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344ebf><colcolor=#ffffff> 디즈니 스피드스톰 Disney Speedstorm | |
| | |
| 개발 | 게임로프트 |
| 유통 | |
| 플랫폼 | PlayStation 4[1] | Xbox One[2] | PlayStation 5 | Xbox Series X|S | 닌텐도 스위치 | Microsoft Windows | iOS | Android 크로스 플레이 지원 |
| ESD | PC: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콘솔: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닌텐도 e숍 모바일: iOS | Android |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시뮬레이션, 캐주얼, RPG |
| 출시 | 2023년 4월 18일 앞서 해보기(유로 패키지 구매 필요) 2023년 9월 28일 정식 출시(무료) |
| 한국어 지원 | 지원 (더빙 미지원) |
| 엔진 | |
| 심의 등급 | |
| 관련 사이트 | |
1. 개요
아스팔트 시리즈로 유명한 게임로프트에서 제작한 디즈니 IP의 배틀 레이싱 게임. 2025년 10월 기준, 30개의 디즈니 애니메이션 작품 출신 108명의 레이서 캐릭터와 22개의 서킷이 있다. 하나의 맵에서 여러가지 5~7개의 바리에이션 서킷이 존재하므로 대략 160개 이상의 서킷이 있다.캐릭터를 성장시켜 스펙을 올릴 수 있지만, 캐릭터마다 레벨과 랭크가 각각 독립되어있고 온라인 대전은 이 레벨과 랭크를 기반으로 매칭된다.
2023년 4월 18일, 다운로드 전용 소프트웨어로 발매되었다. 이 당시에는 유료 패키지를 구매해야지 접속 할 수 있는 얼리액세스 게임이였고, 9월 28일에 무료로 정식 출시되었다. 2024년 7월 11일에 모바일용로도 출시되었고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한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 시스템 요구 사항 |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 <colbgcolor=#344ebf><colcolor=#fff> 운영체제 | Windows 10 64-bit or newer | |
| 프로세서 | Intel Core i5-4460 AMD Ryzen 3 1300X | Intel Core i7-7700 AMD Ryzen 5 3600X |
| 메모리 | 8 GB RAM | 16 GB RAM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960 / GTX 1650 AMD Radeon R7 370 4 GB of VRAM | NVIDIA GeForce GTX 1080 AMD Radeon RX 5700 XT |
| API | DirectX 12 | |
| 저장 공간 | 20 GB | 40 GB SSD |
3. 트레일러
4. 게임 시스템
4.1. 레이서(플레이어블 캐릭터)
레이서는 다음 타입으로 나뉘며, 타입에 따라 기본 스탯이 조금 차이가 나게 된다. 레이서 레벨 20달성시 2성 레이서로 업그레이드 되며 고유 스킬이 해금된다.
- 스피드스터
- 디펜더
- 트릭스터
- 브롤러
2025년 10월 기준 108명의 레이서가 출시되었다.
4.2. 크루(업그레이드 퍽)
4.3. 맵
- 성 - 미녀와 야수(애니메이션) 테마 서킷
- 메인 홀
- 웨스트 윙
- 타임 포 티
- 이스트 윙
- 해적의 삶-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 테마 서킷
- 파일럿 베이
- 스컬 코브
- 코르사르 레이어
- 크라켄 포트
- 토르투가 트레저 런
- 인어의 동굴
- 난파선 슬라럼
- 포트 로얄 추격전
- 아그라바 - 알라딘(애니메이션) 테마 서킷
- 아그라바 서킷
- 궁전 레이스
- 미라지 챌린지
- 퍼레이드 루트
- 골든 루트
- 술탄의 서킷
- 동굴 레이스
- 매직 램프 서킷
- 실버 스크린 - 증기선 윌리 테마 서킷
- 빅 스크린스타트 오브 더 쇼
- 모노크롬 바운스
- 더 마인
- 세이프티 넷
- 마운트 올림푸스 - 헤라클레스(애니메이션) 테마 서킷
- 제우스 서킷
- 아테네 서킷
- 데메테르 서킷
- 아레스 서킷
- 헤르메스 서킷
- 헤라 서킷
- 아르테미스 서킷
- 아폴로 서킷
- 만리장성 - 뮬란 테마 서킷
- 지그재그
- 스톤 밴드
- 블록 스프린트
- 젠 가든
- 리턴 투 더 빌리지
- 아미 캠프
- 공장 - 몬스터 주식회사 테마 서킷
- 툰 빌리지 - 미키와 친구들 테마 서킷
- 앤디의 방 - 토이 스토리 시리즈 테마 서킷
- 아렌델 - 겨울왕국 시리즈 테마 서킷
- 알비의 아레나 - 스피드스톰 오리지날 테마 서킷
- 카우아이 - 릴로 & 스티치 시리즈 테마 서킷
- 알비의 쇼트 서킷 - 스피드스톰 오리지날 테마 서킷
- 아틀란티카 - 인어공주(애니메이션) 테마 서킷
- 캔디 왕국 - 주먹왕 랄프 테마 서킷
- 악몽 축제 -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 테마 서킷
- 라일리의 마음속 - 인사이드 아웃 시리즈 테마 서킷
- 인크레더블 쇼다운 - 인크레더블 테마 서킷
- 포탈 - 트론 테마 서킷
- 샌프란소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 빅 히어로 시리즈 테마 서킷
- 나만의 세상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애니메이션) 테마 서킷
5. 평가
5.1. 출시 초기
한국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출시 시기가 비슷해 한때 라이벌로 주목을 받기도 했지만 출시 초반 평가는 둘 다 사이좋게 망해버렸다. 그러나 카드립이 서비스 종료를 해버리면서 이쪽이 판정승인 상황.디즈니 IP의 탈을 쓴 아스팔트라는 평가. 게임로프트의 강점인 그래픽 수준과 최적화는 괜찮은 편이지만 아스팔트 시리즈의 현질 유도까지 그대로 가져와버렸다. 모바일과 크로스플레이를 위해 모바일 게임에 가까운 UI로 설계되었다. 그 결과 PC게임 기준으로는 상당히 난잡한 상점과 패스 구성을 보여준다.
캐릭터별로 레벨과 랭크가 있으며 캐릭터를 막 해금한 낮은 레벨에서는 주행 속도가 시속 100km 초중반대로 주행감이 바닥을 친다. 캐릭터 레벨 20~30정도는 찍고 달려봐야 본격적인 레이싱 게임인 느낌. 50레벨이 난무하는 고랭크 매칭에서는 아스팔트 시리즈처럼 극한의 속도와 비현실적이고 만화적인 캐주얼 레이싱이라는 특징이 살아난다.
게임성 자체는 캐릭터와 코스 등 여러 요소에 기믹들을 눌러담아 경쟁작이라 할 수 있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아이템전보다는 평가가 좋았으나, 출시 초기 기준 유료 게임에다가 캐릭터수와 맵이 적은 편이라 초반부터 게이머들이 대거 빠져나갔고, 리뷰어들 또한 잠재적 경쟁작인 마리오카트보다 나은 게 없는 열화판이라는 반응이 대다수였다.
5.2. 무료 정식 출시 이후
IP깡패 디즈니게임답게 신규 유저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지만, 대부분 대부분 콘솔과 모바일등 라이트 게이머 유저들이 많다.약 2개월마다 시즌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는데, 각 시즌마다 디즈니 작품 한개가 업데이트 되므로 2025년 10월 기준 무려 16개 작품의 테마와 캐릭터가 출시되었다.
딱히 현질을 하지 않고 무료플레이만 해도 일주일정도 플레이시 캐릭 20~30개는 해금할 수 있다. 하지만 레이서를 포함한 거의 모든 아이템이 상자깡 방식이라 원하는 레이서나 아이템을 얻는 걷은 거의 불가능하다. 원하는 레이서나 아이템을 즉시 얻고 키우려면 상당한 액수의 현질로 밀어야 한다. 비즈니스 모델이 기본적으로 모바일게임이라 수많은 현질 요소와 패스들이 존재해 처음 게임 상점에 들어가면 정신이 없을 수 있다.
[1] PS4 Pro Enhanced[2] Xbox One X Enhanced[3] 원문은 Celia Mae로 영화 한국어판에선 실리아 메이로 표기된다.[4] 원문은 Zuse로 영화에서 한국어 표기는 '주스'[5] 게임 내 표기가 혼재되어 있다.[6] 게임 내 표기가 혼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