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 베케르 · 2 고메즈 · 3 엔도 · [[버질 반 다이크|4 버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5 코나테 · 6 케르케즈 · 7 비르츠 · 8 소보슬라이 · 9 이삭 10 맥 알리스터 · 11 M. 살라 · 12 브래들리 · 14 키에사 · 15 레오니 · 17 존스 · 18 각포 · 22 에키티케 25 마마르다슈빌리 · [[앤디 로버트슨|26 로버트슨 VC ]] · 28 우드먼 · 30 프림퐁 · 38 흐라벤베르흐 · 41 페치 42 뇨니 · 43 바이체티치 · 46 R. 윌리엄스 · 47 램지 · 73 리오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감독 | ||||
클럽 감독 | ||||
61대 | 17대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 ||||
에드윈 반 데르 사르 (2004~2008) | ▶ |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 (2008~2010) | ▶ | 마르크 판보멀 (2010~2012) |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의 기타 정보 | ||||||||||||||||||||||||||||||||||||||||||||||||||||||||||||
|
리버풀 FC | ||||
Liverpool Football Club | ||||
<nopad> | ||||
<colbgcolor=#C8102E><colcolor=white> 이름 |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 Giovanni van Bronckhorst | |||
본명 | 조반니 크리스티안 판브롱크호르스트 Giovanni Christiaan van Bronckhorst[1] | |||
출생 | 1975년 2월 5일 ([age(1975-02-05)]세) | |||
자위트홀란트주 로테르담 | ||||
국적 |
| |||
신체 | 키 178cm / 체중 73kg | |||
직업 | 축구 선수 (레프트백,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C8102E><colcolor=white> 선수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82~1993 / 유스)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90~1998) → RKC 발베이크 (1993~1994 / 임대) 레인저스 FC (1998~2001) 아스날 FC (2001~2004) → FC 바르셀로나 (2003~2004 / 임대) FC 바르셀로나 (2004~2007)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7~2010) | ||
감독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11~2015 / 코치)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15~2019) 광저우 푸리 (2020) 레인저스 FC (2021~2022) 베식타스 JK (2024) 리버풀 FC (2025~ / 수석 코치) | |||
국가대표 | 106경기 6골 (네덜란드 / 1996~2010) | |||
S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8102E><colcolor=white> 역대 등번호 | <colcolor=#000,#fff>네덜란드 대표팀 - 5, 6, 8, 11, 12, 13, 14, 15, 18, 19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8, 11 RKC 발베이크 - 9 레인저스 FC - 8, 12 아스날 FC - 16 FC 바르셀로나 - 12 | ||
종교 | 무신론 | |||
가족 | 배우자 마리에케-볼퍼스[2] 장남 제이크[3] 차남 조슈아[4] |
1. 개요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지도자. 현재 리버풀 FC의 수석 코치를 맡고 있다.선수 시절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와 레프트백이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국가대표 경력
1996년 8월 거스 히딩크 감독의 부름을 받아 브라질을 상대로 처음 국가대표팀에 데뷔한 이후 2010년까지 총 106경기에 나서 6골을 기록했다.첫 메이저 대회는 1998년 프랑스 월드컵이었는데, 에드가 다비즈, 필립 코퀴, 프랑크 더부르, 로날트 더부르와 같은 쟁쟁한 선수진에 밀려 단 한 경기도 나서지 못했다. 이어지는 UEFA 유로 2000에서는 레프트백 포지션에서 아르투르 누만과 경쟁했지만 결국 주전으로 낙점받아 조별 리그부터 풀타임 활약했으며, 8강에서는 벤치에 앉았지만, 4강에서는 선발로 나서 연장까지 120분을 풀타임으로 뛰었다. 그러나 팀은 이탈리아에게 페널티킥 끝에 탈락했다.
이후 계속해서 국가대표팀 주전 레프트백 자리를 지켰고 UEFA 유로 2004에서는 모든 경기에 나서 전 경기를 풀타임으로 뛰었다. 그러나 이 대회에서도 4강에서 포르투갈에게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2 한일 월드컵은 네덜란드가 예선 탈락하는 바람에 출전하지 못했다.
|
2006 월드컵 16강전에서 함께 퇴장당한 포르투갈의 데쿠와의 관전 |
이후 UEFA 유로 2008에도 주전으로 활약했다. 특히 조별 리그 1차전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는 멋진 크로스로 첫 골의 기점을 만들더니 마지막 쐐기골까지 득점하여 2006년 독일 월드컵 챔피언을 3-0으로 완파했다. 이후 조별 리그를 3승으로 가볍게 통과했으나 풀타임으로 나선 8강에서 러시아에게 120분 연장 승부 끝에 덜미를 잡히며 탈락했다.
|
2010 월드컵 준결승전 우루과이전의 대포알 선제골 |
3. 지도자 경력
3.1.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9-10 시즌을 끝으로 선수 경력을 마무리 한 뒤, 2011년 7월 친정팀 페예노르트의 신임 감독으로 부임한 로날드 쿠만을 보좌하는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2014년 쿠만이 지휘봉을 내려 놓고 2015년 3월에는 그 후임이었던 프레드 뤼턴까지 팀을 떠나게 된 후, 2015-2016 시즌을 앞두고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의 정식 감독으로 부임했다. 부임 첫 시즌 첫 경기부터 3-2 승리를 거두더니 페예노르트로 돌아온 디르크 카윗의 활약에 힘입어 리그 3위와 함께 KNVB 컵 우승을 차지하며 팀에 2007-08 시즌 이후 8년 만에 메이저 대회 트로피를 선사했다.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감독으로서의 리그 우승 (18년 만의 에레디비시 우승) |
하지만 2018-19 시즌에는 팀에 복귀한 로빈 반 페르시의 활약에도 무관에 그치면서 팀을 떠나게 됐다. 그래도 판브롱크호르스트는 재임기 동안 176경기에서 107승을 거두는 등, 전통 네덜란드의 축구 명가로서의 페예노르트로 위상을 회복시켜놓고 나갔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후 2019-20 시즌을 앞두고는 시티 풋볼 그룹의 백 룸 스태프로 합류하여 코칭 방법을 개발하고 그룹과 비전을 공유하는 역할을 맡아 관련한 경험을 쌓을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판브롱크호르스트는 맨체스터 시티 FC의 단장 치키 베히리스타인과 인연이 있다고 알려졌으며, 뉴욕 시티 FC와 멜버른 시티 FC를 포함한 그룹 내 구단들과 협력하여 6개월 동안 코칭 관련 경험을 더 쌓았다.
이에 차후 펩 과르디올라의 후임으로 맨체스터 시티 FC로 부임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는 등 이 때까지만 해도 앞으로도 유럽에서 성공적인 감독 커리어를 이어나갈듯이 보였으나...
3.2. 광저우 푸리
|
광저우 R&F 감독 시절 |
이후 판브롱크호르스트를 몇 년 동안 보좌해 왔던 수석 코치 장 폴 판가스텔이 광저우를 대신 맡아서 팀을 이끌게 되었다.
3.3. 레인저스 FC
|
레인저스 FC 감독 시절 |
|
UEFA 유로파 리그 결승전 패배 후 트로피를 지나치는 지오 |
또한 해당 시즌 스코티시컵에서는 4강에서 라이벌 셀틱을 꺾고 결승에 진출해 결승전에서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2022-23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직행에 실패했으나 3차 예선에 진출했고 벨기에의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플레이오프에서 네덜란드의 PSV 에인트호번을 연달아 제압하며 본선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이로써 레인저스는 2010년 이후 12년 만에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에 진출했고 셀틱과 함께 간만에 스코틀랜드 클럽이 2팀이나 본선에 합류하게 되었다.[5]
챔스 본선에선 조별리그 A조에 포함되어 SSC 나폴리, 리버풀 FC, AFC 아약스를 상대하게 됐다. 하지만 큰 전력차에 의해 조별리그 6전 전패를 기록하며 광탈당하자, 2022년 11월 21일, 레인저스는 판브롱크호르스트를 경질한다고 발표했다. 오피셜(레인저스FC) 당시 리그(2위)에서나 컵대회에서나 순탄하게 일정을 소화하고 있었는데, 챔스 조별리그에서 2득점 22실점이라는 치욕적인 성적을 낸 게 시즌 도중 경질의 결정적 이유가 됐다.
경질된 이후 스코틀랜드 현지 미디어로부터 판브롱크호르스트가 (눈부신 성과를 거뒀는데도) 레인저스 구단, 미디어로부터 '절연당했다(cancelled)'는 기사가 떴다. 기사(아이브록스노이즈)
이후 다시 아시아로 복귀할 것이라는 보도들이 나왔다. 2023년 6월 1일, 스포츠동아의 보도에 따르면 '판브롱크호르스트가 시즌 도중 경질된 김상식의 후임으로 전북 현대 모터스 감독 후보 1순위였다'고 한다. 기사(스포츠동아) 판브롱크호르스트는 전북 측의 제안에 흥미를 가졌고 긍정적인 얘기까지 오갔으나 그의 자녀 학교 문제가 얽히면서 본격적인 협상 단계에 이르지 못한 채 무산됐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파울루 벤투 감독 후임으로도 잠깐 거론되었으며, 후일 인터뷰에서 공식 오퍼는 안 들어왔으나 손흥민, 이강인 등의 선수들을 지도하는 것 대한 흥미가 있다는 발언을 했다. 클린스만이 감독직 경질된 뒤에도 팬들이 많이 언급되고 있다.
2024년, 전북 현대 모터스가 후임 감독직을 두고 판브롱크호르스트에게 다시 한 번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3.4. 베식타스 JK
2024년 6월 6일, 베식타스 JK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1년 연장 옵션이 포함된 2년 계약을 체결했다.그러나 리그 5위와 유로파 리그 22위의 성적으로 부진을 겪더니, 2024년 11월 29일 결국 마카비 텔아비브 FC와의 유로파 리그 경기에서 3-1로 패배한 이후 경질당했다.
후속 보도에 따르면 구단 내부적으로 감독이 팀을 운영하기 어려운 사정들이 많았다고 하며, 이것이 부진한 성적의 이유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2025년 초부터는 UEFA 분석가로 활동하고 있다.
3.5. 리버풀 FC
그러던 2025년 6월, 아르네 슬롯 감독이 이끄는 리버풀 FC의 수석 코치직에 가까워졌다는 보도가 나왔다.# 보도에 따르면 다른 구단들의 오퍼를 많이 받아왔기에 감독직으로 복귀할 수 있는 기회는 많았고 실제로 그것이 계획이기도 했으나, 프리미어 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고 있는 리버풀의 제안이 거절할 수 없는 너무 좋은 기회로 여겨졌다고 한다. 슬롯 또한 페예노르트 출신의 감독인데, 직접적으로 면은 없지만 그러한 인연도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7월 2일 공식적으로 리버풀에 합류했다.
4. 사단
- 수석 코치
- 장폴 판하스털[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2015~2021, 2024~2025)#!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로이 마카이[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2021~2022)#!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코치
- 로이 마카이[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2015~2019)#!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데이브 포스[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2021~2022)#!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피지컬 코치
- 아르노 필립스[1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2015~2022, 2024~2025)#!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전력 분석관
- 요리 보스하르트[1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네덜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네덜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2015~2022)#!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 기록
5.1. 대회 기록
5.1.1. 선수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93~1998, 2007~2010)
- KNVB 베이커: 1994-95, 2007-08
- 레인저스 FC (1998~2001)
- 스코티시 프리미어 리그: 1998-99, 1999-00
- 스코티시컵: 1998-99, 1999-00
- 스코티시 리그컵: 1998-99
- FC 바르셀로나 (2003~2007)
- 라리가: 2004-05, 2005-06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05, 2006
- UEFA 챔피언스 리그: 2005-06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1996~2010)
- FIFA 월드컵 2위 : 2010
5.1.2. 감독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15~2019)
- 에레디비시: 2016-17
- KNVB 베이커: 2015-16, 2017-18
- 요한 크루이프 스할: 2017, 2018
5.2. 수훈
- 오라녜나사우 훈장 5등급: 2010
6. 여담
-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으로 말루쿠 혈통을 가지고 있다. 아버지 빅토르 반 브롱크호르스트도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이며, 어머니인 프란시엔 사풀레트는 아예 인도네시아인이다.
- 루이스 수아레스의 자서전에 따르면 2010 남아공 월드컵 당시 네덜란드와 우루과이의 준결승전 전에 8강전에서의 핸드볼 반칙으로 4강전에 나오지 못하게 된 수아레스가 판브롱크호르스트는 이미 노쇠화해서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고 입을 털었다고 한다. 하지만 우루과이는 그 노쇠한 선수에게 중거리 원더골까지 먹히고 탈락한다. 이후 동료들은 수아레스에게 판브롱크호르스트가 노장은 무슨 노장이냐면서 따졌다고.
- 2019년 1월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겨울 휴식기 및 이적 시장이 끝나고 후반기 리그 시작하자마자 선배 야프 스탐이 이끄는 PEC 즈볼러와 경기를 했는데 하필 그의 데뷔전. 결과는 3-1로 패배했다. 선배의 노련함이 잘 보여진 경기 중 하나.
- 조반니 레이나의 '조반니'가 이 선수에게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 2008년에 로테르담을 기반으로하는 지오바니 반 브롱크호르스트 재단(GvB 재단)을 설립한 바 있으며, 불우한 아동들의 스포츠 참여를 장려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12529,#e0e0e0 | FSG 보드진 | |||
오너진 | ||||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colbgcolor=#fff,#1c1d1f> 구단주 | <colbgcolor=#fff,#1c1d1f> | <colbgcolor=#fff,#1c1d1f> 존 헨리 | <colbgcolor=#fff,#1c1d1f> John William Henry ll | |
회장[1] | | 톰 워너 | Tom Werner | |
사장[2] | | 마이클 고든 | Michael Gordon | |
축구 부문 경영진 | ||||
CEO[3] | | 마이클 에드워즈 | Michael Edwards | |
테크니컬 디렉터 | | 줄리언 워드 | Julian Ward | |
축구 개발 디렉터 | | 페드로 마르케스 | Pedro Marques | |
글로벌 골키퍼 총괄 | | 한스 라이테르트 | Hans Leitert | |
데이터 과학 디렉터 | | 로리 쇼 | Laurie Shaw | |
구단 보드진 | ||||
경영진 | ||||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CEO[4][5] | | 빌리 호건 | Billy Hogan | |
매니징 디렉터[6] | | 앤디 휴즈 | Andy Hughes | |
CCO[7] | | 벤 라티 | Ben Latty | |
CFO[8] | | 제니 비컴 | Jenny Beacham | |
CLO[9] | | 조나단 밤버 | Jonathan Bamber | |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 | 크레이그 에반스 | Craig Evans | |
글로벌 커머셜 디렉터 | | 케이트 프랫시어볼드 | Kate Pratt-Theobald | |
임팩트 디렉터 | | 리시 제인 | Rishi Jain | |
LFCW 매니징 디렉터 | | 앤디 오보일 | Andy O'Boyle | |
상임이사 | | 마이클 이건 | Michael Egan | |
비상임이사 | | 케니 달글리시 경 | Sir Kenny Dalglish | |
사무총장 | | 대니 스탠웨이 | Danny Stanway | |
운영진 | ||||
스포팅 디렉터 | | 리처드 휴즈 | Richard Hughes | |
부 스포팅 디렉터 | | 데이비드 우드파인 | David Woodfine | |
메디컬 및 퍼포먼스 디렉터 | | 조나단 파워 | Jonathan Power | |
리서치 디렉터 | | 윌리엄 스피어맨 | William Spearman | |
글로벌 인재 디렉터 | | 맷 뉴베리 | Matt Newberry | |
아카데미 디렉터 | | 알렉스 잉글소프 | Alex Inglethorpe | |
코칭 스태프 | ||||
코치진 | ||||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감독[H] | | 아르네 슬롯 | Arne Slot | |
수석 코치 | | 시프커 휠스호프 | Sipke Hulshoff | |
|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 | Giovanni van Bronckhorst | ||
개인 개발 코치 | | 루이스 페르난도 이우벨 | Luiz Fernando Iubel | |
세트피스 코치 | | 애런 브릭스 | Aaron Briggs | |
수석 골키퍼 코치 | | 샤비 발레로 | Xavi Valero | |
골키퍼 개발 코치 | | 콜린 스튜어트 | Colin Stewart | |
아카데미 코치진 | ||||
U-21 감독[H] | | 롭 페이지 | Rob Page | |
U-18 감독[H] | | 사이먼 와일스 | Simon Wiles | |
메디컬 및 퍼포먼스 스태프 | ||||
메디컬 및 영양 부서 | ||||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팀닥터 | | 아밋 파누 | Amit Pannu | |
영양 총괄 | | 모나 네머 | Mona Nemmer | |
수석 퍼포먼스 영양사 | | 클레어 패럴 | Clare Farrell | |
영양 퍼포먼스 개발 코디네이터 | | 피비 라퍼티 | Phoebe Lafferty | |
보조 영양사 | | 로나 버틀러 | Lorna Butler | |
헬스 케어 담당관 | | 린지 아메드 | Lynsey Ahmed | |
스포츠 심리학 고문 | | 리 리차드슨 | Lee Richardson | |
퍼포먼스 및 피트니스 부서 | ||||
피지컬 퍼포먼스 총괄 | | 코널 머터 | Conall Murtagh | |
수석 피지컬 퍼포먼스 코치 | | 루벤 피터스 | Ruben Peeters | |
피지컬 퍼포먼스 코치 | | 에드 하퍼 | Ed Harper | |
| 조던 페어클러프 | Jordan Fairclough | ||
피지컬 개발 총괄 | | 잭 에이드 | Jack Ade | |
스트렝스 및 컨디셔닝 코치 | | 크리스 블랙 | Chris Black | |
재활 피트니스 코치 | | 데이비드 라이딩스 | David Rydings | |
피트니스 분석관 | | 니키 샌더스 | Nikki Sanders | |
물리 치료 부서 | ||||
퍼포먼스 물리 치료 총괄 | | 크리스 모건 | Chris Morgan | |
물리 치료사 | | 데이비드 브린 | David Breen | |
| 로빈 새들러 | Robin Sadler | ||
재활 물리 치료 총괄 | | 리 노브스 | Lee Nobes | |
재활 물리 치료사 | | 조 루이스 | Joe Lewis | |
마사지 부서 | ||||
마사지 치료 총괄 | | 폴 스몰 | Paul Small | |
마사지사 | | 미셸 허드슨 | Michelle Hudson | |
마사지 및 스포츠 치료사 | | 와타나베 모토노리 | Watanabe Motonori | |
리서치 및 분석 스태프 | ||||
리서치 부서 | ||||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데이터 과학 총괄 | | 다피드 스틸 | Dafydd Steele | |
리서치 개발 및 통계 연구원 | | 팀 와스켓 | Tim Waskett |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 마크 하울렛 | Mark Howlett | |
리서치 시스템 개발 | | 마크 스티븐슨 | Mark Stevenson | |
분석 부서 | ||||
분석 총괄 | | 얀센 모레노 | Jansen Moreno | |
경기 및 선수 분석관 | | 대니얼 스피어릿 | Daniel Spearritt | |
| 조엘 보너 | Joel Bonner | ||
전술 분석관 | | 로데릭 반 데르 햄 | Roderick van der Ham | |
세트피스 분석관 | | 루이스 마호니 | lewis mahoney | |
영입 및 스카우팅 스태프 | ||||
스카우트 부서 | ||||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수석 스카우트 | | 배리 헌터 | Barry Hunter | |
스카우팅 운영 총괄 | | 크레이그 맥키 | Craig McKee | |
테크니컬 스카우팅 총괄 | | 마크 버칠 | Mark Burchill | |
스카우트 | | 시에나 오브라이언 | Sienna O'Brien | |
| 존 도슨 | John Dawson | ||
| 마이크 크롬튼 | Mike Crompton | ||
| 마크 고워 | Mark Gower | ||
| 스콧 러셀 | Scott Russel | ||
| 크리스 윌킨슨 | Chris Wilkins | ||
| 앤디 세이어 | Andy Sayer | ||
| 앤드루 오브라이언 | Andrew O'Brien | ||
| 마즈 예르겐센 | Mads Jørgensen | ||
| 키코 에스피나르 | Kiko Espinar | ||
| 스벤 도라제크 | Sven Dworaczek | ||
| 라시드 클리피 | Rachid Khlifi | ||
| 다슬러 마르케스 | Dassler Marques | ||
| 페르난도 트로이아니 | Fernando Troiani | ||
| 라파엘 실렌토 | Raphael Cilento | ||
| 실뱅 은디아예 | Sylvain N'Diaye | ||
글로벌 인재 스카우팅 총괄 | | 카일 월뱅크스 | Kyle Wallbanks | |
글로벌 인재 스카우트 | | 스튜어트 다우닝 | Stewart Downing | |
| 티카 무손다 | Tika Musonda | ||
영입 분석 총괄 | | 베심 알리 | Besim Ali | |
보조 영입 분석관 | | 앤서니 로스본 | Anthony Ross-Bone | |
임대 관리 부서 | ||||
임대 관리 총괄 | | 게리 프로버트 | Gary Probert | |
임대 경로 책임 | - | 공석 | - | |
임대 성과 분석관 | | 해리 테일러 | Harry Taylor | |
지원 스태프 | ||||
운영 부서 | ||||
직책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
퍼스트팀 운영 총괄 | | 루이스 돕슨 | Louise Dobson | |
선수 복지 총괄 | | 제인 그리피스 | Jane Griffiths | |
장비 운영 총괄 | | 리 래드클리프 | Lee Radcliffe | |
장비 관리 코디네이터 | | 브렌던 매킬더프 | Brendan McIlduff | |
보조 장비 관리관 | | 잉카 아데무이와 | Yinka Ademuyiwa | |
기타 스태프 | ||||
스타디움 운영 총괄 | | 스튜어트 베이커 | Stuart Baker | |
스타디움 아나운서 | - | 공석 | - | |
그라운드 관리 총괄 | | 데이브 맥컬록 | Dave McCulloch | |
출처: 리버풀 FC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4일 | ||||
{{{#!folding [ 각주 펼치기 · 접기 ] |
[1] Chairman[2] President[3] CEO of Football, 축구 부문 CEO[4] Chief Executive Officer, 최고 경영자[5] FSG international(FSG 해외법인) CEO와 겸직[6] 총괄이사[7] Chief Commercial Officer, 최고 영업 관리자[8] Chief Financial Officer, 최고 재무 관리자[9] Chief Legal Officer, 최고 법무 관리자[H] Head Coach, 헤드 코치[H] Head Coach, 헤드 코치[H] Head Coach, 헤드 코치
1 반 데르 사르 · 2 레이저허르 · 3 스탐 · 4 F. 더 부르 ⓒ · 5 누만 · 6 용크 · 7 R. 더 부르 · 8 베르캄프 · 9 클라위버르트 10 세도르프 · 11 코쿠 · 12 젠던 · 13 오이여르 · 14 오버르마르스 · 15 보하르더 · 16 다비즈 · 17 V. 호이동크 18 더 후이 · 19 V. 브롱크호르스트 · 20 빈터르 · 21 하셀바잉크 · 22 헤스프 |
|
1 반 데르 사르 · 2 레이저허르 · 3 스탐 · 4 F. 더 부르 ⓒ · 5 젠던 · 6 세도르프 · 7 코쿠 · 8 다비즈 · 9 클라위버르트 10 베르캄프 · 11 오버르마르스 · 12 V. 브롱크호르스트 · 13 콘터르만 · 14 V. 포센 · 15 파울 보스펠트 · 16 R. 더 부르 · 17 V. 호이동크 18 더 후이 · 19 누만 · 20 빈터르 · 21 마카이 · 22 베스터르펠트 |
|
1 반 데르 사르 · 2 레이저허르 · 3 스탐 · 4 바우마 · 5 V. 브롱크호르스트 · 6 코쿠 ⓒ · 7 판 데르 메이더 · 8 다비즈 · 9 클라위버르트 10 V. 니스텔로이 · 11 판 데르 파르트 · 12 마카이 · 13 바터루스 · 14 스네이더 · 15 F. 더부르 · 16 오버르마르스 · 17 V. 호이동크 18 헤이팅아 · 19 로번 · 20 세도르프 · 21 보스펠트 · 22 젠던 · 23 베스터르펠트 |
|
1 반 데르 사르 ⓒ · 2 오이여르 · 3 헤이팅아 · 4 마테이선 · 5 V. 브롱크호르스트 · 6 더 제이우 · 7 V. 페르시 · 8 엥헬라르 · 9 V. 니스텔로이 10 스네이더 · 11 로번 · 12 멜키오트 · 13 티머 · 14 바우마 · 15 더 클레르 · 16 스테켈렌뷔르흐 · 17 더 용 18 카윗 · 19 휜텔라르 · 20 아펠라이 · 21 불라루즈 · 22 헤셀링크 · 23 판 데르 파르트 |
|
1 스테켈렌뷔르흐 · 2 판 데 르빌 · 3 헤이팅아 · 4 마테이선 · 5 V. 브롱크호르스트 ⓒ · 6 판 보멀 · 7 카윗 · 8 더 용 · 9 V. 페르시 10 스네이더 · 11 로번 · 12 불라루즈 · 13 오이여르 · 14 더 제이우 · 15 브라프헤이트 · 16 포름 · 17 엘리아 18 샤르스 · 19 바벌 · 20 아펠라이 · 21 휜텔라르 · 22 보스커르 · 23 판 데르 파르트 |
|
[1] /d͡ʒijoːˈvɑni ˈkrɪstiˌjaːn vɑn ˈbrɔŋkɦɔrst/[2] Marieke-Wolfers van Bronckhorst. 2000년에 결혼.[3] Jake van Bronckhorst. 2001년 10월 2일생. #[4] Joshua van Bronckhorst. 2006년 5월 21일생.[5] 가장 최근에 스코틀랜드 팀이 본선에 2팀 출전했던 것은 2007-08 시즌.[6] Jean-Paul van Gastel #[7] Roy Makaay #[8] Roy Makaay #[9] Dave Vos #[10] Arno Philips # 히딩크 사단의 일원으로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다.[11] Yori Bosschaart #
분류
- 1975년 출생
- 로테르담 출신 인물
-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
- 네덜란드의 남자 축구 선수
- 레프트백
- 중앙 미드필더
- 1993년 데뷔
- 2010년 은퇴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은퇴, 이적
- RKC 발베이크/은퇴, 이적
- 레인저스 FC/은퇴, 이적
- 아스날 FC/은퇴, 이적
- FC 바르셀로나/은퇴, 이적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
- 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
- UEFA 유로 2000 참가 선수
- UEFA 유로 2004 참가 선수
- UEFA 유로 2008 참가 선수
- 네덜란드의 남자 축구 감독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역대 감독
- 광저우 시티/역대 감독
- 레인저스 FC/역대 감독
- 베식타스 JK/역대 감독
- 리버풀 FC/역대 스태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