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종로구 | [[중구(서울특별시)/행정| 시청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9944,#009944><tablewidth=310><tablebgcolor=#009944,#00994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9944,#009944> 보라매동 | [[관악구청| 구청 ]] 봉천동 | ||
청림동 | |||
성현동 | |||
행운동 | |||
낙성대동 | |||
청룡동 | |||
은천동 | |||
중앙동 | |||
인헌동 | |||
남현동 | 남현동 | ||
서원동 | 신림동 | ||
신원동 | |||
서림동 | |||
신사동 | |||
신림동 | |||
난향동 | |||
조원동 | |||
대학동 | |||
삼성동 | |||
미성동 | |||
난곡동 |
| |
관악구의 행정동 | 관악구의 법정동 |
하위 법정동이 신림동, 봉천동, 남현동으로 3개이다. 하지만 신림동, 봉천동이 무수히 많은 수의 행정동으로 나뉘어 있다. 법정동 봉천동과 신림동 지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봉천동, 신림동 항목을 보면 된다. 신림동, 봉천동은 다른 지역의 법정동들에 비해 면적이 상당히 넓은 편이기도 하고, 시가지 역시 평지뿐만 아니라 관악산, 삼성산 능선을 타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고 행정동 역시 많이 설치되었다.
1. 남현동 - 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7,507명.[P]본래는 사당동이었으나, 1980년에 사당동 북쪽 지역이 동작구로 이관되면서 관악구에 남아 있던 사당동 지역을 남현동으로 이름을 바꿨다. 서쪽의 까치고개를 통해 지리적으로 신림·봉천과 분리되기 때문에 생활권이 이질적이며 사실상 강남과 영등포의 완충지역이다. 사실 까치고개 자체가 옛 시흥군과 옛 과천군(이후 시흥군 동면과 신동면)의 자연경계이기도 하다.
아파트단지는 별로 없고 빌라나 원룸이 많다.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남현동 요지(사당동 백제요지), 홈플러스 서울남현점이 있다. 학교는 서울사당초가 있다. 지도에는 드러나지 않지만 수도방위사령부[2]가 과천 넘어가는 길목에 있다.
사당역 4번 출구에는 과천시, 안양시, 수원시 등으로 가는 버스정류장이 있다. 대중매체에서 사당역의 바쁜 출퇴근 시간 긴 광역버스 대기줄이 나오면 대개 이곳이다. 사당역은 서울에서 경기도남부로 가는 관문으로 서울시민과 경기도민간에 약속장소로 많이 이용된다. 주말은 관악산 등산객과 지리산 같은 장거리 관광버스 이용객들로 새벽부터 인산인해다. 이런 이유들로 남현동은 먹자골목과 모텔 등의 유락시설이 발달했다.
2. 신림동[3]
- 서원동: 인구 22,958명[P], 장군봉체육공원,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타임스트림, 신관중
- 신원동: 인구 17,376명[P], 신원시장, 관악세무서, 서울신림초
- 서림동: 인구 23,209명[P], 신림현대아파트(1,634세대), 서울신성초, 신림중
- 난곡동: 인구 24,799명[P], 강원관악학사, 서울난곡초, 난우중, 남강중, 남강고
- 신사동: 인구 22,171명[P], 서울남부초
- 신림동: 인구 22,969명[P], 신림동별빛거리
- 삼성동: 인구 19,518명[P], 신림주공아파트 1~2단지(1,777세대), 삼성산주공아파트(1,482세대), 국제산장아파트(630세대), 서울신우초, 서울원신초, 광신중, 광신고, 광신방송예술고
- 난향동: 인구 14,618명[P], 관악산 휴먼시아 1~2단지(3,322세대), 서울난향초, 서울정문학교
- 조원동: 인구 19,605명[P], 힐스테이트 뉴포레(1,143세대), 관악구시설관리공단, KT구로빌딩, 하나로마트 신림점, 서울조원초
- 대학동: 인구 24,378명[P], 관악중앙도서관, 관악산, 관악산공원, 서울대학교, 녹두거리, 서울삼성초, 삼성중, 미림여고, 미림마이스터고, 삼성고, 서울산업정보학교
- 미성동: 인구 28,924명[P][15], 신림푸르지오1차(1,456세대), 관악산생태공원, 신림근린공원, 호림박물관, 서울난우초, 서울미성초, 난곡중,[16] 남서울중, 미성중, 성보중, 성보고
3. 봉천동 - 갑
- 보라매동: 인구 23,337명[P], 보라매삼성아파트(710세대), 관악노인종합복지관, 롯데백화점 관악점, 서울당곡초, 당곡중, 당곡고, 서울새롬학교
- 은천동: 인구 31,863명[P], 봉천 벽산블루밍1~3차(3,185세대), 봉천 두산아파트 1~3단지(2,561세대), 서울은천초, 서울관광고
- 성현동: 인구 27,922명[P], 관악드림타운(5,387세대), 성현 동아아파트(1,261세대), 서울구암초, 서울봉현초, 구암중, 구암고
- 청림동: 인구 14,547명[P], 관악 현대아파트(2,134세대),[21] 관악 푸르지오(2,104세대)
- 중앙동: 인구 15,151명[P], 봉천중앙시장, 서울신봉초
- 행운동: 인구 28,683명[P], 관악 우성아파트(1,597세대), 서울봉천초, 서울원당초, 관악중, 봉원중, 서울미술고
- 청룡동: 인구 35,865명[P], e편한세상 서울대입구 1~2차(2,050세대), 관악구청, 관악구보건소, 서울관악경찰서, 관악소방서, 청룡산, 장군봉근린공원, 에그옐로우, 서울관악초, 서울청룡초, 봉림중, 서울문영여중, 서울문영여고, 서울여상고, 영락고, 영락의료과학고
- 낙성대동: 인구 17,403명[P], 관악구민운동장,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샤로수길, 낙성대공원, 서울대학교(기숙사/교수아파트 등), 서울인헌초
- 인헌동: 인구 25,009명[P], 인헌중, 인헌고
4. 관악구 행정구역 변천사[27][28]
- 1970년 5월 5일 : 2동 → 7동
- 봉천동 → 봉천제1동(奉天第一洞), 봉천제2동(奉天第二洞), 봉천제3동(奉天第三洞), 봉천제4동(奉天第四洞) 분동
- 신림동 → 신림제1동(新林第一洞), 신림제2동(新林第二洞), 신림제3동(新林第三洞) 분동
- 1973년 7월 1일 : 7동 → 21동 → 23동
- 영등포구 일부 → 관악구 분구
- 관할 구역(21동) :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1동~상도제3동, 봉천제1동~봉천제4동, 본동, 흑석제1동~흑석제3동, 사당제1동, 사당제2동, 대방제1동, 대방제2동, 신대방동, 신림제1동~신림제3동
- 흑석제2동(黑石第二洞) → 흑석제2동, 동작동(銅雀洞) 분동
- 사당제1동(舍堂第一洞) 일부 + 사당제2동(舍堂第二洞) 일부 → 사당제3동(舍堂第三洞) 분동
- 1975년 10월 1일 : 23동 → 31동
- 봉천제1동 → 봉천제1동, 봉천본동(奉天本洞) 분동
- 봉천제2동 → 봉천제2동, 봉천제5동(奉天第五洞) 분동
- 봉천제3동 → 봉천제3동, 봉천제6동(奉天第六洞) 분동
- 봉천제4동 → 봉천제4동, 봉천제7동(奉天第七洞) 분동
- 사당제1동 → 사당제1동, 방배동(方背洞) 분동
- 사당제2동 → 사당제2동, 사당제4동(舍堂第四洞) 분동
- 관악구 신대방동 일부 + 대방제1동·대방제2동 일부 → 영등포구 편입
- 신길제6동(新吉第六洞) 신설
- 대방제1동 + 대방제2동 → 대방동 합동
- 신림제1동 → 신림제1동, 신림제5동(新林第五洞) 분동
- 신림제2동 → 신림제2동, 신림제6동(新林第六洞) 분동
- 신림제3동 → 신림제3동, 신림제4동(新林第四洞) 분동
- 영등포구 구로제3동(九老第三洞) 일부 → 신림제4동 편입
- 1977년 9월 1일 : 31동 → 35동
- 상도제3동 → 상도제3동, 상도제4동(上道第四洞) 분동
- 신대방동(新大方洞) → 신대방제1동(新大方第一洞), 신대방제2동(新大方第二洞) 분동
- 사당제1동 → 사당제1동, 사당제5동(舍堂第五洞) 분동
- 신림제3동 → 신림제3동, 신림제7동(新林第七洞) 분동
- 1978년 10월 10일 : 35동 → 38동
- 봉천제4동 → 봉천제4동, 봉천제8동(奉天第八洞) 분동
- 신림제4동 → 신림제4동, 신림제8동(新林第八洞) 분동
- 방배동 → 방배제1동(方背第一洞), 방배제2동(方背第二洞) 분동
- 1980년 7월 1일 : 18동 → 24동
- 봉천본동 → 봉천본동, 봉천제9동(奉天第九洞) 분동
- 봉천제2동 → 봉천제2동, 봉천제10동(奉天第十洞) 분동
- 신림제1동 → 신림제1동, 신림본동(新林本洞) 분동
- 신림제2동 → 신림제2동, 신림제9동(新林第九洞) 분동
- 신림제6동 → 신림제6동, 신림제10동(新林第十洞) 분동
- 신림제3동 → 신림제3동, 신림제11동(新林第十一洞) 분동
- 2008년 9월 1일 : 27동 → 21동
- 봉천본동 + 봉천제9동 → 은천동(殷川洞) 합동
- 봉천제1동 → 보라매동(보라매洞) 개칭
- 봉천제2동 + 봉천제5동 → 성현동(成賢洞) 합동
- 봉천제3동 → 청림동(靑林洞) 개칭
- 봉천제4동 + 봉천제8동 → 청룡동(靑龍洞) 합동
- 봉천제6동 → 행운동(幸運洞) 개칭
- 봉천제7동 → 낙성대동(落星垈洞) 개칭
- 봉천제10동 → 중앙동(中央洞) 개칭
- 봉천제11동 → 인헌동(仁憲洞) 개칭
- 신림본동 → 서원동(書院洞) 개칭
- 신림제1동 → 신원동(新源洞) 개칭
- 신림제2동 → 서림동(西林洞) 개칭
- 신림제3동 + 신림제13동 → 난곡동(蘭谷洞) 합동
- 신림제4동 → 신사동(新士洞) 개칭
- 신림제5동 → (신) 신림동 개칭
- 신림제6동 + 신림제10동 → 삼성동(三聖洞) 합동
- 신림제7동 → 난향동(蘭香洞) 개칭
- 신림제8동 → 조원동(棗園洞) 개칭
- 신림제9동 → 대학동(大學洞) 개칭
- 신림제11동 + 신림제12동 → 미성동(美星洞) 합동
[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2] 국군수송사령부가 수방사 바로 옆에 있지만 행정구역상 과천시이다.[3] 행정동 신림동 = 갑 / 나머지 신림동 = 을[P] [P] [P] [P] [P] [P] [P] [P] [P] [P] [P] [15] 법정동 신림동 내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고 관악구 전체에서도 청룡동과 은천동에 이은 3위이다.[16] 주소지는 금천구로 되어 있다.[P] [P] [P] [P] [21] 단지 내 주소지는 관악구와 동작구가 혼재되어 있다.[P] [P] [P] [P] [P] [27] 순서는 통계청 조사를 기준으로 하였음. 또 행정동 제도 실시 이전의 변천사는 제외하였음.[28] 경계 조정과 같은 자잘한 변화는 생략하였음에 유의. 다만 법정동의 폐지 등은 기재함.[29] 유일하게 안양리(安養里)만 신안양리(新安養里)로 이름을 바꾸고 안양읍으로 편입됨.[30] 시흥리(始興里)[31] 가리봉리(加里峯里), 독산리(禿山里)[32] 봉천리(奉天里), 신림리(新林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