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4 23:56:11

증보산림경제

1. 소개2. 내용
2.1. 제 1책2.2. 제 2책2.3. 제 3책2.4. 제 4책2.5. 제 5책, 6책2.6. 제 7책2.7. 제 8책2.8. 제 9책2.9. 제 10책2.10. 제 11책2.11. 제 12책
3. 기타4. 관련 문서

1. 소개

增補山林經濟

조선 시대 생활 백서.

숙종 대 홍만선이 편찬한 산림경제를 영조 42년, 1766년에 유중림(柳重臨)이 기존 산림경제의 내용을 증보하여 편찬하였다. 총 16권 12책이며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기존 산림경제의 내용을 중심으로 농가집성, 금양잡록, 감저종식법(甘藷種植法) 등 다른 책들의 내용이 첨삭, 추가되어 있다.

2.1. 제 1책

  • 복거(卜居)
    오래 머물러 살만한 장소를 골라 건축물의 터를 선정하는 법과 주택을 건축하는 방법. 청당(廳堂), 방실(房室), 부엌(竈), 우물(井), 문로(門路), 측간(厠), 담장(墻), 울타리(籬), 방앗간(安碓), 용도(龍圖), 하도(河圖) 등의 설명이 있다.
  • 치농(治農)
    각종 곡식류와 목화, 의복의 염색과 관련된 특용 작물의 재배법. 험세(驗歲), 기곡(祈穀), 택종(擇種), 수분(收糞), 경파(耕播), 종도(種稻), 종서(種黍), 종속(種粟), 종직(種稷), 종대두(種大豆: 심기), 種大小豆(종대소두: 콩팥 심기), 菉豆(녹두), 藊豆(변두), 豌豆(완두), 종지마(種芝麻: 참깨 심기), 종교맥(種蕎麥: 메밀 심기), 종대맥(種大麥: 보리 심기), 종의이(種薏苡: 율무 심기), 종목화(種木花: 목화 심기), 종마(種麻: 심기), 저마(苧麻: 모시 심기), 종홍화(種紅花: 홍화 심기), 종람(種藍: 쪽풀 심기), 종전(種靛: 청대(靑黛) 심기), 종인초(種茵草: 부들초 심기) 등이 있다.
  • 농구(農謳)
    농사를 지으며 부르는 노래들.

2.2. 제 2책

  • 종수(種樹) : 과수원의 관리, 과목(果木)과 임목의 재배.
  • 양화(養花) : 화목(花木), 화초, 정원수의 배양법

2.3. 제 3책

2.4. 제 4책

  • 치포(治圃)
    채소류, 화초류, 담배, 약초류 재배법. 종채(種菜: 채소 심기), 종서고(種西苽: 수박 심기), 종첨고(種甜苽: 참외 심기), 종과(種苽: 오이 심기), 種冬苽(종두과: 동아심기), 종박(種匏: 심기), 종강(種薑: 생강(薑) 심기), 종총(種蔥: 심기), 종자총(種紫蔥: 자총이 심기), 종산(種蒜: 마늘 심기), 종구(種韭: 부추 심기), 종교(種薤: 염교 심기), 종우(種芋: 토란 심기), 종가(種茄: 가지 심기), 종근(種芹: 미나리 심기), 종라복(種蘿葍: 심기), 종만청(種蔓菁: 순무 심기), 종개(種芥: 겨자 심기), 종숭채(種菘菜: 배추 심기), 종와거(種萵苣: 상추 심기), 종백채(種白菜: 머위 심기), 종파채(種菠菜: 시금치 심기), 종호유(種胡荽: 고수 심기), 종동규(種冬葵: 아욱 심기), 참깨 심기, 쑥갓 심기, 석잠풀 심기, 종앵속각(種鸎粟殼: 양귀비꽃 심기), 종계관(種鷄冠: 맨드라미 심기), 고추 심기, 곰취 심기, 동취 심기, 종목숙(種苜蓿: 거여목 심기), 종당귀(種當歸: 당귀 심기), 종양제근(種羊蹄根: 소루쟁이 심기), 생심균법(生蕈菌法: 버섯 양식하는 법), 종봉선화(種鳳仙花: 봉선화 심기) 등등.
  • 섭생(攝生)
    건강에 대한 내용. 養心志(양심지), 省嗜慾(생기욕), 節飮食(절음식), 保身軆(보신체), 愼起居(신기거), 導引(도인), 臞仙導引訣(구선도인결), 服食(복식), 神枕法(신침법) 등의 내용이 있다.
  • 종덕(種德)
  • 징악부(徵惡附)

2.5. 제 5책, 6책

  • 치선(治膳) : 식품 가공 및 요리법과 저장 방법.
  • 과실 저장법(果實收藏法)
    청과 저장법(靑瓜收藏法), 해송자 저장법(海松子收藏法), 호도 저장법(胡桃收藏法), 저장법(栗子收藏法), 대추 저장법(紅棗收藏法), 저장법(梨子收藏法), 홍시 저장법(紅柿收藏法), 복숭아 저장법(桃子收藏法), 능금 저장법(林檎收藏法), 석류 저장법(石榴收藏法), 포도 저장법(葡萄收藏法), 감귤 저장법(柑橘收藏法)
  • 채소 저장법(菜品收藏法)
    가지 저장법(茄子收藏法), 오이 저장법(黃瓜收藏法), 참외 저장법(甛瓜收藏法), 수박 저장법(西瓜收藏法), 순무뿌리 저장법(蘿葍蔓靑根收藏法), 동아ㆍ호박 저장법(冬瓜南瓜收藏法), 토란뿌리 저장법(芋根收藏法), 곰취잎 저장법(熊蔬), 마늘 저장법(大蒜收藏法), 생강 저장법(生薑收藏法), 파뿌리 저장법(蔥根收藏法), 죽순 저장법(竹笋收藏法), 소루쟁이뿌리 저장법(羊蹄根收藏法), 당귀뿌리 저장법(當歸根收藏法), 배추 뿌리 저장법(菘根收藏法), 두릅 저장법(大頭菘木收藏法), 송이 저장법(松茸收藏法), 고비ㆍ고사리 저장법(薇蕨收藏法), 마늘종 저장법(蒜薹收藏法), 상치대 저장법(萵苣薹收藏法), 생채 저장법(生菜收藏法)
  • 밥ㆍ죽류(飯粥諸品)
    약밥(藥飯), 흰죽(白粥), 우유죽(牛乳粥內局法), 잣죽(海松子粥), 푸른콩죽(靑太粥), 박죽(瓠粥), 방풍죽(防風粥), 아욱죽(葵菜粥), 보리죽(麥粥), 닭죽(鷄粥), 우낭죽(牛囊粥), 붕어죽(鯽魚粥), 석화죽(石花粥), 율무죽(薏苡粥), 연뿌리가루죽(藕粉粥), 연실죽(蓮子粥), 마죽(薯芋粥), 감인죽(芡仁粥), 마름열매죽(菱角粥), 갈분죽(葛粉粥), 말린 밤죽(乾栗粥), 전복ㆍ홍합ㆍ쇠고기죽(全鰒ㆍ紅蛤ㆍ牛肉粥), 여름철에 밥을 쉬지 않게 하는 방법(夏月令飯不餿壞法)
  • 떡ㆍ면류(餠麪諸品)
    석이병(石茸餠法), 잡과(찹쌀)병(雜果粘餠法), 잡과떡(雜果糕法), 인절미(引絶餠法), 밤떡(栗糕法), 쑥경단(香艾團子法), 두견화전ㆍ장미화전ㆍ국화전(杜鵑花煎ㆍ薔薇花煎ㆍ菊花煎法), 살구떡복숭아떡(杏餠桃餠法 桃子(杏子)), 화병(火餠法), 보리떡(大麥餠法), 송피병(松皮餠法), 시루떡(凡蒸甑餠法), 메밀국수(木麥麪法), 갈분국수(葛粉麪法), 창면법(昌麪法), 실국수(絲麪法), 마국수(山薯麪法), 풍악 석이병(楓岳石茸餠法), 혼돈병(餛飩餠法), 참밀국수(小麥麪)
  • 다탕류(茶湯諸品)
    기국차(杞菊茶法), 구기차(枸杞茶法), 온조탕(溫棗湯法), 수지탕(水芝湯法), 행락탕(杏酪湯法), 봉수탕(鳳髓湯法), 청천백석차(淸泉白石茶), 매화차(梅花茶法), 국화차(菊花茶法), 유자차(柚子茶法), 포도차(葡萄茶法), 산사차(山査茶法), 강죽차(薑竹茶法), 강귤차(薑橘茶法), 당귀차(當歸茶法), 순채차(蓴茶法), 형개차(荊芥茶法), 차조기차(紫蘇茶法), 녹두차(菉豆茶法), 매실차(梅子茶法)
  • 전유밀과ㆍ전밀과채ㆍ이당류(煎油蜜果ㆍ煎蜜果菜ㆍ飴糖諸品)
    전유밀약과법(煎油蜜藥果法), 만두과법(饅頭果法), 건율다식법(乾栗茶食法), 송화다식법(松花茶食法), 참깨다식법(胡麻茶食法), 잡과다식법(雜果茶食法), 살구전법(杏煎法), 복숭아전법(桃煎法), 앵두전법(櫻桃煎方), 모과전법(木果煎法), 연우전법(蓮藕煎法), 생강전법(生薑煎法), 동아정과법(冬果(正果)法), 죽순전법(竹芛煎法), 도라지전법(桔梗煎法), 산포도전법(山葡萄煎法), 다래전법(獼猴桃煎法), 들쭉전법(艸+訶杖子煎法), 조란법(棗爛法)ㆍ율란법(栗爛法), 조이당법(造飴糖法), 조청법(造淸法)
  • 채소류(菜蔬諸品)
    죽순(竹芛), 포순(蒲芛), 우초(藕梢), 담복(薝蔔), 가지(茄子), 동아(冬瓜), 배추(菘), 오이(黃瓜), 생강(醋薑), 순무, 무, 파(蔥), 부추(韭), 마늘(蒜), 우(芋), 향포(香蒲), 산갓 김치 담그는 법(山芥葅法), 와거대채법(萵苣薹采法), 박(匏), 자총(紫蔥), 미나리(芹), 갓김치(芥葅), 아욱(冬葵), 쑥갓나물(艾芥菜), 거여목나물(苜蓿菜), 당귀줄기(當歸莖), 소로쟁이 잎(羊蹄葉), 두릅나물(木頭菜), 원추리(萱), 황화채(黃花菜), 삽주싹(朮芽), 구기(枸杞), 국화(菊), 송이(松茸), 진이(眞茸), 버섯(菌蕈), 더덕ㆍ도라지 좌반법(沙參桔梗佐飯法), 청각좌반법(靑角佐飯法), 조홍화자법(造紅花子法), 살구씨를 연하게 만드는 법(酥杏仁法), 호도를 자반으로 만들어 먹는 법(胡桃佐飯法), 천초 튀기는 법(煎川椒法), 마른 나물 삶는 법(蒸乾菜法), 야외에서 송이를 익혀 먹는 법(遊山蒸松茸方), 야외에서 고사리를 익혀 먹는 법(遊山蒸蕨方)
  • 장류(醬諸品)
    장 담그는 길일(造醬吉日), 장 담글 때 벌레가 생기지 않게 하는 법(造醬無蟲方), 항아리를 준비하는 법(備瓮), 도료를 바르는 법(塗法), 물 고르는 법(擇水), 소금의 품질(鹽品), 메주 띄우는 법(造豉法), 별장법(別醬法)
  • 장 담그는 법(沈醬法)
    장 담글 때 여러 재료를 섞는 법(沈醬時物料雜法), 장 담글 때 피해야 할 점(醬忌), 장독을 잘 두는 법(安甕), 맑은 장을 뜨는 법(取淸醬法), 장이 맛을 잃었을 때 되살리는 법(救醬失味法), 생선과 고기를 넣어 장 담그는 법(沈魚肉醬法), 생황장법(生黃醬法), 숙황장법(熟黃醬法), 메밀로 장 담그는 법(麪醬法), 보리로 장 담그는 법(大麥醬法), 느릅나무 열매로 장 담그는 법(楡仁醬法), 팥으로 장 담그는 법(小豆醬法), 청태콩으로 장 담그는 법(靑太醬法), 장을 빨리 만드는 법(急造醬法), 맑은 장을 빨리 만드는 법(急造淸醬法), 고추장 만드는 법(造蠻椒醬法), 고추장을 빨리 만드는 법(急造蠻椒醬法), 즙장의 메주를 만드는 법(造汁醬麯法), 여름철에 즙장 담그는 법(夏節汁醬法), 전시장을 만드는 법(造煎豉醬法), 청태전시장법(靑太煎豉醬法), 수시장법(水豉醬法, 각지젼국장), 달걀장법(鷄卵醬法), 장을 볶는 법(炒醬法), 장을 달이는 법(炙醬法), 장 떡 만드는 법(醬餠法), 담수장법(淡水醬法), 천리장법(千里醬法)
  • 초를 만드는 법(造醋法)
    길일(吉日), 초 항아리를 잘 두는 법(安醋甕法), 초의 맛이 변했을 때 되살리는 법(治醋味乖法), 초를 뜨는 법(收醋法), 쌀로 초를 만드는 법(米醋法), 밀로 초를 만드는 법(小麥醋法), 보리로 초를 만드는 법(大麥醋法), 가을보리로 초를 만드는 법(秋麰醋法), 감으로 초를 만드는 법(柿醋法), 대추로 초를 만드는 법(大棗醋法), 창포로 초를 만드는 법(菖蒲醋法), 도라지로 초를 만드는 법(桔梗醋法), 천리초법(千里醋法), 민간에서 초 만드는 법(俗醋法)
  • 고기를 조리하는 법(肉膳治法)
    딱딱한 고기를 삶는 법(煮硬肉法), 쇠고기 조리법(牛肉膳), 돼지고기 조리법(猪肉膳), 개(犬), 양(羊), 사슴(鹿), 노루(獐), 곰(熊), 토끼, 닭(鷄), 꿩(雉), 아압록법(鵝鴨熝法), 메추리(鵪鶉), 참새(麻雀), 기러기(鴈)
  • 생선류(魚品類)
    생선 씻는 법(洗魚法), 생선 끓이는 법(煮魚法), 회 겨자즙 만드는 법(造膾芥法), 생선회 뜨는 법(膾生魚法), 술과 누룩에 생선 절이는 법(酒麯魚法), 생선 굽는 법(炙魚法), 완자탕 만드는 법(造椀子湯法), 잉어(鯉), 치어(鯔魚), 어만두 만드는 방법(魚饅頭法), 숭어 알 말리는 법(乾鯔卵法), 농어(鱸魚), 도미(道味魚), 광어(廣魚), 홍어(洪魚), 눌어(訥魚), 궐어(鱖魚), 은어(銀口魚), 대구(大口魚), 준치(眞魚), 시어(鰣魚), 밴댕이(蘇魚), 청어(靑魚), 회어(鮰魚), 조기(石首魚), 참조기(黃石首魚), 붕어(鯽魚), 메기(鮎魚), 복(河豚), 뱅어(白魚), 문어(大八梢魚), 전어(箭魚), 고등어(古刀魚), 소팔초어(小八梢魚), 오징어(烏賊魚), 전복(鰒魚), 소라(海螺), 담채(淡菜), 해삼(海參), 대합(大蛤), 모시조개(黃蛤), 굴(石花), 토화(土花), 새우(蝦), 곤쟁이(紫蝦), 게(蟹)
  • 술 만드는 법(造酒諸法)
    누룩 만드는 길일(造麯吉日), 누룩 만드는 방법(造麯方), 술 만드는 길일(造酒吉日), 물의 선택(擇水), 중국인의 좋은 술 만드는 법(中原人作好酒法), 밑술 만드는 법(作酒腐本方), 백하주법(白霞酒法), 삼해주법(三亥酒法), 도화주법(桃花酒法), 연엽주법(蓮葉酒法), 소국주법(少麯酒法), 약산춘법(藥山春法), 경면녹파주법(鏡面綠波酒法), 방문주 별법(方文酒 別法), 벽향주법(碧香酒法), 동동주 만드는 법(浮蟻酒法), 지주법(地酒法), 일일주법(一日酒法), 삼일주법(三日酒法), 칠일주법(七日酒法), 사절칠일주방(四節七日酒方), 잡곡주법(雜穀酒法), 송순주방(松笋酒法), 과하주법(過夏酒法), 노주 2말 만드는 법(露酒二斗方), 소주를 많이 뽑는 방법(燒酒多出方), 밀소주 만드는 방법(小麥燒酒法), 노주의 독성을 없애는 방법(露酒消毒方), 하향주법(荷香酒法), 절주방(節酒方), 이화주법(梨花酒法), 청감주법(淸甘酒法), 포도주법(葡萄酒法), 감주법(甘酒法), 하엽주법(荷葉酒法), 추모주법(秋麰酒法), 모미주법(麰米酒法), 백자주법(栢子酒法), 호도주법(胡桃酒法), 와송주법(臥松酒法), 죽통주법(竹筒酒法), 소자주법(蘇子酒法), 죽력고법(竹瀝膏法), 이강고법(梨薑膏法), 백화주법(百花酒法), 화향입주방(花香入酒方), 술에 약 담그는 법(酒中漬藥法), 괴지 않는 술 되살리는 법(救酒不沸方), 막걸리청주로 만드는 법(變濁酒爲淸酒法), 여러 종류의 술을 함께 보관하는 법(收雜酒法), 맛이 시어진 술을 되살리는 법(救酸酒法), 여름에 물 속에 술 담그는 법(夏月水中釀酒法), 술을 마셔 병을 예방하는 법(飮酒防病法)
  • 음식의 금기(食忌)
    과일 먹을 때의 금기(食果忌), 버섯을 먹을 때의 금기(食菌忌), 생선을 먹을 때의 금기(食魚忌), 조수를 먹을 때의 금기(食鳥獸忌)
  • 기타
    증편 만드는 법(造蒸餠法), 진면다식 만드는 법(造眞麪茶食法), 동아정과 만드는 법(冬瓜正果法), 모과 달이는 법(木瓜煎法), 두강주방(杜康酒方), 소맥부장법(小麥麩醬法), 사절초법(四節醋法), 닭 찌는 법(蒸鷄方), 석화침채방(石花沉菜方), 백자주법(栢子酒法)
  • 잡방(雜方)
    양념 만드는 법(造物料法), 섣달 술지게미 보관하는 법(收臘糟法), 참기름 거두는 법(收芝麻油法), 수박씨 기름(西瓜子油), 봉숭아씨 기름(鳳仙花子油), 붉은 차조기씨 기름(紫蘇子油), 순무씨 기름(蔓菁子油), 참기름을 급히 마련하는 법(急取麻油法), 들기름(荏子油), 들기름을 급히 취하는 법(急取荏子油法), 피마자 기름 취하는 법(取萆麻油法), 머귀나무씨 기름 거두는 법(收食茱萸油法), 두부 만드는 법(造豆腐法), 녹말 만드는 법(造菉末法), 여름철에 어육을 보관하는 방법(夏月收魚肉法), 상만염 만드는 법(造常滿鹽法), 엿기름 만드는 법(造麥芽法), 전복김치 담그는 방법(鰒葅方)

2.6. 제 7책

  • 구황(救荒) : 흉년에 초근목피를 이용하는 방법.

2.7. 제 8책

  • 가정(家政)

2.8. 제 9책

  • 가정(家政)
  • 택언(擇言)
  • 초구사(抄求嗣)

2.9. 제 10책

  • 구급(救急)
    응급 처치법, 중독, 외상(外傷), 통증, 급병 등의 구급법.

2.10. 제 11책

  • 증보사시찬요(增補四時纂要)
  • 선택(選擇)
    길흉일과 방소(方所)를 가려내는 방법.

2.11. 제 12책

  • 잡방(雜方)
    서화나 애장물들을 다루는 방법에서부터 각종 오염 제거방법에 이르기까지 일상 생활에서 알아두어야 할 여러 내용들을 광범위한 분량으로 적어놓은 항목.
  •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 동국승구록(東國勝區錄)

3. 기타

저술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농서와 중국 농서를 두루 참고했는데, 주된 농업 기술론은 우리나라 농서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즉 우리나라 농서로 충분히 설명되는 경우에는 중국의 농서를 인용하지 않았으며, 우리 농서로 농업 기술을 기록해 나가다가 중국의 농서와 차이점이 있으면 중국 농서의 내용을 협주(夾註)로서 본문 중에 첨기했다. 반면 중국 농서에만 기술되어 있는 것은 이를 본문에 수록했고, 그 밖에 우리나라의 농업 현실에 쓰이고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농서에 수록되지 않은 것은 속방(俗方)으로서 수록했다.

저자의 경우 농가집성을 주로 인용하였지만 지주전호제와 남방식 농법을 중심으로 한 농가집성을 부정하고, 한전농업(旱田農業)을 중심, 상업적 농업경영을 긍정하고 북방식 농법을 농학체계에 포섭하였다. 즉, 단순한 자급자족을 위한 농업이 아니라 상품 경제 체제를 통한 최대의 수익을 올리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농산물의 상품화를 전제로 하는 것으로 조선 후기 사회·경제의 새로운 변화를 인정하고 그 사상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책은 단순한 백과사전이 아니라 조선 후기의 농업 기술뿐만 아니라 농업경영론의 변화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그 전까지 고추를 먹지 않던 조선에서 고추가 본격적으로 김치의 조리에 이용되는 것이 실린 최초의 문서이다. 오늘날 빨간 김치의 기원을 알 수 있다.

특이하게 양반 브랜드에서 해당 기록을 참고하여 매실차주스를 만들었다고 한다.

4. 관련 문서

모두 조선 시대 요리책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