 ([age(1993-02-09)]세) 70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7 미토마 카오루
(Kaoru Mitoma)
1997년 5월 20일 ([age(1997-05-20)]세) 27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8 미나미노 타쿠미
( Takumi Minamino)
1995년 1월 16일 ([age(1995-01-16)]세) 67 24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FC
9 우에다 아야세
(Ayase Ueda)
1998년 8월 28일 ([age(1998-08-28)]세) 31 1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0 도안 리츠
(Ritsu Dōan)
1998년 6월 16일 ([age(1998-06-16)]세) 57 10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1 마에다 다이젠
(Daizen Maeda)
1997년 10월 20일 ([age(1997-10-20)]세) 23 4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13 스즈키 유이토
(Yuito Suzuki)
2001년 10월 25일 ([age(2001-10-25)]세) 2 0 파일:독일 국기.svg SC 프라이부르크
14 이토 준야
(Junya Ito)
1993년 5월 9일 ([age(1993-05-09)]세) 62 14 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15 카마다 다이치
(Daichi Kamada)
1996년 8월 5일 ([age(1996-08-05)]세) 42 1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리스탈 팰리스 FC
17 후지타 조엘 치마
(Joel Chima Fujita)
2002년 2월 16일 ([age(2002-02-16)]세) 3 0 파일:독일 국기.svg FC 장크트파울리
18 마치노 슈토
(Shuto Machino)
1999년 9월 30일 ([age(1999-09-30)]세) 8 4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 오가와 코키
(Koki Ogawa)
1997년 8월 8일 ([age(1997-08-08)]세) 9 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NEC 네이메헌
20 쿠보 타케후사
(Takefusa Kubo)
2001년 6월 4일 ([age(2001-06-04)]세) 44 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소시에다드
21 사노 카이슈
(Kaishu Sano)
2000년 12월 30일 ([age(2000-12-30)]세) 6 0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24 호소야 마오
(Mao Hosoya)
2001년 9월 7일 ([age(2001-09-07)]세) 9 3 파일:일본 국기.svg 가시와 레이솔
26 모치즈키 헨리 히로키
(Henry Heroki Mochizuki)
2001년 9월 20일 ([age(2001-09-20)]세) 3 1 파일:일본 국기.svg FC 마치다 젤비아
27 사노 코다이
(Kodai Sano)
2003년 9월 25일 ([age(2003-09-25)]세) 1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NEC 네이메헌
일정 친선경기 2025년 9월 7일(일) 원정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2025년 9월 10일(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출처: JFA
2025년 9월 6일 기준
}}}}}}}}}}}}}}}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1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파일:세리에 A 로고.svg SERIE A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파일:에레디비시 로고(화이트).svg
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 가로형.svg
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파일:찬스 리가 로고 가로형.svg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윌리엄힐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파일:PKO 방크 폴스키 엑스트라클라사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덴마크 수페르리가 가로형 로고.svg
파일:logo-cssl-white.png
파일:알스벤스칸 로고 가로형.svg
파일:넴제티 버이녹샤그 I 로고 화이트.svg
파일:Liga I casa.png LIGA I
파일: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신 로고.jpg
파일: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 2024.png
파일:비르스리가.png
파일:베이카우스리가 로고.png
파일:BOV 몰타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이 리가.png A LYGA
파일:Telekom_Prva_CFL.png
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 로고 화이트.sv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2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스카이 벳 EFL 챔피언십 로고 가로형2.svg
파일:라리가 하이퍼모션 로고 화이트.svg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파일:리그 2 워드마크(2024).svg
파일:리가 포르투갈 Meu Super 로고 가로형.svg
파일:챌린저 프로 리그 로고.svg } }
파일:찬스 나로드니 리가 로고.svg
파일:FC_Sellier_&_Bellot_Vlašim.png No. -
아츠타 쇼야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가로형) 로고.svg
파일:1liga.png I LIGA
파일:수페레탄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세르비아 프르바리가.png
파일:리가 II 로고.png LIGA II
파일:위쾨스리가 로고_가로.png
파일:pirma-lyga-logo-e1590507665325.p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3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파일:리가 3 아이콘.svg
파일:폴란드 II 리가 로고.png II LIGA
파일:덴마크 세컨드 디비전 로고.png
파일:위쾨넨_white.png
}}}}}}}}}}}} ||

[1] 공격형 미드필더, 우측 미드필더[2] 2025년 9월 10일 기준[3] 당시 대회 득점왕은 최다 득점 공동 1위 5명 중 출전 시간이 가장 적었던 조영욱이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