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대학교병원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을지대학교의료원에 대한 내용은 을지대학교의료원 문서, 강남을지대학교병원에 대한 내용은 강남을지대학교병원 문서
, 노원을지대학교병원에 대한 내용은 노원을지대학교병원 문서
,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에 대한 내용은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문서
참고하십시오.대전을지대학교병원 관련 틀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41e4a,#506b9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학부/대학원 | 캠퍼스 | 학교 생활 | ||||||||||
부속병원 | ||||||||||||
을지대학교의료원 | ||||||||||||
대전을지대학교병원 大田乙支大學校病院 Daejeon Eulji Medical Center, Eulji University | |
창원이념 | 인간사랑과 생명 존중 |
슬로건 | 당신도 을지가족입니다.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개원일 | 1981년 11월 11일[1] |
총장 | 제13대 홍성희 |
병원장 | 김하용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서로 95 (둔산동) |
종류 | 종합병원 (대학병원) [2] |
병상 수 | 786 병상 [3] |
웹사이트 | 대전을지대학교병원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전경 |
2. 역사
1981년 11월 11일, 보건사회부의 허가아래 수련병원으로 지정되어 정식으로 개원하였으며 이때에는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했다. 당시 위치가 산꼭대기였는데, 대전시가 버스노선을 적게 할당해 주어 진료받으러 다니는 것만으로 건강해지는 병원이란 묘한 평가를 듣기도 했다.옛날 병원이었던 건물은 지금 의과대학 건물로 사용 중인데, 아직도 과거 병원 시절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고, 당시 사용하던 구급차도 방치되어있다.
1983년, 서울보건대학교를 인수하며 규모가 커졌는데 충청권의 병원이 수도권에 속한 학교를 흡수하며 구성원의 족보가 미묘하게 꼬여, 대전광역시 본점[4]에서 공부를 하고 노원을지와 강남을지 분점으로 팔려나간다고 자조하는 상황이다.
2004년, 정부대전청사 주변으로 이전하며, 본점답게 대규모 시설강화가 이루어져 사립 대학병원 치고는 상당히 큰 규모인 전체 1,024병상의 지상 16층, 지하 3층 본관과 7층짜리 별관을 가지게 되었으나 새로 개원하게 되는 의정부 병원에의 재단 역량 집중 결정에 따라 2019년부터는 600여 병상만을 운영하고 있다.
참고로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은 과거에는 3차 상급종합병원이었으나 탈락하여 2차 종합병원으로 분류된다. 대전광역시에서 3차 상급종합병원인 병원은 충남대학교병원과 건양대학교병원이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을지재단 입장에서는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의 빠른 안정화와 상급종합병원 등재를 중요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5]
3. 위치
충청권의 중심인 대전광역시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종합병원을 운용 중이고 을지재단쪽이 세운 분원이 수도권에 세 곳(노원을지대학교병원, 강남을지병원,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있어 대전 사람들은 잘 알고 서울 사람들도 상당수는 적어도 이름은 아는 병원이다.1990년대 이전엔 그저 큰 병원을 찾아다니던 사람들이 수도권에서 소개를 받아 입원하는 경우가 다수였고, 2000년대엔 다빈치와 같은 신규설비 도입이나 고난이도 수술로 알려진 뇌기저부[6] 수술, 폐이식과 간-신장 동시생체이식 등이 성공하여 입원하는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층별안내
4.1. 본관
16F | |
헬리포트(응급후송용) | |
6~15F | |
병동 | |
5F | |
안정병동, 옥외정원 | |
4F | |
마취통증의학과, 수술실, 심혈관센터, 심장내과중환자실, 외과계중환자실, 외상중환자실 | |
3F | |
건강증진센터, 내분비내과, 당뇨교실, 범석홀(대강당), 분만실,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신생아실,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여성의학센터, 접수/수납, 직업환경의학과, 혈당측정실계, 내과계중환자실 암센터 연결통로 | |
2F | |
류마티스내과, 병리과, 안과, 이비인후과, 세미나1·2실, 소화기센터(내시경실, 소화기내과, 외과, 장운동 검사실), 소회의실, 심폐센터(심장내과, 심전도검사실, 심초음파/운동부하검사실, 알레르기검사실, 폐기능검사실, 호흡기내과), 영양상담실, 원목실, 을지홀(중강당), 생활편의시설(미용실), 접수/수납, 진단검사의학과, 진료협력센터, 채혈실, IRB 사무실 암센터 연결통로 | |
1F | |
가정간호센터, 감염관리실, 관절센터/척추센터(신경외과, 인체동작분석실, 정형외과, 통증클리닉), 뇌신경정신센터(근전도/뇌파/뇌혈류/신경전도/임상심리검사실, 놀이치료실/집단, 신경과, 신경외과, 정신건강의학과), 방재실, 사회사업팀, 생활편의시설(은행, 커피숍, 화원), 약제부(복약상담실), 영상의학부[CT실(전산화단층촬영실), 일반촬영실, 진단방사선:MRI실(자기공명촬영실)], 원무부(원무과), 응급의료센터(응급의학과), 적정진료관리실, 접수/수납, 주사/채혈실, 진료의뢰센터, QI실 | |
B1F | |
교환실 통합콜센터, 구내식당, 물리치료실, 방사선종양학과, 사회사업실, 생활편의시설(24시간 편의점, 식당가, 의료용품점, 파리바게트), 심사팀, 약제부(제제실), 영양팀, 의료정보팀, 재무회계팀(경리과), 재활의학과, 전산실 통합전산센터, 주차장, 통신실, PET-CT실(양전자방출촬영실), 핵의학과 | |
B2F | |
검수팀, 관리팀, 도서실(전자도서관), 세탁실, 운동의학센터, 의공실, 장례식장, 주차장, 중앙공급실 | |
B3F | |
감마나이프센터, 기계실, 시설부, 싸이클로트론실, 전기실, 주차장, 중앙감시실, 중환자보호자대기실, 협력업체사무실 |
4.2. 암센터(신관)
7F | |
예비실, 전기실 | |
6F | |
건강증진센터, 종합검진센터 | |
5F | |
건강증진센터, 국가검진센터 | |
4F | |
신장내과, 인공신장센터 | |
3F | |
가정의학과, 성형외과, 치과, 피부과, 본관 연결통로 | |
2F | |
부인종양과, 유방내분비/갑상선, 혈액종양내과, 본관 연결통로 | |
1F | |
사무실 | |
B1~B3F | |
주차장 |
4.3. 임상의학센터(대전을지빌딩)
6F | |
교수연구실 | |
5F | |
교수연구실 | |
4F | |
교수연구실 | |
3F | |
교수연구실 | |
2F | |
간호부, 교육수련부, 인사총무팀, 홍보팀, 을지의생명과학연구소 | |
1F | |
사무실 |
4.4. 을지1,2,3관
을지1관 | |
주차장, 인턴숙소, 연구실 | |
을지2관 | |
간호사숙소 | |
을지3관 | |
공실 |
5. 진료과목
5.1. 내과계열
내과계 진료과목 | |||||||||||
감염내과 | 내분비내과 | 류마티스내과 | 신장내과 | ||||||||
심장내과 | 호흡기내과 | 소화기내과 | 혈액종양내과 | ||||||||
가정의학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재활의학과 | ||||||||
정신건강의학과 | 피부과 |
5.2. 외과계열
외과계 진료과목 | |||||||||||
외과 | 정형외과 | 성형외과 | 신경외과 | ||||||||
심장혈관흉부외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비뇨의학과 | ||||||||
산부인과 |
5.3. 지원계열
지원계 진료과목 | |||||||||||
마취통증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영상의학과 | 핵의학과 | ||||||||
병리과 | 진단검사의학과 | 응급의학과 |
5.4. 치의학계열
치의학계 진료과목 | |||||||||||
치과 |
6. 교통
6.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을지대학병원/서구청/이마트/파랑새네거리/둔산2동주민센터/정부청사역(32130·32150·32210·32230·32270·32300·32320·32330·34770) ||
간선 | |
지선 |
6.2. 도시철도
7. 여담
- 박영하 산부인과라는 이름으로 개업하여 성장한 탓인지 산부인과 관련 진단에 대한 신뢰도는 비교적 높다.
근데 같은 시기 만들어진 사립의과대학의 개설자는 모두 다 산부인과 의사였다. 차병원(차경섭), 길병원(이길여) 모두 설립자가 산부인과 전문의 - 서울보건대학교를 흡수한 후 여러 병원을 흡수하며 성장하였기에 전국최초의 의료센터 세분화 시스템을 추진했고 위에서 설명했듯이 간-신장 생체이식, 폐이식수술을 중부권 최초로 성공시켰다.
- 연구기관들이 많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탓인지 국내 최초로 다빈치를 도입할 기회가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국내 최초는 아니지만, 중부권 최초로 다빈치도입을 성공했다.
- 시골의사 박경철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 생활을 한 곳이기도 하다.
- 충청권 대학병원 중에서 주차난이 제일 심각하기로 악명높다. 둔산동 일대의 높은 지가와 연약한 지반 문제로 주차장 공간 확보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이다.[7]
- 대전에서 큰 번화가 중 하나인 둔산동에 위치해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고[8], 주위에 여러시설이 많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의 응급실은 항상 바쁘다.
- 대전을지대병원은 1기 상급종합병원이었으나 간호사 부족과 의정부 병원 신설에 따른 재정 문제로 2기부터는 탈락되었고[9], 400여 병상을 가동하다가 다시 간호사들을 충원하며 신고병상을 늘려가고 있다. 최대가용병상은 1,024병상이다.
- 대전을지대병원 권역외상센터의 권역은 대전광역시뿐만 아니라 세종특별자치시까지 포함한다.
- 2027년 3월부로 목동에 있던 대전캠퍼스가 둔산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의과대학의 임상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본과 2학년까지는 목동에서, 본과 3~4학년은 둔산동, 하계동, 의정부 등지로 흩어져 지내게 되었는데 2027년부터는 본과 2학년까지도 전부 둔산동에서 생활하게 된다.
8. 관련문서
[1] 종합병원으로 개원일이다. 로고에 사용되는 1951년 11월 11일은 재단의 전신이 되는 박영하 산부인과의 개원일이며 범석홀은 설립자의 호를 딴 것이다.[2] 2017년까지는 상급종합병원이었으나 이후 탈락되었다.[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 10 입원병실 기준[4] 농담이 아니라, 재학생들 조차 거론하는 말이다.[5] 다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이나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은 오히려 상급종합병원에서 일부러 탈락했다는 평가가 많다. 왜냐하면 순천향재단과 을지재단은 산하 병원이 최소 3곳 이상이며,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이나 대전을지대병원은 의과대학 소재지에 위치한 병원이라는 상징성만 가질 뿐이다. 그리고 두 대학병원 모두 병원과 의대가 따로 있기 때문에 효율성 재고를 위한 본원 확장 및 의대 이전을 위해 긴축에 들어가면서 자진해서 2차 종합병원으로 강등한 것이다. 반면, 건양대학교 대전병원이나 단국대학교 천안병원은 각 재단 산하의 유일한 병원이기 때문에 상급종합병원 타이틀이 절실하다. 더욱이 건양대학교 대전병원은 상급종합병원 제도가 생긴 이래로 2023년까지 단 한 차례도 상급종합병원에 등극하지 못했다. 참고로 2017년 대전을지대병원이 자진 탈락할 때 단국대학교 천안병원이 상급종합병원으로 승급했으며, 2023년에도 비슷하게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이 자진 탈락할 때 건양대학교 대전병원이 승급하게 된 것이다.[6] 두개골 믿바닥과 뇌의 아랫부분. 뇌간이나 연수,정맥동이라 불리는 중요한 혈관다발이 위치한 곳. 의사들에겐 금단의 영역이라 불렸다.[7] 둔산동 일대는 유등천, 갑천이 범람하며 생긴 충적지형이라서 주차장을 깊게 파기 어려운데다가 일대에 정부청사 등이 있어 확장이 어렵다. 실제로 대전 1호선 서구 구간은 지하차도와 연약지반, 그리고 시청과 정부청사의 배치로 인해 급곡선이 심하고 난공사로 손꼽혔다.[8] 정부청사역 1번 출구에서 도보 250m 거리이다.[9] 상술했듯 자진 강등으로 볼 여지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