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군| 일본군 ]] 日本軍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 |||
| <rowcolor=#FFF> | |||||
||<-3><tablewidth=100%><bgcolor=#B0313F,#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colcolor=#FFF> 관련 문서 ||
| <colbgcolor=#B0313F,#B0313F> 정보·역사 |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 해군성 · 육군성 · 육군조병창 | |
| 병역 |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 |
| 편제 | 육군 |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 근위사단 |
| 해군 | 연합함대 · 군령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 |
| 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 |
| 전술 |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 |
| 인물 |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 |
| 철도 |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 |
| 교육기관 |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 |
| 식민지 및 통치기관 | 조선(조선총독부) · 대만(대만총독부) · 가라후토(가라후토청) · ▤관동주(관동청) | |
| 논란 |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 ▤ : 만주국 관련 문서 |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DFEFA,#2D2F34><bgcolor=#B0313F,#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 |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 군도 |
| |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B0313F,#B0313F> 관련 틀 ||
}}}}}}}}} ||| 군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1. 개요
태평양 전쟁 당시의 일본 해군의 항공모함 또는 수상기 모함, 항공전함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항공전대2. 제1항공전대
| 제1항공전대 第一航空戦隊 | |
| | |
| 일본제국 해군기 | |
| 국가 | 일본 제국 |
| 소속 | 일본제국해군 |
| 주요참전 | 태평양 전쟁 |
| 편제 | 항공모함 위주 편제 |
第一航空戦隊(다이이치코오쿠센타이)
해당 문서 참고
3. 제2항공전대
| 제2항공전대 第二航空戦隊 | |
| | |
| 일본제국 해군기 | |
| 국가 | 일본 제국 |
| 소속 | 일본제국해군 |
| 주요참전 | 태평양 전쟁 |
| 편제 | 항공모함 위주 편제 |
第2航空戦隊(다이니코오쿠센타이)
소류 & 히류(~1942)
소류와 히류가 건조되어 미드웨이에서 격침될 때까지 고정. 1항전과 마찬가지로 미드웨이 해전 이 후 개조항모 히요, 준요,
경항모 류조로 재편성되기도 했으나, 동부 솔로몬 해전에서 류조가 침몰하고 필리핀 해 해전에서 히요가 침몰하며 레이테 해전 이후 잔존함이 1항전으로 재배속되며 해체
4. 제3항공전대
| 제3항공전대 第三航空戦隊 | |
| | |
| 일본제국 해군기 | |
| 국가 | 일본 제국 |
| 소속 | 일본제국해군 |
| 주요참전 | 태평양 전쟁 |
| 편제 |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위주 편제 |
第3航空戦隊(다이산코오쿠센타이)
즈이카쿠 & 즈이호 & 치토세 & 치요다
호쇼 & 즈이호(1942)
수상기모함 중심으로 편제되다가 미드웨이 무렵의 편제는 호쇼 & 즈이호로 대체. 미드웨이 이후 호쇼는 훈련함이 되고 즈이호는 5항전 쇼카쿠급과1항전으로 옮겨가며, 3항전은 치토세와 치요다를 중심으로 재편.
이후 즈이호가 돌아오고, 즈이카쿠까지 추가되며 총 4척 구성이되지만 레이테 해전에서 전멸.
5. 제4항공전대
| 제4항공전대 第四航空戦隊 | |
| | |
| 일본제국 해군기 | |
| 국가 | 일본 제국 |
| 소속 | 일본제국해군 |
| 주요참전 | 태평양 전쟁 |
| 편제 | 항공모함, 항공전함 위주 편제 |
第4航空戦隊(다이욘코오쿠센타이)
류조 & 타이요 & 쇼호 & 준요 (1942)[1]
이세급 항공전함 이세 & 휴가[2]
미드웨이 해전 전에는 류조, 타이요로 편성되며 이후 쇼호, 준요가 들어오게 되지만, 산호해 해전에서 쇼호가 침몰.
미드웨이 해전 이후 일시 해체되었다가 이후 이 여파로 후부갑판을 항공갑판으로 개조한 이세급 항공전함을 주축으로 하는 항공전대로 재구성 하지만 큰활약은 하지 못했다.
6. 제5항공전대
| 제5항공전대 第五航空戦隊 | |
| | |
| 일본제국 해군기 | |
| 국가 | 일본 제국 |
| 소속 | 일본제국해군 |
| 주요참전 | 태평양 전쟁 |
| 편제 | 항공모함 위주 편제 |
第5航空戦隊(다이고코오쿠센타이)
쇼카쿠급 1번함 쇼카쿠 & 2번함 즈이카쿠(~1942)
태평양 전쟁 개전 직전 정규항모 2척으로 결성되었다가 미드웨이 해전때 아카기와 카가가 격침된 이후 쇼카쿠와 즈이카쿠가 1항전으로 이동하며 해체
7. 기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전투함 |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급, |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치토세급(치토세-치요다), 다이요급(다이요-운요-추요), 신요, 카이요, 히요급(히요-준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급(소류-히류), 쇼카쿠급, 다이호, |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C/? |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 군수지원함 |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제1호형 수송함 |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 함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