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정보]]#!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wiki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 |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26學年度 大學修學能力試驗 2026 School Yea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
| 일시 | 2025년 11월 13일 | |
| 접수자 수 | 총 554,174명 | |
| 재학생 | 371,897명 (67.1%) | |
| 졸업생 | 159,922명 (28.9%) | |
| 검정고시 기타 | 22,355명 (4.0%) | |
| 링크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발표[1]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 발표[2] | |
1. 개요2. 6월 모의평가 (2025. 6. 4.)3. 9월 모의평가 (2025. 9. 3.)4. 대학수학능력시험 (2025. 11. 13.)5. 논란 및 사건 사고6. 정보7. 주요 영역 자료 및 통계8. 의견9. 여담10. 항공 통제11.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11월 13일에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은 2025년 12월 5일에 통보된다. 당해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의 대부분인 2007년생이 주요 응시 대상자였다. (N수생, 검정고시 합격자 제외)2. 6월 모의평가 (2025. 6. 4.)
- 필적 확인란 문구는 「삶이란 가꿀수록 아름다운 것이라고」로, 시인 용혜원의 '삶이 무엇이냐고 묻는 너에게'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421,623명(지원자 수: 503,572명)
- 재학생: 346,437명(지원자 수: 413,685명, 82.2%)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75,186명(지원자 수: 89,887명, 17.8%)
- 주요 소식 및 사건
- 기존 예정일이었던 2025년 6월 3일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시행일로 공고되면서, 시험일이 하루 연기되었다.
2.1. 국어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 독서 + 문학 (공통) | 419,252 | 언어와 매체 137 | 130 | 20,630 | 4.92% |
| 화법과 작문 | 272,784 | ||||
| 언어와 매체 | 146,468 |
|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843 |
| 구분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 소계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78,382 | 62,204 | 240,586 | |
| 비율(%) | 65.4 | 42.5 | 57.4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47,223 | 54,429 | 101,652 | ||
| 비율(%) | 17.3 | 37.2 | 24.2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41,929 | 27,595 | 69,524 | ||
| 비율(%) | 15.4 | 18.8 | 16.6 | |||
| 직업탐구 | 인원(명) | 3,233 | 1,414 | 4,647 | ||
| 비율(%) | 1.2 | 1.0 | 1.1 | |||
| ||||||
2.2. 수학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 수학Ⅰ + 수학Ⅱ(공통) | 415,830 | 미적분 143 | 130 | 23,063 | 5.55% |
| 확률과 통계 | 234,731 | ||||
| 미적분 | 170,323 | ||||
| 기하 | 10,776 |
|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576 |
| 구분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 소계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92,796 | 39,331 | 5,213 | 237,340 |
| 비율(%) | 82.1 | 23.1 | 48.4 | 57.1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4,786 | 83,570 | 3,373 | 101,729 | |
| 비율(%) | 6.3 | 49.1 | 31.3 | 24.5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22,368 | 45,367 | 1,787 | 69,522 | |
| 비율(%) | 9.5 | 26.6 | 16.6 | 16.7 | ||
| 직업탐구 | 인원(명) | 3,295 | 1,117 | 251 | 4,663 | |
| 비율(%) | 1.4 | 0.7 | 2.3 | 1.1 | ||
| ||||||
2.3. 영어 영역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 420,974 | 90 | 80,392 (19.10%) |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906 |
| 구분 | 영어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241,719 | |||
| 비율(%) | 57.4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01,911 | ||||
| 비율(%) | 24.2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69,686 | ||||
| 비율(%) | 16.6 | |||||
| 직업탐구 | 인원(명) | 4,752 | ||||
| 비율(%) | 1.1 | |||||
| ||||||
2.4. 한국사 영역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 421,623 | 40 | 89,289 (21.18%) |
2.5. 탐구 영역
|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 ||||||
|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 선택 과목 수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사회+과학탐구 | ||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
| 413,872명 | 1개 | 1,972 | 0.8 | 620 | 0.6 | - |
| 2개 | 240,172 | 99.2 | 101,363 | 99.4 | 69,745 | |
| 직업 탐구 | 전체 응시자 | 응시 방법 | 응시자 수(명) | |||
| 4,772명 |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 4,623 | ||||
|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 149 | |||||
2.5.1. 사회탐구 영역
| 사회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 생활과 윤리 | 164,330 | 44 | 75(100) | 1,106(0.67%) |
| 윤리와 사상 | 41,884 | 45 | 72(100) | 325(0.78%) |
| 한국지리 | 39,184 | 45 | 76(100) | 332(0.85%) |
| 세계지리 | 38,280 | 45 | 74(99) | 433(1.13%) |
| 동아시아사 | 17,814 | 45 | 76(99) | 200(1.12%) |
| 세계사 | 17,989 | 43 | 78(100) | 64(0.36%) |
| 정치와 법 | 30,232 | 47 | 72(99) | 505(1.67%) |
| 경제 | 7,558 | 47 | 72(98) | 264(3.49%) |
| 사회·문화 | 194,790 | 48 | 67(98) | 7,000(3.59%) |
2.5.2. 과학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 물리학Ⅰ | 38,993 | 48 | 65(98) | 1,494(3.83%) |
| 화학Ⅰ | 21,145 | 43 | 74(100) | 139(0.66%) |
| 생명과학Ⅰ | 92,121 | 42 | 72(100) | 117(0.13%) |
| 지구과학Ⅰ | 93,191 | 44 | 74(100) | 612(0.66%) |
| 물리학Ⅱ | 6,086 | 50 | 70(98) | 295(4.85%) |
| 화학Ⅱ | 6,054 | 45 | 75(99) | 67(1.11%) |
| 생명과학Ⅱ | 9,657 | 50 | 72(98) | 447(4.63%) |
| 지구과학Ⅱ | 5,844 | 45 | 76(99) | 74(1.27%) |
2.5.3. 직업탐구 영역
| 직업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표준점수 |
|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 4,623 | 71 |
| 농업 기초 기술 | 631 | 74 |
| 공업 일반 | 1,102 | 69 |
| 수산·해운 산업 기초 | 82 | 69 |
| 상업 경제 | 1,609 | 76 |
| 인간 발달 | 1,308 | 71 |
2.6. 제2외국어/한문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과목 | 응시자 수 |
| 독일어Ⅰ | 550 | 러시아어Ⅰ | 181 |
| 프랑스어Ⅰ | 704 | 아랍어Ⅰ | 215 |
| 스페인어Ⅰ | 757 | 베트남어Ⅰ | 67 |
| 중국어Ⅰ | 1,535 | 한문Ⅰ | 834 |
| 일본어Ⅰ | 1,727 | ||
3. 9월 모의평가 (2025. 9. 3.)
- 필적 확인란 문구는 「순간들이 모여 삶은 반짝이는 보물이 된다」로, 지서희 시인의 '행복의 흔적들'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409,171명(지원자 수: 515,900명)
- 재학생: 319,073명(지원자 수: 410,210명, 79.5%)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90,098명(지원자 수: 105,690명, 20.5%)
3.1. 국어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 독서 + 문학 (공통) | 406,743 | 언어와 매체 143 | 130 | 19,679 | 4.84% |
| 화법과 작문 | 270,878 | ||||
| 언어와 매체 | 135,865 |
|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544 |
| 구분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 소계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79,313 | 57,647 | 236,960 | |
| 비율(%) | 66.2 | 42.4 | 58.3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42,589 | 48,698 | 91,287 | ||
| 비율(%) | 15.7 | 35.8 | 22.4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44,334 | 27,936 | 72,270 | ||
| 비율(%) | 16.4 | 20.6 | 17.8 | |||
| 직업탐구 | 인원(명) | 2,724 | 958 | 3,682 | ||
| 비율(%) | 1.0 | 0.7 | 0.9 | |||
| ||||||
3.2. 수학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 수학Ⅰ + 수학Ⅱ(공통) | 402,926 | 미적분&기하 140 | 131 | 17,065 | 4.24% |
| 확률과 통계 | 225,444 | ||||
| 미적분 | 166,398 | ||||
| 기하 | 11,084 |
|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266 |
| 구분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 소계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85,999 | 42,340 | 4,967 | 233,306 |
| 비율(%) | 82.5 | 25.4 | 44.8 | 57.9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12,383 | 75,306 | 3,687 | 91,376 | |
| 비율(%) | 5.5 | 45.3 | 33.3 | 22.7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23,228 | 46,970 | 2,102 | 72,300 | |
| 비율(%) | 10.3 | 28.2 | 19.0 | 17.9 | ||
| 직업탐구 | 인원(명) | 2,457 | 1,024 | 197 | 3,678 | |
| 비율(%) | 1.1 | 0.6 | 1.8 | 0.9 | ||
| ||||||
3.3. 영어 영역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 408,443 | 90 | 18,373 (4.5%) |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2,621 |
| 구분 | 영어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238,088 | |||
| 비율(%) | 58.3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91,519 | ||||
| 비율(%) | 22.4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72,464 | ||||
| 비율(%) | 17.7 | |||||
| 직업탐구 | 인원(명) | 3,751 | ||||
| 비율(%) | 0.9 | |||||
| ||||||
3.4. 한국사 영역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 409,171 | 40 | 55,450 (13.55%) |
3.5. 탐구 영역
|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 ||||||
|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 선택 과목 수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사회+과학탐구 | ||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
| 402,716명 | 1개 | 1,996 | 0.8 | 568 | 0.6 | - |
| 2개 | 236,567 | 99.2 | 91,041 | 99.4 | 72,544 | |
| 직업 탐구 | 전체 응시자 | 응시 방법 | 응시자 수(명) | |||
| 3,762명 |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 3,620 | ||||
|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 142 | |||||
3.5.1. 사회탐구 영역
| 사회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 생활과 윤리 | 161,959 | 45 | 71 (100) | 1,444 (0.89%) |
| 윤리와 사상 | 39,198 | 42 | 75 (100) | 102 (0.26%) |
| 한국지리 | 36,719 | 47 | 70 (99) | 518 (1.41%) |
| 세계지리 | 37,061 | 47 | 69 (99) | 503 (1.36%) |
| 동아시아사 | 17,149 | 50 | 65 (96) | 1,466 (8.55%) |
| 세계사 | 16,820 | 50 | 67 (97) | 1,073 (6.38%) |
| 정치와 법 | 28,508 | 47 | 68 (99) | 384 (1.35%) |
| 경제 | 6,473 | 47 | 70 (99) | 82 (1.27%) |
| 사회·문화 | 203,787 | 42 | 73 (100) | 209 (0.1%) |
3.5.2. 과학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 물리학Ⅰ | 36,166 | 47 | 69 (99) | 624 (1.73%) |
| 화학Ⅰ | 19,140 | 47 | 71 (99) | 315 (1.65%) |
| 생명과학Ⅰ | 88,311 | 44 | 70 (100) | 153 (0.17%) |
| 지구과학Ⅰ | 89,725 | 42 | 74 (100) | 197 (0.22%) |
| 물리학Ⅱ | 5,119 | 45 | 73 (99) | 78 (1.52%) |
| 화학Ⅱ | 4,836 | 50 | 67 (97) | 314 (6.49%) |
| 생명과학Ⅱ | 7,267 | 44 | 73 (100) | 71 (0.98%) |
| 지구과학Ⅱ | 4,630 | 46 | 73 (99) | 108 (2.33%) |
3.5.3. 직업탐구 영역
| 직업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표준점수 |
|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 3,620 | 73 |
| 농업 기초 기술 | 410 | 73 |
| 공업 일반 | 1,154 | 69 |
| 수산·해운 산업 기초 | 53 | 69 |
| 상업 경제 | 946 | 68 |
| 인간 발달 | 1,174 | 71 |
3.6. 제2외국어/한문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과목 | 응시자 수 |
| 독일어Ⅰ | 614 | 러시아어Ⅰ | 166 |
| 프랑스어Ⅰ | 706 | 아랍어Ⅰ | 264 |
| 스페인어Ⅰ | 834 | 베트남어Ⅰ | 101 |
| 중국어Ⅰ | 1,447 | 한문Ⅰ | 1,408 |
| 일본어Ⅰ | 1,801 | ||
4. 대학수학능력시험 (2025. 11. 13.)
- 필적 확인란 문구는 「초록 물결이 톡톡 튀는 젊음처럼」으로, 안규례 시인의 '아침 산책'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명(지원자 수: 554,174명)
- 재학생: -명(지원자 수: 371,897명, -%)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명(지원자 수: 182,277명, -%)
- 주요 소식 및 사건
-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3] 이후 최대 규모의 수능이며[4], 지속적인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및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으로 인한 N수생 유입 둔화를 고려할 때 향후 이를 경신하는 규모의 수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접수자 기준,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의 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비율은 32.89%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3년 만에 최저치를 달성했다. 재학생 중 대다수인 2007년생의 수가 매우 많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4.1. 국어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 독서 + 문학 (공통) | |||||
| 화법과 작문 | |||||
| 언어와 매체 |
| 국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 구분 |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 소계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
| 비율(%)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
| 비율(%)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
| 비율(%) | ||||||
| 직업탐구 | 인원(명) | |||||
| 비율(%) | ||||||
| ||||||
4.2. 수학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표준점수 최고점 | 1등급 구분 표준점수 | 1등급 인원 | 1등급 비율(%) |
| 수학Ⅰ + 수학Ⅱ(공통) | |||||
| 확률과 통계 | |||||
| 미적분 | |||||
| 기하 |
| 수학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 구분 |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 소계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
| 비율(%)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
| 비율(%)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
| 비율(%) | ||||||
| 직업탐구 | 인원(명) | |||||
| 비율(%) | ||||||
| ||||||
4.3. 영어 영역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 90 | (%) |
| 영어 영역 응시자 중 탐구 영역 미응시(명) |
| 구분 | 영어 | |||||
| 사회·과학탐구 | 사회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
| 비율(%) | ||||||
| 과학 (1과목 이상 선택 응시) | 인원(명) | |||||
| 비율(%) | ||||||
| 사회+과학 (사회탐구 1과목 선택 + 과학탐구 1과목 선택) | 인원(명) | |||||
| 비율(%) | ||||||
| 직업탐구 | 인원(명) | |||||
| 비율(%) | ||||||
| ||||||
4.4. 한국사 영역
| 응시자 수 | 1등급 구분 원점수 | 1등급 인원 (비율) |
| 40 | (%) |
4.5. 탐구 영역
| 탐구 영역별 선택 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 | ||||||
| 사회·과학탐구 전체 응시자 (직업탐구 응시자 제외) | 선택 과목 수 | 사회탐구 | 과학탐구 | 사회+과학탐구 | ||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비율(%) | 인원(명) | ||
| 명 | 1개 | - | ||||
| 2개 | ||||||
| 직업 탐구 | 전체 응시자 | 응시 방법 | 응시자 수(명) | |||
| 명 | 성공적인 직업생활(공통과목) + 선택 1과목 | |||||
| 공통과목을 제외한 선택과목 중 1과목만 응시 (직업탐구 영역을 1과목만 응시하면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응시할 수 없음) | ||||||
4.5.1. 사회탐구 영역
| 사회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 생활과 윤리 | ||||
| 윤리와 사상 | ||||
| 한국지리 | ||||
| 세계지리 | ||||
| 동아시아사 | ||||
| 세계사 | ||||
| 정치와 법 | ||||
| 경제 | ||||
| 사회·문화 | ||||
4.5.2. 과학탐구 영역
| 과학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 만점자 수(비율) |
| 물리학Ⅰ | ||||
| 화학Ⅰ | ||||
| 생명과학Ⅰ | ||||
| 지구과학Ⅰ | ||||
| 물리학Ⅱ | ||||
| 화학Ⅱ | ||||
| 생명과학Ⅱ | ||||
| 지구과학Ⅱ | ||||
4.5.3. 직업탐구 영역
| 직업탐구 영역 | ||
| 과목 | 응시자 수 | 1등급 표준점수 |
| 성공적인 직업 생활 (공통과목, 2과목을 응시할 경우에만 해당) | ||
| 농업 기초 기술 | ||
| 공업 일반 | ||
|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 ||
| 상업 경제 | ||
| 인간 발달 | ||
4.6. 제2외국어/한문 영역
| 과목 | 응시자 수 | 과목 | 응시자 수 |
| 독일어Ⅰ | 러시아어Ⅰ | ||
| 프랑스어Ⅰ | 아랍어Ⅰ | ||
| 스페인어Ⅰ | 베트남어Ⅰ | ||
| 중국어Ⅰ | 한문Ⅰ | ||
| 일본어Ⅰ | |||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수험생 측
- 부정행위 사례
- 용문고등학교에서 한 남학생이 시험 종료 알림이 울렸지만 답안지 작성을 이어가 2교시가 끝나고 퇴실 조치됐다.
- 대구와 경북에서는 종료령 이후 답안지를 작성한 학생, 전자기기를 소지한 학생, 탐구영역 응시 방법을 위반한 다수의 수험생들이 적발되어 시험 무효 처리되었다. #
- 시험 포기 사례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수능을 보던 수험생이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했다. 결국 이 수험생은 3교시 영어영역까지 시험을 봤으나 몸이 좋지 않아 시험을 중도 포기하고 부모와 함께 귀가 조치됐다. #
- 부산의 한 수험생은 해운대에 있는 한 고사장에서 1교시 국어시험을 마치고 쉬는 시간에 갑자기 호흡 곤란 증세와 구토를 하며 실신했으나, 응급조치를 받고 학부모와 함께 귀가했다. #
- 전북 전주의 한 시험장에서는 국어 영역 응시 도중 한 수험생이 호흡곤란·불안 증세를 호소해 시험 포기각서를 제출하고 자택으로 돌아갔다. #
-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수능을 중도 포기했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
- 수능 당일 오전 서해안고속도로 비봉IC 부근에서 발생한 화물차 사고로 인해 서울 방향 통행이 전면 통제되었는데, 경기도 화성에서 서울까지 수능을 보러 가야 했던 한 수험생이 견인차 기사와 경찰의 도움으로 겨우 시험에 응시할 수 있었다. #
- 제주도 서귀포의 한 수능 시험장 운동장 한 켠에 흉기가 든 가방을 놓고 간 혐의로 20대 삼수생이 입건되었다. 본인은 호신용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시험 당일 오전 9시 10분경 '수능에 응시해야 할 자녀가 사라졌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찰과 소방 당국이 한강을 수상 수색하는 소동이 빚어지기도 했다. # 경찰은 약 1시간 만에 여의도에서 실종 학생을 찾았으며, 신변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5.2. 수능 측
- 충청북도 청주시의 서원고등학교 고사실 내 스피커에 문제가 생겨 수능 영어 듣기평가 방송이 나오지 않는 사고가 있었다. 예비 CD 플레이어를 해당 교실로 전달해 마저 시험을 치뤘으며, 시험 종료 시간을 4분 연장해 진행했다고 한다. #
- 시각장애 수험생용 점자·스크린리더 문제지의 표기 방식이 사전 안내 없이 시험 당일 바뀐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부 장애인 수험생들이 문제 풀이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중대한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1 #2 기존 (모의고사)에는 (가), (나) 등 괄호 문자를 직접 표기했지만, 수능에서는 해당 괄호에 맞는 특수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이다. 한 수험생은 기존 방식대로 스크린리더 여러 번 검색을 시도하며 3~4분을 허비했고, 이후 특수문자를 복사해 메모장에 문자표를 만들어 우회하는 데 5분 이상 걸렸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각장애 수험생들의 읽기 청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시각장애인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라며 "추후 시각장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음성 파일 내 표시 문자를 수험생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 수능 시험 당일 감독관에 의해 제공된 컴퓨터용 사인펜이 잉크가 새고 번지는 불량이 발생해 다수의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이 항의하는 일이 발생했다. 마킹 중 사인펜이 번져 답안지를 교체했는데도 또 번졌고 이로 인해 마킹을 다 하지 못하면서 멘붕이 왔다는 것이다. #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번짐 현상 등으로 인해 (수능) 채점에 불이익이 없도록 채점 과정에서 면밀히 살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컴퓨터용 사인펜은 평가원이 아닌 시도교육청이 자체 계약으로 확보한 뒤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에게 배분하는데, 교육부는 서울, 경기, 강원에서 이런 사례가 보고되었다고 밝혔다.#
- 청담고등학교에서 탐구영역 시험시간에 감독관이 시험종료 타종이 울리지 않았음에도 임의로 3분이나 먼저 시험지를 걷어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6. 정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정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주요 영역 자료 및 통계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등급 구분점수}}}에 대한 내용은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 구분점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 구분점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 구분점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등급 구분점수: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 구분점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 구분점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학수학능력시험/등급 구분점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8. 의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여담
- 1997 수능, 2009 수능, 2015 수능과 시행일이 동일하다. 수능 날짜가 목요일로 바뀐 것은 2007 수능부터이고, 1997 수능은 수요일이었다. 이 중 물수능인 2015 수능을 제외하고는 죄다 불수능이었다.[5]
- 수능 결시자가 지난해보다 줄었다. # 1교시 결시율은 9.4%라고 한다.
10. 항공 통제
총 140편 통제되었다. 국내선 75편, 국제선 65편 항공기가 통제되었다. 그 외에 수험생 이동을 위해 다른 교통도 조정되었고, 헬기, 경량항공기, 드론을 포함한 초경량 비행장치도 운항할 수 없다.11.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도입 이전 | 1994 | 1995 | 1996 | ||
|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 |||
| 1997 | 1998 | 1999 | 2000 | |||
|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 오나타 사건 | ▣ (수시 모집 첫 시행) |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 응시 인원 최다 | |||
| 2001 | 2002 | 2003 | 2004 | |||
|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평가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수시 제도 30% 확대) | ▣ 9월 모의평가 도입(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 6월 모의평가 도입(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 첫 복수 정답 인정 | |||
| 2005 | 2006 | 2007 | 2008 | |||
| ▣ 첫 예비평가 실시(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 ▣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내신등급제 도입) | |||
| 2009 | 2010 | 2011 | 2012 | |||
|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평가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 4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 |||
| 2013 | 2014 | 2015 | 2016 | |||
|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 언수외 → 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영역 듣기평가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사태 최초 발생 |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 ||||
| 2017 | 2018 | 2019 | 2020 | |||
|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시계 반입 및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한국사 영역 필수응시 및 절대평가 전환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 ▣ 포항지진 여파로 수능 1주일 연기 ▣ 영어 영역 절대평가 전환 |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 |||
| 2021 | 2022 | 2023 | 2024 | |||
| ▣ 코로나19 펜데믹 영향으로 수능시험을 12월로 연기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 ▣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 |||
| 2025 | 2026 | 2027 | 2028 | |||
| (시행 미정) | ▣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 ▣ 국어•수학•탐구 영역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심화수학[미적분2(미적분), 기하] 수능 출제 배제 ▣ 제2외국어/한문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은 단일 시험지로 모든 수험생들이 응시 ▣ 소수점 배점 탐구 영역 한정 부활 | |||||
[1] 4년 예고제에 따라 2023년 8월 16일에 발표되었다.[2] 2025년 3월 25일에 발표하였다.[3] 응시 530,220명, 지원 594,924명.[4] 2001년생이 2007년생보다 6만 명 이상 많음에도 불구하고 2001년생이 응시했던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보다 지원자 수가 근소하게 더 많다. 당시보다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비중이 늘어나면서 수능 미응시 비율이 다소 줄어든 점, N수생 응시자가 대폭 늘어난 점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5] 특히 1997 수능은 역대 최악의 불수능이다. 물수능인 2015 수능도 국어 B는 매우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