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2:48:21

무라비트 왕조

알 모라비드 왕조에서 넘어옴
무라비트 왕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CC3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5em; letter-spacing: -0.5px"
<colbgcolor=#000><rowcolor=#FFF> N T F C M A S WS
고대 페니키아 베르베르
카르타고
마우레타니아 왕국 게툴리 부족
(제나타 연맹)
베르베르
로마 제국
팅기타나 속주
고중세 서고트 반달 마우레타니아 왕국
동로마 제국
이슬람화 우마이야 왕조
베르베르 대항거 베르베르
노르만
살리흐 왕조
이드리스 왕조 바르가와타 이드리스 미드라르
(시질마사)
파티마 vs
우마이야
분열기 페스
미크나사
파티마-지리 왕조 바르가와타 지리왕조 베르베르
지리왕조 후 우마이야 왕조
힐랄 - 술라임 마그라와 vs 이프란 제나타
스페인
진출
무라비트 왕조
무와히드 왕조 베르베르
마린 왕조
중근세 와타스 왕조 사드 왕조 수스
사드 왕조
알라위 왕조
근현대 스페인 프랑스 스페인
현대 모로코 왕국 서사하라
※ T는 북부 탕헤르 일대, N은 지중해 연안 리프 지방, C는 카사블랑카, F는 페스(중북부), M는 마라케시, A는 아틀라스 산지, S는 동부 테필랄트(시질마사), WS는 서사하라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62020> 고대
중세 <colbgcolor=#f9bcb4>
근현대
}}}}}}}}}

<nopa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letter-spacing: -.4px"
고대 베르베르인
누미디아 페니키아 정착지 베르베르인
카르타고
마우레타니아 왕국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마우로 로마 왕국
[[알타바 왕국|
알타바 왕국
]]
반달 왕국
동로마 제국
중세 우마이야 왕조
루스탐 왕조 아바스 왕조
[[무할라브 왕조|
무할라브 왕조
]] [[아글라브 왕조|
아글라브 왕조
]]
파티마 왕조
지리 왕조
[[바누 힐랄|
바누 힐랄
]] [[바누 술라임|
바누 술라임
]]
함마드 왕조 이프란 왕조
무라비트 왕조
무와히드 왕조
[[무라비트 왕조#s-5.2|
바누 가니야
]]
마린 왕조 자얀 왕조 하프스 왕조
근세 오스만 제국
[[알제 섭정국|
알제 섭정국
]] [[에이트 압바스 왕국|
에이트 압바스
]] [[쿠쿠 왕국|
쿠쿠 왕국
]]
[[투구르트 술탄국|
투구르트
]] [[스페인령 오랑|
스페인령 오랑
]]
압델카데르 토후국 프랑스령 알제리
프랑스령 알제리
현대 알제리 인민 민주 공화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 레콩키스타 - 스페인 제국 - 현대
레콩키스타
(718년 ~ 1492년)
아스투리아스 왕국 우마이야 왕조
후우마이야 왕조
(코르도바 아미르국)
프랑크 왕국 후우마이야 왕조
(코르도바 칼리파국)
갈리시아 왕국 레온 왕국 나바라 왕국 서프랑크 왕국
레온-갈리시아 왕국 프랑크 왕국 바르셀로나
백작령
갈리시아 왕국 나바라 왕국
카스티야 왕국 나바라 왕국 아라곤 왕국 타이파 분열·성립 함마드 왕조
갈리시아 왕국
포르투갈 백국
레온 왕국 카스티야 왕국
타이파

톨레도, 사라고사, 발렌시아, 바다호스, 세비야, 코르도바, 그라나다
레온 왕국 아라곤 왕국
나바라 왕국 아라곤 왕국 무라비트 왕조
레온 왕국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연합왕국 무와히드 왕조
타이파
발렌시아, 무르시아
카스티야 연합왕국 카스티야 연합왕국 아라곤 연합왕국 나스르 왕조
그라나다
카스티야 연합 왕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선사 - 로마 - 게르만족의 대이동 - 헤콩키스타 - 근대 - 현대
<colbgcolor=#c60b1e> 헤콩키스타 우마이야 왕조
알안달루스
아스투리아스 왕국 포르투갈 백작령 우마이야 왕조
갈리시아 왕국 후우마이야 왕조
레온 왕국 무라비트 왕조
포르투갈 왕국
보르고냐 왕조
아비스 왕조
무와히드 왕조
근대 포르투갈 왕국
아비스-베자 왕조


,,
압스부르구 왕조

[[포르투갈 왕국|{{{#fff
브라간사 왕조,,}}}]]
나폴레옹 점령기 포르투갈-브라질-알가르브
연합왕국
포르투갈 왕국
브라간사 왕조
사셰-코브르구-고타왕조
현대 제1공화국
국가독재
제2공화국
구국군정
제3공화국 }}}}}}}}}}}}

무라비트 왕조
المرابطون | Al-Murābiṭūn
ⵉⵎⵕⴰⴱⴹⴻⵏ
Imṛabḍe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Morocco_1073_1147.svg.png
국기
<nopad> 파일:Almoravid_dynasty_of_Morocco-en.svg
무라비트 왕조의 최대 강역
1050 ~ 1147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베르베르 부족 무와히드 왕조
<colbgcolor=#E2E1E0><colcolor=#000> 위치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이베리아
수도 아주구이
아그마트 (1058년 ~ 1070년)
마라케시 (1070년 ~ 1147년)
국가원수 아미르
정치체제 군주제 (아바스 왕조의 봉신국)
국교 이슬람 수니파
언어 아랍어, 베르베르어
종족 마그레브 아랍인
면적 1,000,000km2 (1120년)
현재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알제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알제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리타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리타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네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네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감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감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감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랍어: المرابطون, 알 무라비뚠
베르베르어: ⵉⵎⵕⴰⴱⴹⴻⵏ, Imṛabḍen
스페인어[1]: Los almorávides
영어: Almoravid Dynasty

1. 개요2. 기원3. 서북아프리카 정복4. 전성기5. 몰락6. 부흥 운동: 바누 가니야7. 특징과 의의8. 대중 매체에서 등장9. 역대 군주

1. 개요

1040년 발흥하여 1147년 멸망한 북아프리카베르베르인 왕조. 최초 발상지는 현대의 세네갈 지역이지만 거대한 영토를 지배하게 되면서 모로코가 실질적인 중심지가 되었다. 남북으로 3,000km에 이르는 넓은 판도를 자랑하였고, 타이파 시대를 종식시키며, 이베리아 반도 내 이슬람 세력의 패권을 재확립했지만 100여 년 만에 또 다른 베르베르인 왕조인 무와히드 왕조에게 멸망당했다.

아랍어로는 알-무라비뚠(Al-Murābiṭūn)이라고 하기 때문에 무라비트 왕조라고 하는 편이 적절하지만 대개 영어스페인어 표기를 따라서 알모라비드 왕조 혹은 알모라비데 왕조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모로코의 첫 베르베르계 통일 왕조로, 모로코의 어원이 되기도 한 왕성 도시 마라케쉬를 건설하여 수도로 삼은 것으로 유명하다.

2. 기원

파일:북서아프리카 부족 지도.png
11세기경 북서아프리카의 부족 분포 지도
무라비트 왕조의 핵심 세력은 현재 세네갈 지역에 살고 있던 베르베르계 부족인 람투나(Lamtuna)족이었다. 람투나 족은 대략 9세기경에 이슬람으로 개종했는데, 모로코의 첫 이슬람 왕조였던 이드리스 왕조가 해체된 이후 북서아프리카 지역에는 눈에 띄는 강자가 없었으므로 다른 베르베르계 부족들과 비슷한 고만고만한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 1040년경 구달라의 부족장인 야히야 이븐 이브라힘이 메카 순례길에 올랐다. 그는 돌아오는 길에 이프리키야에 있는 카이라완에 들렀는데, 그곳에서 페스 출신의 수니 말리키 학파의 법학자 겸 학자인 아부 임란 알 파시를 만났다. 지리 왕조의 통치자 알 무이즈 이븐 바디스는 시아파 파티마 왕조와 결별하는 것을 공공연히 생각하고 있었고, 카이라완의 법학자들은 그가 그렇게 하도록 선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야히아와 아부 임란은 서부의 신앙 상태에 관한 대화에 빠졌고, 야히아는 그가 사는 곳의 종교 교육이 부족하며, 이슬람법의 태만함에 대해 실망하게 되었다.

아부 임란의 권유로 야히야 이븐 이브라힘은 모로코 남부 수스 계곡에 있는 왁가그 이븐 잘루 알-람티에게로 가서 백성들을 위한 말리키 학파 출신의 학자를 찾아 나섰다. 왁가그는 그에게 압달라 이븐 야신을 추천했다. 이븐 야신은 사람들에게 호의적인 반응을 얻었고, 그들은 엄격한 종교적 교조주의에 입각한 교단을 만들었으며, 수년에 걸친 포교와 세력 확장 끝에 강력한 규율을 가진 신정국가를 이뤄냈다. 야히야 이븐 이브라힘은 강력한 교단 조직 외에도 새로운 군대 체제를 만들었다. 그때까지 베르베르계 부족들의 전투방식은 대개 창과 방패를 들고 밀집하여 힘싸움을 벌이는 고대 그리스식 팔랑크스와 유사하였던 반면, 야히야의 새로운 군대는 마케도니아사리사를 연상시키는 긴 장창과 함께 투창을 도입하였으며, 측면 공격과 섬멸전을 위해 낙타병과 기병을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3. 서북아프리카 정복

1053년부터 무라비트 왕조는 사하라 사막의 베르베르 지역과 사막 남쪽 지역으로 그들의 종교를 전파하기 시작했다. 여러 베르베르계 부족들을 이기고 난 후 그들은 재빨리 사하라 사막 무역로 전체를 장악하여 1054년 북쪽 끝의 시질마사, 1055년 남쪽 끝의 아우다호스트를 정복하였다. 람투나 부족의 족장인 야히야 이븐 우마르는 1057년 전투에서 전사했지만 종교 교사로서의 영향력이 무엇보다 컸던 압달라 이븐 야신은 형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를 추장으로 임명했다. 그의 휘하에 알모라비드족은 곧 사막 너머로 세력을 뻗치기 시작했고, 아틀라스 산맥의 부족들을 정복했다. 그 후 그들은 베르베르계 부족 연합인 바르가와타와 접촉하게 되었다. 바르가와타는 강력하게 저항하였고, 압달라 이븐 야신은 1059년 모로코 롬마니 인근 마을인 크리플라에서 그들과 전투를 벌이다가 전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르가와타는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에게 완전히 정복되어 순니 이슬람교로 개종할 수밖에 없었다. 1061년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는 자신이 수립한 권력을 나누어 사촌 유수프 이븐 타슈핀에게 주고, 또한 그가 가장 좋아하는 아내 자이나브를 배속시켰다. 이븐 우마르는 무라비트 왕조의 근거지인 사막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그가 다시 통치를 재개하기 위해 돌아왔을 때, 그는 사촌의 세력이 너무 강력해져서 대체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1087년 11월, 아부 바크르는 모리타니아에서 싸우다가 화살에 맞아 전사했다. 그 동안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현재 모로코, 서사하라, 모리타니아를 완전히 굴복시켰다. 1062년에 그는 마라케시를 건설하여 수도로 삼았고,1080년에는 틀렘센을 정복했다. 한편 남쪽에서는 1076년경 가나 제국을 공격했다. 무라비트 왕조는 가나 지배자들의 권위가 약화될 정도로 가나를 약화시키고 어마어마한 양의 조공을 받은 뒤 물러났다.

4. 전성기

파일:the_almoravid_dynasty_by_cattette_dfjbwcf-414w-2x.jpg
유수프 이븐 타슈핀 사망 직전의 무라비트 왕조

1086년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이베리아 반도 알-안달루스의 타이파[2]들의 요청을 받아 레온과 카스티아의 침탈로부터 그들의 영토를 방어했다. 그 해 이븐 타슈핀은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알헤시라스(카디스)로 향했고, 사그라자스 전투에서 카스티아-아라곤 연합군을 격파했다. 그후 유수프는 타이파 세력들의 실태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 "충격"의 정체는 4년 후 밝혀지는데, 유수프는 타이파 지도자들이 종교적으로 해이해졌으며, 사치와 방종에 빠졌다고 주장하며[3] 그 휘하의 교조적인 종교학자들의 지지를 명분삼아 1090년에 이베리아 반도로 돌아와 그라나다 (1090년), 세비야 & 알메리야&코르도바(1091년), 알리칸테 (1092년), 바다호스 (1094년) 등의 순서로 정복했다. 이 와중에 엘 시드가 발렌시아를 차지하였다.

이렇게 하여 1094년까지 유수프는 사라고사를 제외한 모든 타이파 세력을 병합하는데 성공하였다. 사라고사의 타이파 알 무타미드는 저항하였으나 나중에 정복되었다. 이후 무라비트 왕조는 콘세그라운드 전투에서도 승리하여 알 안달루스의 지배를 확고히 했다. 유수프는 1106년 죽었는데, 이때가 무라비트 왕조의 전성기였다. 수니파로써 압바스 왕조 칼리파의 종주권을 인정하였으나, 칼리파의 다른 칭호였던 아미르 알 무미닌, 즉 "신자들의 사령관"을 칭하며 권위를 세우기도 했다. 칼리파인 듯 칼리파 아닌 듯

5. 몰락

유수프 이븐 타슈핀 사후 무라비트 왕조에 가장 먼저 도전한 것은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세력이었다. 1108년 타밈 알 유수프는 카스티야 왕국을 다시 한번 격파하였다. 무라비트 왕조는 1119년과 1121년에 다시금 이베리아 반도를 침공하였으나, 1119년 프랑스 왕국의 도움을 받은 아라곤이 사라고사를 점령하여 전세가 역전되었다. 1134년 파가 전투에서 무라비트 왕조는 승리를 거두었고, 아라곤알리폰소 1세를 살해하기까지 하는 등 치열한 전투가 게속되었지만, 알리 이븐 유수프의 무라비트군이 1138년 레온-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포르투갈아폰수 1세에게 연달아 패배하며 이베리아 반도 내의 입지가 크게 위축되었다. 또한 1139년에 벌어진 우리크 전투에서도 패배하였다. 모로코의 아틀라스 산맥 근처에서 발흥한 무와히드 왕조가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하면서 북아프리카의 입지도 크게 위험해지기 시작했으며, 결국 알리 이븐 유수프가 사망한 1143년 이후 무라비트 왕조의 영역은 빠르게 무와히드 왕조에게 정복당했다. 알리 이븐 유수프의 후계자들이 몇 년간 저항하긴 했지만 대세를 막지는 못했다. 특히 1145년 6월 이브라힘이 죽은 이후로 빠르게 붕괴하였다. 리스본은 1147년 포르투갈 왕국에게 정복되었다.

6. 부흥 운동: 바누 가니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바누 가니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누 가니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누 가니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특징과 의의

무라비트 왕조가 이전의 마그리브(북아프리카)와 알 안달루스(이슬람 치하 이베리아)의 예전 왕조들과 대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베르베르인이 주도 세력이자 통치 세력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이다. 베르베르인들은 이슬람의 확산 과정에서 아랍인들에게 패배하고 그 휘하로 들어갔지만, 무라비트 왕조가 발흥하던 시대까지도 아랍인과 동화되지 않았으며 서로 감정도 험악한 편이었다. 특히 알 안달루스의 후우마이야 왕조의 아랍인들은 베르베르인들을 야만인취급하였으며[4], 이후 타이파 시대에도 아랍계 타이파와 베르베르계 타이파는 격렬히 대립하였다. 하지만 베르베르계 왕조인 무라비트 왕조가 알 안달루스와 마그리브를 아우르는 대제국을 이루면서 양자가 점차 베르베르인 주도로 동화되기 시작하였다. 물론 무라비트 왕조는 비교적 단명했지만, 다른 베르베르 세력인 무와히드 왕조, 그 다음에는 마린 왕조가 뒤를 이으면서 이 추세가 계속 이어졌다.

한편 상술하였다시피 무라비트 왕조의 주도세력은 상당히 교조적이고 광신적인 종교 집단이었는데, 이는 기독교 세력과 계속 접촉하면서 세속화가 되었고, 이교도 문화에 대해 관대한 편이었던 알 안달루스 지역의 문화와 대비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무라비트 왕조는 알 안달루스를 지배하면서 특별히 그런 문화를 억압하거나 제거하려 들지는 않았다. 이런 종교적 교조주의는 무와히드 왕조 시대에도 이어지지만, 알 안달루스 지역에 대한 마그리브의 영향력은 빠르게 약화되었기 때문에 큰 문화적 충돌이 발생하거나 하지는 않았다.

8. 대중 매체에서 등장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정복자에서 엘 시드 캠페인 중후반부에 등장하는 사라센(베르베르족) 흑위대는 바로 이 무라비트 왕조를 지칭하는 것이며, 여기서 등장하는 흑위대의 수장 유서프는 유수프 이븐 타쉬핀을 말하는 것이다. 이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칸 킹덤에서 베르베르족이 플레이 가능 문명으로 등장했다.

문명 5의 시나리오에서 등장하는 알모하드 왕조가 바로 무라비트 왕조이다.

9. 역대 군주

대수 이름 재위기간 비고
1대 압달라 이븐 야신 1040~1059 무라비트 왕조가 창건 되었다.
2대 야하 이븐 이브라힘 1048~1048
3대 이히야 이븐 우마르 알 람투니 1048~1056
4대 아부 바크르 이븐 우마르 1056~1087[5]
5대 유수프 이븐 타슈핀 1072~1106 모로코가 정복되었다.가나 제국을 공격하였다.알 안달루스가 정복되었다.마라케시가 건설되었다.
6대 알리 이븐 유수프 1106~1143 기독교 왕국들의 도전이 시작되었다.
7대 타슈핀 이븐 알리 1143~1145
8대 이브라힘 이븐 타슈핀 1145~1147
9대 이스하크 이븐 알리 1147~1147 알 안달루스에서 반란이 일어났다.무라비트 왕조가 멸망했다.

[1] 재미있게도 스페인어에서는 아랍어 정관사 al까지도 고유명사화하고 그 앞에 다시 정관사를 붙였다. 스페인어에서 변형된 아랍어 단어들은 이러한 경우가 매우 많은데, 이를테면 el alcázar(요새화된 성), el arroz (쌀) 같은 단어들이 있다. 각자 원형은 al-qaçr, ar-ruz.[2] 후우마이야 왕조가 멸망한 후 난립한 이슬람 국가들로, 대부분의 타이파들은 1,000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하지 못할 정도로 약했다.[3] 영화 엘 시드에서도 시작부터 유수프가 타이파의 지도자들을 불러 모으고는 이를 크게 질타한다.[4] 지금도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아랍인은 베르베르인을 멸시하는 경향이 있다.[5] 1072년부터는 분할통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