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15:08:20

동작구/행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작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중구(서울특별시)/행정|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시청
중구]]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ac5b,#00ac5b>
파일:동작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ac5b,#00ac5b> 노량진제1동 노량진동 본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1동 상도1동 [[동작구청|
구청
]] 상도동
상도제2동
상도제3동
상도제4동
흑석동 흑석동
사당제1동 사당동
사당제2동 동작동
사당제3동
사당제4동
사당제5동
대방동 대방동
신대방제1동 신대방동
신대방제2동
}}}}}}}}} ||
파일:동작행정.jpg 파일:동작법정.jpg
동작구의 행정동 동작구의 법정동
노량진동, 동작동, 사당동, 흑석동, 본동은 구 과천군 지역, 대방동, 상도동, 상도1동, 신대방동은 구 시흥군 지역이다.


1. 옛 과천군 지역

1.1. 노량진1동, 노량진2동 - 갑

파일:attachment/dongjakgu.jpg
옛 서울 동작구청사
관할 법정동은 노량진동이며, 노량진1동은 추가로 법정동 본동을 관할한다. 장승배기로를 기준으로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이라고 보면 된다.

1.2. 흑석동 - 을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0,087명.[P] 한강변, 동쪽 강남, 북쪽 용산의 엄청난 입지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재개발을 통해 흑석자이(1,772세대), 아크로리버하임(1,073세대), 흑석 한강 센트레빌 2차(963세대), 흑석 한강 푸르지오(863세대), 흑석 한강 센트레빌 1차(655세대), 롯데캐슬 에듀포레(545세대) 등이 들어서면서 동작구의 부촌이 되었으며, 그 외에도 한강현대아파트(960세대), 명수대현대아파트(660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다. 주요 시설로 서달산수목학습원,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하나로마트 흑석점이 있다. 학교는 서울은로초, 서울흑석초, 중앙대사대부초, 중앙대사대부중이 있다.

1.3. 사당1동, 사당2동, 사당3동, 사당4동, 사당5동 - 을

관할 법정동은 사당동이며, 사당2동은 추가로 법정동 동작동을 관할한다. 사실상 강남 생활권이다.
  • 사당1동: 인구는 22,350명.[P] 사당역교차로의 2사분면, 이수역교차로의 3사분면이라고 보면 된다. 동작대로변은 식당과 술집들이 몰려 있고, 그 안쪽으로는 몽땅 빌라이다. 학교는 서울남사초가 있다.
  • 사당2동: 인구는 27,866명.[P] 동작대로변에 옛날 태평백화점이 있었으나 2021년 폐점했다. 사당우성아파트 2~3단지(1,935세대), 극동아파트(1,550세대), 신동아아파트 4~5차(1,245세대), 이수 힐스테이트(680세대), 이수 푸르지오 더 프레티움(514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많은 편이다. 국립서울현충원도 사당2동 관할이다. 학교는 서울동작초, 동작중, 경문고와 학력인정 학교인 신동신중·정보산업고가 있다.
  • 사당3동: 인구는 23,435명.[P] 사당로 북쪽에 해당된다. 대림아파트(1,152세대), 동작 삼성래미안(896세대), 래미안 로이파크(668세대), 사당 롯데캐슬 1~2단지(667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꽤 있고 가장 안쪽에는 총신대학교가 있다. 삼일공원 근처로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학교는 서울남성초, 서울삼일초, 사당중이 있다.
  • 사당4동: 인구는 13,698명.[P] 남성역의 남쪽에 있는 동네로 대부분 빌라와 주택 위주의 조용한 주거지역이다. 학교는 남성중이 있다.
  • 사당5동: 인구는 14,063명.[P] 까치산근린공원 주변으로 있는 동네로, 사당동에서 고도가 가장 높은 위치에 사당 롯데캐슬 골든포레(959세대), 사당 자이(719세대)가 들어서 있다. 학교는 서울신남성초, 서울행림초, 상도중, 동작고가 있다.

2. 옛 시흥군 지역

2.1. 상도1동, 상도2동, 상도3동, 상도4동[10]

관할 법정동은 상도동이며, 상도1동은 추가로 법정동 상도1동을 관할한다. 즉 법정동 상도동과 상도1동은 별개의 동이다.

2.2. 대방동 - 갑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4,969명.[P] 대략 성남고를 기준으로, 1호선(대방역) 라인의 생활권으로 볼 수 있는 북쪽과 7호선(보라매역 및 신대방삼거리역) 라인의 생활권으로 볼 수 있는 남쪽이 구분된다. 북쪽은 노량진로와 연결되며 대방역, 대방종합사회복지관, 공군항공안전단, 남도학숙, 유한양행 본사, 현대자동차 대방사옥, 하나로마트 신대방삼거리점 등이 있고 대방대림아파트(1,628세대), 대방주공아파트 1~2단지(1,203세대), 대방 e편한세상 1차(609세대), 대방현대1차아파트(514세대) 등 대규모 아파트단지들이 많다. 용마산 밑에는 군부대들이 있었으나 현재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남쪽은 상도로와 연결되며 넓은 부지를 자랑하는 서울공업고등학교가 있다. 학교는 서울대림초, 서울신길초, 서울영화초, 강남중, 성남중, 숭의여중, 영등포중, 서울공고, 성남고, 숭의여고, 영등포고 등 무려 11개의 학교가 관내에 있다.

2.3. 신대방1동, 신대방2동 - 갑

관할 법정동은 신대방동이다. 여의대방로10길을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 신대방1동: 인구는 23,081명.[P] 대림동-구로디지털단지권으로 볼 수 있는 동네로, 여의대방로-시흥대로를 따라 동이 길게 늘어서 있다. 신대방우성아파트 1~2차(1,509세대), 신대방현대아파트(880세대), 보라매 롯데낙천대(734세대), 동작 상떼빌(545세대), 동작관악특수교육지원센터, 신라스테이 구로가 있다. 학교는 서울문창초, 대방중이 있다.
  • 신대방2동: 인구는 21,838명.[P] 보라매 자이 더 포레스트(959세대), 기상청 서울청사, 동작소방서, 서울동작우체국, 보라매공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농심 본사가 있다. 보라매병원 맞은 편에는 사무실 및 오피스텔들이 많이 있는데, 봉천동과의 경계가 모호하다. 1동과 달리 2동은 봉천동, 신림동 쪽 생활권에 근접한다고 볼 수 있다. 학교는 서울보라매초, 문창중, 수도여고가 있다.

3. 동작구 행정구역 변천사[18][19]

  •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 행정동제 실시, 동작구 일대 9개동 설치
행정동 개편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법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비고
신대방동, 신도림동 대림동
대방동 대방동
상도동(일부), 상도1동[20] 상도제1동
상도동(일부) 상도제2동
노량진동 노량진동
본동 본동
흑석동(일부) 흑석제1동, 흑석제3동
흑석동(일부), 동작동 흑석제2동
  • 1970년 5월 5일 : 10동 → 14동
    • 대방동(大方洞) → 대방제1동(大方第一洞), 대방제2동(大方第二洞) 분동
    • 상도제2동(上道第二洞) → 상도제2동, 상도제3동(上道第三洞) 분동
    • 노량진동(鷺梁津洞) → 노량진제1동(鷺梁津第一洞), 노량진제2동(鷺梁津第二洞) 분동
    • 남성동 → 사당제1동(舍堂第一洞), 사당제2동(舍堂第二洞) 분동
  • 1973년 7월 1일 : 14동 → 16동
    • 흑석제2동(黑石第二洞) → 흑석제2동, 동작동(銅雀洞) 분동
    • 사당제1동(舍堂第一洞) 일부 + 사당제2동(舍堂第二洞) 일부 → 사당제3동(舍堂第三洞) 분동
  • 1975년 10월 1일 : 16동
    • 사당제1동 → 사당제1동, 방배동(方背洞) 분동
    • 사당제2동 → 사당제2동, 사당제4동(舍堂第四洞) 분동
    • 관악구 신대방동 일부 + 대방제1동·대방제2동 일부 → 영등포구 편입
      • 신길제6동(新吉第六洞) 신설
      • 대방제1동 + 대방제2동 → 대방동 합동
  • 1977년 9월 1일 : 16동 → 19동
    • 상도제3동 → 상도제3동, 상도제4동(上道第四洞) 분동
    • 신대방동(新大方洞) → 신대방제1동(新大方第一洞), 신대방제2동(新大方第二洞) 분동
    • 사당제1동 → 사당제1동, 사당제5동(舍堂第五洞) 분동
  • 1980년 4월 1일 : 19동 → 18동
    • 관악구 일부 → 동작구 분구
      • 관할 구역(18동) : 동작동,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1동~상도제4동, 본동, 흑석제1동~흑석제3동, 사당제1동~사당제4동, 대방동, 신대방제1동, 신대방제2동
    • 舊 사당제4동 말소 → 사당제1동, 사당제2동, 방배제2동 분할 편입
      • 사당제5동 → (신) 사당제4동 개칭
    • 사당제1동 일부 → 관악구 존치 및 남현동(南峴洞) 신설
  • 1992년 7월 1일 : 18동 → 20동
    • 상도제1동 → 상도제1동, 상도제5동(上道第五洞) 분동
    • 사당제4동 → 사당제4동, (신) 사당제5동 분동
  • 2008년 2월 1일 : 20동 → 17동
    • 상도제1동 + 상도제5동 → 상도제1동 합동
    • 흑석제1동(黑石第一洞) + 흑석제2동 + 흑석제3동(黑石第三洞) → 흑석동(黑石洞) 합동
  • 2008년 9월 1일 : 17동 → 15동
    • 노량진제1동 + 본동(本洞) → 노량진제1동 합동
    • 동작동 + 사당제2동 → 사당제2동 합동


[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2] 여기는 상도동 생활권이다.[P] [P] [P] [P] [P] [P] [P] [10] 1동: 을 / 2, 3, 4동: 갑[P] [P] [P] [P] [P] [P] [P] [18] 순서는 통계청 조사를 기준으로 하였음. 또 행정동 제도 실시 이전의 변천사는 제외하였음.[19] 경계 조정과 같은 자잘한 변화는 생략하였음에 유의. 다만 법정동의 폐지 등은 기재함.[20] 신설 일자로 추정되는 유일한 날이기에 기재함.[21] 양재리(良才里), 원지리(院趾里), 우면리(牛眠里)[22] 사당리(舍堂里), 방배리(方背里)[23] 서초리(瑞草里)[24] 잠실리(蠶室里), 반포리(盤浦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