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17:32:32

펩트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5년 9월 15일 기준 한국거래소 집계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시가총액
1 파일:알테오젠.jpg
알테오젠
26조 2,780억원
2 파일:에코프로비엠 국문 로고.svg
에코프로비엠
11조 8,340억원
3 파일:펩트론.jpg
펩트론
7조 940억원
4 파일:에코프로 로고.svg
에코프로
6조 7,209억원
5 파일:파마리서치.png
파마리서치
6조 5,039억원
6 파일:레인보우로보틱스 CI.svg
레인보우로보틱스
5조 8,006억원
7 파일:에이비엘바이오.jpg
에이비엘바이오
5조 6,867억원
8 파일: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_로고.svg
리가켐바이오
5조 6,233억원
9 파일:HLB_로고.svg
HLB
5조 801억원
10 파일:삼천당제약 로고.jpg
삼천당제약
4조 9.026억원
11 파일:코오롱티슈진.svg
코오롱티슈진
4조 215억원
12 파일:휴젤 CI.svg
휴젤
4조 111억원
13 파일:리노공업 로고.jpg
리노공업
3조 8,182억원
14 파일:image_readtop_2015_1008895_14454894412185403.jpg
케어젠
3조 6,956억원
15 파일:CLASSYS.svg
클래시스
3조 6,290억원
16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에스엠
3조 2,419억원
17 파일:VORONOI_로고.png
보로노이
3조 107억원
18 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 블루.svg
JYP Ent.
2조 7,040억원
19 파일:eotech.jpg
이오테크닉스
2조 6,980억원
20 파일:실리콘투_로고.svg
실리콘투
2조 5,600억원
21 파일:hpsp.jpg
HPSP
2조 5,425억원
22 파일:셀트리온제약 로고.svg
셀트리온제약
2조 3,761억원
23 파일:원익IPS 로고.svg
원익IPS
2조 2,088억원
24 파일:Pearlabyss_청색.png파일:Pearlabyss_흰색_글씨.png
펄어비스
2조 1,876억원
25 파일:젬백스앤카엘_로고.png
젬백스
2조 719억원
26 파일:솔브레인 CI.svg
솔브레인
2조 263억원
27 파일:에스티팜_로고.svg
에스티팜
1조 9,206억원
28 파일:동진쎄미켐 CI.svg
동진쎄미켐
1조 9,126억원
29 파일:테크윙.png
테크윙
1조 9,125억원
30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조 8,242억원
31 파일:올릭스 로고.png
올릭스
1조 8,237억원
32 파일:파크시스템스.png
파크시스템스
1조 8,188억원
33 파일:(주)디앤디파마텍_로고.svg
디앤디파마텍
1조 7,800억원
34 파일:메지온.jpg
메지온
1조 7,376억원
35 파일:엔켐 로고.svg
엔켐
1조 7,293억원
36 파일:티씨케이.png
티씨케이
1조 6,450억원
37 파일:오스코텍.jpg
오스코텍
1조 6,392억원
38 파일:CJ ENM_CI_COLOR.svg파일:CJ ENM CI WHITE.png
CJ ENM
1조 6,381억원
39 파일:신성델타테크.png
신성델타테크
1조 6.216억원
40 파일:엘앤씨바이오.png
엘앤씨바이오
1조 5,928억원
41 파일:네이처셀 로고.png
네이처셀
1조 5,626억원
42 파일:(주)ISC_로고.svg
ISC
1조 4,965억원
43 파일:BHI CI.png
비에이치아이
1조 4,869억원
44 파일:주성엔지니어링_로고.svg
주성엔지니어링
1조 4,062억원
45 파일:스튜디오드래곤 로고.svg
스튜디오드래곤
1조 3,962억원
46 파일:로보티즈 로고.svg파일:로보티즈 로고 화이트.svg
로보티즈
1조 3,683억원
47 파일:씨젠 로고.svg
씨젠
1조 3,605억원
48 파일:카카오게임즈 로고.svg
카카오게임즈
1조 3,474억원
49 파일:유진테크.png
유진테크
1조 3,245억원
50 파일:HK이노엔 로고.svg
HK이노엔
1조 3,088억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상위 50위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상위 15위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 상위 25위 · [[유럽연합|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연합 상위 30위 ·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위스 상위 10위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상위 25위 ·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대만 상위 10위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코스피 상위 50위 · 코스닥 상위 50위
}}}}}}}}}

펩트론(주)
CLASSYS Inc.
파일:펩트론.jpg
<colbgcolor=#00a0e9><colcolor=#fff> 기업명 펩트론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대표 최호일
설립 1997년 11월 21일
업종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기업 분류 중소기업,벤처기업
종업원수 120명
상장 여부 상장
상장 시장 코스닥
종목 코드 087010
대주주 최호일최대주주본인
시가총액 2조 1434억원
매출액 33억원 (2023년도)
영업이익 -159억원(2023년도)
순이익 -159억원
자산총액 525억원
부채총액 164억원
자본총액 361억원
홈페이지 http://www.peptron.co.kr/
본사 대전시 유성구 유성대로 1628번길 37-24
1. 개요2. 상세3. 비만관련주로 인한 주가상승

1. 개요

펩타이드(peptide) 공학 및 약효지속화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약효지속성 스마트 의약품의 설계 및 제조, 펩타이드 신약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약효지속성 의약품 플랫폼 기술의 구현이 가능한 GMP 대량생산 시설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여 임상시험 및 상업화 제품의 생산 능력까지 확보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혁신신약과 약효지속화 기술이 융합된 우수한 의약품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회사이다.

2. 상세

약효지속성 의약품의 개발과 함께 연구용 펩타이드 소재도 생산하고 있으며, 해당 판매액을 제품매출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고순도 '히알우로니다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임산부의 부종을 조기억제)을 판매하는 의약품 도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해당 판매액을 상품매출로 인식하고 있다.

3. 비만관련주로 인한 주가상승

펩트론은 자사의 스마트데포(SmartDepot) 기술을 적용한 비만·당뇨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은 주 1회 투여하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1개월 이상의 약효를 기대할 수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 펩트론은 최근 미국 당뇨병학회(ADA)에서 당뇨 및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기술수출 계약의 텀시트를 수령하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펩트론은 비만 치료제 외에도 약효 지속성 의약품 생산을 대폭 확대하기 위해 충북 청주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에 신공장을 건립 중이다. 이를 통해 펩트론은 연간 최대 1000만 바이알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