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ㄱ | 고사십이집 · 고종무진진찬의궤 · 고종정해진찬의궤 · 기해진연의궤 · 군학회등 · 규곤요람 · 규합총서 |
ㄷ | 다신전 · 도문대작 · 동다기 · 동다송 | |
ㅅ | 사가집· 산가요록 · 산림경제 · 소문사설 · 수운잡방 · 순조기축진찬의궤 · 술빚는법 · 시의전서 · 식료찬요 | |
ㅇ | 양주방 · 역주방문 · 영접도감의궤 · 영조갑자진연의궤 · 온주법 · 요록 · 우음제방 · 원행을묘정리의궤 · 윤씨음식법 · 음식디미방 · 음식방문 · 음식방문니라 · 음식보 · 이씨음식법 · 임원경제지 | |
ㅈ | 정청일기 · 주방문 · 주식시의 · 주찬 · 주초침저방 · 증보산림경제 | |
ㅊ | 최씨음식법 · 치생요람 | |
ㅍ | 풍정도감의궤 | |
ㅎ | 혜경궁진찬소의궤 | }}}}}}}}} |
1. 개요
歷酒方文. 조선 시대 1800년대에 편찬된 요리책.2. 내용
본래 책 제목은 그냥 주방문(酒方文)이나 책력(冊歷)의 용지를 뒤집은 반고지(反古紙)에 조리법을 수록했다는 사실과 함께 다른 주방문과의 구분을 위하여 다들 역주방문이라 부른다. 책의 마지막에 저자가 쓴 잡기(雜記)를 보면 경신(庚申, 1800년 또는 1860년) 3월, 신유(辛酉, 1801년 또는 1861년) 2월, 임술(壬戌, 1802년 또는 1862년) 3월 등의 기록이 보이며 이에 따라 대략 1800년대 중엽 쯤에 편찬된 것으로 보고 있다.책의 크기는 29.8×14.5cm이다. 책의 마지막 6장의 잡기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고 그 사람들이 빌려간 돈이나 재물들의 양이 기록되어 있으며, 돈을 갚지 않은 사람 또한 따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를 토대로 이 책의 저자는 돈이 많은 식도락가(食道樂家)였으며 스스로 조리법을 연구하고 저술했음을 알 수 있다.
술 종류가 40종, 기타 음식 조리법이 32종 실려 있다.
3. 구성
- 주식류
- 부식류
- 국 : 삼천탕(三荐湯)
- 찜 : 증우양법(蒸牛䑋法), 우장증(牛腸蒸), 양증, 응증, 동과증, 해삼증법
- 전 : 접라여전, 토란전
- 적 : 난적, 석화인(石花引), 우육인(牛肉引)
- 젓갈 : 우양식해, 산저피식해
- 족편 : 족편법(足片法), 진주편(眞珠片)
- 좌반 : 사삼좌반
- 후식류
- 주류
- 세신주방, 신청주(新淸酒), 소곡주방, 백자주방, 백화주방, 녹파주방, 백파주, 진상주방, 옥지주방, 우방, 과하주방, 벽향주방, 삼해주방, 삼오주방, 과하주방, 하향주방, 감하향주방, 향온주방, 편주방, 이화주방, 삼일주방(2), 소주방, 구일주, 백화주방(2), 유화주방, 두강주방, 아황주방, 연화주방, 오가피주방, 소자주방, 죽엽주방, 송엽주방, 모소주방(2), 삼칠소곡주방, 일야주방, 광제주방, 소곡주방, 자주법
- 양념류
- 초 : 창포초
- 간장 : 즙저, 조장법
- 기름 : 조유법
- 기타 : 가두부 만드는 법, 조촉법
- 식기도구
- 항아리, 체, 시루, 자루(베주머니, 베부대, 비단주머니, 모시베자루), 그릇(대나무, 옹기, 사기, 질), 솥, 숟갈, 보(모시, 베, 천), 동이(놋), 유지(종이), 맷돌, 술통(죽통), 안반, 칼, 병, 선, 다수기, 철판, 주걱, 복자, 광우리, 키, 사고오리, 접시, 쟁반, 대접, 행기, 양푼, 홍두깨, 다식판, 초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