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21:10:54

YG엔터테인먼트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YG엔터테인먼트|{{{#!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와이지'''{{{#!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중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왕하오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왕하오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왕하오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중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왕하오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왕하오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왕하오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4대 대형 기획사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 블루.svg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HYBE 로고.svg파일:HYBE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20px 0 -25px 0"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YG엔터테인먼트|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YG 엔터테인먼트
YG Entertainment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아티스트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nopad> 그룹 아티스트
[[AKMU|파일:AKMU 로고.svg파일:AKMU 로고 화이트.svg
AKMU
]]
[[WINNER|파일:WINNER 심볼.svg파일:WINNER 심볼 화이트.svg
WINNER
]]
[[BLACKPINK|파일:BLACKPINK 로고 검정.png파일:BLACKPINK 로고 화이트.svg
BLACKPINK
]]
{{{#!wiki style="margin: -16px -11px" [[TREASURE|파일:TREASURE 심볼.svg파일:TREASURE 심볼 화이트.svg
TREASURE
]]
[[BABYMONSTER|파일:BABYMONSTER 심볼.svg파일:BABYMONSTER 심볼 화이트.svg
BABYMONSTER
]]
}}}
<nopad> 솔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16px -11px" }}}
<nopad> 공개 연습생 그룹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계열사 ]
<colbgcolor=#e0e0e0,#e0e0e0> 자회사 YG PLUS (YG INVESTMENTFOREST FACTORY)|STUDIO PLEX
해외지사 YG ASIA (YG BEIJING)|YG JAPANYG USA (HASHTAG)
관계기업 THEBLACKLABELYN CULTURE & SPACEYGM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프로젝트 ]
<colbgcolor=#e0e0e0,#e0e0e0> 서바이벌 리얼다큐 빅뱅WIN: Who is Next?MIX & MATCH믹스나인YG 보석함Last Evaluation
리얼리티 BIGBANG TV2NE1 TVSE7EN TVWINNER TV자체제작 iKON TV블핑하우스24/365 with BLACKPINK젝KEY를 찾아라트레저맵WINNER BROTHERS모두의 남매 뭐든 해
웹드라마 YG전자남고괴담
영화 MADESECHSKIES EighteenBLACKPINK THE MOVIETHE CIRCLE : THE MOVIE
게임 Beat Evo YGSUPERSTAR YGBLACKPINK The Game
다큐멘터리 Tunes: SE7EN | Act III: MotteBLACKPINK: LIGHT UP THE SKY白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3px; min-width: 25%"
{{{#!folding [ 관련 문서 ]
<colbgcolor=#e0e0e0,#e0e0e0> 하위 문서 역사경영자회사음반역대 아티스트논란 및 사건 사고
관련인물 양현석 (창업주)양민석 (대표이사)황보경 (사내이사)KRUNK (마스코트) }}}}}}}}}

<colbgcolor=#111,#111><colcolor=#fff> YG 엔터테인먼트
YG Entertainment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법인명 정식: 주식회사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영문: YG Entertainment Inc.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업종명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설립일 1998년 2월 24일 ([age(1998-02-24)]주년)[1]
설립자 양현석
임원진
[ 펼치기 · 접기 ]
이사회 의장
김동현
대표이사
양민석
사내이사
양민석, 황보경, 김성회
기업 규모 중견기업
상장 유무 상장 기업
상장 시장 코스닥 (2011 ~ 현재)
시가총액 1조 5850억 원 (2025. 8. 4.)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희우정로1길 7 (합정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000"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11><colcolor=#fff> 상장시장 코스닥
종목 코드 122870
직원 수 415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유통사 YG PLUS
자본금 94억 8,767만 6,500원(2022년 기준)
매출액 연결: 3,911억 7,451만 2,956원(2022년 기준)
별도: 2,819억 5,090만 3,406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연결: 466억 3,944만 9,138원(2022년 기준)
별도: 398억 3,039만 8546원(2022년 기준)
순이익 연결: 467억 7,463만 7,912원(2022년 기준)
별도: 290억 5,800만 5,654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연결: 7,128억 7,250만 384원(2022년 기준)
별도: 5,014억 2,091만 66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연결: 1,865억 8,444만 5,794원(2022년 기준)
별도: 924억 3,677만 6,799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연결: 28.73%(2021년 기준)
별도: 14.03%(2021년 기준)
}}}}}}}}}
링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식 홈페이지

#!if (구분 == null) || (링크 == null)
[[https://www.ygfamily.com/ko/main|[[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svg|width=2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if (구분 != null) && (링크 != null)
[[https://www.ygfamily.com/ko//|[[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svg|width=2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YG FAMILY (아티스트 채널)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YG STAGE (배우 채널)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일괄 폐쇄)
YG STUDIO COMEDY (코미디언 채널)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운영 종료)}}}}}}

1. 개요2. 로고3. 사옥4. 역사5. 경영6. 소속 아티스트
6.1. 가수6.2. 배우6.3. 프로듀서6.4. 연습생
7. 역대 아티스트 목록8. 특징
8.1. 자체 작사·작곡8.2. 음악적 특징
9. 자회사10. 논란 및 사건 사고11. 기타12. 둘러보기

1. 개요

서태지와 아이들 멤버 양현석이 설립한 대한민국연예 기획사.

2. 로고

YG ENTERTAINMENT CI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000> 로고
파일:YG엔터테인먼트 워드마크.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워드마크 화이트.svg
<rowcolor=#fff,#000> 워드마크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 화이트.svg 파일:YG엔터테인먼트 슬로건.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슬로건 화이트.svg
<rowcolor=#fff,#000> 심볼 슬로건

3. 사옥

<rowcolor=#fff> YG엔터테인먼트 사옥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신사옥.jpg파일:YG엔터테인먼트 사옥.jpg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위치 <colcolor=#000,#fff>서울특별시 마포구 희우정로1길 7
용도 교육연구시설(직업훈련소), 2종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3,145.40㎡
건축면적 1,731.63㎡
연면적 18,828.19㎡
규모 지상 9층, 지하 5층
높이 45.3m
주차 100대
건폐율 55.05%
용적률 235.71% }}} }}} }}}

본사 사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에 위치해있다. 왼쪽 건물은 구사옥이며 오른쪽 건물이 신사옥이다. 사옥의 전체 디자인과 연습실 등이 다크한 디자인이며, 소속사 건물 외부 및 내부 시설이 근사하기로 유명하다. 한때 국내 3대 기획사 중 가장 세련됨을 자랑하였으며, 그 점을 잘 살려서 방송에서도 자주 건물 내부를 공개해서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실제로 양현석은 소속사 건물에 신경을 많이 쓰며 YG 직원들 편의에 공을 들인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회사 내부에서 제공되는 식사만 해도 배달음식이 아니라 집밥같이 제대로 차려먹기 위해 전용 식당이 있으며 음식 솜씨 좋은 조리사 4명을 채용했다고 한다.[2]

2020년에 기존 사옥 바로 옆에 10배 규모로 신사옥이 완공되었다.[3] 사옥의 외부 디자인은 스피커에서 따왔다고 한다. 실내 면적은 6,000평에 달하고, 복층 높이의 대강당을 비롯해 대형 댄스 연습실 7실, 대형 녹음 스튜디오 7실, 전속 작곡가와 아티스트를 위한 개인 음악 작업실 30개가 설치됐다. 또한 메이크업룸, 헬스장, 탁구장, 당구장 등의 편의시설이 설치되어있다. 기존 사옥과는 지상 다리로 연결되어있다고 한다. 2020년 12월부터 신사옥으로 이사를 시작했다.[4] 구사옥은 2021년 6월부터 2024년 1월까지 THEBLACKLABEL이 사용했으며,[5] 여전히 건물의 소유주는 YG엔터테인먼트 법인이다. 신사옥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있어서 연간 4천만원의 전기료를 절감하고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회사 소속 안무가 레이블 에이전시였던 YGX가 폐업하면서 해당 건물을 글로벌트레이닝센터로 리브랜딩하여 사용중이다. 위치는 사옥과 같은 마포구 합정동에 위치해있다.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G엔터테인먼트/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96년 3월, 양현석서태지와 아이들 해체 이후 설립한 연예 기획사로,[6] 설립 이후 아이돌 그룹 킵식스를 데뷔시켰다. 이듬해 5월, 사명을 "MF기획"으로 변경하고 지누션을 데뷔시키게 되며,[7] 1998년 2월, 서태지와 아이들 시절 별명 '양군'에서 이름을 따온 "양군기획"을 설립하며 1TYM을 데뷔시키고 'YG FAMILY'를 결성한다. 이후 2001년 5월, 사명을 현재의 "YG엔터테인먼트"로 변경한다.[8]

또 하나의 독특한 특징이자 악명으론 유난히 긴 선후배 간의 간격이다. 실제로 2025년 현재 소속된 아티스트 기준으로 같은 보이그룹인 WINNERTREASURE 사이의 간격은 6년, 같은 걸그룹인 BLACKPINKBABYMONSTER 간의 간격은 무려 8년(!)이다.어찌보면 SM를 다른 의미로 초월한 기획사[9]이자 HYBE의 진정한 안티테제라고 해도 무방하다.[10]

4.1. 컴필레이션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G엔터테인먼트/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G엔터테인먼트/경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경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경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소속 아티스트

6.1. 가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c1d1f,#fff>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 화이트.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svg파일:YG FAMILY 워드마크 화이트.svg파일:YG FAMILY 워드마크.svg }}}
파일:지누션 션.jpg 파일:AKMU LOVE EPISODE.jpg
<nopad> <nopad> AKMU
파일:WINNER HOLIDAY.jpg파일:BLACKPINK 뛰어(JUMP).jpg
<nopad> WINNER <nopad> BLACKPINK
파일:은지원 G1.jpg파일:TREASURE LAST NIGHT.jpg
<nopad> 은지원 <nopad> TREASURE
파일:BABYMONSTER HOT SAUCE.jpg
<nopad> BABYMONSTER

6.2. 배우

파일:YG STAGE 워드마크.svg
  • 2025년 1월 17일부로 배우 매니저먼트 업무를 종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 소속 배우들의 기존 계약 시점까지 매니지먼트를 이행한 뒤 전원 계약 시점 종료와 동시에 재계약 없이 자동 종료될 예정이다.

6.3. 프로듀서

[[YG엔터테인먼트#프로듀서|{{{#!wiki style="margin: -10px 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 화이트.svg파일:YG PRODUCERS 워드마크 화이트.svg파일:YG PRODUCERS 워드마크.svg }}}]]YG 엔터테인먼트 소속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총괄 프로듀서
양현석
<nopad> 소속 그룹 프로듀서
[[FUTURE BOUNCE|
FUTURE BOUNCE
]]
MGNTK
<nopad> 소속 크루 프로듀서
TEAM CHOICE
(CHOICE37 · Lil G · SONNY · LP)
TEAM AiRPLAY
(AiRPLAY · Illjun)
TEAM 강욱진
(강욱진 · Diggy · WHERE THE NOISE)
TEAM P.K
(P.K · 2K)
<nopad> 소속 개인 프로듀서
[[DEE.P|
DEE.P
]]
김민구 (NiNE)
Jaguaa (NiNE)
김제성
[[BIGTONE|
BIGTONE
]]
권명한
김승호
[[ROVIN|
ROVIN
]]
함승천
iHwak
GENERAL SOUND
김경
TRNC
Ends
Q
ICE
}}}}}}}}} ||
YG엔터테인먼트 소속 프로듀서
YG 엔터테인먼트에는 7팀으로 구성된 프로듀서 크루들이 존재한다.

또, YG 프로듀서 크루들은 3개월마다 운영되는 송캠프를 통해 해외 송라이터와도 협업하고 있다.

  • 양현석 (총괄 프로듀서)
    • YG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이자 총괄 프로듀서이다.
  • HAE, Lil G, Sonny, LP
    • YGX 소속이었던[11] 프로듀서들로 일명 'CHOICE37 팀'이다. 현재는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 주로 TREASUREBABYMONSTER의 곡에 참여하고 있다.
  • Q (강규용)
    • YG엔터테인먼트의 초창기 시절부터 함께 해오던 재미교포 출신의 프로듀서이다.
  • 함승천
    • 현재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 신인 프로듀서 개발팀 팀장을 맡고 있다. 前 YG엔터테인먼트 엔지니어이자 프로듀서로 활동했으며, 2017년 발매된 대성의 일본 미니 앨범을 기점으로 작업물은 전무하다.[12]
  • ROVIN (전정환)
    • 현재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 간간히 TREASURE의 프로듀싱을 맡고 있으며, 연예 기획사 '로스차일드엔터테인먼트'를 설립 및 대표직을 맡고 있다. 또한 아이코닉스와의 계약을 체결하여 다양한 OST를 작업하고 있다.
  • BIGTONE
    • 간간히 TREASURE젝스키스의 곡을 작업하고 있으며 외부 작업물이 더 많다. 프로듀서보다는 연습생들의 랩 레슨을 중점적으로 맡고있는 듯 하다.[13]
  • AiRPLAY
    • 2012년 SE7EN 의 'Make Good Love'를 통해 YG엔터테인먼트 프로듀서로서 데뷔하였다. 현재는 WINNER와 멤버 강승윤, 송민호의 곡을 주로 작업하고 있다.
  • iHwak (조성확)
    •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의 작업은 많이 존재하지 않으며, GOT7 등의 외부 아티스트와의 작업이 많다.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는 iKON의 간간히 곡을 작업하였다.
  • 강욱진
    • 2010년 함승천과 함께 SE7EN의 'Roller Coaster'을 작업하며 YG엔터테인먼트 앨범에 첫 참여했다.[14]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 주로 WINNERTREASURE, 과거 iKON의 앨범에 참여하고 있다.
  • Illjun
    • 송민호의 정규 3집 "TO INFINITY."를 기점으로 YG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작업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작업물로는 송민호의 정규 3집 수록곡과 서울대작전 OST, 그리고 WINNER의 "10분"이 있으며, 모두 송민호와 함께한 작업물이다.
  • WHERE THE NOISE
  • 권명환
  • 2K (김경식 김인수)
    • TREASURE의 NOW FOREVER에 참여하여 프로듀서로 데뷔하였다.
  • J.DOOR
    • TREASURE의 PARADISE에 참여하여 프로듀서로 데뷔하였다.
  • Lil Shark
    • TREASURE의 PARADISE에 참여하여 프로듀서로 데뷔하였다.

그룹 내 소속 프로듀서

6.4. 연습생

7. 역대 아티스트 목록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word-break: keep-all"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 화이트.svg

출신 아티스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3.3%"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리더 비고
현기획 (1996)
1996 킵식스 이새영 3인조 보이그룹
MF기획 (1996)
1996 지누션 지누 남성 듀오
양군기획 (1998 ~ 2001)
1998 원타임 테디 4인조 보이그룹
1999 YG FAMILY 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2001 ~ 현재)
2002 SWi.T 안내영 3인조 걸그룹
2003 빅마마 신연아 4인조 여성 그룹
2004 XO - 남성 듀오
2005 소울스타 이창근 3인조 남성 그룹
2006 무가당 송백경 4인조 혼성 그룹
BIGBANG G-DRAGON 5인조 보이그룹
2008 YMGA 마스타 우 남성 듀오
2009 2NE1 CL 4인조 걸그룹
2010 GD&TOP - 유닛 그룹
2013 BOM&HI - 유닛 그룹
2014 AKMU - 혼성 듀오
WINNER 강승윤 5인조 보이그룹
HI SUHYUN - 유닛 그룹
GD X TAEYANG - 유닛 그룹
2015 iKON B.I 7인조 보이그룹
2016 BLACKPINK - 4인조 걸그룹
MOBB - 유닛 그룹
2020 TREASURE 준규, 아사히 12인조 보이그룹
2023 T5 - 유닛 그룹
BABYMONSTER - 7인조 걸그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3.3%"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5px -1px 0"
<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성별 소속 그룹
양군기획 (1998 ~ 2001)
1998 양현석 -
YG엔터테인먼트 (2001 ~ 현재)
2001 페리 -
2002 휘성 -
2003 거미 -
SE7EN -
렉시 -
마스타 우 -
2004 태빈 원타임
2007 지은 -
Red Roc -
2008 태양 BIGBANG
대성 BIGBANG
2009 G-DRAGON BIGBANG
산다라박 2NE1
박봄 2NE1
2010 T.O.P BIGBANG
2011 승리 BIGBANG
강승윤 -
타블로 에픽하이
2012 이하이 -
2013 CL 2NE1
2017 BOBBY iKON
ONE -
2018 제니 BLACKPINK
송민호 WINNER
2019 김진우 WINNER
2020 방예담 TREASURE
이수현 AKMU
2021 로제 BLACKPINK
리사 BLACKPINK
2022 이찬혁 AKMU
2023 지수 BLACKPINK
2024 이승훈 WINN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2em; min-width: 33.3%"
{{{#!folding [ 영입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000,#fff"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리더 비고
2005 45RPM 이현배 3인조 남성 그룹
스토니 스컹크 스컬 남성 듀오
2012 에픽하이 타블로 3인조 남성 그룹
2016 젝스키스 은지원 5인조 보이그룹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000,#fff"
{{{#!folding [ 솔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000> 연도 아티스트 성별 소속 그룹
2010 싸이 -
2019 은지원 젝스키스 }}}}}}}}}
}}}}}}}}}}}} ||

7.1. 과거 소속 아티스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G엔터테인먼트/과거 소속 아티스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과거 소속 아티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과거 소속 아티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특징

8.1. 자체 작사·작곡

주로 SM엔터테인먼트가 외부에서 OEM 방식으로 외부 프로듀서들에게서 곡을 사오는 방식이라면, YG엔터테인먼트는 자칭 타칭 가내수공업이라 하여 내부 프로듀서들을 키워 내는 데에 투자가 많은 회사이다. 최근 신사옥으로 이전하면서 스튜디오를 많이 짓고 새 프로듀서들을 많이 영입하였으며, 프로듀서 오디션까지 진행하고 있다.[15]

과거에 양현석이 밝히기를 YG의 메인 프로듀서는 PERRY, TEDDY, G-DRAGON, KUSH 이렇게 네 명이라고 하였으나, 현재 YG의 메인 프로듀서는 FUTURE BOUNCECHOICE 37 등으로 보인다.[16] 현재 소속 프로듀서의 경우 CHOICE37[17], FUTURE BOUNCE (P.K & DEE.P)[18], 강욱진, Diggy, AiRPLAY, ROVIN, iHwak, BIGTONE[19], MILLENNIUM 등이 있다.

또한 YG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들이 갖추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자체 작사, 작곡 능력이다. YG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에서는 자기 그룹을 스스로 프로듀싱하는 싱어송라이터가 한 명 이상씩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이찬혁 (AKMU)과 강승윤 (WINNER), 그리고 과거의 G-DRAGON (BIGBANG)과 B.I (iKON)이 있다.[20]

YG엔터테인먼트의 보이그룹의 경우 이 분야의 끝판왕인 BIGBANG은 말할 것도 없고 후배 그룹인 WINNER, 현재는 YG를 나간 iKON, TREASURE 역시 본인들의 음반에 수록되는 곡들을 직접 작사, 작곡해오고 있고 앞으로도 그래야만 한다.[21] G-DRAGON강승윤, B.I, 이찬혁은 정말 수준급 프로듀싱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며, 그 외 그룹 프로듀싱보다는 자작곡 작업을 많이하는 송민호, BOBBY와 서브 프로듀서를 맡는 이승훈, 김동혁, 아사히 등도 뛰어난 프로듀싱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조건을 여타 보통 아이돌 그룹에게 적용하면 굉장히 큰 부담이 되겠지만 YG엔터테인먼트 소속 보이그룹에겐 너무도 당연한 일이며, 그걸 또 해내는 이유는 양현석이 연습생 시절부터 이렇게 육성시켰기 때문이다. YG엔터테인먼트는 기본적으로 설립 당시부터 힙합을 추구해온 레이블이기 때문에 YG의 아이돌 그룹은 기본적으로 래퍼가 꼭 들어가며 자신의 파트는 자신이 직접 작사한다. 기본적으로 본인이 쓸 가사는 본인이 직접 쓰는 게 래퍼들의 기본이자 소양이다. 타인이 쓴 가사를 쓰는 래퍼는 기본적으로 조롱, 나아가 커리어에 중대한 불명예가 되는 것이 힙합 씬이다.[22]

각 팀의 메인 프로듀싱 멤버인 G-DRAGON (BIGBANG), 강승윤 (WINNER), B.I (iKON)가 축이 되어 제작한 세 팀의 음원은 발매할 때마다 모든 음원 차트 1위를 휩쓸었다.[23] 작사/작곡하는 척이 아니라 프로듀싱 능력도 제대로 갖추고 있다는 의미이다. K팝 스타 시즌2를 통해 데뷔한 AKMU이찬혁 또한 이전부터 자작곡을 만들어왔기 때문에 YG엔터테인먼트의 이런 성향과 맞아떨어졌다.

8.2. 음악적 특징

음악적으로는 대한민국연예 기획사 중에서 블랙 뮤직을 가장 추종하고, 특히 /힙합 음악에 강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기획사이다.[24] 정확히는 미국힙합, R&B, 장르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과거 2000년대까지는[25] 대한민국 고유의 아이돌 음악이나 일본 음악의 영향도 꽤 받았던 시절이 있었으나, 2009년 2NE1의 데뷔를 기점으로, 영미권 음악의 주류를 따르는 경향으로 확고하게 바뀌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부터는 아티스트 고유의 음악색을 중요시하는 분위기로 변화하고 있다. YG 특유의 힙합 스타일을 바탕으로 각팀의 프로듀서들이 자신의 팀이 추구하는 음악 스타일로 이끌어나가고 있다. 20년대를 기준으로 BIGBANGBLACKPINK의 경우 "YG 고유의 스타일"을 추종하고 있으며, WINNER는 "청량한 여름 스타일", TREASURE는 "밝고 희망찬 스타일", 젝스키스는 "따뜻한 옛 가요 스타일"을 중점적으로 추종하고 있다.[26][27] 그러나 해당 스타일을 중점적으로 추종할 뿐, 해당 장르 외에 다른 장르를 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28]

2020년대부턴 사실상 WINNERAKMU 정도를 제외하면, YG 고유의 스타일을 바탕으로 그룹 컨셉을 잡아가는 것에 가깝다. SM이 일단 "그룹 컨셉"을 먼저 잡아놓고, 그다음 SM 고유의 색깔을 입히는 것과는 반대되는 행보이다. 특히 걸그룹의 경우 2NE1부터 BLACKPINK, 현재의 BABYMONSTER까지 선배 그룹의 컨셉을 어느정도 이어받으며 자신들의 색깔을 찾아가고 있다.[29]

9. 자회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G엔터테인먼트/자회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자회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자회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G엔터테인먼트/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G엔터테인먼트/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 가수 혹은 팀명에 숫자가 자주 들어간다.[30] 아티스트명과 곡 제목을 표기할 때 거의 다 알파벳 대문자로 쓴다.[31] 이후 외부에서 영입된 PSY, EPIK HIGH, SECHSKIES도 역시 마찬가지.
  • 배우들도 소속되었다. 초기에는 연기 부분에서 철수하려 하였으나 투자를 더 많이 해서 지금의 영향력을 갖췄다.
  • 코스닥상장일에 여의도한국거래소(KRX)에서 산다라박유인나가 팬사인회를 열었다. 일반적으로 상장일날 한국거래소에 기자를 포함해 50명 정도가 참여하지만 이날은 200명이 넘는 인원이 참여했다고 한다.
  • 2013년, 아시아나항공과 업무제휴협약를 체결하였다. # 이후 2023년, 대한항공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제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대한항공BLACKPINK의 월드투어 공식 후원 항공사가 되었다. #
  • 미국에 동명의 래퍼 YG가 있는데 이 회사의 영향으로 네이버에서 YG를 검색하면 죄다 YG엔터테인먼트만 뜬다(...)[33]
  • 마스코트 캐릭터로는 'KRUNK'라는 파랑 곰돌이가 있는데 꽤나 귀엽다! 누군가 곰 인형탈을 쓰는데 와이지 직원이었다고 한다.[34] 크렁크 관련 굿즈도 많은 편이다. 아티스트들의 굿즈에도 많이 출현한다.
  • 2017년 5월 14일 유니세프와 함께하는 워킹페스티벌을 개최한다. 본래는 10주년 기념으로 2016년에 진행하려 했으나 태풍으로 인해 무산된 바 있다. 애프터 콘서트에는 지누션, 에픽하이, 이하이, AKMU, iKON, BLACKPINK가 참여하였고 안영미가 MC로 나섰다.
  • 아티스트들의 음원 성적이 상당히 잘 나오는 편이다. 특히 보이그룹 음원 성적에 있어서는 3대 기획사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기본적으로 음원이 약한 타 남자 아이돌과는 달리 BIGBANG, WINNER, iKON의 대중성은 매우 높은 편이며 가온 및 멜론 연간 차트 1위곡을 배출한 그룹을 이나 보유하고 있었다. 심지어 G-DRAGON, 제니, 송민호 등 솔로 멤버로 나와도 음원차트 1위를 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사실상 대한민국 기획사 중 음원성적 만큼은 최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여러 풍파를 거치면서 전성기 때 차트에서 보였던 강세가 줄어들었다. 물론 현재도 BIGBANGBLACKPINK, AKMU는 컴백 때마다 차트 1위는 당연히 달성하며, WINNER도 컴백 때마다 남자 아이돌로서는 어려운 멜론 차트의 상위권에 안착시키고 있다.[35] 또한 최근 솔로로 나온 송민호이찬혁도 무난하게 멜론 Top 100 안에 드는 등 괜찮은 성적을 보유 중이다.[36]
  • 하지만 어마어마한 대중성에 비해 소속 가수들의 팬덤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보이그룹에서 WINNERiKON이 그런 경향을 보였는데, 차트 1위를 달성한 것에 비해 앨범 판매량이 저조하게 나오는 경향이 있었다.[37] 그러나 최근 WINNER는 "초동 14만장"을 달성하였으며,[38] 최근 데뷔한 TREASURE의 경우에도 초동 171만장을 넘기며 진전하고 있다. 또한 BLACKPINK의 경우 선주문량 200만장을 넘기며 걸그룹 선주문 최고 기록을 갱신하였으며, 1일차에 밀리언셀러를 달성하였고 5일차에 걸그룹 초동 1위를 달성하며 엄청난 팬덤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최총 "초동 판매량은 154만장"으로 역대 대한민국 가수 음반 초동 기록에서 8위를 달성하였다.[39]
  • 2017년에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로부터 1000억원을 투자받았고, 이에 따라 네이버는 YG의 2대 주주가 되었다. 또 자회사인 YG플러스는 네이버의 음원 서비스인 네이버 VIBE의 운영 대행을 맡고 있다.
  • 2017년 8월 18일 '비트이보 YG'라는 리듬게임을 발매하였으며, 서비스 종료 이후 2020년 11월 5일 'SUPERSTAR YG'라는 새로운 리듬게임이 출시되었다.
  • 2021년 1월에는 네이버, HYBE와 함께 의정부시에 대규모 복합문화융합단지를 설립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 복합 문화 단지에는 YG와 하이브 소속 아티스트들의 전시관 및 테마파크, 공연장 등이 설립될 예정이다.
  • 2021년 2월 HYBE와 키스위의 합작 플랫폼 회사를 YG와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공동으로 투자하기로 하였으며, 초대형 글로벌 플랫폼 스트리밍 서비스인 베뉴라이브라는 서비스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주식 시장에서는 한때 3대 기획사 중 시가총액이 1위였던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고전중이다. 4대 대형 기획사들 가운데 제일 저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2018년 이후로 경쟁사인 JYP, SM, HYBE[40]와 비교해 볼 때 주가 추이가 매우 나쁘다. 실제로 YG는 주가가 2019년 초에 일어난 큰 사건사고 이후 신저점을 찍는 등 회사 자체의 평판이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이이다. K-POP 팬들 사이에서도 제일 많은 비판을 받는 종목임을 면치 못하는 상황. 2024년에는 시총이 한때 6000억 밑으로까지 추락하는 등 말 그대로 민심이 바닥을 뚫고 떡락하는 중이다.[41][42]
  • 4대 기획사 중 아이돌의 세대 교체가 가장 늦게 이루어졌다. 물론 YG의 경우에도 다른 기획사들과 비슷한 시기에 4세대 보이그룹과 걸그룹을 데뷔시킬 예정이었으나 희대의 사건으로 인해 회사 내부가 혼란스러워지며 그 시기를 놓쳤고, 우여곡절 끝에 2020년 8월에 TREASURE를 데뷔시켰지만 팀의 데뷔 초반 활동 성적이 영 좋지 못했다. 심지어 트레저의 데뷔 4년차인 2023년에 양현석이 다시 총괄을 잡은 이후로 더 악화되고 있는 상황.
  • 외국 국적의 아이돌 연습생들에게 한국어를 잘 가르치는 걸로 유명하다. 특히 TREASURE하루토BABYMONSTER아사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데뷔한지 얼마 안되었거나 연습생 신분의 일본 국적의 멤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활동하는 다른 국적의 아이돌 멤버들보다 한국어를 정확한 발음으로 유창하게 하여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43]
  • 위에 내용과 덧붙여서, 현재 YG의 4세대 그룹인 TREASUREBABYMONSTER에 래퍼 포지션이 각각 3명씩 있는데 그 중 2명씩이 일본 국적의 멤버들이다. 더 놀라운 점은 일본 국적의 멤버들의 한국어 발음이 정확하고 한국어로 작사도 한다는 점이다.[44]
  • 런칭한 아이돌 그룹 리더는 메인래퍼나 프로듀서로 정하는 편이다. SM이 무조건 최연장자[45], JYP가 연습생 기간을 기준으로[46][47] 하는 거에 비해 YG 특유의 음악적 스타일이 묻어나는 선정 기준이다. 다만 WINNER와 iKON의 데뷔 서바이벌이었던 WIN에서 양현석이 '나이가 많다고 리더를 시키지 않고, 중간 정도의 멤버 중 재능이 보이는 멤버로 정하는 편이다' 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 때문인지 TREASURE 전까지는 중간 정도 순서의 멤버가 리더인 것도 특징.[48] 우연인지 해체 후 YG에서 재결합한 젝스키스도 리더인 은지원이 래퍼 포지션이다.
  • 4대 기획사 중 유일하게 해외 현지화 아이돌 그룹이 없는데, 양현석에 따르면 2023년 말부터 2024년 초까지 일본 현지화 걸그룹 기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3분기가 될때까지 감감무소식이며, 2025년 로드맵에도 언급이 없는 것을 보면 근 1~2년 내 데뷔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49]
  • 2024년까지 2013년에 리뉴얼한 홈페이지를 10년 넘게 사용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다른 4대 기획사들의 홈페이지보다 상당히 올드한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2024년 1월 12일 리뉴얼이 진행되었다.
  • 2024년 부로 소속 아티스트 및 배우들과의 전속 계약 종료가 동시 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배우가 무명 내지 신인이었고 계약 종료된 지누션젝스키스가 사실상 무활동이었기에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외적으로 아티스트 라인업이 크게 감소한 것이 눈에 띈다. 그런 가운데 2025년 1월 17일 배우 매니지먼트 종료를 공식 발표하면서 남아 있던 배우들이 순차적으로 계약을 종료하고 있다. 2024년 6월 30일 부로 공식 홈페이지 내 배우 탭이 최종적으로 삭제되며, 배우 매니지먼트 사업에 마침표를 찍었다.
  • 4대 기획사 중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 시장 개척에 가장 적극적이다. 태국인 멤버 리사가 데뷔 후 꾸준히 센세이션을 일으키면서 국민 연예인으로 떠오름에 따라 막대한 수익을 벌어들인 것의 영향으로 보이며, 이 영향인지 후속 그룹들인 BABYMONSTERNEXTMONSTER에도 꾸준히 태국인 멤버들을 포함시키고 있다.[50]
  • 2024년 7월 8일, 마지막까지 살아있던 레이블인 YGX마저 폐업하며 국내 4대 대형 기획사 중 유일하게 레이블이 하나도 없는 상태가 되었다.

12.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ㄱ ~ ㅅ골드더스트 엔터테인먼트 · 골드메달리스트 · 광리엔터테인먼트 · 그리드엔터테인먼트 · 그리핀 엔터테인먼트 · 그로우이엔티 · 길스토리이엔티 · 나무엑터스 · 나인진엔터테인먼트 · 냠냠 엔터테인먼트 · 높은엔터테인먼트 · 누아엔터테인먼트 · 눈컴퍼니 · 더뮤즈엔터테인먼트 · 동요엔터테인먼트 · 두루두루 아티스트 컴퍼니 · 드림캐쳐컴퍼니 · 드림팩토리 · 디알뮤직 · 디에이와이엔터테인먼트 · 딥스튜디오 · 라엘비엔씨 · 라이브웍스컴퍼니 · 럭키몬스터 엔터테인먼트 · 린브랜딩 · 마다엔터테인먼트 · 마루기획 · 마지끄 · 맘모스엔터테인먼트 · 모덴베리코리아 · 매니지먼트 구 · 매니지먼트 낭만 · 매니지먼트 숲 · 매니지먼트 시선 · 매니지먼트 아이딜 · 매니지먼트 에어 · 매니지먼트 에이엠나인 · 매니지먼트 오름 · 매니지먼트 이상 · 매니지먼트W · 매니지먼트봄날 · 매니지먼트엠엠엠 · 매니지먼트움 · 맨오브크리에이션 · 메모리박스 · 메이저9 · 모드하우스 · 뮤직팜 · 미스틱스토리 · 바나나컬쳐엔터테인먼트 · 바로엔터테인먼트 · 바인엔터테인먼트 · 본좌엔터테인먼트 · 베이스캠프 스튜디오 · 브라더후드엔터테인먼트 · 브랜뉴뮤직 · 브레이브엔터테인먼트 · 블랙베어엔터테인먼트 · 블러썸 엔터테인먼트 · 블리츠웨이엔터테인먼트 · 비트인터렉티브 · 비츠엔터테인먼트 · 빅보스엔터테인먼트 · 빅스마일엔터테인먼트 · 빅플래닛메이드엔터 · 빅히트 뮤직 · 빈 엔터테인먼트 · 빌리언스 · 빌리프랩 · 빌엔터테인먼트 · 뿌리엔터테인먼트 · 삐에로 레코드 · 사람엔터테인먼트 · 샌드박스 네트워크 · 샘컴퍼니 · 샛별당엔터테인먼트 · 샤이닝엔터테인먼트 · 서태지컴퍼니 · 세번걸이엔터테인먼트 · 솔리튜드(Solitude) · 솔트 엔터테인먼트 · 쇼플레이엔터테인먼트 · 수엔터테인먼트 · 스노우볼 엔터테인먼트 · 스타베이스 매니지먼트 그룹 · 스타쉽엔터테인먼트 · 스타잇엔터테인먼트 · 스타위브엔터테인먼트 · 스타제국 · 스타티드엔터테인먼트 · 스타페이지엔터테인먼트컴퍼니 · 스타하우스 엔터테인먼트 · 스텔라이브 · 스탤리온엔터테인먼트 · 스토리앤플러스 · 스튜디오 산타클로스 엔터테인먼트 · 스튜디오피그 · 스파이어엔터테인먼트 · 스프링 컴퍼니 · 신화사 엔터테인먼트 · 신화컴퍼니 · 써브라임 · 써패스이엔티 · 쏘스뮤직 · 쓰리와이코프레이션 · 씨에이엠에이 · 씨에이엠위더스 · 씨엘엔컴퍼니 · 씨제스 스튜디오 · 씨피엔터테인먼트
ㅇ ~ ㅎ아센디오 · 아우라엔터테인먼트 · 아크리드엔터테인먼트 · 아트21 · 아티스트컴퍼니 · 앤드마크 ·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 · 어센드엔터테인먼트 · 에디드엔 · 에이사이드컴퍼니 · 에이스팩토리 · 에스에이아이엔터테인먼트 · 에스크로엔터테인먼트 · 에잇디엔터테인먼트 · 엘줄라이엔터테인먼트 · 엠이오 · 연두컴퍼니 · 오드 엔터테인먼트 · 오앤오 엔터테인먼트 · 와우산레코드 · 울림엔터테인먼트 · 원뮤직오피스 · 원헌드레드레이블 · 웨이크원 · 올라트엔터테인먼트 · 올에스컴퍼니 · 위어스엔터테인먼트 · 위에화엔터테인먼트코리아 · 위엔터테인먼트 · 이고이엔티 · 이담엔터테인먼트 · 이든나인 · 이음해시태그 · 인넥스트트렌드 · 인컴퍼니 · 인피니트컴퍼니 · 일삼일 · 알앤디컴퍼니 · 제이지스타 · 제이앤엠엔터테인먼트 · 제이플로 엔터테인먼트 ·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 초록뱀엔터테인먼트 · 초이크리에이티브랩 ·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컴퍼니온 · 컴퍼니수수 · 커넥텀엔터테인먼트 · 케이에이치컴퍼니 · 코리아매니지먼트그룹(KMG) · 큐브엔터테인먼트 · 크레이프사운드 · 크롬엔터테인먼트 · 클레버 E&M · 킹엔터테인먼트 · 티오피미디어 · 트라이어스 · 티에이치컴퍼니 · 파스텔 뮤직 · 판타지오 · 팔레트엔터테인먼트 · 팜트리 아일랜드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 펑키스튜디오 · 포켓7엔터테인먼트 · 포켓돌스튜디오 · 폴라리스엔터테인먼트 · 프레인TPC · 프리즘필터 뮤직그룹 · 플럼에이앤씨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플레이메이커 E&M · 플렉스엠 · 피앤피에이전시 · 피치컴퍼니 · 피프티원케이 · 하울링엔터테인먼트 · 하이지음스튜디오 · 하이헷엔터테인먼트 · 해피로봇 레코드 · 현예엔터테인먼트 · 호두앤유엔터테인먼트 · 후너스 엔터테인먼트
영어 · 숫자ADOR · A team 엔터테인먼트 · ATRP · BH엔터테인먼트 · BLISSOO · C9 엔터테인먼트 · CJ ENM · CTDENM · DCTOM엔터테인먼트 · DK엔터테인먼트 · DSP미디어 · Fe 엔터테인먼트 · FM엔터테인먼트 · FNC엔터테인먼트 · F&F엔터테인먼트 · HB엔터테인먼트 · HYBE LABELS · H music 엔터테인먼트 · H&P 엔터테인먼트 · iHQ · iMe KOREA · IMH엔터테인먼트 · INB100 · iNKODE · IPQ · IST엔터테인먼트 · JWK엔터테인먼트 · JYP엔터테인먼트 · KM엔터테인먼트 · KOZ 엔터테인먼트 · KQ 엔터테인먼트 · LUK FACTORY · MBK컴퍼니 · MAA · MPMG · MLD엔터테인먼트 · MNH엔터테인먼트 · MYM엔터테인먼트 · Na 엔터테인먼트 · NAKED · NS ENM · nCH 엔터테인먼트 · OA · O3Collective · P NATION · PAIX PER MIL · RBW · S&A 엔터테인먼트 · SM엔터테인먼트 · SW엔터테인먼트 · Space Bohemian · TEAMHOPE · THEBLACKLABEL · TNK엔터테인먼트 · TRIANGLE Enm · UNCORE · VAA · VLAST · WAY BETTER · WH CREATIVE · WM엔터테인먼트 · YG엔터테인먼트 · 12ENTERTAINMENT · 143엔터테인먼트 · 333 · 935엔터테인먼트
없어진 연예 기획사 목록은 틀:대한민국의 없어진 연예 기획사 참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5년 9월 15일 기준 한국거래소 집계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시가총액
1 파일:알테오젠.jpg
알테오젠
26조 2,780억원
2 파일:에코프로비엠 국문 로고.svg
에코프로비엠
11조 8,340억원
3 파일:펩트론.jpg
펩트론
7조 940억원
4 파일:에코프로 로고.svg
에코프로
6조 7,209억원
5 파일:파마리서치.png
파마리서치
6조 5,039억원
6 파일:레인보우로보틱스 CI.svg
레인보우로보틱스
5조 8,006억원
7 파일:에이비엘바이오.jpg
에이비엘바이오
5조 6,867억원
8 파일: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_로고.svg
리가켐바이오
5조 6,233억원
9 파일:HLB_로고.svg
HLB
5조 801억원
10 파일:삼천당제약 로고.jpg
삼천당제약
4조 9.026억원
11 파일:코오롱티슈진.svg
코오롱티슈진
4조 215억원
12 파일:휴젤 CI.svg
휴젤
4조 111억원
13 파일:리노공업 로고.jpg
리노공업
3조 8,182억원
14 파일:image_readtop_2015_1008895_14454894412185403.jpg
케어젠
3조 6,956억원
15 파일:CLASSYS.svg
클래시스
3조 6,290억원
16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에스엠
3조 2,419억원
17 파일:VORONOI_로고.png
보로노이
3조 107억원
18 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 블루.svg
JYP Ent.
2조 7,040억원
19 파일:eotech.jpg
이오테크닉스
2조 6,980억원
20 파일:실리콘투_로고.svg
실리콘투
2조 5,600억원
21 파일:hpsp.jpg
HPSP
2조 5,425억원
22 파일:셀트리온제약 로고.svg
셀트리온제약
2조 3,761억원
23 파일:원익IPS 로고.svg
원익IPS
2조 2,088억원
24 파일:Pearlabyss_청색.png파일:Pearlabyss_흰색_글씨.png
펄어비스
2조 1,876억원
25 파일:젬백스앤카엘_로고.png
젬백스
2조 719억원
26 파일:솔브레인 CI.svg
솔브레인
2조 263억원
27 파일:에스티팜_로고.svg
에스티팜
1조 9,206억원
28 파일:동진쎄미켐 CI.svg
동진쎄미켐
1조 9,126억원
29 파일:테크윙.png
테크윙
1조 9,125억원
30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조 8,242억원
31 파일:올릭스 로고.png
올릭스
1조 8,237억원
32 파일:파크시스템스.png
파크시스템스
1조 8,188억원
33 파일:(주)디앤디파마텍_로고.svg
디앤디파마텍
1조 7,800억원
34 파일:메지온.jpg
메지온
1조 7,376억원
35 파일:엔켐 로고.svg
엔켐
1조 7,293억원
36 파일:티씨케이.png
티씨케이
1조 6,450억원
37 파일:오스코텍.jpg
오스코텍
1조 6,392억원
38 파일:CJ ENM_CI_COLOR.svg파일:CJ ENM CI WHITE.png
CJ ENM
1조 6,381억원
39 파일:신성델타테크.png
신성델타테크
1조 6.216억원
40 파일:엘앤씨바이오.png
엘앤씨바이오
1조 5,928억원
41 파일:네이처셀 로고.png
네이처셀
1조 5,626억원
42 파일:(주)ISC_로고.svg
ISC
1조 4,965억원
43 파일:BHI CI.png
비에이치아이
1조 4,869억원
44 파일:주성엔지니어링_로고.svg
주성엔지니어링
1조 4,062억원
45 파일:스튜디오드래곤 로고.svg
스튜디오드래곤
1조 3,962억원
46 파일:로보티즈 로고.svg파일:로보티즈 로고 화이트.svg
로보티즈
1조 3,683억원
47 파일:씨젠 로고.svg
씨젠
1조 3,605억원
48 파일:카카오게임즈 로고.svg
카카오게임즈
1조 3,474억원
49 파일:유진테크.png
유진테크
1조 3,245억원
50 파일:HK이노엔 로고.svg
HK이노엔
1조 3,088억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상위 50위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상위 15위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 상위 25위 · [[유럽연합|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연합 상위 30위 ·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위스 상위 10위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상위 25위 ·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대만 상위 10위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코스피 상위 50위 · 코스닥 상위 50위
}}}}}}}}}


[1] 모체 기업인 '현기획'은 1996년 3월에 설립되었다.[2] JYP도 2018년 신사옥으로 이사가면서 뷔페형 구내식당을 처음으로 도입했다.[3] 구사옥도 지상 7층 높이로 절대 작은 건물이 아니지만 신사옥이 지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왜소한 건물이 되었다.[4] 참고로 TREASURETHE FIRST STEP : CHAPTER THREE의 수록곡 '음 (MMM)'의 뮤직비디오의 일부 장면과 WINNERHOLIDAY 콘셉트 티저가 신사옥 내부에서 촬영되었다.[5] 2024년 6월 한남동에 있는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6] 당시 사명은 현 YG의 모체인 "현기획".[7] 사명의 경우, 의 패션 브랜드 'Majah Flavah'와 같은 로고 디자인을 사용하였으며, 지누션의 1집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8] 지금도 Mnet에서 당시 발표된 곡들의 M/V를 상영하면 옛 사명들을 찾아볼 수 있다.[9] SM엔터테인먼트도 Red Velvetaespa 간의 간격은 6년, aespa와 Hearts2Hearts 사이의 간격은 5년이이고, EXONCT 사이의 간격이 4년, NCT와 RIIZE 사이의 간격이 7년인데, YG는 이보다 더 길다는 뜻이다.[10] 실제로 HYBE 소속 아이돌에 대한 멸칭이 공장형 아이돌(...)이다. 말 그대로 찍어내듯이 나온다는 뜻, 왜냐면 HYBE는 보이그룹끼리든 걸그룹끼리든 간격이 1~2년 정도로 비교적 짧으며, 2021년~2023년엔 계획만 맞았으면 1년에 걸그룹 한 개씩 나올 뻔 했었을 정도(실제로는 2022년에 NewJeansLE SSERAFIM을 불과 2개월 차로 데뷔시켰고, 모종의 사정으로 CJ ENM과의 합작이 엎어지고 JTBC와 손잡고 알유넥스트를 2023년에 기획해서 ILLIT을 2024년에 데뷔시켰으며, 한편 CJ ENM은 위에 언급된 THE BLACK LABEL과 손잡고 izna를 만들었다.)로 간격이 짧은 편이기 때문이다.[11] YGX는 2020년 부서재정비를 기점으로 안무가 레이블로 전향하여 소속 댄서 외에 더이상 소속 아티스트와 프로듀서가 존재하지 않는다.[12] 이 때문에 한동안 YG엔터테인먼트를 나가 일반인으로 살고 있다 추정되었으나, 강욱진의 인터뷰를 통해 여전히 근무 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13] WIN: Who is Next?에서 그 당시 실력이 참담했던 이승훈을 어떻게 가르쳐야될지 고뇌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후 2023년에는 BABYMONSTERLast Evaluation에도 출연하였다.[14] 함승천이 강욱진을 영입했다고 한다.[15] 프로듀서 로빈의 인터뷰에 따르면 인하우스 프로듀서에게 YG엔터테인먼트는 거의 천국이라고 한다. 다만 엄청난 경쟁을 뚫고 들어와서 다시 엄청난 경쟁을 뚫어서 트랙을 수면 위에 올리는게 문제일뿐... DJ 투컷의 말에 따르면 데드라인이 없는 것을 넘어서서 뭐든 간에 완성된 걸 들고 오지 못하면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고 한다.[16] THEBLACKLABEL이 2020년을 기점으로 독립하였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TEDDYKUSH는 YG엔터테인먼트 소속이 아니다.[17] 미국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다 TEDDY와의 인연으로 영입되었다.[18] 2015년, 최필강 (PK)박한범 (DEE.P)이 힘을 합쳐 만든 작곡오징어으로, iKONWELCOME BACK에 참여하며 데뷔하였다.[19] 번외로 HAPPY FACE라는 팀이 있었는데, 최필강 (PK)이 FUTURE BOUNCE라는 팀을 만들기 전에 BIGTONE과 결성했던 그룹이다.[20] BLACKPINKTHEBLACKLABEL에서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TREASURE의 경우에는 YG PRODUCER들이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있다.[21] TREASURE의 경우 멤버들이 프로듀싱 능력을 갖추고는 있지만 아직 메인 프로듀서는 YG PRODUCER가 맡고 있으며, iKON의 경우 B.I 탈퇴 이후로 YG PRODUCER들이 메인 프로듀서를 맡았었다.[22] 현재도 YG는 본인들이 직접 가사를 작사하도록 하고 있다.[23] G-DRAGON은 말할 것도 없고, 강승윤이 메인 프로듀서로 작업한 REALLY REALLYEVERYDAY, MILLIONS, B.I가 메인으로 작업한 사랑을 했다공허해, 취향저격이 있다.[24]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가 산하 레이블이였던 THEBLACKLABEL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블랙 뮤직을 추종하는 레이블"이다.[25] 정확히는 BIGBANG거짓말, 마지막 인사 등으로 활동할 시절까지이다.[26] AKMU의 경우 다양한 장르를 소화해내기 때문에 한 단어로 정의하기가 어렵다.[27] 다만 TREASURE의 경우 최근 들어 기존의 전통적인 YG 스타일의 음악을 발매하고 있다.[28] 스타일을 정확히 정의하기 보다는, 각 팀의 프로듀서들의 음악적 스타일이 나타난다고 보면 편할 것 같다. BIGBANGG-DRAGON, WINNER강승윤, AKMU이찬혁의 스타일이 나타난다. 그 외 BLACKPINKTEDDY, TREASURECHOICE37FUTURE BOUNCE가 프로듀싱을 맡고 있다.[29] 이러한 특징은 YG엔터테인먼트의 장단점에서 모두 언급되는데, 그만큼 회사 고유의 정체성과 스타일이 확고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반대로 YG가 하는 음악들이 대체로 정형화되었고 비슷하다라는 의견도 존재하는 편이다.[30] 2NE1, SE7EN, 1TYM 등.[31] BIGBANG, 2NE1, WINNER, TREASURE, BABYMONSTER 등. 그렇지만 iKON에서는 "i"를 소문자로 사용한다.[32] 장기하와 얼굴들하하가 YG 구내식당에서 밥 먹고 간 방송분이 전파를 탄 후, 소속사 두루두루AMC에서 공식 페이스북에 "우리는 소속가수를 굶기지 않습니다"라고 올리기도 했다(...).[33] 다만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YG를 검색하면 동명의 래퍼 사진이 먼저 나온다.[34] 이하이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면서 데뷔했다.[35] 일반적인 보이그룹의 경우, 거대 팬덤의 스트리밍으로 차트 상위권에 진출하는 반면에 위너는 대중픽으로 달성하는 기록이다. 인터넷을 돌아다녀봐도 "다른 남자 아이돌 노래는 안 듣는데 위너 노래는 듣는다"는 말이 많이 있다.[36] 다만 전성기 시절, YG 아티스트가 나오기만 하면 차트 1위를 하던 모습에 비해 입지가 줄어들기는 했다.[37] 이는 전적으로 YG에 책임이 있는데, 국내에서 데뷔하여 탑을 찍고 바로 수납해버리거나 일본 활동만 주구장창시켜 팬덤 형성을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이다.[38] 위너는 국내에서 주로 활동하며 대중픽이 높기 때문에 앨범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낮다.[39] 10위 권 내에 유일한 걸그룹이다.[40] 하이브에 경우 2020년에 와서야 증권시장에 상장을 했기 때문에 앞으로의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41] 문제는 이것이 현재 진행형이라는 것이다.[42] 2025년 기준 BABYMONSTER의 투어 순항과 BLACKPINK의 3년만에 완전체 복귀로 나름대로 반등하며 1조 이상의 시총을 유지하고 있긴 하다. 물론 여전히 4대 기획사 중 꼴지인 것은 사실이지만[43] 알려진 바에 따르면 YG가 회사 내에서 외국인 멤버들이 외국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고 한다. 그러나 발음의 경우 본인들이 엄청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44] 물론 그 전 3세대에서 BLACKPINK리사가 YG 외국인 래퍼의 원조이다.[45] 보이그룹 한정 반 정도 깨진 전통이지만, 보이그룹 나머지 반+걸그룹 전체는 전부 최연장자가 리더를 맡는다(프로젝트 그룹 제외). 슈퍼주니어는 10일 차이로 생일이 빠른 이특이 리더를 맡은 걸로 유명하고, 이는 외국인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f(x)는 중국인 멤버인 빅토리아가 리더를 맡았다.[46] JYP에서 데뷔한 원더걸스는 연습생 기간이 긴(6년) 선예를 중심으로 기획하여 자연스레 선예가 리더를 맡았고, 2am도 연습생 기간을 8년 거친 조권이, 트와이스도 10년을 연습생으로 보낸 지효가 리더를 맡은 걸로 유명하다. Stray kids도 7년차 연습생이었던 방찬이 중심이 되어, 그가 중심으로 결성한 팀을 데뷔시켜 리더가 되었다.[47] 연습생 기간 외에는 최연장자와 한국인 멤버를 우선으로 리더로 하는 편. 모든 게 겹치는 경우도 있다. 최연장자, 한국인 멤버(한국계 포함) 순으로 기준을 두고 리더인 팀이 원더걸스, 2PM, GOT7, Stray kids, ITZY 등.[48] 데뷔 시점 인원 수와 리더의 순서를 기준으로 BIGBANG - G-DRAGON : 5인조에서 3번째 / 2NE1 - CL : 4인조에서 3번째 / WINNER - 강승윤 : 5인조에서 4번째. 데뷔 서바이벌 WIN 당시 송민호가 리더를 맡았는데, 서바이벌 도중 발목 부상으로 인해 리더가 교체되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송민호는 데뷔 당시 5인조 팀에서 3번째. / iKON - (구)B.I : 7인조에서 4번째. / TREASURE - 최현석, 지훈 : 12인조에서 1, 2번째. AKMU는 남매이다보니 이찬혁이 오빠로서 역할을 하는 게 자연스럽게 리더 역할이 된 케이스이고 BLACKPINK는 공식 리더가 없다. WINNER 외의 그룹 리더는 다 래퍼 포지션이고, WINNER도 데뷔 전 메인래퍼인 송민호가 리더를 맡았던 걸 보면 런칭한 아이돌 그룹 전부 래퍼를 리더로 둘 예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49] 그냥 던진 말일 가능성이 커보인다. 애초에 현지화 그룹의 멤버로 예정됐던 아사가 BABYMONSTER로 데뷔했으니.[50] 다만 동남아 팬덤들의 경우 그저 자국에서 K팝 아이돌이 배출됐다는 국뽕을 바탕으로 다른 멤버들을 배척하고 자국 및 자대륙 출신 멤버들만 일방적으로 응원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한국 팬덤에서는 이들을 악개로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며, 막대한 인구와는 대조적으로 K팝을 소비하는 다른 해외 국가들과 비교해 평균 GDP가 낮아 투자 대비 이율이 좋지 못해 YG가 동남아 시장을 노리는 행보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