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6:40:16

구로구/행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구로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중구(서울특별시)/행정|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시청
중구]]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

{{{#!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eb2127>
파일:구로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eb2127> 신도림동 신도림동
구로1~5동
구청
구로동
가리봉동 가리봉동
고척1, 2동 고척동
개봉1~3동 개봉동
오류1동 오류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
오류2동
수궁동 온수동 궁동
항동 항동 }}}}}}}}}


1. 개요

파일:구로행정.jpg 파일:구로법정.jpg
<rowcolor=#373a3c> 구로구의 행정동 구로구의 법정동

안양천을 경계로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는데, 같은 구로구임에도 서로 생활권이 밀접하게 연계되지 않는다.

구로구 동부(신도림동, 구로동, 가리봉동)는 영등포구, 금천구 가산동[1], 광명시 철산동과 생활권이 밀접하다. 구로디지털단지, 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신도림테크노마트 등 각종 대규모 시설들이 입지하여 사람들이 '구로구'하면 대부분 이 구로구 동부를 생각한다.

반면 구로구 서부(수궁동, 고척동, 오류동, 개봉동, 항동)는 광명시 광명동과 생활권이 밀접한데, 주로 저층 구조물의 상점과 평범한 주거 단지들이 대부분이어서 굉장히 조용하다. 정말 서울에서 가장 조용하고 한적한 동네로 꼽을 만한 동네. 단, 여기서 수궁동의 경우 광명시보다는 부천시 역곡동과 생활권이 밀접하다.[2] 실제로 안양천에서 봐도 동서가 같은 구로구이지만 정말 다른 동네같은 느낌이 든다.[3] 양천구와도 시가지가 이어진 듯 보이지만 작동산, 지양산, 신월산, 매봉산, 능골산, 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으로 나눠진 다른 생활권이다.

2. 신도림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6,001명[P]으로 구로구 중 안양천 동쪽에서는 인구가 가장 많다. 안양천, 도림천,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 유명한 신도림역이 있는 곳이며 환승지옥의 이미지가 너무 강하지만 동 자체는 교통이 편리하고 천변공원이 있어 주거 환경이 괜찮아서 집값이 구로구에서 가장 높은 동네이다. 아파트단지가 많은데, e편한세상이 7차까지 지어져 있다. 신도림역 바로 옆에 디큐브시티가 있는데, 원래는 연탄공장이 있었으나 재개발을 통해 탈바꿈했다. 그 외 홈플러스 신도림점, 하나로마트 신도림점, 라마다 서울 신도림 호텔, 서울성락교회[5]가 있으며 학교는 신도림초, 신미림초, 신도림중, 신도림고가 있다.

3.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구로4동, 구로5동

관할 법정동은 구로동이다. 구로역, NC백화점 신구로점이 위치해 있으며, 구로구청 소재지이다. 과거 행정동 구로본동과 구로6동이 있었으나, 2008년에 각각 구로2동과 구로4동에 통합되어 현재의 행정구역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4. 가리봉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8,737명.[P] 원래 금천구 가산동과 한 덩어리로 가리봉1동, 가리봉2동, 가리봉3동이었으나, 금천구가 분구되면서 남부순환로 이남 지역이 가산동으로 변경됨에 따라 이북 지역이 가리봉동으로 남았다.

가리봉시장이 있으며 연립주택이 밀집한 지역이다. 조선족이 워낙 많이 사는 동네이며 낙후된 서민 동네이다보니 세대당 인구수가 1.45로 전국 10위 안에 든다. 남구로역(3,4번 출구), 프란치스코 수녀회가 있으며 학교는 영일초가 있다.

5. 고척1동, 고척2동

관할 법정동은 고척동이다. 고척 스카이돔이 위치해 있다.

6.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관할 법정동은 개봉동이다. 개봉역이 위치해 있으며, 경인선을 기준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은 개봉로15길을 기준으로 북쪽이 2동, 남쪽이 3동이다.
  • 개봉1동: 인구는 33,088명.[P] 개봉역 북쪽에 해당되며 한마을아파트부터 매봉산까지 대각선으로 길쭉한 영역이 모두 개봉1동에 해당된다. 한마을아파트(1,983세대), 센트레빌레우스 1단지(1,042세대), 개봉 푸르지오(978세대), 서울한영대학교가 있다. 학교는 매봉초, 개봉중, 경인중이 있다.
  • 개봉2동: 인구는 29,197명.[P] 개봉역 남쪽에 해당된다. 개봉로를 기준으로 동쪽에는 현대아파트1~2단지(3,376세대), 개봉 아이파크(684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서쪽은 빌라와 주택이 주인 주거지역이다. 학교는 없다.
  • 개봉3동: 인구는 19,304명.[P] 다리 하나만 건너면 광명시인 지역으로 교류가 매우 많다. 개봉 한진타운(1,371세대)를 제외하면 거의 빌라와 주택이다. 학교는 개명초, 개봉초, 개웅초, 개웅중이 있다.

7. 오류1동, 오류2동

관할 법정동은 오류동이며, 오류2동은 법정동 천왕동을 포함하고 있다. 개봉동과 마찬가지로 경인선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8. 수궁동

관할 법정동은 궁동·온수동이다. 인구는 22,399명.[P]

주택 위주의 주거구역이 대다수이며 법정동 온수동 지역은 부천 생활권이다. 온수역, 온수 힐스테이트(999세대), 우신빌라(762세대), 온수공영차고지, 서울전파관리소, 온수공단, 연세중앙교회[22]가 있다. 학교, 특히 고등학교가 엄청나게 많아서 온수초, 우신중, 서서울생활과학고, 서울공연예술고, 세종과학고, 예림디자인고, 오류고, 우신고와 특수학교인 서울정진학교가 있다.

9. 항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6,171명.[P] 2020년 1월 1일에 오류2동으로부터 분동되었다.

이 동네는 시가지 자체가 부천시와 연담되어 있으며, 오히려 서울(오류동)과는 천왕산-항동공원으로 분리되어 있다. 항동지구 개발이 진행되었고 서울푸른수목원이 유명해 일명 '숲세권'으로 불린다. 부천시옥길지구와는 2km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가깝다. 분위기 자체도 서울보다는 경기도 신도시나 세종 같은 느낌이 강할 정도... 우리나라 타운하우스의 원조 격인 그린빌라도 있다. 항동푸른도서관, 서울푸른수목원, 항동철길, 성공회대학교가 있으며 학교는 항동초, 항동중, 유한공고와 특수학교인 성베드로학교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금천구 분구 이전에는 구로구 가리봉동이었다.[2] 동네에 돌아다니는 중국집 전단지 전화번호만 봐도 지역번호가 032인 경우가 많다.[3]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애초에 구로구 동부와 서부는 행정상 서로 다른 군현 소속이었던 기간이 훨씬 길다. 서부는 부평도호부→부천군 소속이었고 동부는 금천현→시흥군 소속이었다.[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5] 신학적 논쟁과 상관 없이 교회 건물이 굉장히 커서 지역 내 랜드마크로 삼을 수 있을 정도이다.[P] [P] [8] 1990년대는 장사꾼이 아닌 장인들이 모여있어서 설계도와 돈만 있으면 거북선도 만들 수 있을 정도였다.[P] [P] [P] [P] [P] [P] [P] [P] [P] [P] [P] [20] 초등학교만 말할 때 서울에서 가장 외곽에 있는 초등학교. 조금만 더 가면 경기도 부천시다. 공교롭게도 부천시에도 오정초등학교가 있다.[P] [22] 성락교회처럼 신학적 논쟁과 상관 없이 부지가 엄청 크다. 예배당은 동양 최대라는 말이 있을 정도.[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