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07:47:40

은평구/행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은평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중구(서울특별시)/행정|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시청
중구]]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b308e>
파일:은평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b308e> 녹번동 [[은평구청|
구청
]] 녹번동
불광제1동 불광동
불광제2동
갈현제1동 갈현동
갈현제2동
구산동 구산동
대조동 대조동
응암제1동 응암동
응암제2동
응암제3동
역촌동 역촌동
신사제1동 신사동
신사제2동
증산동 증산동
수색동 수색동
진관동 진관동
}}}}}}}}} ||
파일:은평행정.jpg 파일:은평법정.jpg
은평구의 행정동 은평구의 법정동

1. 녹번동 - 갑2. 불광1동, 불광2동 - 을3. 갈현1동, 갈현2동 - 을4. 구산동 - 을5. 대조동 - 을6.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 갑7. 역촌동 - 갑8. 신사1동, 신사2동 - 갑9. 증산동 - 갑10. 수색동 - 갑11. 진관동 - 을12. 은평구 행정구역 변천사


은평구의 법정동은 행정동명과 모두 일치하며[1], 동번호가 붙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밖에 없다. 경계도 도로망과 자연 경계를 기준으로 잘라놨기 때문에 매우 깔끔하게 떨어진다. 개화기를 기준으로 증산동, 수색동은 구 연희방 지역, 진관동은 구 상평방, 양주군 신혈면 지역이며 나머지는 구 연은방 지역이다.

1. 녹번동 - 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녹번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녹번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녹번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5,578명.[P]

통일로를 기준으로 래미안 베라힐즈(1,305세대), 북한산 푸르지오(1,230세대), 힐스테이트 녹번(952세대) 등 대부분의 아파트단지는 동쪽에 있고, 서쪽은 거의 대부분이 빌라에 가까운 동네이다. 은평구청, 은평구보건소, 은평문화예술회관, 서울서부경찰서, 서울혁신파크, 서울특별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과거 식약청 위치), 명성학원이 있다. 학교는 서울녹번초, 서울어울초, 서울은평초이 있다.

2. 불광1동, 불광2동 - 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불광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불광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불광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략 연서로를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이다.
  • 불광1동: 인구는 37,311명.[P] 미성아파트(1,340세대), 북한산 힐스테이트 3차(1,185세대), 북한산 힐스테이트 7차(882세대), 북한산 래미안(782세대), 북한산 현대홈타운(662세대), 북한산 힐스테이트 1차(603세대), 불광 롯데캐슬(588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다. 독바위역, 은평구립도서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불광근린공원, 불광 먹자골목, CGV 불광점, 메가박스 은평점이 있다. 구기터널을 넘어가면 종로구가 나온다. 학교는 서울불광초, 서울수리초가 있다.
  • 불광2동: 인구는 26,566명.[P] 지도로 보면 알겠지만 빌라들이 동 전체를 뒤덮고 있다. 상업시설로 하나로마트 연서점이 있다. 서울은평경찰서가 은평뉴타운 넘어가는 길목에 있다. 학교는 서울연광초, 서울연신초, 서울연천초, 불광중, 연신중, 연천중, 세명컴퓨터고가 있다.

3. 갈현1동, 갈현2동 - 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갈현동(서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갈현동(서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갈현동(서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연서로29길을 기준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도로명은 생소하지만 연신내 로데오거리라고 하면 다 알아먹는다.

4. 구산동 - 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산동(서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산동(서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산동(서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1,045명.[P]

수국사[8], 서울재활병원이 있으며 구산근린공원 뒷쪽으로는 구세군에서 위탁 운영하는 시립은평의마을이 있다. 서울특별시 최대의 시내버스 회사인 선진운수의 본사가 구산동에 있다. 학교는 서울구산초, 서울구현초, 예일초, 구산중, 예일여중, 은평중, 예일디자인고, 예일여고, 은평고와 특수학교인 은평대영학교가 있다.

5. 대조동 - 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조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조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조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7,248명.[P]

연신내역 남쪽 상권을 책임진다. 다만 NC백화점 불광점(CGV 불광)은 남쪽 끝 불광역 상권에 있다. 그 외 은평구선거관리위원회가 있으며 역말로 남쪽으로 대규모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학교는 서울대조초, 서울대은초, 동명생활경영고, 동명여고가 있다.

6.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 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응암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응암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응암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응암1동: 인구는 32,175명.[P] 전국 이마트 매장 중 매출 1위인 이마트 은평점이 위치한 은평로에는 은평구에서 고층 빌딩이 가장 많이 밀집되어 있다(신사오거리). 이 외 은평세무서, 서울특별시 꿈나무마을이 있다. 동 자체는 녹번역 근처 통일로까지 뻗어 있다. 은평구 최대 아파트단지인 녹번역 e편한세상 캐슬(2,569세대), 힐스테이트 녹번역(879세대)을 비롯하여 중규모 아파트단지가 많다. 학교는 서울은명초, 영락중, 신진과학기술고가 있다.
  • 응암2동: 인구는 27,142명.[P] 응암시장, 서울특별시 은평병원이 있다. 동쪽으로 백련산과 접하며 여기서 이름을 딴 백련산 힐스테이트 1~4차(3,710세대), 백련산 SK뷰 아이파크(1,305세대), 백련산 해모로(760세대), 백련산 파크자이(678세대) 등의 아파트 대단지가 많다. 학교는 서울연은초가 있다.[12]
  • 응암3동: 인구는 23,196명.[P] 구 응암3동과 4동이 통합된 동이다. 응암오거리가 위치해 있다(홍은동 방향). 하나로마트 응암점, 감자국거리로 유명한 대림시장이 있다. 응암우성, 응암경남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다세대주택이다. 응암1동과 응암2동에 비해 재개발이 활발하지 않았지만 현재 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교는 서울응암초, 충암초, 충암중, 충암고와 일반고 학생의 직업교육 위탁 기관인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14]가 있다.

7. 역촌동 - 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역촌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촌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촌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43,953명.[P]

녹번동-역촌동 라인으로 해서 이북은 빌라촌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빌라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서쪽 끝에 서울특별시 서북병원이 있다. 학교는 서울역촌초 하나 뿐이다. 20대 총선 당시 선거구 조정으로 인해 2016년 3월 을구에서 갑구으로 넘어왔다.

8. 신사1동, 신사2동 - 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사동(은평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사동(은평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사동(은평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가좌로 기준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9. 증산동 - 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증산동(서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증산동(서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증산동(서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5,850명.[P]

수색증산뉴타운 증산2구역 재개발이 완료되어 DMC 센트럴자이(1,388세대)가 들어섰으며, 주민센터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증산4/5구역 재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6호선 증산역이 있다. 불광천 건너편은 서대문구 북가좌동이다. 학교는 서울증산초, 연서중, 증산중이 있다.

10. 수색동 - 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색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색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색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1,124명.[P]

옛날에는 서울 최외곽의 개발 제한 지역이었으나 수색증산뉴타운 사업을 통해 DMC SK뷰 아이파크 포레(1,464세대), DMC파인시티자이(1,223세대), DMC 롯데캐슬 더 퍼스트(1,192세대), e편한세상 수색 에코포레(976세대), DMC SK뷰(753세대), DMC아트포레자이(672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건설되었다. 3개 노선이 접하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버스종점인 은평공영차고지가 있어 대중교통 이용하기가 괜찮은 편이다. 이마트 수색점이 있다. 수색교를 건너면 마포구 상암동, 덕은교를 건너면 덕양구 덕은동과 접한다. 학교는 서울수색초 하나 있다.

11. 진관동 - 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관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관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관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53,503명[P]으로 서울특별시 전체에서 면적, 인구 모두 1위를 찍는 행정동이다.

통칭 구파발로 잘 알려진 곳으로, 과거 서울의 북서쪽 끝이라고 생각되던 달동네였으나 은평뉴타운 사업이 추진되면서 상전벽해가 따로 없다. 구파발역에는 롯데몰 은평점이 있으며, 근처에 은평구 최대 병원인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이 있고 그 안쪽에는 서울특별시 소방학교가 있다. 기타 주요 시설로는 은평소방서, 서울은평우체국, 한국고전번역원이 있다. 그리고 뉴타운 이전에도 진관사북한산 등반의 주요 코스 중 하나로 애용되던 동네이다. 학교는 서울북한산초, 서울신도초, 서울은빛초, 서울은진초, 서울진관초, 신도중, 진관중, 신도고, 은평메디텍고, 진관고, 하나고가 있다.

12. 은평구 행정구역 변천사[21][22]

  •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 행정동제 실시, 은평구 일대 4개동 설치
행정동 개편전후 행정구역
구 행정구역(법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비고
수색동 수색동
녹번동, 응암동, 역촌동, 신사동 녹신동
대조동, 불광동, 갈현동, 구산동 대광동
증산동, 북가좌동, 남가좌동 증가동
  • 1964년 10월 29일 : 4동 → 6동
    • 녹신동(碌新洞) → 녹신제1동(碌新第一洞), 녹신제2동(碌新第二洞) 분동
    • 대광동(大光洞) → 대광제1동(大光第一洞), 대광제2동(大光第二洞) 분동
  • 1970년 5월 5일 : 6동 → 9동
    • 녹신제1동 → 녹번동(碌磻洞), 응암제1동(鷹岩第一洞) 분동
    • 녹신제2동 → 응암제2동(鷹岩第二洞) 개편
    • 녹신제1동 일부 + 녹신제2동 일부 → 역촌동(驛村洞) 분동
    • 대광제1동 → 불광제1동(佛光第一洞), 불광제2동(佛光第二洞) 분동
    • 대광제2동 → 대조동(大棗洞), 갈현동(葛峴洞) 분동
    • 증가동(繒加洞) → 북가좌동(北加佐洞), 남가좌제1동(南加佐第一洞), 남가좌제2동(南加佐第二洞) 분동
  • 1973년 7월 1일 : 9동 → 10동
    •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舊把撥里)·진관내리(津寬內里)·진관외리(津寬外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편입
      • → 진관동(津寬洞) 신설
  • 1975년 10월 1일 : 10동 → 14동
    • 갈현동 → 갈현동, 구산동(龜山洞) 분동
    • 응암제2동 → 응암제2동, 응암제3동(鷹岩第三洞) 분동
    • 북가좌동 일부 + 역촌동 일부 → 신사동(新寺洞) 분동
    • 진관동 → 진관내동(津寬內洞), 진관외동(津寬外洞) 분동
  • 1977년 9월 1일 : 신사동 → 신사동, 증산동(繒山洞) 분동(14동 → 15동)
  • 1979년 10월 1일 :
    • 서대문구 일부 → 은평구 분구
      • 관할 구역(15동) : 녹번동, 불광제1동, 불광제2동, 갈현동, 구산동, 대조동, 응암제1동~응암제3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 1985년 9월 1일 : 15동 → 17동
    • 불광제2동 → 불광제2동, 불광제3동(佛光第三洞) 분동
    • 역촌동 → 역촌제1동(驛村第一洞), 역촌제2동(驛村第二洞) 분동
  • 1989년 6월 1일 : 17동 → 19동
    • 갈현동 → 갈현제1동(葛峴第一洞), 갈현제2동(葛峴第二洞) 분동
    • 응암제2동 일부 + 응암제3동 일부 → 응암제4동(鷹岩第四洞) 분동
  • 1989년 9월 1일 : 신사동 → 신사제1동(新寺第一洞), 신사제2동(新寺第二洞) 분동(19동 → 20동)
  • 2007년 8월 13일 : 진관내동 + 진관외동 → 진관동 합동(20동 → 19동)
  • 2008년 6월 2일 : 19동 → 16동
    • 불광제2동 말소
      • 연서로 34길-연천초-불광근린공원-불광로 16길 이남 지역 → 불광제1동 편입
      • 연서로 34길-연천초-불광근린공원-불광로 16길 이북 지역 → 불광제3동 편입
        • 불광제3동 → 불광제2동 개편
    • 응암제4동 말소
      • 응암로-응암로 14길 서남부 지역(응암행복어린이공원 일대 제외) → 응암제3동 편입
      • 응암로-응암로 14길 동북부 지역, 응암행복어린이공원 일대 → 응암제2동 편입
      • 응암제1동 中 응암로 29길 이남 지역 → 응암제3동 편입
    • 역촌제1동 + 역촌제2동 → 역촌동 합동

[1] 원래는 법정동 구산동 지역에 행정동 갈현동 관할인 곳이 있었으나, 2010년 조례 개정으로 법정동 구산동 지역은 모두 행정동 구산동 지역이 관할하도록 조례가 변경되어 현재는 모든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P] [P] [P] [P] [8] 황금으로 된 법당으로 유명하다.[P] [P] [P] [12] 응암3동 응암오거리 근처에 있다가 이전했다. 옛 건물은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가 사용 중이다.[P] [14] 구 연은초등학교 건물. 연은초등학교가 응암2동으로 이전한 후 이 학교가 사용 중이다.[P] [P] [P] [P] [P] [P] [21] 순서는 통계청 조사를 기준으로 하였음. 또 행정동 제도 실시 이전의 변천사는 제외하였음.[22] 경계 조정과 같은 자잘한 변화는 생략하였음에 유의. 다만 법정동의 폐지 등은 기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