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17:14:02

도봉구/행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도봉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중구(서울특별시)/행정|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시청
중구]]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83f8f>
파일:도봉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창제1동 창동
창제2동
창제3동
창제4동
창제5동
도봉제1동 도봉동
도봉제2동
쌍문제1동 쌍문동
쌍문제2동
쌍문제3동
쌍문제4동
방학제1동 [[도봉구청|
구청
]] 방학동
방학제2동
방학제3동
}}}}}}}}} ||
파일:도봉행정.jpg 파일:도봉법정.jpg
도봉구의 행정동 도봉구의 법정동


1. 도봉1동, 도봉2동 - 을

서울특별시의 최북단에 위치한 법정동. 면적 중 대부분의 지역을 도봉산이 차지하고 있고 거주 지역은 동부 평지 지역 정도에 불과하다. 도봉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두 동 사이에는 지상철로 서울 지하철 1호선이 다니고 있어서 굴다리를 통과해야 오갈 수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과의 환승역인 도봉산역이 북쪽 끝에 위치하고 그 아래에 도봉역이 있다.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1988년 노원구가 분구될 때 노원구 소속이 되어 이듬해 환원되기 전까지 1년 동안 도봉구에 도봉동이 없었던 시기가 있었다.

2.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 - 갑

경원선 동쪽이 4동이고, 서쪽의 노해로 북쪽이 5동, 남쪽이 1동이다. 초안산 서쪽으로는 덕릉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2동, 동쪽이 3동이다.
  • 창1동: 인구는 23,739명.[P] 창동주공3단지(2,856세대)/4단지(1,710세대), 창동 삼성래미안(1,668세대), 도봉문화정보도서관, 초안산근린공원이 있다. 학교는 서울창일초, 창북중, 창일중, 창동고가 있다.
  • 창2동: 인구는 27,686명[P]으로 도봉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태영 창동 데시앙(958세대), 창동대우아파트(952세대) 정도를 제외하면 의외로 아파트단지가 많은 편은 아니고, 동 전반에 빌라들이 퍼져 있다. 학교는 서울창림초가 있다.
  • 창3동: 인구는 12,912명.[P] 신창아파트(609세대)를 제외하면 2동보다 더 아파트가 없고 대부분 빌라이다. 학교는 서울신창초, 서울신화초가 있다.
  • 창4동: 인구는 26,295명.[P] 창동로데오거리가 있어 창동에서 가장 번화한 동네이다. 서울도봉경찰서, 노원세무서, 창동문화체육센터, 하나로마트 창동점이 있으며, 로데오거리와 하나로클럽을 가운데 두고 중랑천을 따라 창동주공17~19단지, 동아청솔아파트(1,981세대), 쌍용아파트(1,352세대), 동아아파트(600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줄지어 있다. 학교는 서울월천초, 서울자운초, 노곡중, 서울외고, 자운고가 있다.
  • 창5동: 인구는 23,623명.[P] 북한산 아이파크(2,061세대), 창동주공1~2단지(1,558세대), 상아아파트 1~2차(1,121세대), 서울특별시북부교육지원청, 서울북부지방법원 등기국, 도봉구민회관, 도봉문화원, 이마트 창동점이 있다. 학교는 서울가인초, 서울창동초, 서울창원초가 있다.

3. 쌍문1동, 쌍문2동, 쌍문3동, 쌍문4동[8]

노해로 남쪽이 3동이며, 북쪽은 동쪽부터 2,4,1동 순서로 있다.
  • 쌍문1동: 인구는 20,581명.[P] 우이천을 따라 나있는 동네이며 가장 유명한 곳으로 덕성여자대학교가 있다. 우이천을 기준으로 강북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나 덕성여대 정문 근처에서 북한산우이역 근처까지는 우이천 서쪽임에도 쌍문1동이다. 서울특별시교육청도봉도서관, 둘리뮤지엄/둘리도서관이 있으며 솔밭공원역 1번출구에서 내려 조금만 걸어가면 오징어 게임을 촬영한 백운시장이 있다. 도봉03번이 운행 중인 꽃동네 지역은 단독주택과 빌라가 혼재해있는데 경사가 급하다. 학교는 서울백운초, 서울숭미초, 서울쌍문초, 효문중, 효문고가 있다.
  • 쌍문2동: 인구는 17,617명.[P] 북쪽은 방학천, 동쪽은 도봉로, 남쪽은 노해로가 경계선을 이룬다. 대부분 빌라와 단독주택 지역이고 삼익세라믹아파트(1,514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몇 있다. 도봉구보건소, 함석헌기념관, 하나로마트 쌍문점이 있다. 학교는 서울창경초, 백운중이 있다.
  • 쌍문3동: 인구는 16,154명.[P] 동쪽은 도봉로가 있으며 쌍문역 주변 상권이 있다. 남쪽은 우이천을 두고 강북구와 접한다. 한일병원과 그 주변 한양1차아파트(824세대) 등의 아파트단지가 있는 것을 빼면 대부분 단독주택 및 빌라이다. 서울도봉우체국, 쌍문채움도서관이 있고, 교육기관으로 신도봉중이 있다.
  • 쌍문4동: 인구는 17,866명.[P] 쌍문동의 네 행정동 중 아파트단지의 비율이 가장 높은 동이다. 쌍문근린공원을 기준으로 북쪽은 한양아파트 2~7차(3,039세대), 쌍문현대아파트 1~2차(975세대), 금호아파트 1차(690세대) 등 아파트단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쪽은 여러 학교들 및 단독주택과 빌라가 있다. 학교가 많은데, 남쪽에는 한신초, 정의여중, 정의여고, 시루봉로 쪽에 동북초, 선덕중, 선덕고, 세그루패션디자인고가 있다.

4. 방학1동, 방학2동, 방학3동 - 을

도당로 동쪽이 1동이고, 서쪽은 대략 방학중학교를 기준으로 동쪽이 2동, 서쪽이 3동이다.
  • 방학1동: 인구는 27,240명.[P] 경원선을 중심으로 서쪽은 주택, 동쪽은 아파트단지이며 중앙에 방학역이 있다. 동쪽에는 대상타운 현대아파트(1,278세대), 방학 삼성래미안 1단지(603세대), 도봉구청, 서울창도초, 창동중, 서울문화고, 서쪽에는 도봉소방서, 서울북부보훈지청, 홈플러스 방학점이 있다.
  • 방학2동: 인구는 18,085명.[P] 도봉산 밑에 있는 주택 위주의 평범한 동네. 도깨비시장이 있다. 학교는 서울방학초, 방학중이 있다.
  • 방학3동: 인구는 25,833명.[P] 방학동 가장 안쪽에 있으며 신동아아파트 1~5단지(4,553세대)[16], 우성아파트 1~2차(1,216세대), 청구아파트(978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고 오히려 주택은 별로 없다. 연산군묘가 있다. 방학로, 회등로를 통해서 우이동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학교는 서울신방학초, 서울신학초, 서울초당초, 신방학중이 있다.

5. 도봉구 행정구역 변천사[17][18]

행정동 개편전후 행정구역
미아동 미아제1동, 미아제2동, 미아제3동
번동, 우이동, 수유동 화계동
  • 1959년 10월 31일 : 4동 → 3동
    • 미아제1동(彌阿第一洞), 미아제2동(彌阿第二洞), 미아제3동(彌阿第三洞) 폐지
      • 길음동(吉音洞), 인수동(仁壽洞), 송천동(松泉洞), 삼양동(三陽洞) 신설[20]
  • 1963년 1월 1일 : 3동 → 7동
    • 양주군 노해면 → 성북구 편입 및 4개동 신설
      • 창동(倉洞) : 창동리(倉洞里), 쌍문리(雙門里), 월계리(月溪里)
      • 태릉동(泰陵洞) : 공릉리(孔陵里), 하계리(下溪里)
      • 노원동(蘆原洞) : 중계리(中溪里), 상계리(上溪里)
      • 도봉동(道峰洞) : 도봉리(道峰里), 방학리(放鶴里)
  • 1964년 10월 29일 : 7동 → 8동
    • 삼양동 → 삼양제1동(三陽第一洞), 삼양제2동(三陽第二洞) 분동
  • 1970년 5월 5일 : 8동 → 18동
    • 길음동 + 인수동 → (신) 미아제3동, 미아제8동(彌阿第八洞), 미아제9동(彌阿第九洞) 분동
    • 송천동 → 미아제4동(彌阿第四洞), 미아제5동(彌阿第五洞) 분동
    • 삼양제1동 → 미아제6동(彌阿第六洞), 미아제7동(彌阿第七洞) 분동
    • 삼양제2동 → (신) 미아제1동, (신) 미아제2동, 미아제10동(彌阿第十洞) 분동
    • 화계동(華溪洞) → 번동(樊洞), 수유제1동(水踰第一洞), 수유제2동(水踰第二洞) 분동
    • 창동 → 창동, 쌍문동(雙門洞) 분동
    • 태릉동 → 공릉동(孔陵洞) 개칭
    • 노원동 → 상계제1동(上溪第一洞), 상계제2동(上溪第二洞), 상계제3동(上溪第三洞), 중계동(中溪洞) 분동
  • 1973년 7월 1일 : 21동 → 22동
    • 성북구 일부 → 도봉구 분구
      • 관할 구역(21동) : 미아제1동~미아제10동, 번동, 수유제1동, 수유제2동, 창동, 쌍문동, 공릉동, 상계제1동~상계제3동, 중계동, 도봉동
    • 수유제1동 일부 + 수유제2동 일부 → 수유제3동(水踰第三洞) 분동
  • 1975년 10월 1일 : 22동 → 24동
    • 도봉구 미아제3동·미아제8동·미아제9동 성북구 편입 및 법정동 길음동 신설
    • 미아제3동 → (신) 길음동 개편 및 성북구 편입
    • 미아제8동 → (신) 인수동 개편 및 성북구 편입
    • 미아제9동 → (신) 송천동 개편 및 성북구 편입
    • 미아제10동 → (신) 미아제3동 개편
    • 수유제2동 → 수유제2동, 수유제4동(水踰第四洞) 분동
    • 창동 → 창동, 월계동(月溪洞) 분동
    • 쌍문동 → 쌍문제1동(雙門第一洞), 쌍문제2동(雙門第二洞) 분동
    • 상계제3동 → 상계제3동, 상계제4동(上溪第四洞) 분동
    • 도봉동 → 도봉동, 방학동(放鶴洞) 분동
  • 1977년 9월 1일 : 24동 → 29동
    • 미아제5동 → 미아제5동, (신) 미아제8동 분동
    • 번동 → 번제1동(樊第一洞), 번제2동(樊第二洞) 분동
    • 수유제1동 → 수유제1동, 수유제5동(水踰第五洞) 분동
    • 창동 → 창제1동(倉第一洞), 창제2동(倉第二洞) 분동
    • 도봉동 → 도봉제1동(道峰第一洞), 도봉제2동(道峰第二洞) 분동
  • 1980년 7월 1일 : 29동 → 35동
    • 창제2동 → 창제2동, 창제3동(倉第三洞) 분동
    • 월계동 → 월계제1동(月溪第一洞), 월계제2동(月溪第二洞) 분동
    • 쌍문제1동 → 쌍문제1동, 쌍문제3동(雙門第三洞) 분동
    • 공릉동 → 공릉제1동(孔陵第一洞), 공릉제2동(孔陵第二洞), 하계동(下溪洞) 분동
    • 방학동 → 방학제1동(放鶴第一洞), 방학제2동(放鶴第二洞) 분동
  • 1985년 9월 1일 : 상계제2동 → 상계제2동, 상계제5동(上溪第五洞) 분동(35동 → 36동)
  • 1988년 1월 1일 : 36동 → 20동
    • 도봉구 일부 → 노원구 분구
      • 관할 구역(16동) : 창제1동~창제3동, 월계제1동, 월계제2동, 공릉제1동, 공릉제2동, 하계동, 상계제1동~상계제5동, 중계동, 도봉제1동, 도봉제2동
  • 1988년 7월 1일 : 방학제2동 → 방학제2동, 방학제3동(放鶴第三洞) 분동(20동 → 21동)
  • 1989년 1월 1일 21동 → 26동
    • 노원구 일부 → 도봉구 환원
      • 창제1동~창제3동, 도봉제1동, 도봉제2동 환원
  • 1989년 6월 1일 : 창제1동 → 창제1동, 창제4동(倉第四洞) 분동(26동 → 27동)
  • 1991년 9월 1일 : 27동 → 31동
    • 쌍문제2동 → 쌍문제2동, 쌍문제4동(雙門第四洞) 분동
    • 창제1동 → 창제1동, 창제5동(倉第五洞) 분동
    • 미아제3동 일부 + 미아제4동 일부 → 미아제9동(彌阿第九洞) 분동
    • 번제2동 → 번제2동, 번제3동(樊第三洞) 분동
  • 1994년 10월 5일 : 31동 → 33동
    • 방학제3동 → 방학제3동, 방학제4동(放鶴第四洞) 분동
    • 수유제2동 → 수유제2동, 수유제6동(水踰第六洞) 분동
  • 1994년 12월 26일 : 33동
    • 도봉구 번제3동 일부 → 성북구 장위제3동(長位第三洞) 편입[21]
  • 1995년 3월 1일 : 33동 → 15동
    • 도봉구 일부 → 강북구 분구
      • 관할 구역(18동) : 미아제1동~미아제9동, 번제1동~번제3동, 수유제1동~수유제6동
  • 2008년 2월 18일 : 방학제3동 + 방학제4동 → 방학제3동 합동(15동 → 14동)


[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P] [P] [P] [P] [P] [8] 1, 3동: 갑 / 2, 4동: 을[P] [P] [P] [P] [P] [P] [P] [16] 1단지가 3,169세대로 압도적으로 크다.[17] 순서는 통계청 조사를 기준으로 하였음. 또 행정동 제도 실시 이전의 변천사는 제외하였음.[18] 경계 조정과 같은 자잘한 변화는 생략하였음에 유의. 다만 법정동의 폐지 등은 기재함.[19] 단, 강북구 일대 포함 시 4개동 설치.[20] 길음동과 인수동은 현재의 길음동(법정동) 지역임.[21] 돌곶이로40길-한천로99길 이북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