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00:30:46

스타쉽엔터테인먼트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 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ord-break: keep-all"
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8px; min-width: 50%"
{{{#000,#fff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2px -1px -10px"
<tablebgcolor=#fff,#1f2023> 1본부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본부
3본부
ETC
양재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2px; min-width: 50%"
{{{#000,#fff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2px -1px"
<colbgcolor=#ffa200><colcolor=#000>
레이블 및 자회사
<colcolor=#000,#fff>스타쉽 엑스(해체)킹콩 by 스타쉽하이라인쇼노트
플랫폼
SUPERSTAR STARSHIPSTARSHIP SQUARE
프로젝트
STARSHIP PLANET빈티지 박스 프로젝트롯데칠성음료 프로젝트펩시 프로젝트
기타
발매 목록논란 및 사건 사고NO.MERCYSTARSHIPZ
임직원
※ 문서가 있는 임직원만 서술
서현주김시대최민석김형수
}}}}}}}}}}}}}}}
<colbgcolor=#ffa200> 스타쉽엔터테인먼트
Starship Entertainment
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회사명
㈜스타쉽엔터테인먼트
starship entertainment co.,ltd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08년 1월 3일 ([age(2008-01-03)]주년)
업종명
매니저업
설립자
서현주
임원진
[ 펼치기 · 접기 ]
이사회 의장
김시대
부사장
서현주
대표이사
이진성, 이훈희
본부장
이지현, 최민석[1]
이사
김형수[2]
최대 주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59.73%)
모기업
카카오엔터테인먼트[3]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146길 4-5 (청담동)
링크
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심볼.svg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심볼 화이트.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기업 정보 더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colbgcolor=#ffa200> 직원 수 <colcolor=#373a3c,#dddddd>177명 (2025. 02)
자본금 6416만원(2023)
매출액 1604억 1000만원(2023)
영업이익 426억(2023)
당기순이익 381억 9598만 7054원(2023) }}}}}}}}}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사옥5. 산하 레이블 및 자회사6. 소속 아티스트 및 프로듀서
6.1. 소속 아티스트6.2. 가수
6.2.1. 1본부6.2.2. 2본부6.2.3. 3본부
6.3. 배우6.4. 기타6.5. 프로듀서
7. 과거 소속8. 논란 및 사건 사고9. 여담
9.1. 특징
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대중문화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재능 있는 대중 예술인을 발굴, 육성한다는 미션 아래 설립이후 재능 있고 스타성을 갖춘 아티스트를 배출, 이후 다양한 시도와 마케팅으로 주목을 받고있습니다. 가수 매니지먼트와 연기자 매니지먼트를 두축으로 하여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회사 소개문
대한민국연예 기획사.

2008년 설립 이후로 씨스타, 보이프렌드, 몬스타엑스, 우주소녀, 정세운, CRAVITY, IVE를 배출하였다.

2. 역사

역대 스타쉽 소속 아티스트 무대 모음[4]
SM엔터테인먼트의 A&R과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이사 출신인 서현주[5]가 2008년 1월 3일 설립하였다.[6]

공동대표이자 서현주의 남편인 김시대 대표는 건설회사를 다니다가 지인의 소개로 1994년 소속사에 첫 발을 내 디뎠다. 처음에는 관리직으로 일하던 그는 내부 사정으로 매니저들이 모두 회사를 그만둬 갑자기 현장으로 배치되어 매니저로 업계에 발을 들였고, 2002년 본인의 이름을 딴 SD엔터테인먼트를 만들어서 보이그룹 파이브를 제작하며 매니지먼트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은지원의 3집 앨범부터 매니저를 맡아 드렁큰 타이거타이거 JK에게 프로듀싱을 맡기고 힙합 가수로 변신시키기도 했다. 이후 SM엔터테인먼트[7]에서 일하고 빅히트에서 방시혁과 함께 근무하면서,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서 임정희, 케이윌, 에이트, 이현지 등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 또한 걸그룹 소녀시대의 이름을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현주김시대빅히트에서 나와서, 2008년 스타쉽 설립을 통해 본격적인 제작자의 길에 재도전했다. 2007년부터 스타쉽을 설립해 운영했는데, 약 1년간의 과도기간을 거쳐 정식 사업체로서의 시작은 2008년 1월으로 여긴다. 2008년 1월에 설립되었을 때 직원이 3명이었다고 한다. 첫 소속 연예인은 빅히트 출신의 케이윌이었고, 2010년 6월 4인조 걸그룹 씨스타, 2011년 6인조 보이그룹 보이프렌드, 2015년 6인조[8] 보이그룹 몬스타엑스, 2016년 10인조[9] 걸그룹 우주소녀, 2017년 남자 솔로가수 정세운, 2020년 9인조 보이그룹 CRAVITY, 2021년 6인조 걸그룹 IVE, 2025년 5인조 걸그룹 KiiiKiii를 차례로 데뷔시켰다.

2013년 12월 11일 로엔 엔터[10] 서현주 대표의 보유 지분 100% 중 70%를 150억 원에 인수했다. 스타쉽은 주요 경영진의 변경 없이 고유 컬러를 유지하며 독립적 레이블 체제로 운영된다고 한다. 기사[11] 2016년 3월 ㈜카카오가 스타쉽의 최대주주가 되면서 카카오의 자회사로 편입이 완료되었다.

2017년 1월 2일, 배우기획 자회사인 킹콩 엔터테인먼트를 흡수합병했다. 이로써 기존의 가수 중심 기획사에서 벗어나 종합 기획사로 성격이 바뀌게 되었다. 기존의 킹콩엔터테인먼트는 '킹콩 by 스타쉽'이라는 이름의 내부 레이블로 바뀌고, 킹콩의 이진성 대표는 기존의 김시대, 김영석 대표와 함께 공동 대표로 선임되게 되었다.

2022년 4월 18일, 이훈희 신임 대표를 내정하였다. 이훈희 신임 대표는 KBS 제작 PD를 거쳐 코엔미디어 제작부문 대표·SM C&C 대표·KBS 제작본부장으로 재직하며 30여 년간 음악·미디어 콘텐츠 전반을 두루 경험한 대한민국 엔터산업 전문가이며 이훈희 신임 대표의 풍부한 음악 및 미디어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엔터산업에서 독보적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신규 사업 영역 확대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더욱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며 소속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팬덤을 강화하고 다양한 영역으로 활동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물론 각종 스타 콘텐츠 제작 등 사업영역 다각화에도 적극 나선다. 이훈희 신임 대표이사는 이진성 현 대표와 함께 스타쉽엔터테인먼트를 이끌 예정이다. 김시대는 대표에서 내려온 뒤 이사회 의장이자 대표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2024년부터 멀티 프로듀싱 체계와 세분화된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견고히 갖추기 위해 본부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1본부는 케이윌, 몬스타엑스, IVE, 2본부는 우주소녀CRAVITY, 3본부는 KiiiKiii로 사업별 조직을 나누었다.

3. 지배구조

<rowcolor=#000>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59.7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현주
18.95%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김영욱
4.42%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진성
3.41%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성훈
1.07%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양근환
0.22%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장데니현진
0.22%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김장균
0.16%
2024년 대규모기업집단현황공시 기준

==# 연혁 #==
  • 2008년
    • 1월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설립
    • 4월 문지은 데뷔[13]
    • 9월 이현지 데뷔[14]

  • 2010년
    • 6월 스타쉽 1호 걸그룹 씨스타 데뷔
    • 문지은 계약 만료
    • 이현지 계약 만료



  • 2014년











  • 2025년
    • 2월 본부제 시행 발표
    • 3월 스타쉽 4호 걸그룹 KiiiKiii 데뷔

3.1. 발매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쉽엔터테인먼트/발매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옥

파일:스타쉽엔터 사옥 청담동.jpg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청담동 사옥
  • 현재의 사옥은 2020년 1월부터 사용하고 있으며 킹콩 by 스타쉽과 함께 청담동에 위치해있다. 지하-2층 지상-8층 건물이다.

5. 산하 레이블 및 자회사

5.1. 레이블

5.1.1. 스타쉽 엑스엔터테인먼트[해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쉽 엑스엔터테인먼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2. 킹콩 by 스타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킹콩 by 스타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킹콩 by 스타쉽 로고.svg파일:킹콩 by 스타쉽 로고(흰색).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ACTOR
이승헌
조시연
}}}}}}}}} ||

5.1.3. 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ARTISTS
원호 dress 성국
}}}}}}}}} ||

5.2. 자회사

5.2.1. 쇼노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쇼노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소속 아티스트 및 프로듀서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ord-break: keep-all"
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출신 아티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8px; min-width: 25%"
{{{#000,#e5e5e5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2px -1px -10px"
<tablebgcolor=#ffffff,#1f2023><rowcolor=#000>
데뷔년도
아티스트
리더
유형
비고
2010 씨스타 효린 4인조 걸그룹
2011 보이프렌드 동현 6인조 보이그룹
2015 몬스타엑스 셔누 6인조 보이그룹
(데뷔 당시 7인조)
2016 우주소녀 엑시 10인조 걸그룹[1]
(데뷔 당시 12인조)
위에화 합작
[I.O.I]
2017 마인드유 남성 듀오 재데뷔[3]
Duetto
2020 CRAVITY 세림 9인조 보이그룹 [X1]
2021 IVE 안유진 6인조 걸그룹 [IZ*ONE]
2025 KiiiKiii 지유 5인조 걸그룹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
{{{#!folding [ 유닛 ]
{{{#!folding [ 솔로 ]
{{{#!folding [ 영입 ]
}}} ||
[1] 2016년 2월 25일, 데뷔 당시 12인조2016년 8월 17일, 아이오아이 출신 유연정 합류 후 13인조2023년 3월 3일, 재계약 시즌에 위에화 합작 종료 및 중국인 멤버 3인 탈퇴 후 10인조.[I.O.I] 연정 2016년 5월 아이오아이 데뷔.[3] 어쿠루브의 멤버였던 재희와 고닥이 3년간 사용해 온 팀명을 유지하기를 원했으나 원 소속사와 협상에 실패해 소속사를 스타쉽으로 옮기면서 이름을 변경해 재데뷔한 그룹이다.[X1] 민희, 형준 2019년 8월 X1 데뷔.[IZ*ONE] 안유진, 장원영 2018년 10월 IZ*ONE 데뷔.

6.1. 소속 아티스트

6.2. 가수

6.2.1. 1본부

케이윌
MONSTA X
{{{#!wiki style="margin: -16px -11px" 셔누 민혁 기현 }}}
형원 주헌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px 0;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color: #fff"
{{{#!wiki style="margin: -16px -11px" 아이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유닛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셔누 X 형원
}}}}}}}}}}}} ||
IVE
안유진 가을 레이
장원영 리즈 이서

6.2.2. 2본부

우주소녀
설아 보나 엑시 수빈
은서 여름 다영 연정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1px 0; background: #ffa38b; color: #002f6c"
루다 다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a38b {{{#!folding [ 유닛 ]
파일:우주소녀 쪼꼬미 슈퍼 그럼요 로고.svg
파일:우주소녀 더 블랙 로고.svg
}}}}}}}}}
CRAVITY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세림 앨런 정모 우빈 }}}
원진 민희 형준 태영 성민

6.2.3. 3본부

KiiiKiii
이솔 수이 지유 하음 키야

6.3. 배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킹콩 by 스타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기타

6.5. 프로듀서

7. 과거 소속

===# 아티스트 #===
===# 연습생 #===
  • 심채은 - 프로듀스 101에 출연했으며, 종영 후 스타제국으로 이적하였다. ARIAZ 데뷔조에 들어갔으나, 오래 지나지 않아 퇴사했고 더바이브레이블[37]에 잠시 있다가 퇴사해 사실상 연예계에서 은퇴했다.
  • 김나윤 - 비타민의 전 멤버이다. 2019년 입사 후 건강상의 문제로 2020년 8월 퇴사했다.[38]

8.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쉽엔터테인먼트/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 씨스타우주소녀 모두 음악방송 1위를 한 후에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 2015년 1월 28일 제4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이하 '가온차트 어워드')에서는 스타쉽엔터 김시대 대표가 올해의 프로듀서상을 받았었다.
  • 2019년 해체를 한 보이프렌드는 2021년 다시 그룹을 결성하였는데 재결합을 진행하면서 팀의 새로운 시작과 음악 방향성을 위해 그룹명을 'BF'로 변경하였다.
    씨스타 또한 2022년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하였지만 저작권 문제로 국내 유튜브에서는 영상을 못 보게 막아 둔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40] 아마 그룹명에 대한 상표권 양도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해체를 한 멤버들이 본인들의 그룹 노래는 부를 수 있다. 이 때문에 씨스타도 이후에라도 재결합을 한다면 씨스타씨스타19 상표권을 계속 쓸 수 있을지 우려의 말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씨스타19가 2024년에 타 기획사 소속으로 그룹명 그대로 컴백을 하면서 이러한 걱정은 사라지게 되었다.[41]
  • 김시대 대표의 영향으로 SM엔터테인먼트와 꽤 밀접한 것으로 보인다. 씨스타, 케이윌의 뮤직비디오에 SM 소속 아티스트들이 다수 출연한 적이 있으며[42], 콜라보도 몇 번 하였다. 또한 SM 소속이 아닌 외부 아티스트 중 SM아티움을 이용한 첫 아티스트가 씨스타였다.# 여담으로 슈퍼주니어의 김희철도 아는 형님에서 김시대 대표와 친분이 있음을 드러냈었다. 그리고 2013년에는 레이블 제안을 받았었다.
  • 역대 소속 아이돌 그룹 중 가장 인원 수가 많은 다인원 그룹은 13인조였던 우주소녀이며, 가장 적은 소인원 그룹은 4인조 씨스타이다.[44] 우주소녀는 2023년에 탈퇴한 중국인 멤버 3명을 제외해도 10명으로 여전히 가장 많은 인원이 속해있다.
  • 2022년 11월 6일부터 20일까지 출장 십오야 스타쉽 편이 방송이 되었다.
    • 출장 십오야 스타쉽편 방영 중, 소속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사람이 많아졌는지 일일 약정 접속량 초과로 접속이 불가능한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다.
  • 스타쉽 사옥 내 카페가 있다. 몬스타엑스의 민혁이 말하기를 아티스트는 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며, 직원들은 따로 포인트 적립하는 게 있는데 아티스트는 없다고 한다. 그래서 위에 사람 이름대고 먹으면 된다고 하였으며, 배우 손우현'킹콩입니다~!'하고 먹는다고 한다. 그리고 민혁은 포인트를 쓸 때도 직급이 높으신 분들 중에 더 많이 남은 분을 쓰면 된다는 꿀팁을 알려주었다. # CRAVITY의 정모는 연습생 때 연습실 말고 다른 곳을 가지 못 하게 했다고 하였으며, 연습생은 허락하지 않으면 마음대로 이용하지 못 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 2021년부터 2023년 2월 17일까지 소속 아티스트들의 유료 소통 어플은 UNIVERSE를 사용하였다. 2월 17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어 Dear U bubble로 이관되었고 "bubble for STARSHIP"이라는 스타쉽 소속 아티스트의 전용 유료 소통 어플이 2월 20일에 출시되었다. 7월 26일부터 킹콩 by 스타쉽 소속 배우들이 입점하게 되었다.
  • 2023년 7월 25일, 공식 트위터 공지를 통해 지난 6월 탈덕수용소 계정 해킹 사건이 실은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측이 캘리포니아 주 북부지방법원을 통한 정보제공명령으로 구글 본사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입수했음을 알게된 탈덕수용소 본인의 자작극 및 빤스런이었다는 사실을 알렸다. 빤스런 이후 6월 29일, 네이트판에 직접 사과문을 올렸는데, 그것도 반성하는 척을 하며 새로운 계정을 파겠다는 글이었다.
    • 유튜브는 본사가 미국에 기반을 두고 있어, 유튜버의 신상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데,[45] 피의자를 특정하기 어려워 처벌은 커녕 경찰 조사부터 막히는 게 다반사이다. 하지만, 스타쉽은 팬들이 제보한 증거들을 하나의 양식으로 정리하고, 업로드된 영상을 모두 캡처한 뒤 내용이 거짓이라는 사실을 소명하고, 일일이 영어로 번역했다. 그리고 법무법인 리우의 도움을 받아 증거들을 미국 법원에 제출했고, 올해 5월 정보제공명령을 받아냈다. 구글 본사는 이번 달 탈덕수용소 운영자에 대한 정보를 스타쉽에 넘겼으며, 모욕,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훼손, 미성년자 멤버 성희롱, 통신매체이용음란 혐의 등으로 미국과 한국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탈덕수용소는 사과문과 함께 유튜브 계정을 삭제했지만, 스타쉽은 민형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크게 호평을 받았다.[46]
    • 2023년 9월 14일, 스타쉽 및 킹콩 by 스타쉽 공식 트위터에 탈덕수용소의 엄중한 처벌을 촉구하는 소속 아티스트 및 임직원의 성명문이 올라왔다. # 또한, 탈덕수용소와 비슷하게 심각한 루머를 양성하는 렉카 계정인 루미나크도 함께 저격하였다.
      {{{#!folding 상세 공지 내용 [ 펼치기 · 접기 ]
      안녕하세요. 스타쉽엔터테인먼트입니다.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와 임직원은 연예계 이슈를 빙자한 가짜 뉴스를 양산하고 배포하는 대표적인 사이버렉카 채널 '탈덕수용소'에 대해 엄중한 법의 처분을 촉구합니다.


      당사는 소속 아티스트들을 지속적으로 괴롭혀온 '탈덕수용소'를 상대로 2022년 11월부터 민형사 소송과 해외에서의 소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탈덕수용소'는 지속적인 허위사실 유포로 심각한 명예훼손을 하고, 이로 인해 당사 업무를 방해했을 뿐 아니라 아티스트와 팬들에게 심각한 고통을 주었습니다. 이에 당사는 현재 진행 중인 소송을 통해서 민형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준엄한 법의 심판이 없을 경우 일말의 반성의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 탈덕수용소가 이러한 행위를 재발하지 않을까 그리고 이번 사건으로 경종을 울리지 못하였을 때 유사 채널들이 활개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당사 소속 아티스트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탈덕수용소는 신원이 밝혀지자 계정을 삭제하였으며, 소송건에 있어서도 명예훼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하며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기에 엄중한 처벌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또한, 탈덕수용소의 피소에도 불구하고 유튜브상에는 여전히 연예계 가짜뉴스를 다루고 성희롱, 모욕까지 일삼는 '루미나크' 같은 사이버 렉카 채널 다수가 버젓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일부 사이버 렉카 채널들은 단순히 루머를 생산하는 것을 넘어, 해당 내용들이 자신의 의견이 아니라 마치 대중들의 반응인 것처럼 포장하는 교묘한 수법을 사용하여 대중을 기만하고 법망을 피해가려고 합니다. 따라서, 탈덕수용소에 대한 일벌백계로 가짜뉴스로 인한 사이버 테러에 대한 경각심은 일깨우고, 온라인과 SNS상에서 타인의 고통을 이용한 악질적인 조회수 장사'가 판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당사는 소속 연예인의 명예와 사생활, 인격 등 권리를 보호하기 끝까지 최선을 다할 예정이며, 팬 여러분 께서 알려주시는 제보나 자료들이 당사의 법적 준비나 대응에 크게 도움이 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제보를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임직원 일동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케이윌, 브라더수, 몬스타엑스, 우주소녀, 정세운, 크래비티, 아이브, 양재진

      킹콩by스타쉽 고아라, 김범, 김샤나, 김승화, 류혜영, 손우현, 송승헌, 송지연, 송하윤, 신승호, 신현수, 안소요, 오소현, 우현진, 유연석, 이광수, 이다연, 이동욱, 이미연, 이승헌, 이진, 장다아, 전소민, 정원창, 조윤희, 채수빈, 천영민, 최원명, 최희진, 한민
}}}
  • 방송사(엠넷, MBC M) 측이 소속 아티스트들에게 갑질을 시전하여 소속사와 사이가 악화된 적이 있었다.
    • 엠넷과의 갈등 (2021 ~ 2022. 01) - 몬스타엑스의 〈킹덤〉 출연 섭외 문제와 여러 문제로 인해 갈등이 생기면서 출연건이 무산되어 사이가 악화되었다. 현재는 갈등이 완전히 해소된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쇼챔피언과의 갈등 (2023. 03 ~ ing) - CRAVITY의 〈쇼챔피언〉 첫 1위를 앞두고 유료 투표 건은 다 받은 상태에서 갑자기 하루 전에 결방 공지를 하여 무산되어 생긴 문제이다. 당시 여러 성적을 합산한 결과 그 주에 크래비티가 사실상 1위 확정이라고 해도 무방했기에 결방 선언이 너무 갑작스러워 더욱 의심스러웠다. (사진) 그리고 크래비티는 당시 〈더 쇼〉 이외에 한 번도 음악 방송 1위를 하지 못해 더욱 간절했었기 때문에 매우 안타까웠던 상황이었다.[47] 다만, 소속 아티스트들이 갈등 이후 〈쇼챔피언〉과 같은 방송사인 MBC M의 대표 간판 프로그램 〈주간 아이돌〉에 출연했던 것으로 보아 방송사보다는 오히려 음악방송 프로그램인 〈쇼챔피언〉 자체와 사이가 안 좋은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2024년 7월, "2025 NEW KIDS on the STARSHIP"이라는 타이틀로 본격적인 보이그룹 프로젝트 오디션을 진행한다고 공지[48]했기 때문에 2020년 4월에 데뷔한 CRAVITY 이후 차기 보이그룹은 2025년 중으로 예상했으나 예상을 깨고 걸그룹인 KiiiKiii가 먼저 데뷔하게 되었다.[49] 스타쉽의 남·여 아이돌은 각각 격년마다 약 4~5년 간격으로 데뷔하기 때문에[50] 차기 보이그룹은 2026년에 데뷔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 2024년 8월 30일, Apple TV+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K-POP IDOLS의 EP.2 CRAVITY 편에서 차기 보이그룹 멤버로 추정되는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남자 연습생이 출연했다. #
    • 2024년 11월 28일, 재친구에 출연한 몬스타엑스민혁이 신인 그룹에 대해서 직접 언급했다. #[51] 당시 회사에서 걸그룹과 보이그룹을 함께 준비하고 하였고, 크게 준비 중인 프로젝트의 MC를 맡았다고 한다. 이미 2025년 2월 10일에 걸그룹 KiiiKiii의 데뷔를 발표하였고, 3월 24일에 데뷔하였다. 그리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주인공은 2026년에 데뷔 예정인 보이그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혁은 나중에 이것을 보고 '아 민혁이가 말한 그때 그 친구들이구나!'라고 알아봐줬음 좋겠다고 하였다.
    •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데뷔 전년도인 2019년, 프로듀스 X 101에 참가해 얼굴을 먼저 알렸던 CRAVITY처럼 차기 또한 2025년 하반기에 방영 예정인 보이즈 II 플래닛에 참가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다. 하지만 민혁이 직접 프로젝트의 MC를 맡았다는 사실을 보아, 보이즈 II 플래닛의 MC가 민혁이 아닌 이상 사내 관련일 것으로 보이며 몬스타엑스의 데뷔 서바이벌인 NO.MERCY처럼 사내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진행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9.1. 특징

  • 곡 퀄리티가 꽤 좋은 편으로 평가받는다. 역대 소속 아티스트들의 명곡 목록은 해당 링크 참조. 역대 스타쉽 가수 무대 모음
    • 아이돌 곡은 대중성 있는 곡 (특히 걸그룹) 으로 잘 뽑는 편이다. 대중 면접 조사인 한국 갤럽 올해의 가요로 씨스타의 곡이 2011년 〈So Cool (쏘쿨)〉이 5위, 2012년 〈나 혼자 (Alone)〉가 2위[52], 〈Loving U (러빙유)〉가 8위, 2015년 〈SHAKE IT〉이 9위를 하였으며 IVE의 곡도 2022년 〈LOVE DIVE〉가 2위, 〈After LIKE〉가 9위, 2023년 〈I AM〉이 4위, 〈LOVE DIVE〉가 9위, 2024년 〈해야 (HEYA)〉가 4위를 기록했다.[53] 우주소녀의 곡인 〈이루리〉는 매년 1월 1일 새해만 되면 실시간 차트 1위를 기록한다.
    • 아이돌 곡뿐만 아니라 솔로 곡이랑 콜라보 곡도 대중적이고 트렌디하게 잘 뽑는다. 콜라보 곡은 씨스타의 소유가 참여한 Officially 〈Missing You〉, 〈착해빠졌어〉, 〈썸〉, 〈틈〉, 〈비가 오잖아〉 등등, 효린이 참여한 〈지워〉, 〈BLUE MOON〉 등등이 그 예이다.
    • 프로젝트 음반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흑인 음악과 어쿠스틱 음악에도 관심이 많은 회사이며 이제 막 알려지거나, 덜 알려진 인디나 힙합 가수들과 컬래버레이션 작업을 많이 하였고 힙합과 인디신의 솔로 아티스트의 영입도 많이 하였다.
    • 초창기에 팬들 사이에서는 소속사에서 흑인 음악을 선호한다는 말도 있었다.[54]
  • 스타일링
    • 소속 아티스트들의 스타일링에 대한 이미지가 좋은 편이다. 물론 암흑기도 다 존재했으며 팬들 사이에선 의견이 갈릴 수는 있으나 다른 기획사 소속 아이돌 팬들에겐 "그래도 여기는 기본은 할 줄 안다"라는 평을 받는다. 대체적으로 소속 아티스트들의 스타일리스트들이 실력으로 인정받은 이들이 많다. 물론 이전부터 평이 좋았던 사람도 있지만, 담당일 당시 평가가 안 좋았다가, 이후 실력이 늘며 유명인사가 된 경우도 있다.[55]
    • 패션용 하네스를 무대 의상으로 자주 활용한다. 하네스가 대표적인 아이돌 무대 의상 소품으로 정착하는 데 큰 지분이 있는 소속사로 씨스타부터 입기 시작해, 스타쉽의 3세대 아이돌인 몬스타엑스와 우주소녀가 이 스타일링으로 호평을 받으며 하네스 스타일링을 정착시켰다. 크래비티와 아이브까지 데뷔한 현재는 아예 스타쉽의 전통이라고 하면 하네스 이야기가 나온다.
    • 밖에도 스타쉽 소속 아티스트들의 의상과 의상 컨셉이 아이돌 무대 의상의 일부로 정착하거나 레퍼런스로 활용된 경우가 많은 편이다.[56]
  • 수익 배분율이 소속 아티스트에게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57][58]
  • 동시에 여러 그룹을 서포트하는 역량이 상당히 부족하다. 세대마다 꾸준하게 성공하여 회사의 수익을 담당하는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그룹[59]이 존재하는 반면 성과가 부진한 그룹[60]도 매번 공존하는 것이 그 이유이다. 한편 2025년, 멀티 프로듀싱 체계와 세분화된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견고히 갖추기 위해 본부제를 시행한다고 하였다.
  • 소속 아티스트의 특징
    • 전통적으로 스타쉽 소속의 아이돌들이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에서 굉장한 성적을 자랑하는 편이다.
      • 씨스타윤보라아육대 역사상 가장 많은 금메달(14개)를 자랑하며, 모든 메달을 따지면 현재 아육대에 출전했던 아이돌 중 남녀 통틀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효린소유도 상당히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전체적으로 씨스타가 다솜을 제외하면 다 잘하는 편. 보라는 아육대 육상 부문 명예의 전당에 오르기도 했다. 다만 씨스타가 아육대를 마감했기 때문에, 더 이상의 기록 경신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씨스타가 육상돌이라면, 몬스타엑스는 양궁에 굉장히 강하다. 한동안 남자 양궁 단체전이 열리지 않았는데, 2016 추석 아육대에서 남자 양궁 단체전이 부활했다. 예선에서 아이엠이 과녁 정중앙을 맞춰 카메라 렌즈를 깨고, 그 날 개그만 일삼았던 비투비에 초강력 KO 펀치를 날리며 광탈시킨 후 GOT7과 맞붙은 결승전에서 민혁이 3연속 10점을 맞추는 등 엄청난 활약 끝에 역대 아육대 남자 양궁 단체전 신기록인 91점을 기록하며[61] 첫 출전에 첫 금메달의 영광을 안았다. (9 9 8 10 10 10 9 8 8 10점) 이 때 여자부 최고기록은 EXID의 90점이다.[62] 그러나 몬스타엑스가 2017 설날 아육대 양궁 준결승전에서 B1A4에 패해 결승 진출에 실패하고 통편집당하기도 했다. 2019 설날 아육대에서는 기현이 첫 출전에 렌즈를 깨고 2018 설날 아육대에 이어 양궁 동메달을 하나 더 획득했다.
      • 2016년 2월 말에 데뷔한 우주소녀2016 추석 아육대에 첫 출전해 인상적인 모습을 선보이며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육상 60m에서는 은서가 4위 채영을 비디오 판독 끝에 0.01초 차이로 따돌리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성소 없이 출전한 2018 추석 아육대 역시 앵커 은서가 우주소녀 최초의 400m 계주 금메달을 이끌며 통산 2번째 아육대 금메달에 기여했다. 2019 설날 아육대 역시 계주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2019 추석 아육대에는 양궁, 씨름, 계주에서 모두 금메달을 싹쓸이했다. 다만 2020년 설As You Wish 활동기가 막 끝나고 출전해 다소 기량이 부족했던데다 육상에서는 윤여춘의 저주 징크스에 두 번이나 걸리면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에 그치며 다소 부진했다.
      • 다원은 육상 선수 출신이지만, 아쉽게도 〈걸스피릿〉 스케줄 때문에 2016년 추석에 나가지 못했다.[63] 팬들은 만약 육상에 다원이 나왔다면 좋은 승부가 되었을 것이라고 아쉬워하기도 했다. 하지만 다원은 2017 설날 아육대 육상 60 m 예선 때 하필이면 운이 나쁘게도 60 m 최강자인 여자친구 유주의 조에 걸리는 바람에, 유주의 벽에 막혀 조 2위로 예선에서 광탈했다. 다원은 육상 개인전에서 별다른 모습을 보이지는 못하고 있으나, 2018 추석 아육대, 2019 추석 아육대 계주에서는 스타터로 나서서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다만 2020 설날은 불안 장애로 인한 치료와 휴식 때문에 불참했고, 그녀가 빠진 우주소녀는 디펜딩 챔피언 징크스와 윤여춘의 저주에 동시에 걸려 동메달에 머물렀다.
      • 2016년 추석 아육대에서 처음으로 신설된 리듬체조 부문에서는 볼 종목으로 나선 성소가 다른 출전 선수들과 압도적인 기량 차이를 보여 주며 아육대 리듬체조 초대 챔피언을 차지했다. 리듬체조의 필수 요소 중 하나인 유연성이 성소가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좋은 편이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었으며, 리체 참가자들도 가장 무서운 상대로 성소를 꼽았다. 2017 설날 아육대에서 초반에 잇따른 실수 연발로 성소는 차오루미나에게 패해 동메달을 획득하며 2연승에 실패했지만, 유연성을 바탕으로 한 고난이도 기술로 커버하는 위엄을 선보이며 초대 챔피언의 자존심을 지켰다. 그리고 현재 아육대 리듬체조 최고 기록 보유자는 성소다. 현재 성소는 리듬체조 수구를 하나씩 찍고 있기 때문에, 만일 곤봉까지 나서서 금메달까지는 아니더라도 입상권에만 든다면, 윤보라에 이어 아육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가능성이 높은 멤버다.[64]
      • CRAVITY는 데뷔 시기가 한창 코로나 19와 맞물려 출연한 적이 있긴 하지만 그것도 2020년 추석 e스포츠 부문 딱 하나였고, 2021년과 2022년 설에는 코로나 19 장기화와 연예계의 연쇄 확진 이슈로 인해 죄다 취소되는 등 데뷔 2년 5개월이 지난 동안 e스포츠를 제외한 다른 종목에는 한 번도 출전한 적이 없다. 2022년 추석 특집 출연이 확정되면서 드디어 다른 종목에도 출전을 하는가 싶었지만 완전체가 아닌 멤버 세림, 원진, 형준, 태영만 e스포츠에 출전하였으며, 녹화 당일 일본 스케줄로 인해 조기 퇴근을 하였다. IVE는 2022년 추석 특집이 첫 출연이었으며[65], 레이의 코로나 19 확진으로 인해 5인만 출전하여 양궁 종목에만 출전하였고, 녹화 당일 일본 스케줄로 인해 조기 퇴근을 하였다. 상황이 상황인지라 아직은 스타쉽의 4세대 아이돌들이 무엇인가 제대로 보여준 적이 없긴 하지만, CRAVITY에서 운동선수 출신에[66] 운동 신경이 좋은 멤버들[67]이 다수 있기에 앞으로 기대될 만 하다.
    • 소속 아티스트들이 전체적으로 웃수저로 유명하다. 맑눈광이 기본적으로 깔려 있는 듯. 이는 케이윌씨스타부터 유래했으며 몬스타엑스, 우주소녀, 정세운, CRAVITY, IVE뿐만 아니라 킹콩 by 스타쉽 소속 배우까지 모두 한 번씩은 SNS에서 회자가 되기도 한다.
    • 그룹의 리더를 정할 때 나름대로의 법칙이 있는지, 보이그룹은 최연장자[68]가 리더인 반면 걸그룹은 차연장자[69][70]가 리더를 맡고 있다.
    • 특이하게도 현 시점에서 컴백 프로모션을 공개하는 시간대가 아티스트별로 다르다. 오후 8시(20시)우주소녀, 오후 9시(21시)CRAVITY, 오후 10시(22시)몬스타엑스, 오후 11시(23시)IVE.[71]
      • 이와 관련된 의미도 있다. CRAVITY는 멤버 수가 9명이라 9시, 몬스타엑스는 데뷔일 (5월 14일) 숫자를 모두 더 하면 10이라서 10시, IVE는 데뷔곡이 ELEVEN이라서 11시이다.
    • 현재 스타쉽 소속 아이돌 그룹은 전부 서바이벌 오디션/경연 경험자들이 포함되어있다.
      {{{#!folding [ 오디션 ]
몬스타엑스의 경우, 아예 자체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NO.MERCY'를 통해 데뷔하였으며 우주소녀의 연정은 〈프로듀스 101〉, IVE의 안유진, 장원영은 〈프로듀스 48〉, CRAVITY의 정모, 원진, 민희, 형준은 〈프로듀스 X 101〉에 출연하였다.}}}
[ 경연 - 현재 소속 아티스트]
* 몬스타엑스
데뷔 후 중국의 경연 프로그램에 경연 가수로 참가했던 것을 시작으로 셔누의 〈힛 더 스테이지〉, 주헌의 〈SHOW ME THE MONEY 4〉, 〈힙합의 민족〉 출연까지 다양한 경연 프로그램에 얼굴을 비췄으며 1회성 출연까지 더하면 셔누는 〈히든싱어6〉 비 편에 무려 '모창 능력자'로 출연, 복면가왕 또한 6명 중 4명(셔누, 민혁, 기현, 주헌)이 출연하였다.
* 우주소녀
퀸덤 2〉에 참가, 멤버 중에선 엑시가 〈언프리티 랩스타 2〉, 〈두 번째 세계〉에 출연, 연정은 〈V-1〉, 〈로또싱어〉에 참가, 여름은 〈퀸덤 퍼즐〉에 참가하였다. 〈복면가왕〉은 5명의 멤버(보나, 엑시, 수빈, 다영, 연정) 가 참가하였다.
* CRAVITY
민희우빈, 정모, 원진이 〈복면가왕〉에 참가자로 출연하였고, 그 중 민희, 우빈, 원진은 2라운드까지 진출하였다. 2024년에 멤버들 전원이 〈로드 투 킹덤 : ACE OF ACE〉에 참가자로 출연하였고 최종 우승을 하였다.
* IVE
멤버 중 안유진리즈가〈복면가왕〉에 참가자로 출연하였다.
[ 경연 - 과거 소속 아티스트 ]
※ 스타쉽 소속이었을 때 출연한 경연만 서술.
  • 소속 걸그룹 중 멤버 1명씩 제주도[72]와 인천[73] 출신이 있다.
  • 소속 아티스트의 외모적 특징
    • 소속 아티스트들의 콧대가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비유적 표현이 아니라 신체적 특징을 말한다.
    • 햄찌상이 많아 스타쉽은 햄찌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매년 스타쉽 플래닛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모여서 찍었던 몬스타엑스 기현이 올린 사진을 보면 스타쉽상을 바로 이해할 수 있다.#햄스터 대모험 이후에 데뷔한 CRAVITY도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그 중 원진이 주로 햄스터상으로 불려지고 있으며 공교롭게도 성씨가 함(HAM)이다. 연습생 시절부터 "하무타로(햄토리)"라는 별명이 있었다고 한다.
    • 씨스타 보라 - 보이프렌드 동현 - 몬스타엑스 민혁 - 우주소녀 은서 - CRAVITY 정모로 이어지는 "스타쉽의 잘생쁨상" 계보가 있으며, 몬스타엑스의 민혁이 고정으로 출연하는 〈보그싶쇼〉에서 민혁이 직접 언급하였다.[74]
  • 유닛을 잘 활용하는 소속사로 유명하다. 이전에도 수많은 아이돌 유닛이 있었지만 씨스타19가 유닛으로써 상당히 좋은 성적을 달성하며 K-pop 시장에서도 큰 영향력을 주었다.[75] 그리고 우주소녀의 유닛은 두 그룹(쪼꼬미, 더 블랙)으로 나뉘어 기존 그룹에서는 볼 수 없는 각각 새로운 콘셉트로 호평을 얻었고, 몬스타엑스의 유닛(셔누 X 형원)은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그룹의 군백기를 잘 채워주었다.[유닛목록]
  • 가끔 아티스트의 음반을 파트별로 나눠서 발매할 때가 있으며 자주 이렇게 발매하는 경우는 스타쉽에서는 흔한 편이다. 하지만 별다른 의미는 없고 그저 음반을 지칭하는 카운트만 같을 뿐 엄연히 다른 음반이다. 이에 가성비로 굴리는 게 아니냐는 반응도 있다…….

10.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ㄱ ~ ㅅ골드더스트 엔터테인먼트 · 골드메달리스트 · 그리드엔터테인먼트 · 그리핀 엔터테인먼트 · 길스토리이엔티 · 나무엑터스 · 나인진엔터테인먼트 · 냠냠 엔터테인먼트 · 더뮤즈엔터테인먼트 · 동요엔터테인먼트 · 드림캐쳐컴퍼니 · 드림팩토리 · 디에이와이엔터테인먼트 · 딥스튜디오 · 라이브웍스컴퍼니 · 럭키몬스터 엔터테인먼트 · 마다엔터테인먼트 · 마루기획 · 마지끄 · 맘모스엔터테인먼트 · 모덴베리코리아 · 매니지먼트 구 · 매니지먼트 낭만 · 매니지먼트 순 · 매니지먼트 숲 · 매니지먼트 아이딜 · 매니지먼트 에어 · 매니지먼트 에이엠나인 · 매니지먼트 오름 · 매니지먼트 이상 · 매니지먼트W · 매니지먼트봄날 · 매니지먼트엠엠엠 · 매니지먼트움 · 맨오브크리에이션 · 메모리박스 · 메이저9 · 뮤직웍스 · 뮤직팜 · 바나나컬쳐엔터테인먼트 ·바로엔터테인먼트 · 바인엔터테인먼트 · 베이스캠프 스튜디오 · 브라더후드엔터테인먼트 · 브랜뉴뮤직 ·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 · 블랙베어엔터테인먼트 · 블러썸 엔터테인먼트 · 블리츠웨이스튜디오 · 비츠엔터테인먼트 · 빅보스엔터테인먼트 · 빅스마일엔터테인먼트 · 빅플래닛메이드엔터 · 빅히트 뮤직· 빈 엔터테인먼트 · 빌리프랩 · 빌엔터테인먼트 · 뿌리엔터테인먼트 · 삐에로 레코드 · 사람엔터테인먼트 · 샌드박스 네트워크 · 샘컴퍼니 · 샛별당엔터테인먼트 · 샤이닝엔터테인먼트 · 서태지컴퍼니 · 세번걸이엔터테인먼트 · 솔트 엔터테인먼트 · 쇼플레이엔터테인먼트 · 수엔터테인먼트 · 스노우볼 엔터테인먼트 · 스타베이스 매니지먼트 그룹 · 스타쉽엔터테인먼트 · 스타잇엔터테인먼트 · 스타위브엔터테인먼트 · 스타제국 · 스타티드엔터테인먼트 · 스타페이지엔터테인먼트컴퍼니 · 스타하우스 엔터테인먼트 · 스텔라이브 · 스탤리온엔터테인먼트 · 스토리앤플러스 · 스튜디오 산타클로스 엔터테인먼트 · 스튜디오피그 · 스파이어엔터테인먼트 · 스프링 컴퍼니 · 신화사 엔터테인먼트 · 신화컴퍼니 · 써브라임 · 써패스이엔티 · 쏘스뮤직 · 씨에이엠위더스 · 씨엘엔컴퍼니 · 씨제스 스튜디오 · 씨피엔터테인먼트
ㅇ ~ ㅎ아센디오 · 아우라엔터테인먼트 · 아트21 · 아티스트컴퍼니 ·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 · 어센드 · 에디드엔 · 에잇디엔터테인먼트 · 엠이오 · 열음엔터테인먼트 · 연두컴퍼니 · 오드 엔터테인먼트 · 오앤오 엔터테인먼트 · 와우산레코드 · 울림엔터테인먼트 · 원뮤직오피스 · 원헌드레드레이블 · 웨이크원 · 올라트엔터테인먼트 · 올에스컴퍼니 · 위어스엔터테인먼트 · 위에화엔터테인먼트코리아 · 위엔터테인먼트 · 이고이엔티 · 이음해시태그 · 인넥스트트렌드 · 인컴퍼니 · 인터파크 · 인피니트컴퍼니 · 알앤디컴퍼니 · 제이지스타 · 제이앤엠엔터테인먼트 · 제이플로 엔터테인먼트 ·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 초이크리에이티브랩 ·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컴퍼니온· 컴퍼니수수 · 커넥텀엔터테인먼트 · 케이에이치컴퍼니 · 코리아매니지먼트그룹(KMG) · 큐브엔터테인먼트 · 크레이프사운드 · 크롬엔터테인먼트 · 클레버 E&M · 킹엔터테인먼트 · 티오피미디어 · 트라이어스 · 파스텔 뮤직 · 판타지오 · 팜트리 아일랜드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 펑키스튜디오 · 포켓7엔터테인먼트 · 포켓돌스튜디오 · 폴라리스엔터테인먼트 · 프레인TPC · 플럼에이앤씨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플렉스엠 · 피앤피에이전시 · 피프티원케이 · 하울링엔터테인먼트 · 하이지음스튜디오 · 해피로봇 레코드 · 현예엔터테인먼트 · 호두앤유엔터테인먼트 · 후너스 엔터테인먼트 · 후크엔터테인먼트
영어 · 숫자ADOR · A team 엔터테인먼트 · ATRP · BLISSOO · C9 엔터테인먼트 · CJ ENM · CTDENM · DCTOM엔터테인먼트 · DK엔터테인먼트 · DR뮤직 · DSP미디어 · Fe 엔터테인먼트 · FM엔터테인먼트 · FNC엔터테인먼트 · HB엔터테인먼트 · HYBE LABELS · H MUSIC 엔터테인먼트 · iHQ · iMe KOREA · IMH엔터테인먼트 · INB100 · iNKODE · IPQ · JWK엔터테인먼트 · JYP엔터테인먼트 · KM엔터테인먼트 · KOZ 엔터테인먼트 · KQ 엔터테인먼트 · LLOUD · MBK컴퍼니 · MAA · MPMG · MLD엔터테인먼트 · MNH엔터테인먼트 · MYM엔터테인먼트 · Na 엔터테인먼트 · NAKED · NS ENM · n.CH엔터테인먼트 · OA · P NATION · RBW · SM엔터테인먼트 · Space Bohemian · THEBLACKLABEL · TNK엔터테인먼트 · VAA KOREA · VLAST · WH CREATIVE · YG엔터테인먼트 · YNK 엔터테인먼트 · 12ENTERTAINMENT · 131LABEL · 143엔터테인먼트 · 3Y코퍼레이션 · 935엔터테인먼트
없어진 연예 기획사 목록은 틀:대한민국의 없어진 연예 기획사 참고
}}}}}}}}} ||


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3%; display:inline-table"
{{{#!folding [ 미디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미디어
플랫폼 카카오TV (오리지널) | MUSE : 뮤즈 (캐스팅)
시상식 Ready Model Awards (모델)
소속사 BH | | 제이와이드 | 어썸이엔티 | VAST | 킹콩 (배우)
레디엔터테인먼트 (모델)
영상 콘텐츠 제작 메가몬스터 | 로고스필름 | 글앤그림 | 바람픽쳐스 | 크로스픽쳐스 | 쓰리와이코프레이션 | 오오티비 | 안테나 플러스 (방송)
영화사월광 | 사나이픽처스 | 영화사집 (영화)
글라인 (크리에이터)
영상 스트리밍 기술 아이앤아이소프트 (디지털 콘텐츠 기술)
콘텐츠 마케팅 돌고래유괴단 | 스튜디오좋 | 파괴연구소 | 글링크미디어 (커머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3%; display:inline-table"
{{{#!folding [ 뮤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뮤직
플랫폼 멜론 (음원)
유튜브 1theK (뮤직 비디오) | 1theK Originals (웹예능) | 1theK Live (음원 라이브) | 노래는 듣고 다니냐 (음악)
기획사 EDAM | 스타쉽 | 하이라인 | 하이업 | 안테나
제작사 쇼노트 (공연)
시상식 멜론 뮤직 어워드 (음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3%; display:inline-table"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스토리
국내 유통 플랫폼 카카오웹툰 (웹툰)
카카오페이지 (웹툰, 웹소설)
카카오페이지 스테이지 (웹소설 연재)
해외 유통 플랫폼 카카오웹툰 | 크로스코믹스 (웹툰)
타파스 (웹툰, 웹소설)
래디쉬 | 우시아월드 (웹소설)
콘텐츠 제작 및 유통 타파스엔터테인먼트 | 삼양씨앤씨 | 다온크리에이티브 | 케이더블유북스 | 인타임 | 필연매니지먼트 | 슈퍼코믹스스튜디오 | 넥스트레벨스튜디오 | 키위바인 }}}}}}}}}

[1] 영상팀 본부장이다.[2] 등기 이사로 등록되어 있으며, 콘텐츠 제작팀 소속이다. 그의 예명인 이윌과 직함인 이사를 합쳐 "케이사"라는 별명이 있다.[3] 2013년 12월 인수 #[4] 2019년 기준[5] #1 #2[6] 서현주 이사가 빅히트 출신인지 모르는 케이팝 팬들이 대부분이다. 무엇보다 당시에는 빅히트도 영세한 중소 기획사였던지라.[7] 김시대 대표 인터뷰에서 "김 대표는 K팝의 트렌드를 이끈 SM엔터테인먼트에 공을 돌렸다. “SM이 닦아놓은 도로에서 편하게 달리기 시작했다. 시스템적으로 스타쉽에 맞게 적용했을 뿐이다. SM을 보면서 제작자로서 많이 배웠다.”라고 언급은 한 적이 있다. #[8] 데뷔 당시 7인조였으나 2019년 10월 31일 원호의 탈퇴로 6인조가 되었다.[9] 처음엔 12인조로 데뷔하였다가 아이오아이 출신 유연정을 영입하며 13인조로 개편하였다. 그러나 2018년 하반기부터 중국인 멤버 선의, 성소, 미기가 중국 스케줄 관계로 그룹 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었으며 2020년부터 보이는 친중 성향의 정치적 행보(항미원조 지지, 신장 목화 강제노동 지지,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축하글)와 코로나19의 장기화 등으로 인해 팀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고, 사실상 한국인 멤버들로만 구성된 10인조로 활동하고 있었다. 2023년 3월 3일부로 위에화 소속 중국인 멤버 3명과의 합작이 끝나 탈퇴하였고 루다와 다원은 소속사와 계약이 만료되었지만 몬스타엑스의 아이엠처럼 그룹 활동을 계속 이어갈 것을 밝히며 정식으로 10인조로 개편되었다.[10] 2016년 3월 로엔엔터테인먼트가 카카오에 인수돼 현재까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레이블이다.[11] 2012년 매출 100억, 당기순이익 16억[12]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빅히트 뮤직 소속이었으나, 빅히트에서 스타쉽엔터테인먼트가 독립할 때 주력 가수로 데려온 듯하다.[13] 빅히트 뮤직 소속이었으나, 빅히트에서 스타쉽엔터테인먼트가 독립한 후 이적. 2010년 계약 만료.[14] 빅히트 뮤직 소속이었으나, 빅히트에서 스타쉽엔터테인먼트가 독립한 후 이적. 가수로써 데뷔연도고 이전엔 딱히 '배우'라고 하기엔 애매했지만 2007년부터 주로 예능프로를 돌던 방송인. 2010년 계약 만료 후 연예계에서 은퇴했다. 2022년 1월, 본인의 요청으로 투명성 보고 요청을 통해 개인 문서가 삭제되었다. 잊혀질 권리를 주장한 셈이니 재개설 자제. 여담으로 2024년 8월 14일부터 방송을 시작한 나는 SOLO 22기 '3차 돌싱특집'에 '영숙'으로 출연했다는 말이 기정사실처럼 돌았으나 얼굴만 비슷한 다른 사람으로 드러났다.[15] 2016년 3월 로엔엔터테인먼트가 카카오M에 인수돼 스타쉽도 자동 자회사로 편입되었다.[16] 이후 연정은 우주소녀로 합류하며 우주소녀는 13인조로 재편된다.[17] 이후 레이블 이름을 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로 변경했다.[18] 1인 기획사 독립.[19] 계약 만료 후 리더였던 동현iHQ로 이적했다.[20] 그러나 2020년 1월 득표수 조작 사건으로 X1 해체 후 4월에 CRAVITY로 데뷔하였다.[21] 산하 레이블 하이라인엔터테인먼트로 이적[22] 스타쉽은 카카오M 자회사였는데,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양사의 합병 절차를 완료하여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 공식 출범되었다.[23] 하지만, 탈퇴없이 그룹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으며, 11월 16일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코리아로 이적하였다.#[24] 루다와 다원은 탈퇴 없이 그룹을 이어갈 것이라고 한다.[해체] [26] 정기고가 설립한 1인 기획사[하이라인] 스타쉽 산하레이블. 스타쉽과 인수하여 스타쉽의 자회사이다.[탈퇴] 탈퇴하여 현재 그룹 소속이 아닌 아티스트이다.[하이라인] [탈퇴] [위에화] 중화권 활동으로 인해 활동 중단. 위에화엔터테인먼트 중국 본사와 협업 종료 후 탈퇴. 현재는 위에화 중국 본사 소속만 해당.[탈퇴] [위에화] [탈퇴] [위에화] [36]MLD엔터테인먼트.[37]메이저9.[38] 스타쉽 소속 걸그룹 IVE의 멤버인 이서와 동갑이며, 절친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39] 이때도 김시대가 가수 제작에 관여하였다.[40] 해외에서는 유튜브로 볼 수 있는 점이 특이하다. 또한 방송도 하였다.[41] 물론 '씨스타'의 상표권까지 합의했는지, 혹은 앞으로 합의 가능할지는 의문이나 전보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기대해볼 수 있게 되었다.[42] 케이윌 눈물이 뚝뚝, 씨스타 가식걸[43] 물론 중국인 멤버들은 우주소녀 활동보다 중국 개인 활동에 치중하는데다가 2017년 주한미군 방어 미사일 사드 배치으로 인한 대한민국-중국 간의 외교 관계가 경색되었고, 중국 정부의 보복성 제재 이른바 한한령이 발동한 가운데 중국 정부를 지지하는 정치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사실상 한국 활동을 재개할 가능성이 낮다. 회사 차원에서도 이미 중국 위에화와의 업무 제휴 관계가 사실상 종료된 것으로 보이며, 결국 우주소녀는 중국인 멤버 3명이 빠지면서, 사실상 13인 체제는 끝나고, 10인 체제으로 개편되면서, 한국에서도 충분히 완전체로 활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44] ※ 현 인원 기준 (해체된 그룹은 마지막 활동 당시 기준)
우주소녀 (10인조) > CRAVITY (9인조) > 보이프렌드 = 몬스타엑스 = IVE (6인조) > KiiiKiii (5인조) > 씨스타 (4인조) 순.
※ 멤버 변동 이전 데뷔 인원 기준
우주소녀 (12인조) > CRAVITY (9인조) > 몬스타엑스 (7인조) > 보이프렌드 = IVE (6인조) > KiiiKiii (5인조) > 씨스타 (4인조) 순.
[45] 그래서 사이버 렉카들이 이러한 점을 악용하고 있다.[46] 이전까지 고소를 안 하는 줄 알고 실망하는 팬들이 있었으나 사실 빌드업 중이었던 것이었다.[47] 2024년 3월 8일, 데뷔 이후 처음으로 〈뮤직뱅크〉에서 1위를 수상했다.[48] [49] 이전까지는 모두 보이그룹이 먼저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으나, 현재 스타쉽의 보이그룹 중에서 몬스타엑스 이후 마땅한 캐쉬카우가 없는 탓에 IVE의 후속 걸그룹 KiiiKiii를 먼저 선보인게 아니냐는 시선이 존재한다. 몬스타엑스는 현재 무려 데뷔 10년차를 넘어 고정 팬층이 뚜렷하게 잡혔기 때문에 차차기 그룹에게 낙수를 주기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신인 보이그룹을 데뷔시켜 어중간해질 바에 차라리 IVE와 텀이 짧아도 걸그룹 KiiiKiii를 먼저 데뷔시켜 화제성을 얻고, 그 다음에 데뷔할 보이그룹은 후술한 것처럼 프로젝트를 진행해 화제성을 얻으려고 하는 게 아니냐는 반응이 있다.[50] 씨스타 (2010) - 보이프렌드 (2011) / 몬스타엑스 (2015) - 우주소녀 (2016) / CRAVITY (2020) - IVE (2021)[51] 30분 30초 참고.[52] 당시 1위는 〈강남스타일〉.[53] 30대 이하 부문 조사[54] R&B 아티스트인 정기고와 주영의 영입과 효린과 소유의 R&B 음원 발매, 래퍼 매드 클라운의 영입과 힙합 아이돌 그룹 몬스타엑스가 데뷔하며, 스타쉽 소속 아티스트들은 실력파라는 이미지가 각인되어 이런 말들이 오고 갔던 걸로 보인다.[55] 후자의 대표적인 인물이 현재 SM엔터테인먼트의 제작 2센터장이자 카이, 슈퍼엠, 샤이니의 스타일링으로 화제가 되었던 김욱이다. 과거 몬스타엑스를 맡았던 전적이 있는데 이때만 해도 어마어마한 혹평을 받았으며, 한 무대에서 꾸민 스타일링은 아이돌 최악의 스타일링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56] 특히 몬스타엑스.[57] 하지만 소속 아티스트의 말을 듣다 보면 실제로 수익이 연예인에게 많이 가는지는 의문이다. 몬스타엑스가 V LIVE 하트 수가 7억을 넘자 "우리 통장에도 없는 수"라고 언급했다.[58] 정산 비율은 모르지만 씨스타도 9개월차에 정산은 받은 것으로 보아 정산은 잘 해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유 말로는 2010년 데뷔 후 걸그룹 생활을 하면 연습생 시절부터 빚을 지게 되고 그 빚을 다 갚은 후 정산이 시작된다고 한다. 2022년 현재 연습생 정산 관련 여부는 미지수이다. 스타쉽 정산은 월급제라는 말이 있다.[59] 2세대 - 씨스타, 3세대 - 몬스타엑스, 4세대 - IVE.[60] 2세대 - 보이프렌드, 3세대 - 우주소녀, 4세대 - CRAVITY.[61] 2019 설날 아육대 기준 남자 양궁 최고점은 세븐틴의 95점이다.[62] 2020 설날 아육대 기준 여자 양궁 최고점은 구구단의 93점이다.[63] 다원을 포함하여 걸스피릿에 나갔던 참가자들은 모두 2016년 추석 아육대에 불참했다.[64] 다만 중국 스케줄이 급증해서 2018 추석 아육대에는 불참했으며, 2018년 9월 컴백에도 나서지 않는다. 2019 설날 아육대에는 중국 드라마 촬영으로 불참했다. 이후 중국인 3인방이 6.25 한국 전쟁 당시의 중공군을 찬양하고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는 포스트를 웨이보에 올린 사실이 드러나, 한국팬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그리고 중국인 멤버들에게 향한 부정적 시선이 많아 사실상 한국에서 다시 활동하기는 힘들게 됐다. 결국 2023년 3월 3일까지 정식으로 그룹 탈퇴를 알렸다.[65] 멤버 중 안유진장원영이전 그룹이었을 시절 출연했던 적이 있다.[66] 세림은 축구 선수, 민희는 야구 선수 출신이었다.[67] 여담으로 CRAVITY 멤버 전체가 볼링 실력 (#1 #2)이 매우 좋으며 볼링 부문에서 활약이 기대해 볼 만하다.[68] 보이프렌드 - 1989년생 동현, 몬스타엑스 - 1992년생 셔누, CRAVITY - 1999년생 세림[69] 씨스타 - 1990년생 효린(팀에서 둘째, 첫째는 보라), 우주소녀 - 1995년생 엑시(팀에서 보나와 함께 둘째지만 생일순으로 셋째, 첫째는 설아), IVE - 2003년생 안유진(팀에서 둘째, 첫째는 가을), KiiiKiii - 2006년생 지유(팀에서 2006년생이 둘째, 첫째는 이솔)[70] 또한 씨스타의 유닛 씨스타 19도 효린이 리더, 우주소녀의 유닛 우주소녀 쪼꼬미도 루다가 리더였다.[71] 현재는 스타쉽 소속이 아니지만 가수 정세운의 경우에는 오후 7시(19시)였다. 그래서 팬덤명도 7이 행운의 숫자로 여겨지는 것에서 의미를 가져와 행운이다.[72] 씨스타는 소유, 우주소녀는 다영, IVE는 리즈[73] 씨스타는 효린, 우주소녀는 은서, IVE는 가을[74] IVE 데뷔 이전에 처음으로 언급하였기 때문에 IVE가 빠져 있다. 현재 IVE의 경우에는 좀 다른 느낌이지만 가을이 잘생쁨을 담당하고 있으며, 오히려 언급된 이 계열에서는 이서가 더 가까워보인다.[75] 비슷한 시기에 함께 큰 영향력을 주었던 걸그룹 유닛은 소녀시대-태티서, 오렌지캬라멜이 있었다.[유닛목록] 씨스타19 (씨스타), 우주소녀 쪼꼬미, 우주소녀 더 블랙 (우주소녀), 셔누 X 형원 (몬스타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