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14:27:23

이토


1. 일본의 성씨
1.1. 실존 인물1.2. 가상 인물
2. 일본의 지명3. 泥土4. 대한민국의 커뮤니티 사이트5.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어종

1. 일본의 성씨

히라가나 いとう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법 이토
통용 표기 이토
최영애-김용옥 일본어 표기법 이토오
로마자 Ito / Itō / Itou

여러 한자들이 있지만, 대표적인 한자는 伊藤로, 일본에서 6번째로 흔한 성씨다. 성씨의 어원은 이세(伊勢)의 후지와라(藤原)씨[1]로 일본의 고대 귀족 가문인 후지와라씨 중에서 이세 지역에 영지를 가지고 있는 가문에서 유래했다.

이토(伊藤) 성씨를 가진 사람들 중에서 이토 히로부미[2]대한민국에서 엄청나게 악명이 높아서[3] 성씨가 이토인 일본인들은 한국인들이 이상한 시선으로 바라봐서 불편할 때가 많다고 한다.

이는 자제해야 할 행동으로, 일본의 경우 같은 한자의 성을 쓴다고 대한민국처럼 다 한 집안에서 갈라져 나온 자손들이 아니며[4][5] 부부동성제를 채택한 일본에는 결혼으로 이토 씨가 된 경우도 있으니 실제로는 완전 남남인 경우도 많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아픈 역사가 얽혀 있는 성씨이긴 하지만 그 이유만으로 한국에 대해 다른 잘못을 한 적 없는 다른 이토 씨들까지 죄다 깎아내리는 건 적절치 않다는 것. 일제강점기에는 윤씨 성을 가진 한국인들이 창씨개명을 할 때 이토로 바꾸기도 했다.

伊藤보다는 드물지만 '伊東'라고 쓰고 '이토'라고 읽는 성씨도 있다.[6] 이쪽 또한 후지와라씨 출신의 구도란 성씨에서 갈라져나온 방계로 가마쿠라~무로마치 시절에 지금의 미야자키현인 휴가 지방에서 다이묘 노릇을 했고 에도 막부에서도 오비(飫肥) 번의 번주로 있었다. 덴쇼 소년사절단 중 한 명인 이토 만쇼가 이 이토씨의 혈통이다. 이 성씨를 쓰는 인물은 2012년 두산 베어스에서 코치를 하던 이토 쓰토무치바 롯데 마린즈 감독. 또한 전차남(드라마)에서 아오야마(에르메스) 역을 했던 주연 배우 이토 미사키도 이 성씨를 쓴다.[7] 일본의 성우 이토 켄토도 이 성씨를 쓴다.

1.1. 실존 인물

1.2. 가상 인물

1.2.1. 전투요정 유키카제의 등장인물

스포츠 헤어스타일에 안경을 쓴 오퍼레이터.

원작에서는 언급조차도 없는 OVA만의 오리지널 인물로 보인다. OVA 1화에서 이성을 잃은 제임스 부커 소령갈굼만 줄창 받았다. OVA 마지막이 다 되도록 등장하는 빈도조차 극히 낮은 캐릭터이다.

2. 일본의 지명

3. 泥土

진흙을 뜻하는 한자어. 진흙 니()에 흙 토()를 쓴다.

4. 대한민국의 커뮤니티 사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토랜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토랜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토랜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어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토(동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토(동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토(동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토(藤)로 끝나는 성은 그 기원을 후지와라 가문으로 본다. 토(藤)앞에 붙는 글자는 해당 가문의 시조의 영지나 관직명과 관련이 있다. 역시 일본에서 흔한 성 중 하나인 가토(加藤)는 가가(加賀)의 후지와라씨라는 의미.[2] 어린 시절 성도 없이 이름만 있었던 최하계급이었다. 그리고 이 이름도 본명이 아니다.[3] 이 작자가 한국에서 나쁜 의미로 인지도가 높다 보니 한국인들은 별도의 수식어 없이 '이토' 두 자라고만 불러도 이토 히로부미부터 가장 먼저 떠올린다.[4] 사실 대한민국도 전주 이씨, 화산 이씨문화 류씨, 진주 류씨 토류계처럼 성씨는 같지만 관계가 없는 경우도 매우 흔하다.[5] 사실 한국에서도 매국노나 흉악범과 동성동본이라고 해도 김이박최정 정도의 흔한 성이면 일가라고 생각하기는커녕 어지간해선 신경도 쓰지 않을 것이다. 당장 가까운 예만 봐도 이완용은 한국사 최악의 매국노지만 이씨 성을 가진 한국사 선생님들이 수업할 때 "우리 집안의 수치다!"하는 식으로 드립을 칠 때 정도나 부각될 뿐 평소 이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이완용 때문에 고개를 못 들고 다니는 일은 없다.[6] 한자를 한국식으로 읽으면 전자는 '이등', 후자는 '이동'이다.[7] 야마다(전차남) 역할을 한 주연 배우 이토 아츠시는 伊藤로 표기한다.[8] 원작 이사쿠에선 성 伊頭를 ‘이즈’라고 발음했으나 이후 동생들이 나오면서 이토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