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2:27:09

동경이

동경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 공인 품종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진돗개 · 삽살개 · 동경이 · 풍산개
비공인 품종 제주개 · 불개 · 발바리 · 오수개 · 코리안 마스티프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colbgcolor=#315288> 경주개 동경이
慶州개 東京이
Donggyeongi Dog of Gyeongju
파일:동경이.jpg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용명공단길 138-14 (건천읍)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특수성
수량/면적 200두
지정연도 2012년 11월 6일
소유단체 (사)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
관리단체 경주시 }}}

1. 개요2. 특징3. 역사4. 천연기념물 540호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견종. 천연기념물 540호로 지정되어 있는 대한민국의 4번째 토종견이다. 경상북도 경주 지역에서 예부터 많이 길러온 한국의 토종 견종으로, 현지 방언으로는 댕댕이 혹은 댕견이라고도 불린다. 영어로는 Donggyeongi Dog라고 한다.

'동경이'라는 이름은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동경이의 원산지인 경상북도 경주시고려시대에는 동경[1]이라 불렀다. 아마도 현재의 명칭은 여기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경상도에서는 '댕갱이', 전라도에서는 '동개', 강원·경기도에서는 '동동개' 등으로 불린다.

2. 특징

외형상 진돗개와 매우 비슷한데 선천적으로 꼬리가 퇴화되어 몽똑하거나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을 영어로는 밥테일(bobtail)이라고 한다. 웰시 코기처럼 단미(斷尾, 꼬리 자르기)를 하여 후천적으로 꼬리가 짧은 견종도 있지만[2] 동경이는 선천적으로 밥테일인데, 만약 동경이가 국제견종으로 인정받는다면 밥테일이라는 특징 하나만으로도 외국에서 이 견종을 특별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나타날 수 있다.

수컷 기준 체고(어깨높이) 47~49 cm, 몸무게 16~18 kg 정도[3]의 중형견으로 진돗개풍산개보다 더 작은 편이다. 빛깔은 황색(황구)ㆍ흰색(백구)ㆍ검은색(흑구)ㆍ호랑이무늬(호구) 등 4가지를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은 둥글고 눈썹이 발달했으며 눈동자는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다. 는 양 사이가 길고 높이가 높으며 앞을 향해 쫑긋하고 정수리에 위치한다. 는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다. 백구나 호구의 경우 적갈색 빛을 띠기도 한다. 입술 부분은 검은색이며 구열은 깊게 파여 있지 않다. 은 길지 않고 근육이 잘 발달했다. 꼬리는 아예 드러나지 않는 무미(無尾)거나 길이 5 cm 이하의 단미(短尾, 짧은 꼬리)인데, X-ray를 찍어보면 미추의 마디가 단미견은 5-9마디, 무미견은 4마디 이하라고 한다.[4] 이때 이 꼬리 끝부분에 긴털이 나 있고 피부가 노루의 꼬리와 같이 뾰족하게 돌출되었다.

앞다리는 곧고 뒷다리는 몸체를 앞으로 미는 듯한 각도에, 목과 가슴이 발달하여 몸이 유연하고 민첩하며 후각도 뛰어나다. 은 둥근데 활 모양으로 구부러진 발가락이 촘촘하게 모였다.

기본적으로 낯을 많이 가리는 한국의 다른 토종견들과는 달리 사람과의 친화력이 매우 좋아 금방 친밀해질 수 있다. 낯선 사람을 봐도 잘 짖지 않고 골든 리트리버처럼 아무 사람 말이나 잘 듣는 특성 때문에 과거에 이 개를 바보 취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견주가 어떻게 키우느냐에 따라 성격이 변화되기도 한다. 주인이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따라 일부 동경이들은 주인에게만 복종하고 타인들에게 낯을 무척 가리거나 사나운 개체들도 생긴다. 물론 기본 성격 베이스는 토종견 중 가장 순한 편이 맞다.

하여간 사람에게는 상당히 유순하지만, 이 녀석도 태생은 사냥개이다 보니 다른 동물이나 개들에게는 몹시 사납다. 특히 개들이 싸울 때 배를 뒤집어 복종과 항복을 표시하는 행위를 절대로 하지 않아 새끼일 때조차 다른 성견들에게 덤비다 죽는 경우도 종종 있다.[5] 유순하게 키우고 싶으면 주인이 새끼 때부터 잘 보듬어주고 여러 강아지나 동물들과 같이 지내게 해주는 것이 좋다.

사람이 반가울 때는 퇴화된 꼬리를 대신해 엉덩이를 마구 흔드는데, 실제로 보면 웃기고 귀엽다. 실제로 친한 사람에게는 엉덩이를 들이밀지만 성견의 경우 힘이 세서 힘들다.

3. 역사

실제로 존재하는 견종 ‘댕댕이’

기록상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한국의 개로, 지금으로부터 2천여 년 전인 신라 때부터 한국인들이 꾸준히 길렀던 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부분의 강아지 혈통 족보가 근현대 시대인 빅토리아 시대 때 켄넬 클럽(Kennel Club)이 공식적으로 발족하면서 본격적으로 분화되기 시작했으므로, 세계적인 기준으로 봐도 굉장히 역사가 오래된 몇 안 되는 견종이다.

문헌적으로는 삼국사기(三國史記)ㆍ동경잡기(東京雜記)ㆍ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외 옛 문헌 수십 편에서 "노루를 닮은 개"[6] 또는 "동경구"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노루와 사슴 꼬리를 닮아 장자구(獐子狗) 또는 녹미구(鹿尾狗)라 불렀다."라고 나온다. 조선 순종 때 간행된 증보문헌비고 12권의 고려조에 '이상한 개'가 적혀 있는데 이에 따르면 "동경의 지형은 머리만 있고 꼬리가 없는 형상인 까닭에 그곳에서 태어난 개는 꼬리가 없는 것들이 많았다. 그리하여 속언으로 꼬리가 없는 개를 '동경견(東京犬)'이라고 한다." 하였다.

문헌외적으로는 신라시대인 5~6세기에 만들어진 토우에서 꼬리가 뭉툭한 개들이 많이 등장하므로 최소 신라시대 때부터 많이 길러졌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때 개체수가 급감했는데, 당시 일제가 전쟁 물자용으로 개 가죽을 얻기 위해 개들을 대량 도살한 것이 원인이었다. 일본 신사의 수호견 코마이누를 닮았다는 이유로 학살당하였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사실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이전까지 국내에서는 잘 알려진 진돗개풍산개, 삽살개 정도만 토종견으로 인정하고 있을 뿐 동경이는 토종견으로 공인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상규 교수와 동경이보존협회 같은 단체의 노력에 의해 동경이의 혈통 고정이 이뤄지는 한편 서서히 그 개체수가 늘어났으며 그 결과 동경이는 2010년 10월 11일에 엄격한 심사를 거쳐 한국의 4번째 토종견으로 공인되었고# 2011년에 아시아 견종 인증까지 마쳤다. 2012년 11월 16일에는 천연기념물 제540호로 지정되었다.

2018년 1월 1일 기준 487마리가 있었다.#

4. 천연기념물 540호

경주지역에서 사육된 것으로 알려진 동경이는 <동경잡기(東京雜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 옛 문헌에 자주 등장하였고, 신라고분에서 토우로 발굴되는 등 그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크다.

현재 경주에서 사육 중인 경주개 동경이는 단미(短尾)·무미(無尾)를 특징으로 하는 문헌 기록과 외형적으로 일치하고, 유전자 분석결과 한국 토종개에 속하는 고유 견종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경주개 동경이는 개체 이력관리, 질병관리, 번식관리, 혈통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운영 등 체계적인 보호·관리를 통해 300여 두가 사육되고 있다.

5. 여담

  • 다시 태어난 전설의 개
  • YTN 사이언스에서 제작한 동경이 관련 다큐멘터리가 있다.
  • 대부분 개체들은 경주에 있는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에서 관리, 번식 및 분양이 이뤄지기 때문에 당연히 주로 경주에 분포하고, 어느 정도 수가 늘어났다고 판단했는지 2018년부터 경주 외 지역에도 분양을 시작했다.#
  • 과거에는 "땡견이ㆍ댕견ㆍ댕가이ㆍ댕댕이" 등으로 부르기도 했는데 최근들어 연구가 진행되면서 동경이로 정착되었다.#
  • 현재까지[7] 그 수가 적어서 근친 교배를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혈통서가 존재한다. 입양을 받거나 번식을 할 때는 이를 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현재까지[8]는 개체수가 적으므로 국내입양만 가능하고, 해외입양은 절대로 불가하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2. 진도의 진도개
  3. 해남학도래지
  4. 해남학번식지
  5.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6.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7. 어의궁의은행나무
  8. 서울 문묘 은행나무
  9. 고양 송포 백송
  10. 진천의측백수림
  1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12.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13.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14. 울주 목도 상록수림
  15.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16.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7. 선남리의음나무
  18.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19. 금란굴
  20.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21.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22.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23.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24.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2. 보은 속리 정이품송
  3. 보은의백송
  4. 부여의동매
  5. 예산 용궁리 백송
  6.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7.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8. 서귀포의곰솔
  9.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0.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11.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12.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3.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14.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15.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6. 청송의향나무
  17.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8.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9. 음성의학번식지
  20. 예산삽교의학도래지
  2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22.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23.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24. 구례원달리의산수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2. 흑두루미
  3.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4.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5. 통영 도선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6.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7.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8.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9.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10.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황금굴,협재굴)
  11.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12. 금강의 어름치
  13.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14. 서울 선농단 향나무
  15.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6. 까막딱따구리
  17. 독수리(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8. 소백산 주목군락
  19. 철원 철새 도래지
  20.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21.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22.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3.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24.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2.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3.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4. 청원 공북리 음나무
  5.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
  6.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7.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
  8. 부산 구포동 당숲
  9. 무안 현경면 팽나무
  10.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11. 울진 화성리 향나무
  12. 청송 장전리 향나무
  13.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14.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15.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
  16.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17.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18.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19.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20. 연기 봉산동 향나무
  21.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22. 매류(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23. 올빼미류, 부엉이류(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24. 기러기류(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2. 하늘다람쥐
  3. 반달가슴곰
  4. 수달
  5. 점박이물범
  6.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7.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8.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9.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0. 독도 천연보호구역
  1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2.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3.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14.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15.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16.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17.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18.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19. 통영 추도 후박나무
  20.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21. 제주의 제주마
  22.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23. 영월 청령포 관음송
  24. 명주 삼산리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2. 제주 천제연 난대림
  3. 제주 천지연 난대림
  4.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5. 이천 도립리 반룡송
  6.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7. 괴산 적석리 소나무
  8. 제주 당처물동굴
  9.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0.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2.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3.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4.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1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7.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8.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9.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20.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21. 장수 장수리 의암송
  22.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23. 영양 답곡리 만지송
  24.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2. 성주 경산리 성밖숲
  3.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4. 의성 사촌리 가로숲
  5.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6.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7.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8.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9. 거창 당산리 당송
  10.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2.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3.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14.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5. 태백 장성 전기고생대 화석 산지
  16.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7.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8.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9.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20.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2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22.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23. 지리산 천년송
  24. 문경 존도리의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2.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3.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4.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5.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7.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8. 정선 산호동굴
  9. 평창 섭동굴
  10.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11.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12.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13. 영덕 도천리 도천숲
  14.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5.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6. 제주 물장오리 오름
  17.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8. 영양 무창리 산돌배
  19. 강릉 방동리 무궁화
  20.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2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2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23.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2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2.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3.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4.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5.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6.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7.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8.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9.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10.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12. 독도 사철나무
  13.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4. 경주개 동경이
  15.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6.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17.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18. 제주 강정동 담팔수
  19.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20. 제주 흑우
  21.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22.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23. 정선 용소동굴
  24. 제주 흑돼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1] 마찬가지로 수도였던 개경을 제외한 지방의 주요 도시를 서경, 남경 등으로 불렀다.[2] 미관 기준으로 꼬리가 단미된 것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다만 요새는 단미를 안 하는 추세로 조금씩 변해가고 있다. 단미금지국가들의 펨브로크 웰시코기들만 의도적으로 밥테일이 유지(50-60%)된다. 다른 단미 허용 국가들에선 자유로이 번식시킨 후에 대부분 단미한다. #[3] 암컷 기준 체고 44~47 cm, 몸무게 14~16 kg[4] 일반적인 개들은 꼬리뼈가 18~22마디이다.[5] 사실 사냥개 품종들이 다른 동물들에게 사납거나 공격적인 모습을 자주 보인다. 수렵용으로 길러졌다보니 타 동물을 쫓아다니거나 공격하는 경향성이 발달되었다.[6] 노루는 꼬리가 뭉툭하다.[7] 2023년 기준[8] 2025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