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부산의 신도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신도고등학교(부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신도고등학교(부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신도고등학교(부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부산의 신도고등학교: }}}[[신도고등학교(부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신도고등학교(부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신도고등학교(부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대성고등학교 | ◈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 동명여자고등학교 | ◈ 선일빅데이터고등학교 | ||
| 선일여자고등학교 | 선정고등학교 | ◈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 ◈ 세명컴퓨터고등학교 | ||
| 숭실고등학교 | 신도고등학교 |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 ◈ 예일디자인고등학교 | ||
| 예일여자고등학교 | 은평고등학교 | ◈ 은평메디텍고등학교 | 진관고등학교 | ||
| 충암고등학교 | ※ 하나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서울특별시의 혁신고등학교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금옥여자고등학교 | 금호고등학교 | 도선고등학교 | 독산고등학교 | 배화여자고등학교 |
| 삼각산고등학교 | 한국삼육고등학교 | 선사고등학교 | 신도고등학교 | 신현고등학교 | |
| 인헌고등학교 | 효문고등학교 | 휘봉고등학교 | |||
| 푸른색 바탕은 남자고등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고등학교, 나머지는 남녀공학. | |||||
| 중학교 | 고등학교 |
| 신도고등학교 Sindo High School 新都高等學校 | |
| | |
| <colbgcolor=#24135a> 개교 | 2011년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남녀 공학 |
| 운영형태 | 공립 |
| 교장 | 강기만 |
| 교감 | 박수성 |
| 교훈 | 나를 알고 역사를 배우고 미래를 설계하자 |
| 상징 | 교목: 느티나무 교화: 진달래 교조: 독수리 |
| 학생 수 | 586명 (2025학년도 기준) |
| 교직원 수 | 78명 (2025학년도 기준) |
| 관할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961 (진관동) |
| 링크 | |
1. 개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이다.은평뉴타운 도시계획에 따라 2011년 개교한 학교이다.
'신도'라는 이름은 과거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 효자동, 창릉동, 대덕동, 화전동과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일대에 위치하던, 지금은 없어진 행정구역 명칭이다. 1928년 신도면 진관외리에서 개교했던 신은공립보통학교가 1937년 신도공립보통학교로 개칭, 이 후 몇 번의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서울신도초등학교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은평뉴타운 개발사업에 따라 서울 은평구 진관1로 77-23으로 이동하여 이름을 그대로 재개교 하게 되는데 , 당시 바로 옆에 개교하던 중학교와, 그리고 그 다음해에 개교했던 '이 고등학교'가 '신도'를 그대로 따라 쓴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과거 신도(神道)면과 당연히 같은 한자를 쓴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서울신도초등학교의 한자어는 2010년 재개교 당시 부터 '새로울 신(新)', '길 도(道)'로 고쳐쓰고 있으며, 신도중, 신도고등학교의 한자어는 '새로울 신(新)', '도읍 도(都)'로 과거 지역명인 '귀신 신(神)', '길 도(道)'와 다르다는 것이 서울시교육청의 공식 입장이다. 자세한 내용은 신도중학교의 교명 변경 논란을 참조 바람.
2017년 혁신학교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재지정되었다.
2. 학교 연혁
- 2011년 1월 13일: 신도고등학교 설립인가(33학급-특수3포함)
- 2011년 3월 1일: 김정일 초대 교장 취임
- 2012년 3월 1일: 교과부지정 자율형 창의경영학교 지정
- 2012년 9월 1일: 김희옥 제2대 교장 취임
- 2013년 3월 1일: 교과부지정 스마트교육 시범학교 지정
- 2014년 2월 13일: 제1회 졸업생(298명)
- 2016년 3월 2일: 송의열 제3대 교장 취임
- 2017년 3월 1일: 서울형 혁신학교 지정
- 2019년 2월 13일: 제6회 졸업식(287명)
- 2019년 3월 4일: 제9회 입학식(198명)
- 2019년 9월 1일: 이학섭 제4대 교장 취임
- 2020년 2월 14일: 제 7회 졸업식(217명)
- 2021년 3월 1일: 서울형 혁신학교 재지정
- 2023년 3월 2일: 제13회 입학식(224명)
3. 학교 상징
3.1. 교훈
나를 알고 역사를 배우고 미래를 설계하자[1]
3.2. 교조
독수리: 강인함과 불굴의 개척정신, 정의와 균형, 창공의 기상
3.3. 교화
진달래: 봄, 사랑 희망, 고결한 아름다움, 청렴, 절제, 소박 , 강한 번식력, 생명력
3.4. 교목
느티나무: 포용과 소통, 수호신, 아름다움
4. 학교 특징
본교 특징은 서울특별시의 혁신학교로 수업을 주로 하는것보다 여러프로그램을 수업하는 그런 활동을 한다, 그리고 타학교와 달리 본교는 학생들의 휴대폰을 안내는것으로 지정되었으며,고사기간이나 고사시간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따라 휴대폰 사용을 금지 시켰다.그리고 각 교실마다 c타입 또는 아이폰 충전기가 있다. 이 공약은 14대,16대 학생회가 내세운 공약이다. 그리고 와이파이는 본교 교직원이 수업활용 할때 이용하는 와이파이인데, 전교 학생들이 와이파이가 잡힌다며, 와이파이를 본교 전체가 쓰여지기로 했다. 근데 단점은 와이파이를 사용해도 LTE데이터 같이 통신이 느리고 사이트를 잘안들어 가지는 경우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교에서는 음료수 자판기가 있다.이것도 19년도 학생회가 내세운 공약이며 학생들이 자주 쓰는 자판기이다. 그렇지만 상점벌점표를 통해 음료수 2개나 뽑는 경우엔 벌점 처리가 될수 있다.
5. 학교 시설
- 에코숲: 학생들이나 교직원들이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 후에 걸어다닐수 있는 야외공간이다.
- 도서관: 수업시간에 많이 활용할수있는 공간으로, 쉬는시간이나 점심시간에 학생들이나 교직원들이 책을 읽을수 있는 조용한 공간이다.
- 2층로비:체육관에 나가면 앉을수 있는 공간이나, 서로 대화 나눌수 있는 공간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모여서 어떤 진로 활동이나, 수업활동을 할수 있는 공간으로도 쓰인다.
- 3층 홈베이스: 최근에 인테리어된 공간으로, 학생들이 자습시간으로도 쓰이고, 2층로비와 같이 함께 대화하며 나눌수 있는 공간이다.
- 체력 단련실: 본교장점은 체육거점학교로 예체능을 대학으로 갈려는 애들이 꽤나 있다. 그래서 예체능 학생들은 주로 체력단련실에서 운동하며, 체육시간에 수업을 활용하는 공간이다.
- 메이커 스페이스: 이 공간은 정규동아리 3D프린터 동아리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그이외엔 함부로 사용하면 안되는 공간이다.
- 장원전,집현전: 장원전 1,2학년 집현전은 3학년이 쓰는 공간으로, 조회 시작하기전, 종례 끝나기후에도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습을 할수 있는 공간을 마련 하였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 여우별: 매년 9월 초 부터 개최 하는 행사며, 각 정규 동아리가 운영 하는 부스, 학부모가 도와주는 음식 부스 총 9개의 부스로
7. 운동부
8.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
|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노선
통일로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 이용 가능한 버스노선이 매우 많다.||<-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중)
(12013·12014) ||
(12013·12014) ||
| 공항 | |
| 직행 | |
| 일반 | |
| 간선 | |
| 지선 | |
| 심야 |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은진초교입구·은뜨락도서관
(12445·12446) ||
(12445·12446) ||
| 간선 | |
| 지선 |
9.2. 철도
| | 구파발역 |
| 연신내역[4] | |
| |
10. 기타
- 교가는 당시 대성고등학교에 재직중이던 음악교사가 직접 작사, 작곡하였다.
- 부산신도고에선 신도초-신도중-신도고 트리를 많이 밟는다 하는데 여기는 신도초에선 90% 이상이 신도중을 가지만, 신도중에선 소수만 신도고로 진학한다.
- 2016년 입학생[5]들만 학생증이 카드가 아닌 종이코팅을 썼다. 그 이유는 2015년 입학생들까진 체크카드 학생증이였지만, 2016년부턴 계약이 종료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입학생부턴 플라스틱 카드로 나오게 된다.
- 체육거점학교라 헬스장이 있고 체육 관련 물품이 많다.
- 영화제작동아리 SD SLATE 와 연극동아리가 있었지만 현재는 학생수가 부족해지고 동아리를 이어갈 인물이 사라져 소멸되었다.[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