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3:33:38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롤드컵 2024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black>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대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10602, #220401, #120200)"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1회 2회 3회 4회 5회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2011
스웨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12
미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13
미국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4
대만 · 싱가포르 · 대한민국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
2015
유럽
6회 7회 8회 9회 10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16
미국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17
중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18
대한민국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
2019
유럽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2020
중국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2021
아이슬란드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22
멕시코 · 미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3
대한민국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
2024
유럽
[[|
파일:국기.svg
]]
2025
미정
}}}}}}}}}}}}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우승 팀
T1 파일:로고.svg
미정
미정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최우제
(T1 Zeus)
미정
(미정)
미정
(미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로고 (임시).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로고 (임시,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대회 기간 2024년 9월 25일 ~ 11월 2일
주최 라이엇 게임즈
주관
개최지
[[유럽|]][[틀:국기|]][[틀:국기|]]
조 추첨식 2024년 -월 -일
참가팀 20팀
패치 버전 14.18
경기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경기장
플레이-인 스테이지 & 스위스 스테이지

[[독일|]][[틀:국기|]][[틀:국기|]] 베를린 라이엇 게임즈 아레나
8강 & 4강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파리 아디다스 아레나[1]
결승

[[영국|]][[틀:국기|]][[틀:국기|]] 런던 O2 아레나
}}}}}}}}}
1. 개요2. 대표 선발전3. 참가팀4. 일정5. 대회 진행6. 결과 및 총평7. 글로벌 파트너8. 공식 영상9. 기념 스킨10. 파워 랭킹11. 개최 전 정보
11.1. VCS의 참가 여부 관련
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24년에 개최되는 제14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 대표 선발전

3. 참가팀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팀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 LPL 파일:lec 심볼.svg LEC 파일:LCS 심볼_Black.svg LCS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 LPL 파일:PCS_white.png PCS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VCS_2023_icon.png VCS 파일:LLA_2020.png LLA 파일:CBLOL_white_2021.png CBLOL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 리그별 진출 현황 #===
  • LCK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LCK 진출팀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rowcolor=black><nopad>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레드.svg MSI 우승 <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 5월 16일, 2024 MSI 상위권 3라운드에서 Gen.GBLG에게 승리를 거두며 결승에 진출, LCK는 네 개의 시드권을 확보하였다.
  • 5월 19일, 2024 MSI 결승전에서 Gen.GBLG에게 승리를 거두며 우승, 월즈 진출권을 확보하였다. 해당 진출권은 젠지가 2024 LCK 서머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것이 확정되는 즉시 효력이 발생한다.
  • 0월 0일, LCK의 2024 서머 0주차 00경기에서 미정미정에게 승리를 거두어 MSI 챔피언인 Gen.G가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으며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2]
  • 0월 0일, LCK의 2024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CK의 2024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CK의 202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PL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LPL 진출팀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rowcolor=black><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nopad> 4시드
  • 5월 17일, 2024 MSI 하위권 3라운드에서 T1G2에게 승리를 거두며 LPL은 네 개의 시드권을 확보하였다.
  • 0월 0일, LPL의 2024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PL의 2024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PL의 202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PL의 202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EC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LEC 진출팀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rowcolor=black><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 0월 0일, LEC의 2024 시즌 파이널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EC의 2024 시즌 파이널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EC의 2024 시즌 파이널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LCS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LCS 진출팀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파일:로고.svg
<rowcolor=black><nopad> 1시드 <nopad> 2시드 <nopad> 3시드
  • 0월 0일, LCS의 2024 챔피언십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CS의 2024 챔피언십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 0월 0일, LCS의 2024 챔피언십에서 미정이 전 세계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과 번째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을 확정지었다.

4. 일정

5. 대회 진행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Worlds
패치 버전 14.xx
글로벌 밴 -
{{{#!folding [ 플레이-인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fff,#1c1d1f>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플레이-인 스테이지 대진표
{{{#!wiki style="margin: -10px -5px"<tablealign=center><table bgcolor=white,#1f2023><rowcolor=white>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rowcolor=white>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30px -5px -10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M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0
M2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20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M5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tablealign=center><table bgcolor=white,#1f2023><rowcolor=white>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rowcolor=white>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30px -5px -10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M3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0
M4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20px -5px"<rowcolor=white>
<colbgcolor=#f5f5f5,#282828>
M6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파란색: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
}}} ||
{{{#!folding [ 스위스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00>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스위스 스테이지
대진표 (0-0 | 1-0 | 0-1 | 2-0 | 1-1 | 0-2 | 2-1 | 1-2 | 2-2)
}}} ||
<rowcolor=white>
1라운드 (10/3)
2라운드 (10/4)
3라운드 (10/5-7)
4라운드 (10/10-12)
5라운드 (10/13)
0-0 (Bo1, 10/3)
1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2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3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4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5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6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7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8경기
파일:TBD_LOL.png 0 0 파일:TBD_LOL.png

초록색: 승리 | 파란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wiki style="margin: -10px -5px"
8강 1경기 (10/17)
8.11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8.12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4강 1경기 (10/26)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결승 (11/2)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8강 2경기 (10/18)
8.21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8.22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8강 3경기 (10/19)
8.31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8.31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4강 2경기 (10/27)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BD_LOL.png
0
파일:TBD_LOL.pn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8강 4경기 (10/20)
8.41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8.42
3승 n패
파일:TBD_LOL.png
0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월드 챔피언십 우승

6. 결과 및 총평

7. 글로벌 파트너

8. 공식 영상

9. 기념 스킨

10. 파워 랭킹

11. 개최 전 정보

  • 2023년 11월 27일, LJLPCS로 합병되며, 총 진출 지역수는 8개 지역으로 축소되었다.[3]
  • 2024년 1월 5일, 추가 정보들이 발표되었는데 플레이-인 스테이지와 스위스 스테이지는 독일 베를린의 라이엇 게임즈 아레나에서, 8강과 4강은 프랑스 파리의 아디다스 아레나에서 개최되며 아울러, 월즈에 참여하는 팀은 20팀으로 정해졌으며 진출권은 메이저 리그[4]에게 각각 3장씩, PCS, VCS에게 각각 2장씩, LLA, CBLOL에게 각각 1장씩 부여한다. 그리고 2024 MSI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낸 두 리그[5]에 한정해 티켓이 한 장씩 추가 제공된다. 특히 MSI 우승팀인 젠지의 경우, 서머 플레이오프만 진출하면 자동으로 월즈 진출이 확정된다.[6] 월즈와 MSI의 연관성을 높일 계기가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
  • 상술한 MSI 우승 혜택으로 인해 이번 월즈에서는 첫 진출 확정 팀이 정규시즌에서 결정될 수 있다.[7] LCK를 기준으로 하면 빠르면 7주차부터 진출이 확정되기 때문에 MSI 우승 시드를 가진 팀 입장에서는 조금 넉넉한 마음가짐으로 시드 결정전과 월즈 준비를 할 수 있을 전망이다.

11.1. VCS의 참가 여부 관련

2024 VCS Spring Season에서 8팀 전원에 승부조작 선수들이 발견되어서 리그가 중단되는 파행이 일어났다. 이후 플레이오프 규모 축소를 거쳐 GAM이 우승했고, 아직 조사 단계 중이라 MSI 2024에는 정상적으로 참가했지만, 승부조작 연루팀의 국제대회 참가에 대해 많은 비판을 받았다. 허나 하술할 문제 때문에 VCS의 월즈 참가권을 박탈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 베트남 리그의 흥행: VCS의 뷰어쉽은 굉장히 높다. 흥행을 중시하는 라이엇 입장에서 베트남 시드를 박탈할 이유는 전혀 없다.
  • 티켓 재분배 시: LCK, LPL 5시드는 형평성 문제 때문에 당연히 가능성이 없고, 그나마 LEC와 LCS에게 1장씩 부여되는 게 가장 가능성 있는데 그마저도 역대 4시드의 처참한 폼과 LCS의 8팀 축소 때문에 막상 그렇게 주기도 어려운 상황.
  • 티켓 소멸 시: VCS 티켓 2장을 소멸시킬 시 가뜩이나 리그 축소로 플인 참가팀이 적은 상황에 더 줄어들어서 고작 6팀(LCK 4시드, LPL 4시드, PCS 1-2시드, CBLOL, LLA)으로 크게 줄어든다. 흥행도 안 되고 경기 편성도 안 된다.

아직 VCS의 월즈 티켓에 관해 라이엇이 명확히 밝힌 것은 없다. 다만 상술한 이유로 연루 선수만 제명하고 팀은 큰 문제가 없다면 정상적으로 티켓을 보존할 가능성이 높다.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 (화이트).svg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 화이트.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시즌 킥오프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월드 챔피언십
2023 202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지역 리그
}}}}}}}}} ||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2024 시즌
국제 대회
파일:Mid-Season_Invitational_2024.webp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
2024 MSI 2024 Worlds
지역 대회
파일:LCK 로고.svg 파일:LPL_2020.png 파일:LEC.png 파일:LCS_2024.webp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윈터 스프링 서머 지역 결승 스프링 서머
파일:PCS Square.png 파일:VCS_2023_icon.png 파일:LLA 2020.png 파일:CBLOL_2021.png
스프링 서머 스프링 서머 오프닝 클로징 스플릿 1 스플릿 2
기타 국제 대회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로고.svg 파일:EsportsChampionshipsEastAsia_black.png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
2024 ASCI 2024 ECEA EWC 2024 }}}
기타 지역 대회
파일:EMEA_Masters_2023.webp 파일:LJL_2020_logo.png 파일:LCO로고.png 파일:80px-TCL_2023_lightmode.png
스프링 서머 스프링 서머 스플릿 1 스플릿 2 윈터 서머


[1] 2024 파리 올림픽 배드민턴, 리듬체조 경기장.[2] 젠지가 월즈 1, 2시드를 차지한 경우 그대로 1, 2시드 자격으로 월즈에 진출한다. 그렇지 못하여 선발전에 진출한 경우 젠지는 시드 결정전에 직행하고,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에 따라 선발전에 진출한 다른 세 팀이 계단식 토너먼트 방식으로 먼저 진행한 뒤, 살아남은 한 팀과 시드 결정전에서 3, 4시드를 결정한다.[3] LCK, LPL, LEC, LCS, PCS, VCS, CBLOL, LLA[4] LEC, LCS, LCK, LPL[5] 먼저 상위권 결승 진출전에서 젠지가 BLG를 잡고 결승에 선착하면서 최소 2위를 확보함에 따라 LCK가 4번 시드를 확보했으며, 하위권 3라운드에서 T1이 G2를 잡으면서 결승 진출전에 LCK와 LPL만 생존함에 따라 LPL 역시 4번 시드를 확보하게 되었다.[6] LEC의 경우에는 지역 결승(Season Finals, 시즌 파이널)에 진출하면 자동으로 월즈에 진출한다.[7] 참가팀들 중 유일하게 LEC 윈터, 스프링을 우승해 시즌 파이널 진출이 이미 확정된 G2가 만약 MSI를 우승한다면, 정규시즌까지 갈 필요도 없이 MSI를 우승하는 즉시 월즈 진출이 결정되었지만, G2가 T1에게 패배해 탈락하면서 MSI에서 월즈 진출팀이 확정되는 경우의 수는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