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03:07:29

미하엘 랑

파일:FCB_spielerbilder_2223_web_Michael_Lang.png
<colbgcolor=#0c3785> FC 바젤 No. 5
미하엘 랑
Michael Lang
본명 미하엘 리코 랑
Michael Rico Lang
출생 1991년 2월 8일 ([age(1991-02-08)]세)
스위스 에히나흐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조건 185cm / 체중 79kg
포지션 라이트백, 센터백, 미드필더
소속 <colbgcolor=#0c3785> 유스 FC 장크트갈렌 (2000~2006)
선수 FC 장크트갈렌 (2006~2011)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11~2015)
FC 바젤 (2015~2018)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018~2021)
SV 베르더 브레멘 (2019~2020 / 임대)
FC 바젤 (2021~ )
국가대표 31경기 3골 (스위스 / 2013~ )

1. 개요2. 클럽 경력
2.1. FC 바젤
2.1.1. 2017-18 시즌
2.2.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2.1. 2018-19 시즌2.2.2. SV 베르더 브레멘 (임대)
2.2.2.1. 2019-20 시즌
2.2.3. 2020-21 시즌
2.3. FC 바젤 2기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같이 보기

1. 개요

스위스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라이트백이다.

2. 클럽 경력

FC 장크트갈렌 유스 출신으로, 16살의 어린 나이에 프로 첫 경기를 치를 정도로 구단에서 기대하는 유망주였으며, 스위스 슈퍼리그 역사상 최연소 데뷔 선수였다.

2011년,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로 4년 계약을 맺고 이적했다. 그리고 4년간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강호 FC 바젤의 야성을 무너트리고 스위스 컵 우승에 기여하기도 했다.

2.1. FC 바젤

2015년 6월 1일, 취리히에서의 인상적인 활약에 감명을 받은 바젤은 자유계약으로 랑을 데려오는 데 성공한다. 첫 시즌부터 우르스 피셔의 신임을 받아 주전으로 낙점받으며 바젤의 리그 우승을 도왔고 다음 시즌에는 팀이 도메스틱 더블을 달성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2.1.1. 2017-18 시즌

2017-18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6차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윙백’으로 출전했으며 경기 막판 바젤의 1:0 승리를 이끄는 결승골을 넣었다. 이 골이 없었더라도 2위로 16강에는 진출할 수 있었지만 조별리그 4승 2패로 괜찮은 성과의 주역이 된다.

그런데 곧이은 2017-18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 2차전에서 형제 맨체스터 시티와의 경기에서도 ‘윙백’으로 출전하여 71분 경 바젤의 2:1 승리를 이끄는 결승골을 넣었다. 그러나 1차전 0:4 대패를 했기 때문에 큰 의미가 있지는 않았다.

그러나 수비수로서 기록한 대회 2골이 모두 맨체스터 형제에게 기록한 결승골이라는 것이 인상깊은 점이다.

2.2.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2.2.1. 2018-19 시즌

바젤로부터 단 3.5M 유로에 영입된다.

27살로 젊은 나이는 아니지만, 베테랑으로서 팀에 충분한 경험과 리더십을 줄 수 있는 영입으로 평가되었다. 실력 면에서도 월드컵과 유럽대항전 등 국제대회 경험을 통해 증명되었기도 했다.

하지만 좋은 모습을 보이진 못했고, 후반기엔 2000년생 루이스 바이어에게 밀리는 모습도 보여줬다.

2.2.2. SV 베르더 브레멘 (임대)

2.2.2.1. 2019-20 시즌
1시즌간 임대를 떠났다. 엄청난 수비 호러쇼로 주전 자리에서 밀려 거의 출전 기회조차 잡지 못하고 글라트바흐로 복귀하였다.

2.2.3. 2020-21 시즌

시즌 초부터 전력 외 선수로 분류되며 DFB 포칼 2경기와 UEFA 챔피언스 리그 1경기 출전에 그쳤고, 리그는 단 한 경기도 나서지 못했다. 좁은 입지 때문에 시즌 종료 후 이적이 예상된다.

2.3. FC 바젤 2기

2021년 7월 19일, 결국 친정팀 바젤로 복귀했다. 계약 기간은 2년.

2023년 4월 11일, 2025년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3. 국가대표 경력

A매치 경력을 2013년 8월경 브라질과의 친선경기로 시작한다.

2013년 10월에 있던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알바니아를 상대로 국가대표 데뷔골을 기록하고 이 골이 결국 승리를 결정한다. (2:1 승리의 두번째 골) 이 승리로 인해 스위스는 2014 월드컵 행을 확정한다.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 차출된 그는 조별예선 온두라스 전에서만 짧은 시간동안 출전한다.

그리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서는 16강 스웨덴전에 대회 첫 출전을 한다.

경기 막판의 마누엘 아칸지의 실수로 자책골 비슷한 선제실점으로 0:1로 뒤지던 상황에서 당연히 닥공을 꺼낼 수밖에 없던 스위스.

그러나 모든 선수들이 전진하고 있다가 위험한 역습을 당하고 만다. 자칫 잘못하면 상대 공격수와 골키퍼 1대1 상황이 될 수도 있었다. 윙백으로 나온 랑이 사력을 다해 끝까지 공격수를 쫓아갔다. 당연히 커팅 내지 파울 이라도 써서 막아내야 마땅했던 상황이었다. 결국 페널티 박스 바로 바깥인지 애매한 지역에서 미세하게 상대 공격수와 접촉하며 넘어뜨리고 만다.

그리고 심판은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고의성이 있다고 보고 PK와 다이렉트 레드를 준다.[1]

VAR로 돌려본 결과 레드는 유지, 그리고 위치는 페널티 박스 바로 바깥으로 확인되어 프리킥이 주어졌다.

추가시간 거의 막바지였던만큼 프리킥으로 실점을 하면 바로 골로 가는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그러진 않았다. 그래도 이후 곧바로 경기가 끝나며 스위스는 16강에 그치고 만다.

4. 플레이 스타일

기본적으로 오른쪽 측면 수비수이지만 볼을 키핑하는 능력이 있고 제공권에 강해 센터백도 소화할 수 있다. 다만 크로스 질은 그리 좋지 못한 편이고, 태클에도 약점이 있다.

5.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2025-26 시즌 FC 바젤 1군 스쿼드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스위스 국기.svg 마르빈 히츠 Marwin Hitz
3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니콜라 부유아즈 Nicolas Vouilloz
5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미하엘 랑 Michael Lang
7 M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필립 오텔 Philip otele
8 MF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코바 쿠앙드르디 Koba Koindredi [1]
9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케빈 카를로스 Kevin Carlos
10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제르단 샤키리 Xherdan Shaqiri 주장
11 FW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베니 트라오레 Bénie Traorè
13 GK 파일:스위스 국기.svg 미르코 살비 Mirko Salvi
18 MF 파일:가나 국기.svg 엠마누엘 에시암 Emmanuel Essiam
21 MF 파일:조지아 국기.svg 가브리엘 시구아 Gabriel Sigua
22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오 르루아 Léo Leroy
23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알비안 아예티 Albian Ajeti
25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핀 판 브리멘 Finn Van Breemen
27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케빈 뤼에그 Kevin Rüegg
28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보겔 Hugo Vogel
29 DF 파일:독일 국기.svg 아드리아노 온예그불레 Adriano Onyegbule
30 FW 파일:독일 국기.svg 안톤 카데 Anton Kade
31 DF 파일:스위스 국기.svg 도미니크 슈미트 Dominick Schmid 부주장
34 MF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타울란트 자카 Taulant Xhaka 부주장
35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메오 베네이 Romeo beney
38 MF 파일:스위스 국기.svg 야니크 마르한트 Yannick Marchand
39 FW 파일:스위스 국기.svg 아를레 주니어 제 Arelet junior zè
40 MF 파일:스위스 국기.svg 리엄 치퍼필드 Liam Chipperfield
<colbgcolor=#09428f> 구단 정보
회장: 레토 바움가르트너 / 감독: 뤼도빅 마냉 / 홈구장: 장크트 야코프 파르크
출처: 공식 웹사이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7월 13일

[1] 스포르팅 CP에서 임대

}}}}}}}}} ||

[1] 규정 개정으로 다이렉트 레드 + PK 동시부여는 안되도록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