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13:43:31

더그(브롤스타즈)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더그(브롤스타즈)|{{{#!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름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017dda><colcolor=#fff>
숫자 ~ ㄹ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
ㅁ ~ ㅂ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
ㅅ ~ ㅈ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
ㅊ ~ ㅎ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
}}}}}}}}}
⠀[ 희귀도순 ]⠀
## 희귀도순 나열 시작
<colcolor=#fff><nopad>
기본
브롤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
<nopad> 희귀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
<nopad> 초희귀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
<nopad> 영웅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
<nopad> 신화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
<nopad> 전설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
울트라
전설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nopad> 기간
한정
[[버즈 라이트이어(브롤스타즈)|
파일:버즈 라이트이어_204x126.png
파일:토이 스토리 시리즈 로고.svg
버즈 라이트이어
]]
⠀[ 역할군별 ]⠀
## 역할군별 나열 시작
<colbgcolor=#017dda><colcolor=#fff>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탱커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어쌔신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서포터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컨트롤러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저격수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투척수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

}}} ||
관련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레코드 (구 마스터리) · 스킨 · 칭호메타 및 성능 · 템플릿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브롤스타즈의 70번째 브롤러
<rowcolor=#000,#fff> 코델리우스
#!if d1_2 != null
, [[|]]
더그
#!if d2_2 != null
, [[|]]
#!if d3_2 != null
, [[|]]




더그
DOUG
파일:더그_크기조정.png
<colbgcolor=#FF0000><colcolor=white> 등급 신화
역할군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서포터(SUPPORT)
코드 네임 Reviver
출시일 2023년 8월 1일
성우 오스틴 모렛[1]
플레이어 칭호 킹소시지


1. 개요2. 대사 목록3. 핀4. 스프레이5. 스탯6. 스킬
6.1. 특성 - 특수 공격 회복(SUPER HEALING)6.2. 일반 공격 - 스낵 어택(SNACK ATTACK)6.3. 특수 공격 - 추가 주문(SECOND SERVING)6.4. 가젯
6.4.1. 더블 소시지(DOUBLE SAUSAGE)6.4.2. 추가 머스터드(EXTRA MUSTARD)
6.5. 스타 파워
6.5.1. 패스트푸드(FAST FOOD)6.5.2. 셀프 서비스(SELF SERVICE)
6.6. 하이퍼차지 - 무료 토핑
7. 성능
7.1. 장단점7.2. 변천사7.3. 모드별 평가
8. 상성9. 세팅10. 추천 조합11. 스킨
11.1. 기본 스킨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드래곤 더그(DRACO DOUG)11.2.2. 기사 더그(KNIGHT DOUG)
11.3. 기간 한정 스킨
11.3.1. 대양의 노장 더그(MAN-O-WAR DOUG)
12. 업데이트 내역13. 기타

1. 개요

파일:기여미더그.png
Come at me, bro!
덤벼 봐, 친구!
Doug's hot dogs will extend your friends' shelf life.
먹으면 힘이 솟아나는 든든한 핫도그, 한 입 드실래요?
버즈 이후로 무려 거진 2년 만에 나오는 밸로시래피드 트리오의 2번째 멤버다. 이름은 핫도그더글러스(Douglas)라는 영미권 이름의 애칭 '더그(Doug)'를 동시에 가리키는 언어유희로 보인다.

2. 대사 목록

YoDude, Bro 등을 많이 사용한다.[2]
Dude, I'm not a fighter, I'm a floater.
친구, 난 한판 뜨는 사람이 아니라 물에 뜨는 사람이라고.
Going in at the deep end, my dudes.
깊이 들어가보자고, 친구들.
Let's dive into this splashy showdown.
물 튀기는 결전 속으로 뛰어들어보자.
Yo! Be prepared, for some mildly effective life guarding.
요! 약간 효과적인 인명 구조 볼 준비는 됐겠지?
Come with me, little swimmers. Time for an adventure!
날 따라와, 작은 수영 선수들. 모험을 떠날 시간이야!
Yo! I got the munchies.
요! 나 간식이 좀 있는데.
Whoa, my dudes!
여어, 친구들!
Yo, where my peeps at?
요, 내 친구들은 어딨냐?
Come at me, bro!
덤벼 봐, 친구!
리스폰 시 대사
Ay, check it out! I got more moves than a synchronized swim team!
야, 나 좀 봐! 수중 발레단보다도 춤 잘 춘다고!
Riding the wave of victory, Brohemians[3]!
승리의 파도를 타는 중이야, 보헤미안 친구들!
I dived into battle and came out splashing!
난 전투 속으로 다이빙해서, 물보라를 튀기며 나왔지!
I'm jammin', bro!
나 즐기는 중이야, 친구!
My milkshake brings all the kids to the pool![4]
내 밀크쉐이크는 모든 아이들을 수영장으로 불러모으지!
Eh, light work.
에, 손쉬운 일이네.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I'm only here for the sunscreen!
난 그냥 선크림만 가지러 온 거야!
Stay chill, bro.
진정하라고, 친구.
Ugh, let's just hang.
으, 같이 놀러나 가자.
Feelin' the salt crunch!
소금 덩어리가 씹혀!
Go easy, keep it cheesy.
서두르지 말고, 치즈-하게 가자고.
Dude![5]
형씨!
Ay, take it easy, bro.
이봐, 진정해, 친구.
Ay!
야!
It's not that serious, bro!
그렇게 심각한 거 아니야, 친구!
피격 시 대사
Ay, kiddie pool? Other way.
야, 어린이용 수영장은 다른 쪽이야.
Ohh, the tide is turning![6]
오우, 상황이 역전되는군!
Just when you thought it was safe, I arrived!
네가 안전할 거라고 생각하자마자, 내가 등장했지!
Splash damage!
스플래시 대미지!
Don't choke on your food, bro!
목에 걸리지 않게 조심해, 친구!
Snack attack![7]
간식 공격!
Mmm, keepin' it crispy.
으으음, 바삭함을 유지하는 중.
Eh, easy pickings.
에, 손쉬운 일이네.
Dude, that was clutch!
야, 그거 아슬아슬했어!
적 처치 시 대사
Uhh, think I left my sunscreen home!
어어, 집에 선크림 두고 온 거 같아!
Nope, not feelin' it.
아니, 별로 안 내키네.
I'm like toast, with no jam.
난 잼 없는 토스트일 뿐.
Like a burnt chicken nugget.
마치 타버린 치킨 너겟 같아.
Ay, gotta get credit where due.
야, 인정할 건 인정해줘.
Ahh, snack break.
아아, 간식 타임이야.
Taking that L.
패배를 받아들일게.
Duuuude![8]
혀어어어엉씨!
Why me, bro?
왜 난데, 친구?
Ohh, that was not my moment.
오, 방금 그건 내 실력이 아니었어.
사망 시 대사
Hot-Doug!
핫-더그!
Haha! Food fight!
하하! 음식 싸움이다!
Sausage of salvation!
구원의 소시지!
Protein power!
단백질 파워!
You've been served!
서빙되었습니다!
Munch the meaty goodness, bro!
고기의 영양분을 먹어봐, 친구!
Haha! Devour the dog!
하하! 핫도그를 먹어치워!
Mighty meat treat that'll keep you on your feet!
널 쓰러지지 않게 해줄 강력한 고기 간식!
Daggy dog!
너저분한 핫도그!
All toppings!
토핑을 몽땅 넣었어!
A wiener is you![9]
승리를 향해 쏘시지!
No! Don't be a whiner, have a wiener!
아냐! 투덜대지 말고, 소시지를 먹어봐!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rowcolor=#ffffff>
{{{#!folding [ 핀 목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ffffff> 핀 상태 희귀도 대사
파일:Doug_Pin-Neutral.webp Neutral
일반
Come with me, little swimmers. Time for an adventure!
파일:Doug_Pin-Happy.webp Happy
일반
Riding the wave of victory, Brohemians!
파일:Doug_Pin-Sad.webp Sad
일반
Why me, bro?
파일:Doug_Pin-Angry.webp Angry
일반
Hey, take it easy bro.
파일:Doug_Pin-GG.webp GG
희귀
Mmm, keeping it crispy.
파일:Doug_Pin-Clap.webp Clap
희귀
박수 소리
파일:Doug_Pin-Thanks.webp Thanks
영웅
Dude, that was clutch!
파일:Doug_Pin-Phew.webp Phew
영웅
Ugh, let's just hang.
파일:Doug_Pin-Special.webp Special
영웅
My milkshake brings all the kids to the pool!
파일:Doug_Pin-Facepalm.webp Facepalm
컬렉터
- }}}}}}

4. 스프레이

<rowcolor=#ffffff> 스프레이
파일:spray_doug.png

더그의 얼굴과 물방울이 그려져 있다.

5.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fff><tablecolor=#000000><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파일:Icon_health.png HP || 이동 속도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5000 빠름
(770 = 2.4타일/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5500
3 6000
4 6500
5 7000
6 7500
7 8000
8 8500
9 9000
10 9500
}}}}}}}}} ||
11 10000

전체적인 능력치는 서포터보다는 탱커에 가깝다. 특수 공격 사용 시 11렙 기준 기대 체력이 20000까지 상승하지만, 일반 공격의 짧은 사거리로 인해 실질 체력은 이보다 적다고 생각하면 좋다.

6. 스킬

6.1. 특성 - 특수 공격 회복(SUPER HEALING)

파일:Icon_Ability.png 특성
파일:Traits-Super_Healing.png HP를 회복하면 특수 공격을 충전합니다.
2025년 6월 패치로 추가된 특성. 베리의 특성을 그대로 가져왔다.

다른 브롤러들을 회복시키면 특수 공격이 찬다. 베리와 마찬가지로 2번째 스타 파워로 자신을 회복해도 특수 공격이 소량 충전된다.

6.2. 일반 공격 - 스낵 어택(SNACK ATTACK)

파일:skill-attack_new.png <colcolor=#000000> Fresh food for friends, expired for others. Heals allies and damages enemies the closer they are to you.
아군에게는 건강한 스낵을, 적에게는 상한 스낵을 줍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1200 ||<width=25%>치유량
600 ||<width=25%>사정거리
근거리(3.33타일) ||<width=25%>재장전 속도
보통(1.5초) ||
특수 공격 충전량: 21%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치유량
<colbgcolor=#005090> 1 1200/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1320/660
3 1440/720
4 1560/780
5 1680/840
6 1800/900
7 1920/960
8 2040/1020
9 2160/1080
10 2280/1140
}}}}}}}}} ||
11 2400/1200 }}}}}}

재키처럼 원형으로 공격하며, 범위 내에 아군이 있을 경우 피해량의 절반만큼 회복시킨다.[10]

전체적으로 재키와 비슷한 일반 공격이기에 많은 장단점을 공유한다. 순간적으로 360° 전방위를, 그것도 벽을 넘어서까지 공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지만 그 3탄창 안에 적을 처치하지 못하면 도리어 자신이 위험해진다는 단점도 지녔다.

바이런의 경우와 비슷하게 더그 또한 공격보다는 아군 회복에 더 집중하는 것이 좋다. 그나마 바이런은 사거리라도 길지만 더그는 사거리가 매우 짧은 편이기에 더더욱 그렇다.

2024년 2월 전까진 세밀한 거리 비례까지 가져서[11] 실질 화력이 훨씬 더 떨어졌었지만, 패치 후 거리와 관계없이 최대 피해량을 주거나 최대 회복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변경됐다.

대미지는 재키가 1240. 더그가 1200 으로 낮지만 재장전 속도가 빨라서 재키 보다 DPS와 근접 시 킬 결정력이 높다.

6.3. 특수 공격 - 추가 주문(SECOND SERVING)

파일:Super_image1.png <colcolor=#000000> A special spiced up hot dog for a target ally or Doug himself. When a buffed brawler is defeated they will come back with 100% health after a short delay.
아군이나 더그 자신을 위한 매운맛 핫도그를 준비했습니다. 효과를 받은 브롤러가 처치되면, 잠시 후 100%의 HP를 가지고 부활합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사정거리
초장거리(9.33타일) ||<width=25%> ||<width=25%> ||<width=25%> ||
핫도그 유지시간: 5초
부활에 걸리는 시간: 2초

핫도그를 던지거나 자신이 먹는다. 거스처럼 아군이나 자신에게만 효과가 적용되며, 조준하면 아군에게 먹일 수 있고 오토 에임으로 자신이 먹을 수 있다. 아군에게 던질 때에는 미플의 일반 공격처럼 유도 판정이 들어가 있다.

핫도그를 먹으면 5초 동안 위에 핫도그 표식이 남는데, 만약 이 표시의 시간이 지나기 전 죽으면 2초 뒤 100%의 체력으로 부활한다!

거스와 비슷한 방법으로 운용하게 되지만 거스보다 효과를 보기 어렵다. 일단 100%의 HP로 무적 보호막도 없이 부활하는 특성상 적진 한가운데나 독구름 안에서 죽었을 경우 부활하자마자 바로 죽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12] 고로 8비트나 비가 한때 가졌던 추가 목숨처럼 생각하면 안 된다.

아군에게도 쓸 수 있긴 하지만 투사체 판정이 좋지 않은 편이였기에 더그 자신에게 쓰는 경우가 많았다. 이 문제는 2025년 6월 업데이트로 특수 공격이 유도탄으로 바뀌며 해결되었다.

핫도그를 먹고 죽을 시에는 젬이나 파워 큐브를 떨구지 않기 때문에 젬 그랩이나 바운티 같은 특정 팀원이 오브젝트를 여러 개 들고 있을 수 있는 모드에서도 매우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여담으로 지속시간 지나기 전에 죽으면 처치 시 발동되는 스타파워 등이 발동되지 않으며, 데스ㆍ킬로 판정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특수 공격으로 여러 번 죽고 부활해도 그 판에서 한번도 죽지 않았다면 0데스(!)이렇게 뜬다. 매커니즘이 특이한 편.

6.4. 가젯

6.4.1. 더블 소시지(DOUBLE SAUSAGE)

파일:doug_gadget_01.png <colcolor=#000000> The next Snack Attack only heals allies but doubles the amount.
다음 일반 공격이 아군을 치유하기만 하는 대신 치유량이 두 배가 됩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15초

사용 시 다음 일반 공격이 적에게 피해를 주지 못하는 대신 치유량이 2배로 증가한다.

더그 자신의 전투 능력보단 팀 서포팅에 더 중점을 둔 가젯. 이 가젯을 쓰면 만렙 기준 2400의 힐을 할 수 있다. 2400이라는 힐량은 죽어가는 유리대포 내지는 저체력 브롤러를 구제할 만큼 준수한 힐량을 보여준다.

버그인지 의도인지 알 수 없으나 2번째 스타 파워 '셀프 서비스'의 자가 회복량도 2배가 된다.

2024년 2월 밸런스 조정으로 더그의 일반 공격이 거리에 상관없이 무조건 최대 데미지, 힐량을 주게 조정되면서 이 가젯도 간접 버프를 받았다. 그러나 버그로 판명돼 3월 5일 패치로 회복량이 롤백됐다. 현재는 2가젯에 비하면 계륵 같은 취급을 받고 있다.

그러나 더그가 아군에게 힐을 줄 시 특수 공격이 충전되는 특성을 가지면서 재평가가 되었는데, 2배의 치유량을 주면 특수 공격도 2배로 차기 때문에 1가젯 착용 시 말도 안되는 특수 공격 순환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현재는 그냥 취향 차이인 가젯이 되었다.

6.4.2. 추가 머스터드(EXTRA MUSTARD)

파일:doug_gadget_02.png <colcolor=#000000> The next Snack Attack only damages enemies but doubles the amount.
다음 일반 공격이 적을 공격하기만 하는 대신 피해량이 두 배가 됩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15초

사용 시 다음 공격이 아군을 치유하지 못하는 대신, 대미지가 2배가 된다. 피해량뿐만 아니라 특수 공격 충전량도 2배로 늘려준다.

더그의 변수 창출력을 향상시켜주는 좋은 가젯이다. 더그의 애매한 공격력을 커버해주며 근거리에서 폭딜을 넣거나[13] 근접 암살자들을 역관광시킬 수 있다. 부쉬에서 이 가젯을 활성화시킨 뒤 기습하는 플레이도 강력하다.

1가젯과 비교하면 가젯을 쓰는 대신 일반 공격을 2번 적중시키는 걸로 충분하며, 팀원을 1가젯으로 회복시키는 것보단 적을 2가젯으로 끊어주는 것이 훨씬 교전에 도움이 되기에 2가젯의 범용성과 성능이 더 뛰어나고 평가받는다. 다만 더그가 리워크되면서 1가젯이 재평가를 받자 2가젯의 픽률이 줄어든 편이다.

6.5. 스타 파워

6.5.1. 패스트푸드(FAST FOOD)

파일:doug_starpower_01.png <colcolor=#000000> When Doug revives an ally successfully, he will heal for 100% of his max health.
더그가 아군을 성공적으로 부활시키면, 최대 HP의 100%를 회복합니다.
아군이 부활했을 때 더그의 HP를 풀피로 채워준다.

이 스타 파워의 회복 효과로도 특수 공격을 채울 수 있다. 공격적인 아군에게 사용할 경우 특수 공격을 자주 돌릴 수 있게 되어 팀의 전반적인 유지력이 상승하는 강력한 스타 파워.

영어 이름인 fast food는 인스턴트 음식 등을 나타내는 영단어 fast food와 '빠르다'라는 뜻은 가진 fast를 합친 말장난이다. 스타 파워의 효과와 크게 어울리는 이름은 아닌데, 이는 리메이크 이전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리메이크 이전 #=====
파일:doug_starpower_01.png <colcolor=#000000> Resurrected targets gain increased movement speed for 3 seconds after being resurrected.
부활 직후 3초간 부활한 브롤러의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

설명 그대로 부활 직후 3초 동안 부활한 브롤러의 이동 속도가 +100만큼 빨라진다.

적진 한복판에서 부활할 수도 있는 특수 공격의 특성을 고려해보면 그리 나쁜 스타 파워는 아닌 듯 보였으나, 효과가 크게 체감되지 않고 일반 공격을 쓸 때마다 발동이 되는 2번째 스타 파워에 비해 유지력이 크게 떨어져 사용률이 매우 낮았다.

결국 저조한 사용률로 인해 브롤 토크에서 리메이크가 예고되었으며, 2025년 6월 패치로 위의 능력으로 리메이크되었다.

6.5.2. 셀프 서비스(SELF SERVICE)

파일:doug_starpower_02.png <colcolor=#000000> Snack Attack also heals Doug by 480.
스낵 어택이 480만큼 더그 자신도 치유합니다.

공격할 때마다 자기 자신을 치유한다. 발리의 '메디컬 알코올' 스타 파워와 유사하다.

만렙 기준으로 치유량은 480, 3탄창을 다 쓴다면 1440이 된다. 더그 자신의 체력이 만렙 기준 무려 10000으로 매우 높아서 체감상 매우 적게 느껴진다.

근접 브롤러임에 불구하고, 근접 교전력이 별로 좋지 못하며[14] 애초에 근접으로 접근하기 전에 체력이 다 닳는 더그에게 이 능력 자체는 좋은 능력이다.

주의할 점은 자기 자신을 치유한다고 맨바닥에다 일반 공격을 난사해댄다면 심각한 탄창 부족을 겪을 수 있다. 무지성으로 쓰지 말고 조절해서 쓰자. 또한 체력이 많이 깎였을 경우는 일반 공격으로 회복하기보단 자연 치유를 하는 게 훨씬 빠른 경우가 많고 근접 브롤러인 더그 특성상 지속적인 교전 중 체력을 회복하여 회복 시간 동안 딜로스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역할보다는 난전, 특히 다대다 상황에서의 변수 창출용으로 더욱 잘 쓰이는 스타 파워이다. 때문에 성능이나 픽률이 첫 번째 스타파워보다 더 높다.

파워 큐브를 먹어도 해당 스타파워의 효과는 증가하지 않는다.

특성에 의해 이 스타 파워로 회복 시 특수 공격이 소폭 충전된다.
최근 1스파가 리워크되면서 성능이 좋아짐에 따라 가젯과 마찬가지로 취향 차이인 스타파워가 되었다.

6.6. 하이퍼차지 - 무료 토핑

파일:하이퍼차지.png <colcolor=#000000,#ddd> Doug's Snack Attack is also mirrored for the ally buffed with the Second Serving.
일반 공격의 효과가 특수 공격으로 부활한 아군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파일:brawler_speed_icon.png
속도
+25%
파일:skill-attack_new.png
피해량
+25%
파일:brawler_shield_icon.png
보호막
+5%
한국어 번역이 다소 잘못되어 있는데, 정확히는 '부활시킨 아군'이 아니라 '던진 핫도그를 받은 아군'이다. 즉 아군이 반드시 죽었다가 부활해야만 효과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부활한 아군은 핫도그가 없기 때문에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더그가 일반 공격을 사용하면 핫도그를 받은 아군의 위치에도 더그의 일반 공격이 사용된다. 자넷이 특수 공격을 사용한 상태처럼 체공 상태일 때도 적용된다.

공격 타이밍 등 능동성만 더그 자신에게 있고 판정은 핫도그를 받은 아군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듀오/트리오 쇼다운에서 더그와 아군의 파워 큐브 개수 차이가 난다면 핫도그를 준 더그가 아닌 핫도그를 받은 아군의 파워 큐브만큼 피해량이 증가한다. 더그가 셀프 서비스 스타 파워를 장착 중이라면 핫도그를 받은 아군도 480씩 체력을 회복할 수 있고, 반대로 핫도그를 받은 아군 근처에 더그 자신이 있다면 더그 자신도 1200만큼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더그 자신에게도 자신의 것인 일반 공격이 나가므로 옆에 있는 아군도 1200 체력을 회복할 것이다.

평가는 꽤 좋은 편으로, 비록 팀합이 좋아야 최대 포텐셜을 뽑아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좋은 실력을 가진 아군과 조합하면 한번에 적진을 쓸어버릴 수 있는 하이퍼차지로 평가받는다. 일반적으로 모티스나 엘 프리모, 대릴 등 적진으로 직접 뛰어드는 스타일의 브롤러와 궁합이 좋으며, 하이퍼차지 자넷과 조합 시 무시무시한 성능을 보여준다

7. 성능

포코와 재키를 적절히 섞은 단거리 광역 힐탱 타입의 브롤러로, 부활이라는 독창적인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어 여타 서포터와 차별화된다. 포코, 팸의 뒤를 이은 탱힐러. 그 중에서도 근접 브롤러라는 점 때문에 공격적으로 운용을 하려면 탱커(TANK)로, 수비적으로 운용한다면 아군 라인에서 힐탱포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공격범위가 그리 넓지 못한 탓에 툭하면 아군끼리 뭉쳐다니는 일이 많다보니 광역 공격이 강한 브롤러에겐 필연적으로 취약해진다.[15] 이 경우를 제외하면 사실상 체력도 탱커급으로 많은데 힐량도 걸어다니는 팸의 터렛이나 마찬가지인데, 맵이 잘 맞으면 라인을 지키는 능력은 강력하다. 거기에 더해 부활 능력 덕분에 본인의 탱킹력을 두 배로 늘리거나, 아군을 슈퍼세이브 시킬 수 있어서 특정 상황에서는 웬만한 힐러 이상의 유틸성을 보여준다.

다만 부활이 결정적인 순간에서만 활약하기에 견제가 잘 되는 상황에선 딱히 부각되는 일이 없고, 사거리가 짧으면서 탱커 브롤러도 아니라 특수 공격을 맞으며 채울 수가 없기 때문에 특수 공격을 채우려면 아군과 붙어다니면서 함께 적진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 이러다보니 결정적으로 모든 장점을 씹어먹는 최악의 기동성이 발목을 잡는다. 기본 이속이 빠름이긴 하나 적에게 붙어야 하니 개활지는 나서지도 못하고 거의 벽이랑 부쉬에 붙어 지내야 할 지경이다.

부활의 지속시간이 한정적이고 팀과 합이 맞지 않으면 핫도그를 말 그대로 맨땅에 던져버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서포트로 활용한다면 발동 타이밍 잘 고려해야 하지만, 개인만으로 활용해도 나쁘지 않은 시너지를 발휘한다. 체력도 강력한데 2스파까지 들면 자힐도 가능한 데다, 자가부활까지 갖춰서 실질적으로 200% 이상의 체력을 가진 거나 다름없기 때문이다.[16]

아군을 치유하는 것으로도 특수 공격을 채울 수 있게 리워크된 이후론 팀원에게 달라붙어 치유만 박아넣어도 밥값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더그는 난전이 이루어지는 중근거리 브롤러들을 상대로 진가를 발휘하며 장거리 브롤러가 널린 무대에선 그냥 힐링 셔틀 외에 아무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팀원과의 조합을 잘 고려해야 하며, 주기적으로 팀원에게 달라붙어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

7.1. 장단점

장점
  • 특수 공격의 변수 창출력
    더그의 특수 공격은 그 자체로도 엄청난 능력인 부활이기 때문에 팀원을 살려 세이브 하거나 직접 들어간후 특수 공격을 써서 적진을 붕괴시키는등 무궁무진한 활용이 가능하다. 더그의 부활은 사망 처리를 하고 리스폰되는 방식이 아니라 체력이 0이 되는 순간 맵에서 잠시 숨김 처리됐다가 100%의 체력 회복을 받은 후 다시 등장하는 방식에 가까워서 젬 그랩 보석을 흘리지 않으며 쇼다운 큐브도 잃지 않는다.

  • 조건부로 2개가 되는 목숨
    더그의 특수 공격이 발동되면 100%의 체력으로 부활한다. 기본적으로 더그의 체력이 탱커급으로 높은데다 공격 시 자가 회복을 하는 셀프 서비스 스타 파워로 인해 실질 체력은 더욱 더 상승한다. 이로 인해 부활한 더그는 브롤러 체력 1위인 프랭크를 훨씬 상회하는 탱킹력을 지닌다. 이 맷집을 바탕으로 적진 근처에서 깔짝거리며 특수 공격을 지속적으로 채울 수만 있다면 불사조처럼 계속해서 부활하며 엄청난 양의 어그로와 대미지를 받아낼 수 있다.


  • 강력한 진형 유지력
    8비트나 팸 처럼 뭉치는 진형을 유지할 때 일반 공격 1회 당 11레벨 기준 1200 힐을 주고, 3탄창을 연속으로 썼을 때 3600이라는 준수한 힐량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더그 본인도 든든한 맷집을 보유하고 있어서 고기 방패 역할도 잘 해내어 은근히 세이브 능력이 좋은 편이다. 장전 속도도 나쁘지 않아서 유사 힐링 터렛처럼 운용할 수도 있다.

  • 매우 강력한 근접전
    더그의 두번째 가젯은 사용 후 다음 일반 공격이 자신[다만]과 팀원에게 힐을 주지 않는 대신 공격력을 무려 두배로 뻥튀기 해주기에 만렙 기준 무려 4800이라는 극강의 단발 공격력을 바로 때려 박을 수 있다. 그래서 더그가 할 수 있는 것들을 더 강화해주거나 추가해줘서,[18] 근접에 성공해서 상대 팀원이 근접에 정말로 강하거나[19], 또는 CC기를 부어 막는 게 아니라면 사실상 그 상황에서 더그를 이기는건 불가능이 가깝다.[20]
단점
  • 매우 저조한 기동성, 이로 인한 최악의 중~원거리 대응력
    더그의 모든 장점을 씹어먹는 최대 단점이자, 파격적인 리워크를 받았음에도 1티어에 오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굉장히 짧은 사거리를 가지고 있는 근거리형인데도 이동속도가 평이하고[21] 이동기도 없는 굉장히 이례적인 브롤러다.[22] 두 스타 파워와 가젯 전부 기동성과는 관련이 없다. 애초에 암살자처럼 기초 이속이 크게 빠른 것도 아니고 크로우나 로사의 2가젯처럼 적을 붙잡아 둘 수 있는 수단을 가진 브롤러도 아닌데 이러한 단점은 너무 뼈아프다.

  • 높은 팀원 의존도
    위의 단점에서 이어지는 단점이다. 더그는 지형이 받쳐주지 않는 이상 그냥 공룡 모양 과녁에 불과하며 2가젯을 제외하면 매우 방어적인 스킬셋이기 때문에 더그의 지원을 받으면서 전투를 해줄 팀원 조합이 중요하다.

  • 유리한 상성이 적음
    위의 단점들이 합쳐져서 나오는 단점. 더그는 중~원거리 대항능력이 0에 수렴해서 데미지가 허약한 일부 브롤러들 빼고는 저격수, 중거리, 그 외의 장거리 브롤러들에게 극도로 불리한 상성을 지녔다.[23] 이들을 제외하면 남은 역할군은 암살자나 탱커밖에 없는데 그렇게 자랑하던 내구력과 근접전 능력도 탱커 기준에서 봤을땐 그닥 뛰어나진 않다. 그래도 거리별 데미지 삭제 이후로는 같은 근접 브롤러와의 대면에서 2가젯과 부활을 쓰면 유리하게 교전할 수 있어서 조금 나아졌지만 다른 탱커들도 버프를 먹어서 이젠 탱커 상대로도 유리한 상성이 거의 없다. 남은 건 암살자뿐인데 그마저도 근접전만 하는 브롤러들 뿐.

  • 단점을 보완하지 않는 스타파워와 가젯
    해당 단점은 첫번째 단점 부분을 다시 서술하는 부분도 있지만, 어찌보면 더그의 설계를 비판하는 부분이기도 한데, 더그는 근접 딜러와 탱커, 힐러, 그리고 특수 공격을 통한 부활 메커니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라는 스타일로 설계되었다. 다만 근접 브롤러임에도 적에게 접근할 수단을 주는 스타파워나 가젯이 하나도 없다. 가젯은 더그의 일반 공격만 서로 정반대의 스타일[24]로만 찍 강화시켜 놓은 게 끝이다. 즉 스타파워, 가젯 모두 의존도는 있지만, 있어도 더그의 고질적인 단점을 하나도 보완시키지 않는다.

7.2. 변천사

브롤토크 공개 시에는 재밌는 브롤러가 될 것 같다는 평이 많지만 성능은 구데기일 것 같다는 평이 대다수였다. 그러나, 업데이트 미리보기 후 평가는 안 좋은 편인데, 근접 브롤러인데 당시에는 거리마다 대미지가 다르게 들어갔었다. 2~3단계도 아니고 무려 6단계로 세세하게 구분되어 있었다. 사실상, 행크의 특수 공격처럼 겹쳤을 때 공격하지 않으면 딜이 제대로 안 나오는 셈. 또, 부활 매커니즘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이 대다수다.[25]

게다가 사거리가 심각하게 짧은 주제에 기본 이속이 빠름이고 이동 능력을 강화해주는 수단이 첫번째 스타파워 '패스트 푸드'를 제외하고는 전무하고, 그렇다고 일반 공격 적중 여부 없이 특수 공격을 충전시킬 수단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활용이 불가능한 것은 당연하고, 기껏 모은 특수 공격을 아군에게 쓰자니 맞추기가 어렵고 자신에게 쓰자니 또 특수 공격 셔틀이 되는 애물단지 같은 상황이다. 기본 스펙부터 힐과 부활 능력을 챙긴 대신 딜과 기동성을 깎은 애매한 스킬셋이라 버려질 수밖에 없다.

결국 정식 출시 이후, 당시 최악의 브롤러라고 평가받았던 행크를 능가하는 압도적인 최하위권 브롤러로 평가 받으면서 유저들 사이에서 금방 버려졌다. 애당초 브롤스타즈 같이 스킬셋이 일반 공격-가젯[26]-특수 공격(+하이퍼차지)으로 한정되었기에에 근거리/원거리 여부에 따른 캐릭터들의 스킬셋에 따른 컨셉이 명확하고, 노 디메리트 카이팅이 가능한 하이퍼 AOS게임들 중에서도 나름 움직임이 활발한 데다 더그 같은 스킬셋을 가지고 있으면 그 어떤 브롤러라도 근접에서도 애매한데 중원거리 대처 능력이 전무하기 때문에 절대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27]

이와 별개로 특수 공격 충전량이 묘하게 낮아서 특수 공격을 99%까지 채우고 죽는 거슬리는 상황이 자주 생겨서 이에 불만을 표하는 유저들이 대다수다. 또한 스타 로드에서 체스터 등의 전설 브롤러 중 더그로 교체하여 바로 얻을 경우 그만큼 크레딧이 까이는 게 정상이지만, 까이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다. 결국 공짜로 얻었다는 소리.[28]

다만 더그는 아직 출시 초기이며, 매커니즘 또한 특이한 브롤러이기 때문에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 탱커+힐러라는 특성은 브롤스타즈 내에서 그나마 팸 정도밖에 없었으므로 연구가 필요한 것은 맞다.

슈퍼셀 또한 유저들의 평을 인지했는지, 엄청난 버프를 받게 되었다. 체력이 미량 증가했으며, 특수 공격이 벽을 관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부활했을 때 얻는 체력의 양이 100%로 증가하여 말 그대로 부활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단점이 명확해서 높게 치는 유저는 4티어 높지 않게 치는 유저들은 5티어로 치는등 유저들 간의 평가가 다소 갈리는 편이다.

이후 2023년 10월 업데이트로 특수 공격이 다시 버프를 받았는데 아군에게 주기 힘들었다는 점을 인지했는지 특수 공격의 투사체 폭이 전보다 4배 더 넓어졌고, 사거리도 더욱 길어졌다. 이로 인해 특수 공격이 비슷한 거스의 특수 공격과 완벽히 같은 사거리와 폭을 가졌고, 아군에게 특수 공격을 전해주기도 조금 쉬워질 듯 하다.

하지만 애초에 더그는 아군에게 특수 공격을 쓰기가 힘들고 보통 자신에게 쓰는게 대부분인지라 평가는 딱히 오르지 않았다. 다른 탱커 브롤러들과 마찬가지로 피격 시 특수 공격 충전이나 아군이 근처에 있을 시 특수 공격 충전 등의 특성을 줘야한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 최악의 브롤러로 불리던 에드거가 고인을 탈출하여서 더그는 에드거로부터 현메타 최악의 브롤러 타이틀을 물려받았다. 프랭크와 함께 5티어에 있다.[29]

이후 더그의 암울한 상황을 인지하였는지, '24년 2/27 패치로 다음 밸런스 패치로 버프를 받게 되었다. 이제 일반 공격이 거리에 상관없이 최대 데미지, 힐을 주게 될 수 있게 변경되었다. 이 버프로 이제 재키의 일반 공격처럼 고정 데미지로 변경됐기 때문에 조합에 따라서 티어가 오를 것 같다는 의견이 대다수다. 그만큼 성능이 좋아졌다는 뜻.

심지어 2/29 버그 픽스[30] 당시 치유량이 데미지와 동일해졌기 때문에 아군을 보조하는 서포터로서는 최상급의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덕분에 5티어에 쳐박혀 있던 더그가 1티어급으로 평가받을 정도로 신분이 급상승했다. 해당 패치로 이전에는 불리했던 근접형 브롤러들을 상대하기 더욱 유리해진 것은 덤.[31]

그러나 치유량 수치는 버그였어서 바로 다음 서버 점검 기간인 3월 초 패치에 버그를 수정하며 치유량을 도로 롤백했고, 이제 예전처럼 아군에게 폭힐을 넣으면서 보조해주는 것이 불가능하여 입지가 다소 줄어들었다[32]. 랭커들에겐 다시 프랭크, 행크와 더불어 5티어로 평가받고 있다.[33]

그리고 '24년 4월 말 패치로 같이 밑바닥이던 행크가 나름 혁명적인 버프[34]를 받은 반면, 본인은 프랭크랑 같이 아무런 버프를 받지 않았다.

6월 말 패치에서도 아무런 버프를 받지 못했고, 오히려 극카운터였던 프랭크, 체스터 등의 브롤러가 성능이 좋아짐에 따라 입지는 더욱 떨어졌다. 고인 브롤러인 셈.

7월에는 새로 나온 신규 브롤러 베리가 일반 공격이 더그와 아예 메커니즘이 똑같다. 거리 비례도 없고 투척형으로 장판을 깔아서 상위호환인 건 덤. 그나마 더그가 유리한 건 체력밖에 없다. 다만, 베리는 일반 공격 장판으로도 본인을 100% 치유할 수 있지만, 더그는 오직 2스파만으로 만렙 기준 한 번에 고작 480밖에 자가 회복 수단이 없다. 심지어 베리는 더그에게 없는 힐을 줄 때마다 특수 공격을 채우는 특성이 있어서 더그보다 여러 면에서 매우 뛰어나다.

그러나 8월 19일에 출시된 더그의 신규 스킨 대양의 노장 더그에 일반 공격 치유량이 두배가 되는 버그가 있어 성능이 크게 상승했고 다시 호황기를 누리고 있다. 아예 뒤에서 힐만 해도 1인분은 기본으로 하는 수준이다.

28일 버그가 수정되어 다시 5티어가 되었다. 아군에게 힐을 줄 시 특수 공격을 충전하는 패시브 능력을 줘야 한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

그렇게 최하위권에 위치하고 있던 도중, 브롤스타즈 관계자를 통해 직접 더그에 대한 계획이 있다라는 말이 나왔다. 입지 상승을 기대해볼만 하다.

현재의 처참한 성능과는 별개로, 2024년 월드 파이널에서 딱 한번 픽되어 승리해 1전 1승으로 승률 100% 브롤러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35]

하지만 일반 게임에서의 입지는 여전히 가히 최악의 수준으로, 파이퍼, 안젤로, 등의 단발혈 저격수 상대로 짐꾼으로 우위를 점할 수라도 있는 미스터 P, 성능 자체는 그럭저럭 쓸만한데다 버프까지 받은 애쉬와 달리 더그는 그런 것도 없기 때문에 전 브롤러 꼴찌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2025년 1월 9일 피자 플래닛 상점에서 신규 영웅 브롤러인 미플이 출시되었는데, 더그의 특수 공격으로 부활한 미플이 '미플의 저택' 가젯을 무한으로 발동시킬 수 있는 버그가 있어 미플더그 조합이 듀오 쇼다운에서는 0티어의 평가를 받고 있다. 버그가 수정된 후엔 다시 5티어로 돌아왔다.

성능이 좋지 않다고 평가받았던 다른 브롤러들[36]이 점진적으로 버프를 받는 와중에도, 더그는 패치가 일절 없어 계속 5티어로 평가받고 있다. 이 정도면 시즌 2~6까지의 엘 프리모나 시즌 12~21까지의 에드거처럼 완전히 방치한 게 아닌가 의심이 되는 수준. 심지어 하이퍼차지를 받는 브롤러들중 카운터인 그리프클랜시, 앰버, 윌로우, 거스가 포함되어 있어서 입지는 더더욱 암울해질 전망이다.

4월 14일 P2W 커뮤니티 이벤트 영상에서 켄지의 하이퍼차지가 확정되면서 2월 브롤토크에 있던 찜목록 브롤러 5명 중 4명이 확정이 되면서 4월 브롤토크에서 더그의 하이퍼차지 출시 확률이 높아졌으나, 이 찜 목록에 포함된 팸과 함께 하이퍼차지는 소식마저도 나오지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같은 신화 등급인 서포터 브롤러인 재용이 이 브롤 토크에서 공개되었는데, 더그의 서포팅 요소 중 하나인 일반 공격으로 아군을 회복시킬 수 있는 능력이 놀랍게도 만렙 기준 재용의 파티 모드 일반 공격 회복량보다도 100 더 적은 것이 밝혀지면서 그나마 내세울 수 있는 진형 유지력의 장점마저도 잃어버렸다.[37]

이렇게 매우 오랫동안 관짝에 박혀있던 와중에 다음 업데이트에서 파격적인 리워크를 예고 받았다. 베리와 비슷하게 아군을 치유만 해줘도 특수 공격이 채워지며, 특수 공격 조준 시 아군에게 유도된다.[38] 또한, 1스파가 아군이 부활 시 더그가 최대 체력을 회복하도록 변경된다. 상당한 수준의 리워크를 3개나 받고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으로 부활한 아군이 있는 상태에서 일반 공격을 하면, 아군에게 더그의 일반 공격이 적용되는 엄청난 수준의 하이퍼차지를 받게 되어서 드디어 관짝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1년 전 프랭크가 리워크를 받고 압도적인 OP 브롤러로 돌아왔던 것과 비슷한 사례.[39][40]

업데이트 이후, 실제로 이전에 비해서는 상당히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팀원간 합이 잘 맞지 않은 랜덤큐보다, 버프 전 올리와 비슷하게 팀큐로 플레이 시 상당한 성능을 보여준다.다만 아직까지는 리워크 직후 프랭크, 릴리, 대릴 급으로 사기는 아니라는 평이 중론이다. 이는 여전히 뚜벅이 신세를 벗어난 것은 아니기에, 팀원을 뒤에서 힐해주다가 팀원이 들어갈 때 특수 공격을 써주는 플레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버그를 제외하고는 출시 이후 쭉 5티어를 벗어나지 못했던 더그가 이번 리워크로 2티어급으로 큰 티어 상승을 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성공적인 리워크라고 할 수 있다.[41] 더욱 기대되는 점은 같이 리워크를 받은 불과 다르게 더그는 하이퍼차지를 아직 받지 않았다는 점인데, 하이퍼차지를 받은 브롤러는 티어가 대부분 올라간다는 점에서 아직 잠재력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하이퍼차지의 성능에 따라서 1티어 급도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리워크와 하이퍼차지 출시로 예전보다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으나 너무나도 개사기로 평가받는 드라코, 셰이드의 하이퍼차지에 밀려 그닥 평범한 하이퍼차지로 평가받으며[42] 한번에 리워크와 하이퍼차지 출시로 인해 압도적 OP 브롤러로 떡상한 프랭크와는 다르게 2티어 중위권에서 3티어 상위권에 위치해 있다. 그래도 한번도 정상적인 방법으로 1티어로 가본적이 없는 더그이기에 이 정도여도 충분하다는 평.

시간이 지난 지금도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이퍼차지를 통해 라인을 미는 조합도 쭉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중.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43][44]으로 분류하였다.
  • 파일:SHOWDOWN.png 솔로 쇼다운 (모 아니면 도)
    일단 특수 공격을 어떻게든 채우고 후반부까지 존버에 성공했다면 게임 끝이다. 독가스 타이밍에서는 추가 머스타드 가젯으로 더그보다 근접전이 강한 안티 탱커들을 일격에 없앨 수 있고, 더그보다 체급이 높은 탱커들을 만나도 셀프 서비스 스타파워의 자힐과 특수 공격의 부활로 다 씹어먹을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후반부 독가스 타이밍 때까지 존버에 성공하지 못했거나, 존버에 성공하더라도 특수 공격이 없다면 질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더그는 쇼다운에서 이론상으로만 좋은 브롤러로 평가받지만, 예외적으로 모 아니면 도 맵에서는 이론에 가까운 플레이를 실전에서도 보여줄 수 있어서 매우 좋은 브롤러로 평가받는다.
  • 파일:DUOSHOWDOWN.png 듀오 쇼다운 (모 아니면 도)
    부활이 좋기는 하지만 상성이 별로라 교전 능력이 최악이다. 특히 듀오는 솔로랑 달리 티밍이 적어 교전이 더 많이 일어나서 솔로보다 더 가망이 없다. 아군 입장에서 1200의 힐을 주는 더그랑 팀을 맺을바에 2500 이상의 딜을 넣는 원딜과 다니는게 더 효율적이다. 특수 공격을 채우기 전까지 팀원에게 1대2를 강요하는 더그를 굳이 쓸 이유가 없다. 그나마 초반이 아주 잘 풀려 큐브를 아주 많이 먹었다면 더그의 힐을 받는 팀원은 거의 금강불괴가 되어 유리해진다. 그나마 리워크를 받은 이후에는 아군을 회복해도 특수 공격이 채워지기 때문에 평가가 그나마 나아졌다. 특히 솔쇼와 비슷하게 모 아니면 도 맵에서는 1티어급으로 평가받는다.
  • 파일:GEMGRAB.png 젬 그랩
    원래는 트롤픽이였지만, 리워크 이후로는 상대팀의 조합에 따라 극명하게 갈린다. 자체 체급이랑 힐링 능력으로 상대를 압박하기에는 좋지만 기동성이 최악이라 상대팀의 훌륭한 특수 공격 셔틀이 될 수 있다. 물론 더그도 힐을 하면서 특수 공격을 채울 수는 있지만 더그의 특수 공격은 기동성과는 거리가 멀어서 기껏 부활을 써도 체력 2만짜리 특수 공격 셔틀 신세가 될 수 있다. 특히 크로우 같은 하드카운터가 나오면 답이 없어지나, 상대에 DPS가 애매한 근딜러가 1명만 있어도 더그가 활약할 여지는 생긴다.
  • 파일:BRAWLBALL.png 브롤 볼 (부쉬가 많은 맵)
    기동성이 나빠 스트라이커 역할을 할 수 없고, 안티 탱커 및 탱커 브롤러들과의 상성조차 그리 좋지 않은 편이다. 그래도 딱 한두 번 라인을 밀기만 해도 이길 수 있는 브롤 볼 특성상 특수 공격으로 온갖 어그로를 끌다 죽는 것으로 이득을 볼 수 있으니 다른 모드보다는 사정이 낫다. 리워크를 받은 이후에는 특수 공격이 빨리 충전돼 수비/공격을 더 잘 할 수 있기 때문에 꽤 좋게 평가받는다.
  • 파일:HEIST.png 하이스트
    하이스트에서 써먹을려면 최소한 Dps, 기동성, 사거리 셋 중 하나라도 두드러지는 게 있어야 하는데, 더그는 셋 다 없어서 금고 수비 포지션이나 금고 딜러 포지션을 잡을 수가 없다. 그나마 2가젯이 있으면 순간 딜량은 강력해지기에 최악까진 아니다.
  • 파일:BOUNTY.png 바운티 (덤불이 많은 맵)
    바운티는 초장거리 저격수 같은 원거리 딜러들이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사정거리 차이로 얻어맞기 일쑤다. 원거리 딜러들을 카운터치기 위해 어쌔신 브롤러들도 출몰하는데, 더그는 어쌔신 브롤러들과의 상성이 유리하기는 하지만 어쌔신 브롤러들도 더그를 무시하고 다른 팀원을 노리거나 더그를 상대로 어그로를 끌어서 팀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으므로 카운터픽으로도 부적합하다. 자체 체급 차이로 밀어버릴 수는 있지만 그럴거면 차라리 재키를 쓰는게 더 나을 지경이다. 그래도 특수 공격의 부활 능력 덕분에 덤불이 많은 맵에서는 꽤나 쓸만하며, 경쟁전이라면 상대팀에 투척수가 없을 때 채용해 볼 만 하다.
  • 파일:Hot_Zone.png 핫 존 (거점 주변에 벽이 많은 맵)
    샘과 비슷하다. 거점에 벽이 있다면 채용 가치가 높지만, 거점에 벽이 없다면 다른 원거리 딜러들에게 신나게 얻어맞다가 게임이 끝난다. 벽이 많은 맵이여도 더그의 카운터인 투척 브롤러나 다른 근접 브롤러들도 많이 등장해서 채용 가치가 낮을 거 같지만, 체급 싸움으로 더그를 압도하는 브롤러는 로사, 엘 프리모, 애쉬, 행크 정도의 몇몇 탱커들 뿐이라[45] 이들이 거점 밖에서 더그를 압박한다고 해도 더그가 사수하고 있는 거점을 직접 탈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리워크를 받은 뒤엔 힐하면서 특수 공격을 채울 수 있어 유지력이 급상승했기 때문에 평가가 꽤 좋아졌다.
  • 파일:Knockout.png 녹아웃
    죽으면 끝인 녹아웃에서 또 한 번의 기회를 준다는 메리트는 어마무시하다. 최근 리워크로 아군을 치유하면 특수 공격을 충전하는 패시브를 받아서 이전보다는 나아진 편. 팁을 주자면 독가스 타이밍까지 버티다가 독가스가 좁혀지면 이때 핫도그를 먹어 확정적으로 이길 수 있게 된다.
  • 파일:Duels_icon.png 듀얼
    기본적인 상성관계가 최악이라 쓸 필요가 없다. 종종 근딜을 카운터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지만 안티 탱커를 쓰면 되지 굳이 더그를 쓸 필요는 없다. 더그로 이기는 방법이 있다면 독구름으로 맵을 채울 때까지 질질 끌다가 부활로 아득바득 이기는 정도뿐이다. 아니면 압도적인 무빙 실력을 갖고 있다던가.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빅 브롤러]
    일반적으로 빅 브롤러가 되면 회복 능력은 전부 차감되기 마련인데, 예외적으로 더그의 부활 능력은 그대로 적용되어 말 그대로 불사의 브롤러로 활약한다. 제 아무리 맞아도 적어도 특수 공격 하나쯤은 채우고도 남아서 브롤러들이 그동안 화력을 퍼부은 걸 죄다 리셋시킨다. 때문에 딸피인 순간부터 더그가 핫도그를 꺼내냐 안 꺼내냐로 타이밍을 봐야 하는 희대의 눈치게임이 시작된다. 핫도그가 사라질 때까지 일단 공격을 하지 않으면 되기 때문. 물론 그게 몇십 초 남는 시점이라면 거의 게임 오버가 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더그가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다. 그나마 침묵 능력을 지닌 오티스나 코델리우스를 쓰는게 그나마 공략법이며 이들마저 없으면 거리를 철저히 유지해서 아예 특수 공격을 안 주는 수밖에 없다. 전에는 메이지의 2가젯으로 녹이는 공략법도 있었지만 이제는 최대 피해량이 5000밖에 안 들어와서 이마저도 없어졌다.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5인]
    팀원을 차례차례 부활시켜서 전체적인 라인 유지를 수월히 하고 싶겠지만 그놈의 사거리 때문에 접근도 못 해 특수 공격도 못 써먹는 상황이 더 많다. 그나마 회복 능력은 지속적으로 발휘할 순 있어 힐링 셔틀로만 활약하게 된다.
  • 파일:ROBORUMBLE.png 로보 럼블
    재키보다 조금 더 쓸만한 수준. 회복 능력에 부활로 빠르게 아군을 복귀시켜서 공백을 순식간에 채울 순 있지만 그뿐이다. 본체의 dps가 낮아서 굳이 쓸 이유가 없다.
  • 파일:보스전.png 보스전 (크레이지 이상)
    아군이 죽으면 리스폰까지의 공백이 상당히 큰데, 그걸 극적으로 줄여주는 데다 아군의 체력이 부족한 상황에 대신 나서주면서 아군을 회복시켜줄 수 있어 크레이지 이전까지는 상당히 유용하다. 다만 큐브를 얻을 수 있는 크레이지 난이도로 가면 아군이 죽어도 큐브를 남기거나 하진 않기에 애초에 원래부터 아군이 죽을 일이 있으면 안 되기에 더그의 부활로 큐브가 유지되긴 해도 부활 능력의 위상이 크게 꺾인다. 더군다나 그때부턴 힐링보다 딜량을 얼마나 빠르게 누적하냐에 따라 판도가 결정나서 사실상 봉인된다고 보면 된다.

  • 모드별 평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더그는 사실 모드보다는 맵 자체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맵에 부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모 아니면 도, 뱀의 초원 등에서는 좋은 근접전 능력과 부활로 좋은 평가를 받지만, 맵에 뜷려있거나 부쉬가 어중간하게 있는 모드에서는 다른 브롤러의 하휘호환 취급을 받는다. 물론 이는 다른 근접 브롤러들에게도 해당되는 사항이지만, 더그는 다른 근접 브롤러들과 달리 적을 제압하는 cc기나 적에게 근접할 수 있는 돌진기 등이 없어 더더욱 이러한 평가를 받는다.

8.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 편차가 심한 브롤러
    • 더그와 근접전이 비슷한 브롤러: 더그는 탱커급 체력과 부활을 통한 높은 체력과 준수한 공격력으로 인해 이들과는 선빵을 치는 쪽이 유리하다.
    • 대미지가 낮은 중원거리 브롤러: 더그는 태생적으로 기동성이 낮고 이를 보완해 주는 스타 파워 또는 가젯이 없기 때문에 이들을 이기기 위해선 실력이 받쳐줘야 한다.

9. 세팅

<rowcolor=#ffffff> 주요 빌드
파일:doug_gadget_02.png파일:doug_starpower_02.png
<rowcolor=#ffffff> 차선 빌드
파일:doug_gadget_01.png파일:doug_starpower_02.png 파일:doug_gadget_02.png파일:doug_starpower_01.png 파일:doug_gadget_01.png파일:doug_starpower_01.png
추천 기어
파일:Gear-Damage_Level1.png파일:Gear-Heal_Level1.png파일:Gear-Speed_Level1.png파일:Gear-Heal_Level1.png파일:Gear-Speed_Level1.png파일:Gear-Damage_Level1.png
  • 추가 머스터드 - 셀프 서비스 (주요 빌드)
    가장 능동적으로 더그를 플레이할 수 있는 조합. 서포터와 브루저를 하면서 자신의 체력 관리까지 동시에 겸할 수 있는데, 두 역할의 조합이 더그에게 매우 잘 어울리는지라 범용성이 더그의 조합 중에서 제일 뛰어나다.
  • 더블 소시지 - 셀프 서비스
    더그의 생존력을 높이고 치유 능력을 극대화해 더그를 더욱 서포터스럽게 하는 조합. 팀원을 서포팅할 수 있는 능력이 극대화되어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치유를 할 수 있는 조합이지만 더그를 공격적인 스타일로 플레이하는 유저에게는 따로 추천하지 않는다.
  • 추가 머스터드 - 패스트푸드
    가젯을 사용해 적을 순식간에 녹여버리는 플레이가 가능하게 하며 팀에게 특수 공격을 줘서 부활시키고 자신의 체력을 최대로 회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 가능한 조합.
  • 더블 소시지 - 패스트푸드
    아군에게 높은 회복과 지원하거나, 덤으로 자신의 체력을 최대로 회복시킨 뒤 빠른 특수 공격 순환율을 이용해 팀에게 특수 공격을 던져서 부활한 팀원의 HP를 1가젯을 통해 더욱 빠르게 채워 좀비로 만들 수 있는 조합. 그러나 이러한 상황이 나오는 게 매우 어려운지라 가장 쓰이지 않는다.

기어는 시야, 보호막을 빼고 두루두루 쓰인다.
더그는 포지션상 서포터이지만 사실상 탱커에 더 가깝게 운용되는 특성상 더그 본인의 생존력을 높이기 위해 회복 기어는 거의 고정적으로 가져가는 것이 좋다. 맵에 부쉬가 많으면 속도 기어를 취향껏 장착해도 좋고 아니면 기본적으로 피해 기어를 장착하면 된다. 더그는 탱킹에 거의 모든 것을 건 브롤러이기 때문에 자연 회복 시간을 빠르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피해 기어와도 궁합이 꽤 좋다. 피해량 뿐만 아니라 피해량에 비례하는 회복량도 같이 증가하며, 2스타 파워의 자가 회복량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허나 자가 회복량 증가는 리워크 이후 힐량이 피해량에 비례하지 않게 변경되며 사라졌다.

가젯 의존도가 높은 브롤러이기에, 가젯 기어와도 궁합이 좋다.

10. 추천 조합

11. 스킨

11.1. 기본 스킨

파일:doug_default.png
  • 목에 꿰맨 자국과 튜브 공기 주입구가 있으며, 움직일 때 목이 좌우로 마구 흔들린다. 버즈처럼 겉모습은 분장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얼굴에서 눈처럼 보이는 부분은 콧구멍이다. 승리 시 핫도그를 돌린 다음 위로 던지고 다시 잡는다. 패배 시 핫도그를 먹으려다 핫도그가 썩어버리고 바닥에 떨어뜨린 뒤 썩은 핫도그를 보며 시무룩해한다.

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드래곤 더그(DRACO DOUG)

파일:Rare_SkinBS.png
파일:draco_doug.png
희귀도
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29
파일:icon_bling.png 1000
  • 더그의 최초 스킨. 날카로운 이빨, 날개, 뿔 등이 추가된다.

11.2.2. 기사 더그(KNIGHT DOUG)

파일:Epic_SkinBS.png 파일:icon_skin_category_fantasy.png
파일:doug_knight.png
희귀도
영웅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149
파일:icon_bling.png 5000
[ 기타 요소 ]
파일:emoji_doug_fantasy.png 파일:player_icon_doug_fantasy.png
  • 갑주로 무장한 맹수의 모습을 한 스킨이다. 사나운 표정을 짓고 있지만 움직일 때마다 목이 우스꽝스럽게 덜렁거리는 건 여전하다. 또한 말투도 마찬가지.
  • 일반 공격 시 맹수의 그림자를 불러 주변에 가시들이 솟아나게 한다. 특수 공격의 투사체와 부활 이펙트는 가시가 달린 철퇴로 바뀐다.
  • 승리 시 사족보행으로 다가오다가 무언가를 경계한다. 패배 시 놀라서 펄쩍 뛰어오른 후 뒤를 돌아 꼬리에 꽃힌 가시가 달린 철구를 본다.
  • '퀘스트를 위한 퀘스트' 이벤트 9일차 보상이 보석 1개... 인 것은 페이크고, 이 보석을 받은 후 상점에서 보석과 블링, 코인을 순환하며 맞바꾸다 보면 해당 스킨을 10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다.[102]

11.3. 기간 한정 스킨

11.3.1. 대양의 노장 더그(MAN-O-WAR DOUG)

파일:Epic_SkinBS.png 파일:Skin_Icon-Pirate.png
파일:대양의 노장 더그.png
희귀도
영웅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149
[ 기타 요소 ]
파일:대양의 노장 더그 핀.png 파일:대양의 노장 더그 아이콘.png
  • 공격 시 물보라와 함께 해골, 돈, 보물상자 등 해골과 관련된 이펙트가 생긴다. 특수 공격으로 부활할 경우 초록색 아우라가 생긴다.

12. 업데이트 내역

  • 2023년 7월 25일
    파일:Arrows-switch-big.png 브롤러 선택창에 추가
  • 2023년 8월 1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신화 브롤러로 신규 출시
    파일:Arrows-switch-big.png 스킨 '드래곤 더그' 추가
  • 2023년 8월 15일
    파일:Arrow-up-big.png HP가 4800에서 5000으로 증가
    파일:Arrow-up-big.png 특수 공격이 벽을 통과하도록 변경
    파일:Arrow-up-big.png 특수 공격이 브롤러를 최대 HP로 부활시키도록 변경
    파일:Arrows-switch-big.png 특수 공격 충전량 감소[103]
  • 2023년 10월 24일
    파일:Arrow-up-big.png 특수 공격의 사거리가 6.67타일에서 9.33타일로 증가
    파일:Arrow-up-big.png 특수 공격의 폭이 0.33타일에서 1.33타일로 증가
  • 2024년 2월 27일
    파일:Arrow-up-big.png 일반 공격이 거리에 관계없이 최대 피해량/회복량을 줄 수 있도록 변경
  • 2024년 2월 29일
    파일:Arrows-switch-big.png파일:Arrow-up-big.png 일반 공격의 치유량 수치의 문제 수정 (이제 일반 공격의 치유량은 피해량과 같아짐)
    파일:Arrows-switch-big.png 스킨 '트루 실버 더그', '트루 골드 더그' 추가
  • 2024년 3월 5일
    파일:Arrows-switch-big.png파일:Arrow-down-big.png 치유량이 일반 공격 피해량과 같게 적용되었던 문제 수정
  • 2024년 8월 18일
    파일:Arrows-switch-big.png '대양의 노장 더그' 스킨 출시
  • 2025년 6월 24일
    파일:Arrow-up-big.png '특수 공격 회복' 특성 추가
    파일:Arrow-up-big.png 특수 공격이 팀원을 추적하도록 변경
    파일:Arrows-switch-big.png 스타 파워 '패스트푸드' 효과 변경
  • 2025년 7월 7일
    파일:Arrows-switch-big.png 하이퍼 차지 '무료 토핑' 출시
  • 2025년 8월 14일
    파일:Arrows-switch-big.png '기사 더그' 스킨 출시

13. 기타

  • 버스터에 이어서 서포터와 탱커를 같이 겸하는 브롤러이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돌고래 니타에게 핫도그를 주려다, 소시지를 밟고 미끄러져 핫도그를 놓친다. 암흑 요정 자넷이 갑자기 나타나 핫도그를 들고 튀지만 별 신경 안 쓰다가 버즈가 가져오라고 하자 힘없이 5분 후에 다시 오겠다는 쪽지를 가판대에 남기고 마법의 숲으로 향한다. 마법의 숲에서 별의 별 생명체를 보고 쫄다가, 마지막으로 코델리우스를 보고 제일 쫀다. 하필 계속 따라오니 더 공포. 코델리우스를 피해 도망치다 막다른 길에 다다르자 눈까지 가리고 웅크리며 벌벌 떨지만, 사실 코델리우스는 배가 고파 핫도그를 사고 싶었을 뿐이었다. 코델리우스가 돈을 내밀자 능숙한 솜씨로 핫도그에 머스타드를 뿌려주는 더그는 덤. 후에 5분 뒤에 오겠다 해놓고 마법의 숲에서 농땡이를 피우다가 맥스의 에너지 드링크를 코델리우스에게 권한다. 코델리우스가 마시려고 따는 순간, 폭발하고 깜짝 놀란 버즈의 얼굴을 마지막으로 애니메이션이 끝난다. 이 때 이후로 코델리우스와 친분이 생겼는지, 이후 트렁크 출시 애니메이션에서도 코델리우스를 제 발로 찾아가는 모습을 보인다.[104]
  • 영문 마스터리 칭호가 'wiener'[105]인데, 영미권에선 섹드립으로도 여겨지다보니 주목받았다. 한국에선 '킹소시지'로 순화되어 번역되었지만, 한국도 소시지를 엄한 뜻으로 비유하기도 해서 그럭저럭 받아들이는 중.
  • 두 가젯의 능력이 완전히 상반되는 브롤러 중 하나이다.[107] 최초 가젯 더블 소시지는 다음 일반 공격이 아군을 치유하기만 하는 대신 치유량이 두 배가 되고, 2번째 가젯 추가 머스터드는 다음 일반 공격이 적을 공격하기만 하는 대신 피해량이 두 배가 된다.
  • 인게임에서는 가장 정신 사납다. 움직일 때도 목이 항상 흔들리고, 가만히 있으면 춤을 춘다. 이는 게임 패배 후 점수가 나오는 화면에서도 다른 브롤러들은 가만히 있는 반면, 더그는 코코 로사마냥 계속 춤춘다. 후에 미나가 게임 플레이 시, 가만히 있어도 징가를 하는 것으로 밝혀져 유일하진 않지만 둘 다 정신 사나운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나마 미나는 움직일 때 춤을 춘다던가 하진 않는다.
  • 성능 면에서 중간이 없는 브롤러다. 버그로 인해 최정상의 브롤러로 평가받기도 했으나 해당 기간을 제외하면 전 브롤러 중 성능 면에서 꼴찌라 평가받는 등, 꾸준히 박한 대우를 받고 있다. 다만 현재 리워크를 받아서 무난한 성능이 됐기에 현재는 2~3티어 정도의 중위권 브롤러가 되었다.

[1] Austen Moret - 행크, 안젤로와 중복.[2] 대사 자체가 힙한 컨셉에 맞게 인게임 모션도 과하게 힙하다. 정신 사나울 정도. 가만히 있으면 춤을 추며, 움직이면 목을 달랑달랑 거리며 또 정신없게 한다.[3] 'bro(친구)'와 'Bohemian(보헤미안)'을 결합한 조어.[4] Kelis의 곡 'Milkshake'의 가사를 패러디했다.[5] 톤만 다른 대사가 2개 존재한다.[6] '형세의 역전' 또는 '조수의 변화'를 뜻하는 중의적 표현이다.[7] '갑작스런 허기'를 의미하기도 한다.[8] 톤만 다른 대사가 3개 존재한다.[9] 'wiener(소시지)'와 'winner(승자)'의 발음이 비슷한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10] 일반 공격으로 아군을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은 바이런과 비슷하다.[11] 대충 2~3단계도 아니고 무려 6단계[12] 독구름의 경우는 계속해서 피해를 입는다.[13] 가젯-공격 3번이면 9600의 폭딜이 나온다.[14] 물론 근접 브롤러가 아니라면 더그가 웬만하면 이긴다.[15] 맨디나 타라 같은 브롤러의 특수 공격만 생각해 봐도...[16] 그냥 부활할 시의 체력만 따지고 보면 만렙 기준 20000의 체력을 가졌다. 덕분에 cc기로 틀어막는 브롤러가 아닌 이상 근접 맞다이는 거의 찍어누르는 수준이다.[다만] 두번째 스타파워 셀프 서비스 착용 한정.[18] 부쉬 암살, 킬 캐치 능력 향상 등.[19] 쉘리, 불, 그리프, 체스터, 클랜시, R-T 등[20] 이 장점 덕분에 더그는 1대1 상성은 좁아도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설계된 브롤러들(미코, 모티스, 키트, 릴리, 알리 등)에겐 상성이 크게 유리하다. 특히 미코를 상대할 때 부각되는 장점이다.[21] 물론 표기상으로의 이동속도는 '빠름(770)'이기 때문에 나름 괜찮아 보인다. 하지만 더그는 견재도 안되는데다가 이동기는 커녕 하다못해 비슷한 공격 매커니즘을 가진 재키같이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수단조차도 없다. 더그와 이동속도가 같은 근접 브롤러인 쉘리와 체스터는 사거리라도 긴데 더그는 그런것도 없다...[22] 특히 2020~2021년이 지나가면서, 유저들의 실력 상향평준화로 근거리 브롤러의 상대로 거리 조절 능력을 더 잘 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피격 시 특수 공격 충전 능력이 생기기 전 직전까지 탱커들이 싹 다 고인이 된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엘 프리모, 그래서 슈퍼셀도 이를 인지했는지 2021년 이후로는 근접 브롤러한테는 에드거, 버즈처럼 이동기와 자동으로 특수 공격이 충전되는 패시브를 갖게 하여 원거리 브롤러들이 거리를 안 줘도 접근 할 수 있게끔 만들거나, 애쉬, 버스터처럼 기본 사거리를 근접 브롤러치고 길게 하여 접근이 쉽도록 만들었다. 하지만 더그는 2023년에 출시되었는데도 이동 속도가 빠른 것도 아니고 사거리도 짧은 주제에 이동기도, 돌진기도 없어서 리워크 이전까지는 아무도 안쓰는 최악의 브롤러라는 오명을 만든 원인이였다.[23] 이와 비슷하게 상성 관계가 매우 좁은 스퀴크마저 이런 더그 상대로는 우위를 점할 수 있을터러, 1vs1 상성이 최약체지, 공간 장악 및 진영 붕괴에 특화된 스킬셋 덕분에 롤라처럼 소환물을 주위에 두고 사용하는 브롤러나 버스터처럼 팀원이랑 뭉치는 일이 비교적 많은 일이 많은 브롤러들을 상대로 유효타가 꽤나 먹혀서 다vs다 상성 만큼은 매우 준수한 브롤러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더그는 상술한 단점들로 인해 그런 것 조차 없다.[24] 힐량 두 배, 딜 두 배.[25] 브롤스타즈는 이미 8비트의 삭제된 스타 파워 보너스 라이프를 통해 부활 매커니즘의 문제를 직접 경험해본 적이 있다. 8비트 시절의 문제는, 풀탄창+무적 상태로 부활 등 밸런스 잡기가 힘들었고 무엇보다 곧바로 살아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냥 죽이고 자기 갈 길 가는 게 아니라 앞에서 대기하다가 폭딜로 다시 녹이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더그의 핫도그 아이콘도 적에게 표시된다면 똑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26] 이마저 사용 횟수가 한정되어있어 아무 때나 지를 수 없다.[27] 당장 엘 프리모도 최악의 브롤러란 평가를 받던 시절 피격 시 특수 공격이 충전되는 버프를 받기 시작하면서 입지가 올라가기 시작했고, 쉘리가 이동속도 버프를 겨우 받아 하위권 브롤러를 탈출한 것을 생각하면 답이 나온다. 그나마 저 둘은 기본 이속이라도 더 빠르거나, 사정거리라도 어느정도 됐지, 더그는 그것 조차 아니었다.[28] 어차피 있으나 없으나 쓸 수 없으니(...) 슈퍼셀도 이를 인지하고 공짜로 줬다는 우스갯소리는 덤.[29] 프랭크는 현재 메타가 너무 불리하게 돌아갈 뿐이며 자체적인 성능은 그리 나쁘지 않아서 브롤 볼 일부 맵에서 가끔씩 활약을 하지만 더그는 그런것도 아니기에 더욱 암울한 상황이다.[30] 버그 픽스이지만 실제로는 치유량 수치 버그가 생기게 됐다.[31] 다만 이 당시에도 상위권에서는 사기는 절대 아니라는 여론이 꽤 있었고, 기간이 너무 짧았다 보니 이 때에도 과대평가된 것 아니냐는 여론이 꽤 있다.[32] 또한 2월 말 패치 이전과 당시의 1가젯 팀원 치유량은 피해량의 2배였는데, 해당 패치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치유량의 2배만큼 팀원 치유가 되게 바뀌었다. 이로 인해 1가젯은 더더욱 입지가 떨어진 상황.[33] 애초에 사거리도 매우 짧은데 거리 비례 데미지가 있는, 2월 말 밸런스 패치 이전이 그냥 말도 안되는 비정상적인 스킬셋이다. 애초에 이동기도 없고, 피격 시 특수 공격 충전도 없는데 현재 더그는 버그 수정 전처럼 힐량을 올리지 않는 이상 더그는 절대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다.[34] 특수 공격 사용 시 잃은 체력 50% 회복. 다만 그 대가로 체력이 약간 감소하긴 했다.[35] 참고로 작년 2023 월드 파이널 승률이 100%였던 브롤러는 프랭크에드거로, 공통점은 두 브롤러 모두 그당시 기준 더그처럼 5티어였던 브롤러들이였고, 더그와 전적이 1전 1승으로 똑같다.[36] 올리, 미플, 행크, 미스터 P, 모 등[37] 물론 100정도의 차이가 그렇게 큰 건 아닐 거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가장 큰 차이가 드러나는 부분은 지속 힐량과 회복을 줄 수 있는 범위에 있다. 더그는 일반 공격의 타격 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아군이 근접으로 오지 않는 이상 힐량을 주기가 애매하고, 재용보다 재장전 속도도 살짝 더 느려서 같은 시간동안 줄 수 있는 회복량이 장기전으로 갈수록 차이가 나기 시작할 수 밖에 없다. 반면 재용은 일반 공격의 범위가 원거리일 뿐만 아니라 투사체 폭도 넓어서 맞추기 쉽고, 특히 재용은 빠른 모드 전환으로 라인을 밀고 유지하는 장점이 있는 만큼 더더욱 더그와 회복 면에서도, 라인 유지 면에서도 비교될 수 밖에...[38] 대략 너프 전 행크의 하이퍼차지와 비슷한 정도로 유도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정거리는 행크의 특수 공격에 비해 매우 매우 짧기 때문에 아예 어긋나게 쏘면 맞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39] 심지어 이 둘은 2년 동안 관짝에 들어가 있었던 것도 비슷하며, 리워크와 하이퍼차지의 출시로 1티어로 돌아온 것과 둘 다 체력도 높은 탱커형이다.[40] 이 둘 모두 궁합이 좋은 점이 있는데, 프랭크의 탱킹력이 더그의 힐량과 부활로 더더욱 괴물같아지고 하이퍼차지가 있다면 더그가 프랭크를 도와줌과 동시에, 프랭크도 이동기가 없는 더그를 보호해주고 프랭크가 죽었다가 부활하면 더그에게 체력 회복을 제공해주는 등. 서로가 서로에게 주는 이익이 엄청나기에 3대3 팀파이트에서 이 둘을 조합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며, 그 사이에 베리재용, 또는 다른 탱커를 넣어서 다이브를 가는 조합도 나쁘지 않을것으로 보인다.[41] 다만 아군을 치유 시 특수 공격 충전 패시브에 대해서는 평가가 갈리는데, 특수 공격 순환이 너무 빨리 돌아 상대할 때 짜증날 정도로 적폐이다, 특수 공격 순환율을 조금 너프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반면 상위권 구간에서는 더그의 특수 공격 순환이 빨리 돈다는 것은 더그와 아군이 그만큼 잘 맞아준다는 것이므로, 상대의 특수 공격과 하이퍼차지 셔틀이 되어준다는 점에서 계륵이라는 평가 또한 있다.[42] 물론 더그의 하이퍼차지도 성능 자체는 준수하지만 팀워크가 잘되야 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드라코, 셰이드의 하이퍼차지는 랜덤큐에서도 3:1캐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묻힌 것에 가깝다.[43]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44]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45] 심지어 로사는 벽을 끼고 아득바득 싸우면 더그가 이길 수도 있으며, 행크는 차징형 공격 메커니즘의 결함 때문에 2스파의 힐링과 특수 공격의 부활을 잘 뚫어내지 못한다. 순수하게 체급으로 더그를 거점에서 밀어버리는 브롤러는 대릴, 애쉬, 드라코 정도이다.[46] 엠즈는 중거리에서 대미지가 매우 살벌해지기 때문에 함부로 접근했다가는 순식간에 녹을 수 있다.[47] 크로우 못지않은 최악의 극상성. 비의 매우 긴 사거리와 살벌한 강화 딜 때문에 사거리가 매우 짧은 더그는 비의 털끝도 못 건드릴 정도로 농락당하기에 답이 없다.[48] 1vs1에서도, 더그를 반 봉쇄하는 팀전에서도 매우 치명적인 카운터다. 크로우의 독 대미지는 더그에게 심리적 압박을 안기며 빠른 기동성과 2가젯은 더그를 그냥 샌드백으로 만든다. 크로우의 치유량 감소 디버프는 아군의 힐을 감소시켜 팀전에서도 더그의 장점들을 깨끗하게 지우고, 특수 공격과 스타 파워, 가젯이라는 스킬셋이 전부 더그를 카운터치는 것도 모자라 아예 농락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우는 상술한 비보다도 더욱 지독한, 더그의 악몽 같은 최악의 극카운터다. 다만 크로우가 특수 공격과 가젯이 전부 없을 때 2가젯 기습을 덤불에서 성공하면 이길 수 있으나 이것 또한 각을 보기 힘들다.[49] 이동기 없는 더그에게 각종 CC기로 무장한 게일은 완벽한 담당 일진이다. 모티스 같이 기동성이 좋은 근접 브롤러들도 게일을 단독으로 잡기 힘든데 기동성이 낮은 더그는 두말할 것도 없다.[50] 사거리도 월등히 차이 나는데, 특수 공격으로 더그를 기습해서 죽일 수 있다. 이동기가 전무한 더그 입장에서는 공포.[51] 태생이 안티 탱커인 만큼 함부로 덤비면 골로 간다. 근접 기습을 해도 콜레트가 2가젯을 빨리 켜면 답이 없다. 2가젯으로 본인이 먼저 순삭하는 것이 유일한 공략이다.[52] 그냥 루에게 다가가려고 해도 빙수 맞고 스턴 걸려서 핫도그 배달 실패와 함께 핫도그가 식을 수 있다. 빙판 한가운데에 있다면, 무빙이고 뭐고 이동기가 하나도 없는 근접 브롤러인 더그는 얼어 죽을 것이다.[53] 사거리 차이로 농락당하고 그 딜 맞다가 죽을 수 있다. 또한 근접전에 가젯까지 있어도 오티스가 특수 공격이 있다면 진짜 이길 확률이 줄어든다.[54] 메이지의 일반 공격은 날아가는 데 딜레이가 있어 회피는 쉽지만 대미지는 강력하고 어찌어찌 접근에 성공해도 메이지 입장에서는 1가젯으로 스턴을 건 뒤 거리를 벌리거나 특수 공격로 넉백을 먹이면 그만이다. 부활을 한다 해도 메이지의 스킬셋에 계속 농락당하다가 허무하게 죽는다.[55] 쉘리의 특수 공격을 동반한 대미지는 너무나 살인적이기에 근접전을 하면 순식간에 삭제당한다. 부활을 해도 쉘리 입장에서는 특수 공격을 또 쓰면 끝이다. 그나마 쉘리가 특수 공격이 없는 상태에서 2가젯 기습을 한다면 이길 수도 있다.[56] 초근접전에서는 불의 산탄 대미지 3방만에 그대로 승천한다. 부활을 해도 불이 특수 공격 + 2가젯 콤보를 쓰면 끝이다. 그래도 불은 집탄율이 떨어져서 벽을 활용하면서 거리 조절을 하면 이길 수도 있다. 다만 최근 2가젯이 기절로 바뀌는 리워크를 받았기 때문에 다시 극상성이 되었다.[57] 엘 프리모의 스펙은 더그보다 높으며 체력, 대미지, 사거리 전부 다 더그를 상회한다. 게다가 엘 프리모의 특수 공격을 동반한 근접 맞딜은 거의 모든 브롤러가 버티지 못하기에 뭣 모르고 까불대다가는 엘 프리모의 특수 공격 콤보에 바로 K.O 당한다. 그래도 더그가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엘 프리모 입장에서도 더그를 처치하기 어려워지기는 하나 위험하다 싶으면 더그를 1가젯으로 던져 위기를 모면하면 그만이다.[58] 일단 로사의 사거리가 긴 데다가 스펙도 로사가 조금 더 우위이며 무엇보다도 특수 공격이 대미지를 엄청나게 감소시켜서 로사가 작정하고 더그가 닿지 않는 사거리에서 공격을 하면 더그는 이길 방법도 막을 방법도 없어진다. 그래도 로사는 대미지가 애매해서 더그가 부활을 하면 로사 입장에서도 더그를 저지하기 어렵다.[59] 대릴의 산탄 대미지는 매우 강력하고 특수 공격에 넉백도 있기 때문에 대릴이 굴러오는 순간 넉백을 당하고 대릴의 일반 공격 2대 맞고 바로 산화당한다. 심지어 스펙도 더그보다 높다. 불과 마찬가지로 집탄율이 떨어지고 불보다 딜레이가 길어서 거리 조절을 잘하면 이길 수도 있으나 특수 공격과 2가젯을 통해 불보다 더그와의 초근접 상황을 만들기 용이하다[60] 프랭크의 체력은 전 브롤러 1위로 제일 높아서 애매한 대미지를 가진 더그로 잡기에는 긴 세월이 걸리며 2가젯 폭딜 콤보를 쏟아부어도 죽지 않는다. 게다가 사정거리도 더그보다 훨씬 길어서 일방적으로 농락당하는 것도 덤. 거기다가 프랭크의 특수 공격에 맞으면 사망 확정이며 더그는 프랭크의 특수 공격을 끊을 하드 CC기나 회피할 이동기도 전무하다. 게다가 리워크로 체력이 줄어들수록 공속이 빨라져서 무작정 때리다가 엄청난 공속을 가진 망치에 깔려 죽는 것은 시간문제이며 특히 프랭크가 하이퍼차지를 켠다면 전방위로 스턴을 걸기 때문에 답이 더 없어진다. 부활을 하더라도 프랭크는 특수 공격으로 더그에게 스턴을 걸고 2가젯으로 더그를 끈 뒤 폭딜로 더그를 다시 잡으면 그만이다. 한마디로 크로우, 게일, 비, 그리프보다 더 어려운 최악의 극카운터다.[61] 일단 사정거리도 근접에 강한 브롤러치고는 매우 긴 편이며 근접딜이 샷거너를 뛰어넘을 정도로 너무 강력해서 근접전을 하면 순식간에 녹는다. 게다가 체스터가 왕사탕까지 있으면 매우 불리해진다. 그래도 부쉬전에서 반응 속도가 좋아서 부활을 체스터가 왕사탕을 사용하기 전에 쓸 수 있다면 재장전이 느린 체스터는 더그가 부활할 때 거리를 벌릴 수밖에 없다.[62] 기본적으로 애쉬는 사거리가 길어서 더그가 쉽게 농락당하고 더그의 낮은 대미지로는 애쉬에게 크리티컬을 주기 어려운 데다가 애쉬의 분노 게이지 수급처가 되고 애쉬가 풀분노 상태일 때는 대미지가 2배 뻥튀기되어 4방만에 순식간에 삭제당한다. 1가젯까지 있으면 그냥 상대조차 되지 않는다.[63] 애쉬, 프랭크랑 비슷하게 사정거리가 중거리에 속해서 더그의 사정거리 밖에서 더그를 공격할 수 있으며 근접해도 체력이 엘 프리모 다음으로 높아 행크를 아무리 때려도 행크가 죽지 않으며 행크가 2가젯 보호막을 사용하면 행크를 잡는 데 긴 세월이 걸린다. 게다가 행크가 특수 공격까지 있다면 HP 회복과 동시에 어마한 어뢰 데미지로 그대로 더그를 죽인다.[64] 애쉬와 비슷하게 드라코의 사거리가 더 길어서 더그가 쉽게 농락당하며 드라코는 거리가 멀어지면 대미지가 증가하는 반면 더그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명중률이 불안정해지기에 드라코가 거리를 벌린 상태에서 더그가 닿지 않는 거리에서 때리면 답이 없다. 기습을 하더라도 드라코 입장에서는 특수 공격으로 드래곤 모드로 변신해 근접전을 더 강하게 만들어 역관광시키거나 가젯으로 더그의 딜을 버티면서 더그를 불로 지질 수 있다.[65] 전체적으로는 니타가 우위에 있다. 더그는 이동기가 없기 때문에 사거리 차이를 극복하기 어려우며 니타가 곰을 앞세워서 버티면 근접에서도 까다롭다. 더그도 특수 공격으로 부활해서 니타를 갈 수 있지만 니타가 1스파로 계속 버티면 서로가 서로를 처치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66] 칼은 원딜러 중에서도 체력이 매우 높아서 대미지가 낮은 더그가 칼을 처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칼의 곡괭이를 2번 모두 맞으면 대미지가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따끔하게 들어오는 데다가 더그의 낮은 기동성과 짧은 사거리로는 칼의 곡괭이 프리딜에 대항하기 힘들다. 게다가 더그는 칼의 특수 공격을 끊을 CC기가 없어 칼이 1가젯으로 더그에게 치고 들어온 뒤 특수 공격을 쓰면 더그가 순식간에 갈린다. 게다가 칼은 도주기가 2개나 있어서 다 잡은 것을 놓칠 수 있다.[67] 팀원이 도와주지 않는 이상 거의 못 이긴다고 봐야 한다. 스튜는 적을 한 대만 때려도 특수 공격이 차는데 그것을 이용해 더그의 접근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더그의 기동성으로는 스튜를 따라잡을 수 없다. 이 기동성 차이 때문에 더그는 특수 공격을 채우는 것도 쉽지 않으며, 접근을 해도 '제로 드래그' 스타 파워라면 또다시 농락당한다. 스튜가 1가젯을 쓰면 이동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은 덤이다.[68] 그리프의 원거리 딜은 샷거너 급으로 매우 강력하며 근접전을 하는 순간 그리프의 산탄 대미지에 바로 삭제당한다.[69] 까다롭다. 맥스는 더그보다 이동 속도가 빠르고 일반 공격도 더그에게 매우 까다롭고, 어찌저찌 맥스에게 접근을 했다 하더라도 특수 공격 또는 1가젯으로 더그의 일반 공격을 씹고 도주도 가능하다.[70] 근접해도 바이런이 2가젯과 특수 공격을 잘 이용하면 역관광당할 수 있다. 반드시 부쉬 기습을 해야 이길 수 있다. 바이런이 1스파를 장착하면 힐량도 줄어드는 것은 덤이다.[71] 일단 대미지가 탱커도 버티지 못할 정도로 세고 판정도 꽤나 우수해서 대놓고 접근했다가는 탄 핫도그 신세를 면치 못한다.[72] 더그의 부활로 표식을 해제할 수 없기에 적용되는 순간 힘도 못 쓰고 너무나 쉽게 무력해진다. 그렇다고 근접전을 하기에는 저열한 기동성을 가진 더그로 벨을 뚫는 것은 고역이다.[73] 더그보다 근접전이 강한 브롤러에도 속한다. 사거리부터 R-T가 압도적으로 긴 데다, 어찌어찌 접근해도 R-T의 강력한 분리 모드의 폭딜에 오히려 더그가 갈린다.[74] 토큰 1단계에서는 대미지가 낮으나 사정거리가 긴 클랜시가 굳이 더그에게 접근할 이유가 없으며 특수 공격이 있는 클랜시라면 근접에서 엄청난 폭딜로 더그를 순식간에 녹인다. 게다가 토큰 3단계를 달성하면 이동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특수 공격 대미지도 더 강해지기에 답이 더 없다. 부활을 하더라도 클랜시 입장에서는 특수 공격을 또 채워서 폭딜로 더그를 죽이면 그만이다.[75] 파편을 통한 높은 중원거리 견제력은 더그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우며 모에게 접근한다 해도 모가 특수 공격을 채운다면 일반 공격 2방 + 넉백 데미지 + 드릴 데미지로 더그를 갈아버린다. 부쉬에서 2가젯 기습 말고는 잡을 방법이 거의 없다.[76] 아무리 더그의 일반 공격이 전방위에 벽을 관통할 수 있더라도 대미지가 재키보다 안 들어가 다이너마이크의 강력한 딜에 나가떨어질 수밖에 없다.[77] 대미지도 낮고 명중률, 재장전 속도도 낮은 그롬이지만 초장거리 딜링이 매우 성가시며 특수 공격도 뚜벅이인 더그는 맞을 확률이 높다.[78] 투척 브롤러들 중에서는 딜링 능력이 가장 낮지만 벽을 설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까다롭다. 명중률도 그롬보다 높아 어찌 보면 그롬보다도 더 힘든 상대.[79] 다이너마이크보다 더 이기기 힘든 상대. 다이너마이크처럼 스로어 주제에 이속도 빠르면서 일반 공격도 근접에서 즉발로 터트릴 수 있고 로리를 소환해 강제로 2vs1을 시킬 수 있다.[80] 더그는 부활을 통한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지만 기동성이 부족한 데다가 낮은 기동성을 보완해 주는 스타 파워와 가젯이 없기 때문에 더그가 상대하기 쉬운 상대는 많지 않다. 다만, 난전 상황에서는 핫도그 아이콘이 떠도 적들의 체력이 얼마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난전 상황이라면 꽤 좋다.[81] 피해 기어와 2가젯을 쓰면 부활 없이 근접전을 해도 비등하고 부활이 있으면 더그가 매우 유리해진다.[82] 넉백으로 기동성이 좋지 않은 더그를 계속 밀쳐낼 수 있지만 결국 비비가 더그를 잡으려면 더그의 사거리 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비비는 딜레이가 길어서 더그가 2가젯이나 부활을 쓰면 이긴다. 다만 비비가 하이퍼차지를 쓰면 더그가 질 수도 있다.[83] 미코보단 어려워도 더그 입장에서는 매우 쉽다. 모티스의 애매한 대미지로는 더그를 잡는데 긴 시간이 걸리고, 더그는 자신에게 접근한 모티스에게 2가젯+일반 공격 2타 콤보로 역관광을 시전할 수 있다. 모티스의 다인전이나 하이퍼차지만 조심하면 매우 쉬운 상대이다.[84] 더그가 상대하기 제일 쉬운 브롤러이자 완벽한 먹잇감. 1스파와 기동성을 제외한 더그의 모든 스킬셋은 미코를 상대하기에 최적화되어 있다. 미코가 들어오면 일반 공격+2가젯 콤보로 바로 저승길로 보내줄 수 있고, 미코가 하이퍼차지+1가젯을 써도 체력이 높은 더그는 그 정도로 죽지 않는다. 더그가 하이퍼차지까지 쓰면 미코에게 매우 취약한 브롤러인 스프라우트를 비롯한 투척수, 저격수들도 미코 상대로 이기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 미코 입장에는 아예 이기는 것이 절대로 불가능한, 말 그래로 최악의 절대 극상성이다.[85] 미코, 모티스보다 DPS가 높아 농락하면서 잡는 것은 어렵다. 다만 모티스처럼 긁는 능력도, 미코처럼 일반 공격으로 점프하는 능력도 없기 때문에 키트가 더그한테 단독으로 뛰어드는 행위는 말 그대로 자살행위다.[86] 모티스랑 비슷하다. 당연히 근접전은 더그가 더 우세하고 가젯의 폭딜로 릴리를 녹이는 것이 가능하다. 설령 체력이 없어서 죽었다고 해도 특수 공격으로 부활을 하면 되니, 그림자 영역으로 도망가는 것만 빼면 매우 쉬운 상대다. 다만 하이퍼차지는 조심하자. 릴리가 하이퍼차지를 써서 더그가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에 맞게 되면 가젯, 특수 공격 모두 먹통이 되어 버리는 그림자 영역 특성상 가젯과 특수 공격이 없다면 바보가 되는 더그는 늘어난 공격력과 방어력으로 인해 릴리에게 일격에 죽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다.[87] 버즈는 공격에 딜레이가 있고 집탄율도 떨어져서 2가젯을 쓰면서 근접전을 하면 더그가 이긴다. 버즈가 원거리에서 특수 공격을 써도 더그가 부활을 하면 이길 수 있다.[88] 2차 공격 사거리가 더그보다 월등히 길지만 대미지가 약해서 결국 더그에게 유효타를 입히려면 근접전을 해야 하는데 더그가 2가젯을 사용하면 팽을 3방 컷 낼 수 있는 반면에 팽은 특수 공격까지 동원해야 한다. 다만 팽의 2가젯이 까다로우나 더그가 특수 공격이 있으면 매우 유리해진다. 팽이 하이퍼차지를 써도 2가젯과 부활이 있으면 더그가 이긴다.[89] 샘은 근접 브롤러치고 다른 근접 브롤러와의 대면 능력이 약한 편이라 2가젯과 피해 기어가 있으면 할 만하다. 부활이 있으면 반드시 이긴다.[90] 버스터가 사거리가 더 길지만 최대 사거리에서는 대미지가 약하게 들어와서 더그가 2스파를 쓰면 버스터의 대미지를 버틸 만한 수준이고 버스터는 맞탱전에 약해서 더그가 근접전을 하면 이긴다.[91] 사정거리는 셰이드가 더 길지만 체력이 높은 더그는 셰이드의 일반 공격 직격타 3방을 맞아도 죽지 않으며 조금만 거리 조절에 실패한다면 셰이드는 2가젯 폭딜 콤보에 그대로 당하게 된다. 셰이드의 일반 공격은 벽을 넘어서 공격할 수 있으나 더그도 역시 벽을 관통하는 일반 공격을 지녔기에 체급 차이로 셰이드를 압도할 수 있다. 게다가 셰이드가 기습을 하더라도 위험하다 싶으면 특수 공격으로 부활하면 그만이다.[92] 체력도 높지 않고 DPS도 낮아서 무빙을 치면서 들어오면 이긴다. 그랩으로 끌어도 오히려 진이 죽을 수 있다.[93] 아무리 포탈을 이용한 생존력이 좋다고 하지만 일반 공격에 심한 결점이 있어 더그가 무빙을 치면서 들어오면 그레이는 할 수 있는 것이 없다.[94] 더그가 상대하기 쉬운 몇 안되는 중원거리 브롤러. 미스터 P는 대미지가 약하고, 더그는 관통형 공격이라 짐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물론 맞으면 죽을 수 있으나 부활하면 끝이다.[95] 당연히 평소 상황에서 더그에게 유리한 상성은 아니다. 다만 2가젯이 있다면 레온에게 기습당해도 이길 수 있다.[96] 체력이 낮아서 에드거가 어중간하게 붙으면 2가젯 콤보로 3방 컷 낼 수 있다. 하지만 일반 공격에 피흡이 붙어 있어 탄창이 빠질 때 기습당하면 부활을 하지 않는 이상 매우 위험해진다. 하이퍼차지를 켜고 접근하면 부활을 해도 더그가 패배할 가능성이 있다.[97] 포코의 낮은 대미지로는 체력이 웬만한 탱커급인 더그과 싸우기 버겁고, 더그가 이동 속도와 재장전 속도가 포코보다 근소하게 더 빠르다. 그러나 포코의 공격은 사정거리가 훨씬 더 길고 더그가 더 빠르다곤 했지만 사실 별 차이 없는 수준이라 아무 생각 없이 닥돌했다간 오히려 더그가 역관광당한다. 즉 붙으면 더그가 이기지만 못 붙으면 포코가 유리한 상성.[98] 딜량이 낮은 중원거리 브롤러지만 탱커여서 체력이 매우 높고, 접근하더라도 올리는 특수 공격이나 컨트롤 킥 가젯으로 빠져나간다. 올리의 특수 공격은 적을 자신 쪽으로 끌어오는 최면 CC기이고 올리가 특수 공격을 쓰면 올리의 탄창이 절반이나 사라져서 근접 맞딜을 하면 더그가 유리할 것 같지만 올리가 2스파를 착용하면 실질 체력이 크게 올라가서 일반 공격 2방 + 2가젯 일반 공격을 사용해도 죽지 않으니 서로가 서로에게 까다롭다.[99] 기존에도 핫존에서 종종 사용되는 조합이였지만 더그의 하이퍼차지 출시 이후 녹아웃에서 더그가 힐로 하이퍼차지를 채우며 끝까지 버텼다가 그레이에게 특수 공격을 주어 상대 진영에 진입해 터트리는 조합이 매우 파괴적인 성능을 자랑하며 상위권에서 종종 사용되고 있다.[100] 더그의 일반 공격과 특수 공격은 올리가 죽지 않을 수 있게 서포팅하기 좋으며 더그와 올리 둘 중 한 명이라도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을 사용할 경우 상대 진영을 쉽게 터트릴 수 있다.[101] 자넷이 더그의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을 받고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상대에게 공중에서 2400딜씩 추가로 넣으며 이중 폭격을 할 수 있어 효율이 매우 좋다.[102] 이는 최근 트루 골드 더그 스킨과 관련하여 발생한 25,000골드 사건에 대한 슈퍼셀의 사과 차원의 조치인 것으로 보인다.[103] 기존에는 특수 공격 충전량이 24.9%여서 4방을 때리면 게이지가 매우 조금 남았었는데, 이를 20%로 낮춰 수치를 깔끔하게 만들었다. 고로 특수 공격 충전을 위해 요구되는 일반 공격의 횟수는 5로 동일하다.[104] 이때 코델리우스에게 핫도그를 공짜로 주려는 듯 하더니 땅 바닥에 떨어뜨린다.킹 받는다[105] 소시지의 한 종류다.[106] 눈썹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눈썹이 아니다. 더그의 Sad 핀을 보면 눈물이 검은 선에서 흐르지 않고 모자 안 쪽에서 흐르기 때문.[107] 다른 하나는 애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