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 ||||
카를 1세 | 루트비히 1세 | 로타르 1세 | 루트비히 2세 | 카를 2세 | |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 비도 왕조 | 카를 왕조 | 보조 왕조 | ||
카를 3세 | 비도 | 람베르트 | 아르눌프 | 루트비히 3세 | |
운루오히 왕조 | 오토 왕조 | ||||
베렝가르 | 오토 1세 | 오토 2세 | 오토 3세 | 하인리히 2세 | |
잘리어 왕조 | 주플린부르크 왕조 | ||||
콘라트 2세 | 하인리히 3세 | 하인리히 4세 | 하인리히 5세 | 로타르 3세 | |
호엔슈타우펜 왕조 | 벨프 왕조 | 호엔슈타우펜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
프리드리히 1세 | 하인리히 6세 | 오토 4세 | 프리드리히 2세 | 하인리히 7세 | |
비텔스바흐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루트비히 4세 | 카를 4세 | 지기스문트 | 프리드리히 3세 | 막시밀리안 1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
카를 5세 | 페르디난트 1세 | 막시밀리안 2세 | 루돌프 2세 | 마티아스 | |
합스부르크 왕조 | |||||
페르디난트 2세 | 페르디난트 3세 | 레오폴트 1세 | 요제프 1세 | 카를 6세 | |
비텔스바흐 왕조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카를 7세 | 프란츠 1세 | 요제프 2세 | 레오폴트 2세 | 프란츠 2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토 1세 | 오토 2세 | 오토 3세 | 하인리히 2세 | 콘라트 2세 |
하인리히 3세 | 하인리히 4세 루돌프 헤르만 | 콘라트 | 하인리히 5세 | 로타르 3세 | |
콘라트 3세 하인리히 | 프리드리히 1세 | 하인리히 6세 | 프리드리히 2세 | 필리프 오토 4세 | |
프리드리히 2세 | 하인리히 | 콘라트 4세 하인리히 빌헬름 | 리하르트 알폰스 | 루돌프 1세 | |
아돌프 | 알브레히트 1세 | 하인리히 7세 | 루트비히 4세 프리드리히 | 카를 4세 귄터 | |
벤첼 | 루프레히트 | 지기스문트 요프스트 | 알브레히트 2세 | 프리드리히 3세 | |
막시밀리안 1세 | 카를 5세 | 페르디난트 1세 | 막시밀리안 2세 | 루돌프 2세 | |
마티아스 | 페르디난트 2세 | 페르디난트 3세 | 페르디난트 4세 | 레오폴트 1세 | |
요제프 1세 | 카를 6세 | 카를 7세 | 프란츠 1세 | 요제프 2세 | |
레오폴트 2세 | 프란츠 2세 |
}}}}}} ||
신성 로마 제국 잘리어 왕조 제2대 황제 하인리히 3세 Heinrich III | |||
<colbgcolor=#ffcc20><colcolor=black> 제호 | 하인리히 3세 (Heinrich III) | ||
출생 | 1017년 10월 28일 | ||
미상 | |||
사망 | 1056년 10월 5일 (향년 39세) | ||
보드펠트 | |||
재위기간 | 신성 로마 황제 | ||
1046년 12월 25일 ~ 1056년 10월 5일 | |||
이탈리아 국왕, 부르군트 국왕 | |||
1039년 6월 4일 ~ 1056년 10월 5일 | |||
로마왕 | |||
1028년 4월 14일 ~ 1056년 10월 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cc20><colcolor=#000> 배우자 | 덴마크의 군힐다[1] (1036년 결혼 / 1038년 사망) | |
푸아투의 아그네스 (1043년 결혼) | |||
자식 | 베아트릭스, 아델하이트, 기셀라, 마틸다, 하인리히 4세, 콘라트, 유디트 | ||
아버지 | 콘라트 2세 | ||
어머니 | 슈바벤의 기셀라 | ||
형제 | 마틸다 | }}}}}}}}} |
[clearfix]
1. 개요
독일어: Heinrich III. (하인리히 3세)이탈리아어: Enrico III (엔리코 3세)
라틴어: Henricus III (헨리쿠스 3세)
신성 로마 제국의 17대 황제이자 잘리어 왕조의 2대 황제.
짧은 10년의 치세 동안 헝가리 왕국과 보헤미아 공국을 복속시켰으며 3명의 대립교황을 황제의 힘으로 추방시키고 허수아비 교황을 세워 교회를 지배, 이후에도 3명의 교황을 순차적으로 갈아치워 황제의 교황 지배권이 절정에 달했다.
2. 생애
하인리히 3세의 첫 가정교사는 아우크스부르크의 주교 브루노였다. 1029년에 브루노가 죽자 프라이징의 주교 앵겔베르트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1033년 16살의 나이에 하인리히는 성년이 되었고 앵겔베르트는 그의 서비스를 보상받았다. 1035년 케른텐의 공작 아달베로가 콘라트 2세에 의해 자리에서 쫓겨났다. 그러나 앵겔베르트는 하인리히에게 이 부당함을 거부하고, 왕이 했던 것처럼 하지 않는다면 퇴위를 하지 않고 제후들이 하인리히를 왕으로 선출한다고 설득했다. 그는 아버지가 했던 행동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앵겔베르트와 약속했다. 그리고 콘라트 2세는 하인리히가 태도를 바꿔 많은 시도를 하자 다음에 충격을 받아 실신했다. 회복된 다음에 콘라트는 아들에게 무릎을 꿇고 정밀하게 합의했다. 결국 앵겔베르트는 황제에게 처벌을 받았다.1036년 크누트 대왕과 노르망디의 엠마의 딸인 덴마크의 군힐다와 결혼했다. 초기에 콘라트 2세는 크누트와 북독일의 일부 지방을 크누트가 다스리고 그들의 자식들을 결혼시키자고 합의했다. 두 사람은 법정 나이에서 가장 빠를 때에 네이메헌에서 결혼했다. 1038년에 하인리히는 아버지의 원조로 이탈리아로 갔는데 돌아올 때 군힐다가 아드리아 해안에서 죽었다. 1039년에 역시 아버지 콘라트 2세도 사망해 하인리히 3세가 황제가 되었다.
하인리히 3세는 그의 통치 첫 해를 영토 순방으로 보냈다. 그는 상하 로트링겐의 공작인 고셀로에게 존경을 받기 위해 저지대를 방문했다. 쾰른에서는 작센에서 그와 동행했던 대주교 헤르만 2세와 합류했다. 튀링겐에서 마이센 변경백 에케하르트 2세를 만날 때는 군대를 이끌고 갔다. 보헤미아 대사가 인질을 부담해 하인리히 3세를 달랬으며 그는 군대를 해산시킨 뒤에 뒤에 순방을 계속했다. 그는 부르고뉴 대사와 밀라노 대주교 아리베르트에게 인정받은 후에 잉겔하임으로 돌아왔다. 아리베르트와의 평화는 제국의 유일한 상처를 치유해 주었다. 1039년, 영토를 순방하고 있을 때에 케른텐 공작인 콘라트 2세가 자식을 남기지 못하고 죽었다. 가까운 친적인 하인리히가 자동으로 케른텐 공국을 상속받게 되었다. 하인리히 3세는 이제 바이에른, 슈바벤, 케른텐의 공작이 되었으며 독일, 부르고뉴,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 되었다.
1046년, 수트리 종교 회의에서 하인리히 3세는 교황 클레멘스 2세를 압박하여 성직 매매 단속을 결의하게 하였다. 그리고 1049년에는 자신이 지지하던 툴 주교 브루노를 교황 레오 9세로 옹립하는 등 강력한 황권을 휘둘렀다. 레오 9세는 후에 그레고리오 7세로 즉위하는 힐데브란트를 중용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한다. 그리고 1056년, 하인리히 3세가 사망하고 어린 하인리히 4세가 모후 아그네스의 섭정 하에 있게 되자 1059년, 교황 니콜라오 2세는 칙령을 발표하여 <오토 대제의 특권>이라 불리던 교황 선출권을 빼앗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