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4:45:14

올리(브롤스타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7dda> 파일:브롤스타즈 로고.svg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름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017dda><colcolor=#fff>
숫자 ~ ㄹ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8비트
]][[R-T|
파일:R-T_204x126.png
R-T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거스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게일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그레이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그롬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그리프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나니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니타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다이너마이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대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드라코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래리 & 로리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러프스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레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로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롤라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리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릴리
]]
ㅁ ~ ㅂ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맥스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맨디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메그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메이지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멜로디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모티스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미스터 P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미코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미플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바이런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발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버스터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버즈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베리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보니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브록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비비
]]
ㅅ ~ ㅈ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샌디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서지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셰이드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쉘리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스퀴크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스튜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스파이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스프라우트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안젤로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애쉬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앰버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에드거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엘 프리모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엠즈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오티스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올리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윌로우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자넷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재키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제시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주주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
ㅊ ~ ㅎ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찰리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체스터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켄지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코델리우스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콜레트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콜트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크로우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클랜시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키트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타라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페니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포코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프랭크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행크
]]
}}}}}}}}}
⠀[ 희귀도순 ]⠀
## 희귀도순 나열 시작
<colcolor=#fff><nopad>
기본
브롤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쉘리
]]
<nopad> 희귀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콜트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브록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엘 프리모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발리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포코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로사
]]
<nopad> 초희귀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제시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리코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대릴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페니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재키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거스
]]
<nopad> 영웅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엠즈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스튜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비비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나니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에드거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그리프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그롬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보니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게일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콜레트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애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롤라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메이지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행크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래리 & 로리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안젤로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베리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셰이드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미플
]]
<nopad> 신화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모티스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타라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맥스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미스터 P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스프라우트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바이런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러프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자넷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오티스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버스터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그레이
]][[R-T|
파일:R-T_204x126.png
R-T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윌로우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더그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찰리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릴리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주주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올리
]]
<nopad> 전설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스파이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레온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앰버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메그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체스터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코델리우스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키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드라코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켄지
]]
<nopad> 기간 한정
[[버즈 라이트이어(브롤스타즈)|
파일:버즈 라이트이어_204x126.png
파일:토이 스토리 시리즈 로고.svg
버즈 라이트이어
]]
⠀[ 역할군별 ]⠀
## 역할군별 나열 시작
<colbgcolor=#017dda><colcolor=#fff>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탱커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엘 프리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로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대릴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재키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비비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애쉬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행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버스터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올리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드라코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어쌔신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스튜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에드거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셰이드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모티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릴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레온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코델리우스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켄지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서포터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포코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거스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베리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맥스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바이런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러프스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그레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더그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키트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컨트롤러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제시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페니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엠즈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그리프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게일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미플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미스터 P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오티스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윌로우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찰리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앰버
]]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쉘리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콜트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리코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콜레트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롤라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타라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이브
]][[R-T|
파일:R-T_204x126.png
R-T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스파이크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체스터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저격수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브록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이퍼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나니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보니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메이지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안젤로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자넷
]]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투척수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발리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그롬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래리 & 로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스프라우트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주주
]]

}}} ||
관련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마스터리 · 스킨 · 칭호 · 템플릿


파일:브롤스타즈 로고.svg 브롤스타즈의 88번째 브롤러
<rowcolor=#000,#fff> 미플 올리 미정

올리
OLLIE
파일:Ollie_Portrait.png
<colbgcolor=#ff0000><colcolor=#fff> 등급 신화
역할군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탱커(TANK)
코드 네임 Skater
출시일 얼리 액세스
2025년 1월 30일
정식 출시
2025년 2월 6일
성우 니콜 데이비스
플레이어 칭호 자유로운 영혼


1. 개요2. 대사 목록3. 핀4. 스프레이5. 마스터리6. 스탯7. 스킬
7.1. 특성7.2. 일반 공격 - 야단법석(BRING THE RUCKUS)7.3. 특수 공격 - 최면술(HYPNOTIZE)7.4. 가젯
7.4.1. 컨트롤 킥(REGULATE)7.4.2. 시선집중(ALL EYEZ ON ME)
7.5. 스타 파워
7.5.1. 킥 앤 푸시(KICK, PUSH)7.5.2. 레니게이드(RENEGADE)
8. 성능
8.1. 장단점8.2. 변천사8.3. 모드별 평가
9. 상성10. 세팅
10.1. 추천하는 브롤러 조합10.2. 추천하지 않는 브롤러 조합
11. 팁12. 스킨
12.1. 기본 스킨12.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2.2.1. 힙합 스웨그 올리(OLLIE-G)
13. 업데이트 내역14.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Ollie.webp
See ya, wouldn't wanna be ya.
잘 가, 너 같은 꼴이 되고 싶지는 않을 거야.
Ollie rides his customized hoverboard around Starr Park, grinding rails and causing trouble! A fan of old school hip hop, Ollie blasts his favorite tunes wherever he goes. His music is infectious... literally. Brawlers can't help but dance when they hear it.
개조한 호버보드를 타고 스타 파크 곳곳을 누비며 말썽을 피우는 장난꾸러기입니다! 올드스쿨 힙합 음악을 사랑하는 올리는 어디를 가든 좋아하는 음악을 크게 틀어놓습니다. 올리의 음악은 꽤 중독적이랍니다! 듣는 순간 자신도 모르게 춤을 추게 될 거예요.
  • 올드스쿨 트리오의 첫번째 일원이며 민트색에 가까운 녹색 복면을 쓰고있는 브롤러이고 주크박스를 스케이트보드 타듯이 놀고 다닌다.
  • 이름의 유래는 스케이트보드의 테크닉 중 하나인 올리.

2. 대사 목록

대사가 미코 뺨 칠정도로 길며, 어린이답게 톤이 매우 높다. 또한 올드스쿨 랩 팬이라는 설정답게 중간중간 랩이나 bruh, Yo, ya같은 랩과 추임새를 자주 끼워넣는다.
I'm about to flex on y'all!
모두에게 플렉스할 참이다!
Game on, let's get it!
게임 시작, 가보자고!
Haters hate, skaters skate.
안티들은 씩씩대라고 해, 우린 스케이트나 탈 테니.
Born to hustle, built to last.
깡과 근성은 내 천성이지.
Yo yo, Pass the MIC, I'm ready to preach!
요 요, 마이크 좀 넘겨줘. 설교할 준비 됐어!
Not a cloud in the sky, time to make some Brawlers cry.
하늘엔 구름 한 점 없네, 브롤러들을 좀 울릴 시간이네.
More Brawlers, more problems.
브롤러가 더 많으면, 소동도 더 많이 일어나지.
I bring the flavor.
난 스타일을 불러오지.
I'm not short, just vertically efficient.
난 키가 작은 게 아냐, 그냥 세로로 효율적일 뿐이라고.
I might be small, but I'm a big deal!
내가 작긴 해도, 거물이라고.
My beats are straight from the streets, huh.
내 비트들은 길거리에서 따온 거라고, 허.
O to the l to the l-i-e representing the Skate Beats Family!
O 투 더 L 투 더 L-I-E가 스케이트 비트 패밀리를 대표합니다!
So fresh, so clean, got moves you never seen!
멋지고, 끝내주고, 네가 한 번도 본 적 없는 묘기를 선보이지!
So fresh and so clean-clean!
멋지고 끝내주지!
리스폰 시 대사
Ain't nothing but a brawl thing baaabay!
그저 오로지 브롤 뿐이지 베이비-!
Yeah, ain't no cap. I'm that dude!
그래, 구라 안치고 내가 최고야!
Ollie in the ho-u-u-use!
올리가 지금 여-어-기에 왔다!
Respect the grind!
노력을 존중해!
Ooh, too fresh, y'all can't keep up!
오, 너무 쩔어서 너희들이 따라올 수가 없군!
Ha ha, today was a good day.
하하, 오늘은 좋은 하루였어.
Ain't nobody dope as me[1], so fresh, so fly!
누구도 나만큼 쩔진 못하지. 멋지고 끝내주네!
So fresh, so fly in the place to be.
멋지고 끝내주지, 딱 내가 있어야 할 곳에서.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Game recognize game!
고수는 고수를 알아보는 법!
Ooh, time to hustle!
오, 활약할 시간이군!
Check yourself before I wreck yourself!
네 주제를 알란 말이야, 널 박살내 버리기 전에!
Ho, you better be ready cause I'm coming for ya!
호, 준비해두는 게 좋을걸. 내가 곧 찾아갈 테니!
It's a hard knock life.
인생은 고달파.
Hey, I'm preaching, dawg!
야, 내가 설교하고 있잖아, 인마!
Oh, that hurt more than a diss track!
오, 그거 디스곡보다도 더 아프네!
Bruh![2]
이봐!
피격 시 대사
I'm icy, y'all just salty!
난 쩔고, 너흰 짜게 굴고!
Y'all basic, I'm boss level.
너흰 밋밋하고, 난 보스 레벨이지.
I stay lit, you dim, bruh!
난 항상 쩌는데, 넌 어둡네, 친구!
I'm the realest[3].
난 진짜배기야.
I'm so fresh, huh, can't touch this!
난 너무 멋져, 허, 범접할 수 없지!
See ya, wouldn't wanna be ya!
잘 가, 너 같은 꼴이 되고 싶진 않을 거야!
Ohoho, you just got ollie'd, bro.
오 호 호, 너 방금 알리-당했네, 친구.
Whoa, I flip, you flop.
워우, 내가 뒤집으면, 넌 쓰러지지.
Aho, I got game, you just lame.[4]
어오, 난 뛰어난데, 넌 그냥 형편없네.
Busting moves and breaking rules.
춤을 추면서 규칙을 어기고 있지.
적 처치 시 대사
Who turned off the light?
누가 불을 끈 거야?
Aha, don't leave me in the dark!
아아, 날 어둠 속에 내버려두지 마!
I need a ho-ho-ho-oliday![5]
난 휴-휴-휴가가 필요해!
Bruh, I'm off my game today.
으어, 오늘은 컨디션이 별로네.
Time to preach to the choir of angels.
천사들의 합창단에게 설교할 시간이네.
Dah, got caught slipping.
아, 실수하다가 걸렸네.
Aho, got dropped harder than my mixtape.
아오, 내 믹스테이프보다도 더 심하게 드롭[6]당했어.
Bruh![7]
으아아아!
사망 시 대사
Riding high, talk from the sky!
최고로 잘나가고, 내 랩은 최고봉이다!
Yeah, catch me if you can, fools!
그래, 잡을 테면 잡아봐, 멍청이들아!
Skate or die![8]
죽기 아니면 스케이트 타기!
Fresh, fly and touching the sky!
멋지고, 끝내주지, 하늘에 닿을 만큼!
King of the concrete!
쿨함의 왕이다!
Watch me pop this ollie, fam!
내가 이 알리[9] 성공시키는 것 좀 보라고, 친구!
Jump up, jump up and get down![10]
뛰어오르고, 뛰어오른 다음 내려오기!
Nobody gonna hold me down, nobody gonna take my crown!
누구도 날 방해할 순 없어, 누구도 내 왕관을 빼앗을 순 없지!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rowcolor=#fff>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상태 희귀도 대사
파일:ollie_Neutral_pin.png Neutral
일반
haters hate,skaters skate.
파일:ollie_happy_pin.png Happy
일반
Ohoho, you just got ollie,d bro.
파일:ollie_sad_pin.png Sad
일반
Bruh!
파일:ollie_angry_pin.png Angry
일반
Ho, you better be ready cause I'm coming for ya!
파일:ollie_gg_pin.png GG
희귀
Game on! let's get it!
파일:ollie_clap_pin.png Clap
희귀
박수 소리
파일:ollie_thanks_pin.png Thanks
영웅
Ain't nobody dope as me, so fresh, so fly!
파일:ollie_phew_pin.png Phew
영웅
Bruh!
파일:ollie_special_pin.png Special
영웅
So fresh and so clean-clean!
파일:ollie_facepalm_pin.png Facepalm
컬렉터
- }}}}}}}}}}}}

4. 스프레이

<rowcolor=#fff> 스프레이
파일:올리 스프레이.png
올리가 타고 다니는 호버보드가 그려져 있다.

5. 마스터리

||<|2><tablewidth=96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color=#fff><bgcolor=#ad4d37><height=70>
파일:mastery_empty_wood.png
우드
파일:mastery_empty_bronze.png
브론즈
파일:mastery_empty_silver.png
실버
파일:mastery_empty_gold.png
골드
<rowcolor=#fff>IIIIIIIIIIIIIIIIII
-
파일:coin.png
1,000 코인
파일:PP.png
150 PP
파일:Credits_Icon.png
100 크레딧
파일:PP.png
300 PP
파일:coin.png
2,000 코인
파일:Credits_Icon.png
200 크레딧
파일:ollie_facepalm_pin.png
Facepalm 핀
파일:올리 마 스 아.png
플레이어 아이콘
파일:icon_mastery_title.png
칭호:
자유로운 영혼


300
800
1500
2600
4000
5800
10300
16800
24800

파일:icon_mastery_point.png

6.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파일:Icon_health.png HP || 이동 속도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5600 빠름
(770 = 2.57타일/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6160
3 6720
4 7280
5 7840
6 8400
7 8960
8 9520
9 10080
10 10640
}}}}}}}}} ||
11 11200

탱커 역할군답게 체력이 매우 높다. 같은 탱커 역할군인 행크와 함께 전체 브롤러중 공동 3위이다.

7. 스킬

7.1. 특성

파일:Icon_Ability.png 특성
파일:Traits-Damage.png 피해를 입으면 특수 공격을 충전합니다.
특수공격이 중요한 올리의 특수공격 충전을 도와주니 상당히 이 특성이 체감이 잘 된다.

7.2. 일반 공격 - 야단법석(BRING THE RUCKUS)

파일:skill-attack_new.png <colcolor=#000,#ddd> 영어 설명
올리의 호버보드가 음파를 발사해 적을 관통하며 피해를 입힙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850 ||<width=25%>사정거리
중거리(6.33타일) ||<width=25%>재장전 속도
보통(1.8초) || ||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85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935
3 1020
4 1105
5 1190
6 1275
7 1360
8 1445
9 1530
10 1615
}}}}}}}}} ||
11 1700 }}}}}}


자넷과 비슷하지만 2개인 파장을 날린다. 이펙트는 2개처럼 보이지만 사실 단일 투사체다. 즉 대미지가 2배로 들어가거나 하지는 않는다.

샌디의 일반공격과 비슷하지만 폭이 훨씬 좁다.

사거리는 길지만 피해량이 높은 편이 아닌데다 폭이 매우 좁고 탄속도 느리기 때문에 신중하게 조준을 해야한다.

이름은 이스트 코스트 힙합으로 유명한 우-탱 클랜의 곡 Bring The Ruckus에서 따왔다.

여담으로, 만렙기준 1스타파워를 낀 동렙 틱을 일반공격으로는 절대 죽일 수 없다.

7.3. 특수 공격 - 최면술(HYPNOTIZE)

파일:Super_image1.png <colcolor=#000,#ddd> he dashes forward and starts charging a music blast, dealing damage and hypnotizing all enemies.
멋진 호버보드 묘기로 앞으로 돌진하며 음악 블라스트를 충전합니다. 폭발 시 1600의 피해를 입히고 주변 모든 적을 2.5초 동안 최면 상태로 만듭니다. 단, 음악 블라스트를 충전하는 동안에는 공격을 할 수 없습니다. 최면에 걸린 적은 올리 쪽으로 이동하며 조작이 불가능해집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800 ||<width=25%>사정거리
근거리(4.33타일) ||<width=25%>최면 지속시간
2.5초 ||<width=25%>침묵 시간
2초 ||
기타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8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880
3 960
4 1040
5 1120
6 1200
7 1280
8 1360
9 1440
10 1520
}}}}}}}}} ||
11 1600 }}}}}}

사용 시 음파 비슷한 텍스쳐가 있는 영역이 생기며 2초동안 자신은 아무런 공격도 할 수 없게 되고 2초 뒤 영역 안에 있던 모든 브롤러들에게 800의 피해를 주고 최면 효과를 2.5초 부여한다. 최면 상태인 적들은 화면이 노랗게 변하며 올리를 향해 느린 속도로 걸어오게 되고 조작을 할수 없다.[11] 리그 오브 레전드의 매혹 또는 도발과 비슷한 능력.

꽤나 사기적인 능력이지만 발동시 프랭크의 궁극기처럼 2초 동안의 텀이 필요하고, 그 시간안에 올리를 다른 CC기로 무효화시키거나 쓰러뜨리면 발동이 취소되기에 리워크 전 프랭크가 그랬듯, 발동에 꽤나 제약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돌진하는 중간에 넉백이나 기절등의 CC기에 걸리면 궁이 취소된다.[12]

궁극기 발동중 윌로우의 궁에 맞아 조종당하는 상태일때도, 궁극기는 정상 작동한다.

버그인지는 불명이나 부활한 직후 무적 버블이 있을 때나 포코의 2가젯의 효과를 받은 상태일때 궁극기를 사용하면, 침묵 효과가 씹혀 궁극기를 써도 공격을 할 수 있다. 오티스의 궁극기도 무적 버블이나 포코의 2가젯 효과를 받은 적에게는 효과가 씹히는데, 이 때문에 올리도 무적 버블이 있는 동안은 공격이 가능하다. 다만, 무적 버블의 효과가 끝났을 때 궁극기가 발동 중이라면, 그 즉시 못 받은 2초 침묵 효과가 적용된다. 만약 이 현상이 버그가 아니라 의도된 것이라면, 각종 디버프에 면역인 킬링 비트 모드에서도 침묵 효과가 씹힐지가 관건.

스킬 명칭은 미국의 래퍼 노토리어스 B.I.G.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7.4. 가젯

7.4.1. 컨트롤 킥(REGULATE)

파일:icon_item.png <colcolor=#000,#ddd> He jumps and does a rad kickflipz hypnotizing all enemies where he lands.
점프 후 멋진 킥플립을 선보이며 착지 지점의 모든 적을 1.0초 동안 최면 상태로 만듭니다.

짧은 시간 앞으로 도약 후, 땅에 닿은 지점에 있는 적에게 최면을 건다. 미코의 평타처럼 에어본 판정이기에 스퀴크의 평타같은 것들을 제외한 어떤 공격이든 무시할 수 있으며, 당연히 장애물도 넘어갈 수 있다. 또한 착지한 위치에 있는 적에게 1초동안 최면을 건다.

대신 탱커의 한계인지 이동 거리도 짧은데 점프 시간도 상당히 긴 편이고,[13] 보고 피할 수 있을 정도로 범위도 좁기 때문에 CC기로써의 성능은 2가젯에 비해 훨씬 저열하다.[14]

짧은 사거리, 긴 체공시간, 작은 최면 범위라는 세 개의 단점이 어우러져 벽을 넘는 기습도, 생존성을 위해서도 애매하기 때문에 2가젯에 비해 좋지 않게 평가된다. 그럼에도 2가젯보다의 큰 장점이라면, 투척수를 상대하기 훨씬 수월해진다.

가젯의 영어 명칭은 워런 G의 노래 제목에서 따 왔다.

7.4.2. 시선집중(ALL EYEZ ON ME)

파일:icon_item.png <colcolor=#000,#ddd> His next attack will hypnotize any enemies hit.
다음 공격이 적중한 모든 적을 1.0초 동안 최면 상태에 빠트립니다.
가젯을 발동한 다음 평타 한해서, 공격을 맞을 시 일시적으로 최면에 걸리게 된다.

다음 일반공격이 노란색으로 바뀌게 되며, 적중 시 상대를 1초간 최면에 걸리게 한다. 적중시 1초 수면이라는 CC기를 거는 샌디의 2가젯 또는 적중시 적을 끌어당기는 버스터의 2가젯과도 많이 비슷하다.

가젯-궁극기 연계가 힘든 샌디와 버스터와는 달리 올리는 가젯-궁극기 연계가 수월하다.[15] 연계를 하게 되면 궁극기 적중 난이도가 훨씬 내려가며 궁극기의 불안정함도 줄어들고, 더욱 치명적이게 변하게 된다.[16]

연계가 아니더라도, 1초라는 액션게임에선 길게 느껴질 수 있는 광역 CC기와 샌디나 버스터보다 긴 사거리, 여러가지 변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다재다능한 가젯이기 때문에 굉장히 좋은 가젯으로 평가받는다.

가젯의 영어 명칭은 투팍 샤커의 곡 및 앨범 제목에서 따 왔다.

7.5. 스타 파워

7.5.1. 킥 앤 푸시(KICK, PUSH)

파일:킥푸시.png <colcolor=#000,#ddd> He gains 20% extra movements speed near walls.
벽 근처에서 올리의 이동속도가 20%증가합니다.

벽 근처에 있을 시 이동속도가 20% 빨라진다. 행크와 같이 벽에 밀착하여야 발동되기 때문에 애매한 감이 있다.

일말의 쓸모가 있는 곳은 강철 벽이 거점 근처에 있는 핫 존이나, 공을 빨리 드리블 할 수 있는 브롤 볼, 무빙을 좀 더 잘 칠 수 있게 해주는 조금의 장점을 제외하면 두번째 스타파워에 비해 너무나 성능이 밀리기 때문에, 버프가 들어오지 않는 한 이쪽 스타파워를 골드를 주고 살 가치는 낮다.

스타파워의 영어 명칭은 미국 래퍼 루페 피아스코의 곡 Kick, Rush에서 따왔다.

7.5.2. 레니게이드(RENEGADE)

파일:레니게이드.png <colcolor=#000,#ddd> After dashing forward with hus super, he gains 4000HP shield for 4 seconds.
특수 공격을 사용해 앞으로 돌진한 후, 4초 동안 점점 소멸하는 4000의 보호막을 얻습니다.
궁극기 발동 후 4000의 HP를 가진 보호막을 생성한다.
만렙기준 11200의 HP가 무려 15200이 되며, 적에게 다가간 뒤 2초동안 초근접 상태에서 무방비하게 있어 처치당할 가능성이 있는 올리의 생존력을 높혀준다.

하지만 모든 보호막을 생성할 수 있는 브롤러 중 가장 빠르게 보호막이 사라지기 때문에, 보호막의 4000의 HP를 많이 이용하기는 어렵다.[17] 그럼에도 첫번째 스타파워의 성능이 애매하고, 아무리 빨리 사라지더라도 궁극기의 안정감을 더해줄 수 있는데다가 위급상황에 역관광도 가능한 이쪽이 더 높게 평가된다.

스타파워의 영어 명칭은 JAY-Z에미넴의 곡에서 따왔다.

8. 성능

상대방을 강제로 자신에게 끌어모을 수 있는 신규 디버프인 최면 효과가 핵심인 탱커로, 장기간 광역 무력화 능력이라는 점에서 프랭크와 비슷하지만 차이점은 프랭크는 오는 적을 역관광시키는 데에 특화된 탱커이고 올리는 이니시에 특화된 기동형 탱커에 속한다는 점. 하지만 정작 자체 전투력이 상당히 낮은 편이라 상위권으로 올라갈수록 1인 캐리가 어려운 구조로 인해 CC기에 능력치를 몰빵한 팀전용 유틸 탱커라고 볼 수 있겠다.

올리는 이례적으로 특수기 뿐만 아니라 가젯에서도 최면 효과가 부가되어 있는데, 이런 특성 덕분에 적을 가장 장기적으로 무력화시키는 게 가능한 브롤러 중 하나이다. 덕분에 일시적인 스턴과 달리 오랫동안 원하는 방향으로 옮길 수 있어서 라인 붕괴, 이니시에도 상당히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술했듯 강력한 cc기를 대가로 공격 능력 하나는 최악이다. 보통탱커 브롤러들이 사거리가 부족한 대신 자체 피해량이 뛰어난 식으로 보완이 된 반면, 올리는 사거리는 중간이지만 피해량이 잘 쳐줘야 포코보다 강한 정도인데, 공격 수단이 일반기가 전부이다. 특수기 또한 자신에게 일시적인 패널티를 동반한다는 결정적인 단점도 가지고 있는지라 이니시 효과도 상대를 잘 가려서 써먹어야 하는데, 자칫하면 최면 효과를 발동하기도 전에, 혹은 최면이 끝나고 끔살 당하는게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스스로가 최면 효과 하나로 전장을 휘저을 능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서포터인데도 상황에 맞춰서 뒷받침을 해줄 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대개 즉발식인 효과를 보이는 여타 특수기와 달리 올리의 특수기는 앞라인으로 닥돌하는데다 효과도 한참 뒤에서야 발동하는, 팀원이 가세하기가 굉장히 까다로운 구조라서 서로간의 합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덕분에 단순 팀전 수준이 아니라 서로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소통할 수 있어야 최면 효과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급자용 브롤러에 속한다.

8.1. 장단점

장점
  • 강력한 특수공격
    올리의 특수 공격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으로, 무방비로 적에게 노출되는 만큼 한번 적중 시 엄청난 성능을 발휘한다. 올리의 특수 공격은 광역으로 2.5초간 최면이라는 강력한 CC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궁극기의 범위가 널널한데 판정도 좋기 때문에 적에게 최면을 걸기도 쉽다. 만약 상대하는 입장에서 cc기가 없는데 기동력과 공격력이 낮다면 파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또한 2번째 스타파워를 채용할 시 실질 체력이 프랭크보다 높아져 생존력도 매우 높아진다.

  • 매우 높은 체력
    올리의 역할군인 탱커 특성상 체력이 높으나, 올리는 탱커들 중에서도 체력이 상당히 높은 축에 속한다. 어느 정도냐면 브롤스타즈에서는 프랭크, 엘 프리모 다음으로 체력 3위를 차지할 정도. 따라서 교전 시 체력으로 어느 정도 버틸 수 있다. 게다가 올리의 두번째 스타파워를 채용 시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실질 체력이 15000을 훌쩍 넘기는, 기존의 스폰지 스타파워 + 보호막 기어의 프랭크보다 더 높은 역대 모든 브롤러 1위 체력을 가질 정도이다. 이는 특수 공격 사용 시 무방비 상태가 되는 단점을 어느 정도 상쇄시켜주며, 대미지가 약한 브롤러라면 올리를 잡는 데 한 세월이 걸릴 정도로 체력이 많다.

  • 탱커치곤 긴 사정거리
    올리의 기본 평타 사정거리는 6.33타일으로, 탱커 중에서 사정거리가 길기로 유명한 프랭크보다 더 길다. 따라서 근접하는 브롤러에게 중거리 짤짤이 대미지로 적지 않은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쉘리 등 일부 안티탱커와 교전을 하더라도 사정거리가 심하게 꿇리지 않는다. 이것은 위에서 서술한 매우 높은 체력과 겹쳐져 올리의 낮은 대미지를 어느 정도 커버해준다.

  • 가젯의 높은 활용도
    올리의 가젯은 모두 신규 CC기인 최면을 달고 있다. 이 말은 현재 전투 상황에 따라 최면을 자유자재로 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특수 공격이 없더라도 변수 창출이 뛰어나며, 팀원과 협력해 최면에 맞고 접근하는 적을 빠르게 잡아낼 수 있다.

  • 제약이 적은 우수한 기동성
    올리는 이동기를 2개 이상 채용할 수 있으면서 보니와 함께 체공기와 돌진기를 전부 가진 유이한 브롤러다. 이러한 이동기는 모두 도주기에 활용할 수 있으며, 체력이 낮아 이동기를 접근기로 잘 사용하지 않는 보니와 달리 올리는 체력이 매우 단단해 접근기로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올리는 체공기가 가젯이라 벽이 있는 맵에서 제약이 없다는 점이 우수하다.
단점
  • 나사 빠진 일반 공격
    출시 전부터 부각된 단점이자 가장 큰 단점. 이 단점은 올리의 장점들을 상쇄시킬 정도로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공격은 강력한 특수공격을 대가로 여러 나사 빠진 면이 있다. {{{#!folding[ 펼치기 / 접기 ]

  • 낮은 대미지
    올리의 일반 공격의 피해량은 만렙 기준 1700으로 상당히 낮은 피해량을 갖고 있는데, 이는 포코의 대미지랑 겨우 180 차이나는 수준이다. 3방 다 쏟아부어도 5100, 이하의 체력을 가진 적들만 처치할 수 있고, DPS도 상당히 낮다.

  • 좁은 범위
    올리의 일반공격은 상당히 폭이 좁다. 이 때문에 올리는 1대 광역공격의 장점이 퇴색된다. 대부분의 중거리 브롤러들은 폭이 넓고 그렇지 않더라도 탄속이 빠르다. 그러나 올리는 탄속도 그리 빠르지 않다. 이는 2가젯의 명중률이 떨어지는 이유도 된다. [18]

  • 탱커치고 느린 재장전 속도
    대부분의 탱커는 재장전 속도가 매우 빠름~빠름인데 올리의 재장전 속도는 보통이다. 이는 다른 브롤러들과 근접해도 대부분 지는 이유이다.

  • 일반공격의 긴 후딜레이
    올리의 일반공격은 후딜레이가 0.5초로 무려 그 길다는 팽과도 같은데, 이 단점도 대부분의 근접 브롤러들과 지는 이유의 일부분을 차지한다.}}}


  • 기습에 취약함
    일반공격의 결함들이 모여 만들어진 결론. 올리의 일반공격은 연사속도가 상당히 느리고, 피해량도 낮은데다가 재장전 속도도 그리 빠르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특수공격을 가지고 있어도 대쉬 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그리 많이 도망가지는 못하고, 상대한테 돌진해서 최면에 걸리게 하려고 하면 딜레이 2초 사이에 올리가 적에게 처치 당할 수 있다. 가젯이 있어도 상황은 그대로다. 그나마 체력이 높은게 위안.

  • 높은 팀 의존도
    밑의 모드 평가에 서술된 것처럼, 제아무리 본인이 최면을 잘 걸어서 끌고 온다고 해도, 팀원이 공격해주지 않으면 사실상 헛짓거리 한 것이다. 올리의 일반 공격 피해량은 매우 저조하기에, 팀원의 도움 없이는 쉽사리 킬을 내기 어려우며, 일반 공격의 심각한 하자들로 인해 혼자서 라인을 붙들기도 어렵다.

  • 극도로 좁은 1대1 상성 관계
    상술한 단점들이 모여 만들어진 단점. 올리의 1대1 상성 관계는 처참하기 그지없다. 일반 공격의 성능이 극도로 저열해서 상성상 유리한 상대가 6명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8.2. 변천사

브롤토크 유출로 인해 먼저 디자인이 공개되었지만, 초록 복면을 쓴 개성없는 디자인에 미플과 함께 디자인적으로 많은 혹평을 받았다. 하지만 디자인과 별개로 최면이라는 신개념 CC기를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성능 면에서 관심을 그럭저럭 받고 있고, 강력한 광역 CC기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긴 딜레이로 인해 대처할 여지가 커서 계륵이라는 의견 등 평가가 상당히 갈리고 있다.

얼리엑세스 출시 후에는 솔로 플레이 능력은 매우 떨어지지만, 3인큐로 플레이 시 엄청난 성능을 발휘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솔로큐를 돌릴 때는 올리의 강력한 cc기라는 장점이 잘 살려지지 않는다. 궁을 적에게 적중해도 팀원과 소통이 잘 안 되는 랜덤큐 특성상 적 팀을 잡아주기 힘들며, 올리의 평타 한 발의 대미지는 1700밖에 되지 않아 혼자서 적을 잡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팀원과의 합이 잘 맞는 3인큐의 경우에는 얘기가 다르다. 벽을 이용해 궁극기를 야금야금 채운 다음 상대에게 돌진해 궁극기를 한번 맞추기만 한다면, 상대는 강제로 아군이 타격하기 좋은 위치에 끌려오고, 아군이 대미지가 강력할 경우 끌려온 상대는 올리의 최면기가 끝나기 전에 그냥 녹아 버린다. 혹여나 2명 이상을 적중시키기라도 한다면 순식간에 게임이 터지는 진풍경을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강력한 역전능력관 별개로 탱커여서 사용할 수 있는 맵이 제한적이고, 3인큐가 강제된다는 단점이 있다. 모티스보다 최악인 초반 교전 능력으로 인해 팀이 올리를 커버할 수 없는 브롤러[19]일 경우 올리가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조합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진다고 평가된다. 팀전에서는 3~3.5티어[20], 솔로큐에서는 4~5티어 정도로 매우 심하게 갈린다. 더그와 비슷한 사례.

8.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21][22]으로 분류하였다.
  • 파일:SHOWDOWN.png 솔로 쇼다운
    1대1 교전 능력이 너무나도 안 좋기 때문에 절대로 쓰면 안 된다. 그냥 재장전 속도와 데미지가 낮은 프랭크라 봐도 무방할 정도다. 최면술 정도를 빼면 좋은 것이 없다.
  • 파일:DUOSHOWDOWN.png 듀오 쇼다운(팀원과 조합 시)
    솔로 쇼다운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좋은 축에 속하진 않는다. 다만 팀원과 조합 시 강제로 끌어오는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오픈맵에서는 금물.
  • 파일:GEMGRAB.png 젬 그랩(팀원과 조합 시)
    체력이 널널하기 때문에 잘 죽지도 않으며, 상대의 젬 캐리어에게 접근해 강제로 팀원 앞으로 끌고온다면 팀의 승리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2.5초로 최면 시간이 그리 길지는 않아서 상황 파악을 하고 어느 위치의 적을 어느 쪽으로 끌고 갈 지 미리 생각해야 된다.
  • 파일:BRAWLBALL.png 브롤 볼(팀원과 조합 시)
    근접 브롤러가 많이 나오는 브롤 볼 특성상, 궁을 꽤나 쉽게 채울 수 있으며, 상대가 돌진을 하더라도 가젯이 모두 근접 대응기로 사용할 수 있어 상대팀에게 최면을 건 다음에 팀원과 같이 잡아서 역관광을 시킬 수도 있다. 또한 궁을 적중시키기만 한다면 강제로 골대 앞 진영을 비울 수도 있다. 다만 CC기에 취약하고 공격력이 전멸수준이라 1대1 상성이 최악이므로 팀원과의 조합을 맞추지 않으면 성능픽이라고 볼 수 없다.
  • 파일:HEIST.png 하이스트
    데미지가 1700밖에 안되서 금고 딜러도 아닌 데다가, 최면을 걸어 상대팀이 금고 옆으로 치워져도, 아군은 사실상 2대3 싸움을 할 수 밖에 없다. 물론 수비 능력은 출중하지만, 수비, 공격 모두 올리의 상위호환인 코델리우스가 있으며, 광역 cc기도 대체할 수 있는 브롤러가 수두룩하게 많아, 더더욱 사용할 이유가 없다. 하이스트에서는 상대가 3탱커 조합 또는 투탱힐러 조합이 아닌 이상 절대로 스노우볼을 굴릴 수 없다. 적어도 저격수나 투척수 하나는 잘 잡는 모티스나 높은 힐로 서포트는 잘해주는 포코와는 다르게 올리는 제대로 특화된 분야가 하나 없다.
  • 파일:BOUNTY.png 바운티(팀원과 조합 시)
    올리의 솔킬 결정 능력은 자넷, 미스터p보다 바닥을 기지만 적군을 공격 불가 상태로 아군 앞에 갖다놓을 수가 있어 다vs다 킬 결정 능력은 정말 좋다. 팀 조합만 적절히 잘 짠다면 궁 적중 시 확정 1킬이라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하지만 그 외에는 메리트가 없다.
  • 파일:Hot_Zone.png 핫 존(팀원과 조합 시)
    사실상 몇 안되는 올리의 사용처 중 가장 쓸만한 모드. 올리의 특수 공격은 광역 최면으로, 적군을 존 바깥으로 쫓아내는 데에도 유리하고 존을 점령하고 있는 적군은 특수 공격을 맞추기도 어렵지 않아 강제로 데미지 딜러 팀원 앞에 갖다 놓으면 상대팀 입장에서는 환장할 노릇이다. 다만, 본인이 혼자 존에 남았을 때, 특수 공격이 없는 상황이라면 혼자서 존을 지키는 것은 올리 입장에서 쉽지 않으므로, 후퇴도 하면서 아군이 올 때까지 버티는 것이 좋다.
  • 파일:Knockout.png 녹아웃(팀원과 조합 시)
    올리의 체력은 인게임 3위로 매우 높으며, 조건부[23]로 프랭크보다 더 높은 체력을 갖게 되어 잘 죽지 않는다. 하지만 녹아웃에서는 원거리, 투척수 브롤러가 많이 나와 올리가 특수 공격을 채우기 힘들다. 따라서 팀원이 초반엔 올리의 특수 공격을 보조해 주고, 후반에는 독구름으로 인해 맵이 꽤 좁혀진 상태이므로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상대팀의 진영이 무너진다. 다만 운영 난이도가 매우 높아 팀원 조합과 파일럿의 손가락에 따라 편차가 크다.
  • 파일:Duels_icon.png 듀얼
    솔로 쇼다운과 비슷하다. 1대1 능력이 최악인 올리는 듀얼에서 사용하면 절대로 안 된다. 체력이 좀 높은 거 밖에는 뭐가 없다.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빅 브롤러]
    상황에 따라 편차가 심하다. 일단 특수기를 적에게 적중하면 2.5초간 상대를 묶을 수 있다. 2스파 능력이 보호막인 것은 덤. 하지만 상대팀에 근접 데미지 딜러가 나오는 순간 졌다고 봐야된다. 쉘리 같은 브롤러에게 최면을 거는 것은 자살 행위이므로.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5인]
    의외로 5인의 경우에는 상당히 좋은 축이다. 특수 공격은 2.5초간 보스를 무력화 시켜서 그 시간 동안에 빅 브롤러는 프리딜을 당하게 된다. 특수 공격 사이클이 나쁘지 않은 것은 덤.
  • 파일:ROBORUMBLE.png 로보 럼블
    금고에 진입하는 봇들에게 광역 cc기로 무력화 시킬 수 있지만, 대체제가 하도 널린 탓에 잘 사용되진 않는다.
  • 파일:보스전.png 보스전
    그나마 로보 럼블은 봇들에게 최면을 걸면 시간을 최대한 끌 수 있지만, 보스전에서는 시간을 끌어봤자 의미가 없다. 오히려 보스를 강하게 만드는 셈. 데미지가 낮은 것은 덤이다.

9.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10. 세팅

<rowcolor=#fff> 주요 빌드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rowcolor=#fff> 차선 빌드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추천 기어
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
  • 시선 집중- 레니게이드 (주요 빌드)
    가젯으로 적을 최면시키고 궁극기의 안정성을 늘리는 조합. 공격, 안정성을 고루 갖춘 점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쓰이는 조합이다. 게다가 올리에게 둘다 필수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 컨트롤 킥 - 레니게이드(주요 빌드)
    가젯으로 도주나 암살하고 궁극기의 안정성을 늘리는 조합. 생존력에 몰두한 조합이다. 이 조합도 쓰이긴 하나 위에 서술된 조합보다는 좀 밀린다. 주로 양학용으로 쓰이는 편.
  • 시선 집중- 킥 앤 푸쉬(차선 빌드)
    적을 최면시키고 이동속도를 높이는 조합. 기동성과 공격을 고루 갖춘 조합이다. 이 조합은 그럭 저럭 쓰일 수는 있으나 1스타파워가 상당히 애매한 감이 있어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 컨트롤 킥- 킥 앤 푸쉬(차선 빌드)
    가젯과 스타파워로 이동속도를 높이는 조합. 기동성에 몰두한 조합이다. 그러나 위에 서술했듯이 1스파가 애매한 감이 있어 가장 안 쓰이는 조합이라 할 수 있다. 간지나게 플레이 하고 싶으면 추천한다.


  • 기타 내용 서술(ex. 기어, 잘 사용되는 스타 파워/가젯 등)

10.1. 추천하는 브롤러 조합

올리의 특수 공격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브롤러 조합도 매우 중요하다. 아래에는 추천하는 브롤러 조합과 추천하지 않는 브롤러 조합을 서술했다.
  • 1. 데미지가 강력한 중장거리 광역 공격 브롤러: 이 브롤러들은 올리의 약한 딜을 커버하고도 남으며, 금상첨화로 광역 공격기를 포함하고 있어 올리다 2명 이상 끌었을떄도 순식간에 정리할 수 있어 올리의 한방 능력을 더욱 극대화시켜줄 수 있는 조합이다.
  • 2. 기동성과 교전 능력, 견제 능력이 좋은 브롤러: 이들은 기동성이 좋아 광범위한 구역을 견제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딜링 능력 또한 좋아 올리의 약한 딜을 보충할 수도 있다. 1번과 마찬가지로 올리의 단점을 상쇄시켜줄 수 있는 조합.
    • 스튜
  • 3. 모든 투척 브롤러: 투척 브롤러들은 올리가 벽을 끼든, 혼자 적진에 뛰어들든, 1가젯을 이용해 접근하든 모두 사정거리 안에만 들어간다면 올리를 지원할 수 있어 궁합이 매우 좋은 편이다. 대부분은 데미지도 준수한 것은 덤이다.
    • 다이너마이크, 발리, 틱, 스프라우트, 그롬, 윌로우, 래리 & 로리, 베리, 주주
  • 4. 올리를 다방면으로 지원할 수 있는 브롤러: 이 브롤러들은 체력 회복, 보호막 등 올리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준수한 딜링 능력 등으로 간접적으로 올리를 지원할 수 있는 브롤러들이 속한다. 주로 힐 기능이 있는데 중장거리 견제가 가능하거나, 딜링 능력이 나쁘지 않은 브롤러가 여기에 속한다.[60]
    • 맥스[61], 거스, 키트, 베리, 포코[62]
  • 5; 왕귀형 브롤러: 적들을 최면 능력으로 끌고 오면서 평타를 쉽게 맞춰 왕귀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궁합이 잘 맞는 편이다.
    • 서지, 클랜시
3인큐로 조합을 짤 때에는 위에서 분류한 역할군 1번 ~ 5번 중에서 1번을 제외하면 역할군이 중복되지 않는 것이 좋다. [게다가] 가장 좋은 조합은 1번(데미지가 강력한 중장거리 광역 공격 브롤러) + 4번(올리를 다방면으로 지원할 수 있는 브롤러)가 가장 적합하며, 다른 조합은 올리 + 안티 탱커 브롤러 + 투척수, 올리 + 1번(또는 2번) + 5번(왕귀형 브롤러), 올리 + 1번 + 3번 등이 자주 쓰인다. [64] 결론적으로, 2인큐이든 3인큐이든 1번(강력한 중장거리 광역 공격 브롤러)와 궁합하는 것이 제일 좋다.

10.2. 추천하지 않는 브롤러 조합

  • 대부분의 데미지가 낮은 브롤러
    • 미스터 P, 스퀴크, 자넷, 그레이, 찰리 등
  • 이동기가 빈약한 근거리 브롤러
    • 불, 로사, 더그 등

11.

  • 표제
    설명
  • 표제
    설명

12. 스킨

12.1. 기본 스킨

파일:Ollie.webp

미플보다도 디자인 면에서 굉장한 혹평을 받았다. 얼굴의 초록색 가면이 혹평의 주된 이유이며, 그것을 제외하고도 올드스쿨 힙합과 관련한 개성이랄 게 딱히 없는 디자인 때문에 브록 스킨이나 기영이오왁크스(...)인줄 알았다는 반응도 많다. 미플이 공개 후에 그래도 나름 컨셉에 충실한 디자인과 재밌는 대사로 인해 여론이 좋아진 반면, 이쪽은 여전히 혹평이 난잡하고 있다. 최악의 외형으로 평가받는 안젤로와 비교하는 유저도 있을 정도.

승리 시 스케이트 보드를 타고 묘기를 부린다음 올라타면서 비트를 탄다. 패배 시 스케이트 보드에서 미끄러지다가 엎어지고 엉덩이에 스케이트 보드를 맞아 기절한다.

12.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2.2.1. 힙합 스웨그 올리(OLLIE-G)

파일:Rare_SkinBS.png
파일:Oliie-G.png
희귀도
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29
파일:icon_bling.png 1000

13. 업데이트 내역

  • 2025년 1월 30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얼리 액세스 기간 시작
  • 2025년 2월 6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신화 브롤러로 신규 출시
  • 20XX년 X월 X일
    파일:Arrow-up-big.png 버프 내용
    파일:Arrow-down-big.png 너프 내용
    파일:Arrows-switch-big.png 기타 내용

14. 기타

파일:Ollie_Loadingscreen.png
  • 명칭은 스케이트보드 동작 중 공중으로 점프하는 동작인 알리(Olley)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 디자인의 모티브는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로 보인다. 실제로 타일러가 활동 초창기에 쓰던 초록 가면과 매우 유사하다 #. 힙합 아티스트이긴 하나, 올드스쿨과는 거리가 있는 음악가인데 왜 이런 디자인을 따 왔는지는 의문.
  • 출시 기념 영상에서 자신을 스타파크의 킹이라고 소개하며 등장한다. 거리를 배회하며 자신이 원하는 에너지를 찾던 중, 스케이트를 개조하여 지금의 호버보드로 만들고, 스케이트 비트 패밀리 크루들의 일원이 되려고[65] 찾아갔지만 거절당하게 된다. 그 후 지금의 녹색 비니를 착용하고 다시 찾아갔더니 크루들의 반응이 폭발적이였다며 자신의 소개를 마친다. 참고로, 영상에서 올리가 비니를 쓰기 전의 모습이 나오는데[66], 비니를 벗은 본모습은 귀엽다는 반응도 많다.
  • 스킬과 가젯, 스타파워의 영어 명칭의 대부분이 올드스쿨 힙합 곡의 이름에서 따왔다.
  • 올리가 신화 등급의 탱커로 출시되며 버스터의 유일 신화 등급 탱커라는 타이틀을 깼다.
  • 올리는 올드스쿨 힙합을 모티브로 하여 캐논락을 모티브에 두고 있는 드라코와 함께 음악 관련 캐릭터 중에서도 장르가 차별화되어 있다.
  • 일반적인 스케이트 보드와 달리 호버링 기능이 있는 보드를 타고 다니며, 인게임 상에서도 부유하면서 이동해 발자국이 남지 않지만 물 위를 걷는 특성이 없다. 본래 이브만의 고유한 특징이었던 물 위를 건너는 특성을 가진 브롤러가 한동안 많이 추가되기도 했고, 탱커인 올리가 해당 특성을 가져봤자 큰 쓸모가 없기에 적용하지 않은 걸로 추정된다.
  • 광기의 광산 열차 맵에서 새로운 버그가 발견었다. 열차 주변에 가서 궁을 쓰면 열차의 일부나 전체가 사라지는 형태다. 공교롭게도 직전에 출시된 미플도 비슷한 버그가 있었다.

[1] So Fresh, So Clean의 가사 일부다.[2] 톤이 다른 대사가 두 개 존재한다.[3] 에미넴과 Ez Mil의 곡 제목이다.[4] 이 부분에서 톤이 낮아진다.[5] De'lacy의 곡 'Hideaway'를 패러디했다.[6] '떨어지다'라는 뜻과 'EDM 곡에서 빌드업 이후 하이라이트가 시작하는 것'이라는 중의적 표현을 이용한 언어유희.[7] 톤이 다른 대사가 두 개 존재한다.[8] 숙어 'do or die(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의 변형으로 보인다. 'ride or die(헌신적인 파트너)'라는 표현이 힙합 문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면 그쪽을 의식했을 가능성도 있다.[9] 자신의 이름의 유래가 된 스케이트보드 기술이다.[10] 그룹 House of Pain의 "Jump Around"라는 곡의 구절이다.[11] 조작, 공격, 특수공격 조이스틱이 없어지고, 당연히 가젯과 하이퍼차지도 사용 불가능하다. 프랭크의 1가젯에 최면 해제가 되는지는 불명.[12] 물론 돌진 후 발동되는 능력도 모두 취소된다.[13] 코델리우스나 안젤로의 것보다 체공 시간이나 이동 거리 모두 밀린다. 체감상 엘 프리모의 1가젯에 의해 날아가는 수준의 속도이다.[14] 코델리우스나 브록같이 체력이 적은 브롤러는 강한 공격을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매우 크게 다가오지만, 이쪽은 탱커라 크게 어울리지 않는다.[15] 가젯-궁극기 연계 시 중간 최면이 아닌 짧은 시간을 제외하면, 3.5초라는 긴 시간동안 상대에게 최면을 걸 수 있다![16] 이 연계는 확정 콤보가 아니기에 자넷, 보니와 같이 즉시 탈출 할 수 있는 브롤러나, 게일, 찰리 등 즉시 궁극기를 대처할 수 있는 브롤러들이 궁극기가 채워져 있을 시엔 여전히 올리의 궁극기를 적중시키기 어렵다.[17] 그래도 4000이라는 많은 양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대의 공격 타이밍에 맞춰 대미지를 받아내는 용도로 사용하면 보호막 효율을 제대로 뽑을 수 있다.[18] 대표적으로 니타, 불 등[19] 사거리가 짧은 탱커나 대미지가 낮은 포코 같은 경우, 다만 포코는 2가젯 조합으로 궁극기 시전 시간 중 올리가 공격을 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1가젯 포코는 매우 비추.[20] 다만 이는 조합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일부 랭커들은 2티어까지 평가하기도 한다. 그리고 누군가는 1티어로 평가했다.[21]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22]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23] 2스파 착용 후 특수 공격 사용 시[24] 올리는 대부분 다른 근접 브롤러들이나 안티 탱커 브롤러들에게 불리한 상성을 지녔다.[25] 매우 까다롭다. 근접 대응력은 쉘리, 체스터랑 동급일 정도로 근접전이 매우 쎄고 중원거리 견제 능력도 이 둘에 비해서 좋고 무엇보다 경기 회복 스타파워가 있다면 죽이기가 매우 까다로워진다.[26] 선궁이 있다면 먼저 3방에 잡아낼 수 있지만, 크로우가 1가젯이 있다면 3방을 버틸 수 있는데다 궁으로 도망가버린다. 애초에 올리가 궁을 채울 쯤에는 크로우도 궁이 있을 확률이 높다. 2가젯도 꽤나 골칫거리.[27] 접근해봤자 스튜는 연속 궁으로 도망가버린다. 그나마 체력은 꽤 높아서 신속하게 처리하기 힘들다는 점은 위안.[28] 엠즈보다 사거리가 짧은데다가 재장전 속도와 공격력에서도 올리가 한참 밀린다. 접근해도 1가젯으로 밀어내버린다.[29] 그나마 이쪽은 접근 시 안정적으로 잡아낼 수 있지만, 평소에는 얻어맞고 방심하면 1가젯이나 궁 슬로우에 걸려서 역관광당할 수 있으니 주의.[30] 평소에는 얻어맞고 접근해도 궁과 2가젯으로 올리를 신속하게 밀어낸다.[31] 체력이 높아서 한대한대가 아프고 접근해도 혼란 효과가 끝난 뒤 신속하게 2가젯+궁으로 역관광시켜버린다.[32] 올리는 루의 훌륭한 궁셔틀이다. 일단 기본 사거리 자체에 차이가 있으며, 특수 공격으로 최면을 통해 진입 시, 특수 공격 2가젯 평타 콤보로 즉시 얼려버리거나, 일반 공격을 2번 정도 사용해 즉시 무효화시킬 수 있다. 루가 고수가 아닌 이상 에임 명중률이 낮은 게 위안이지만, 올리보다 재장전 속도가 훨씬 빠르기에 피가 얼마 없거나, 난전 상황일 때를 노려야한다.[33] 루와 똑같다고 봐도 무방하다. 기본적으로 2스파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에 딜량은 루보다 더 높을 것이며, 특수 공격 사용 시, 최면이 터져도 어차피 본인도 공격을 못해서 쓸모 없다. 사거리 차이도 월등히 나기에 난전일 때만 특수 공격으로 진입해서 잡는 것을 추천.[34] 엘 프리모는 전 브롤러 2위의 체력을 갖고 있어서 올리의 공격에 잘 안 죽을 뿐더러 준 안티 탱커로 평가받기 때문에 올리가 상대하기 어려운 편이다.[35] 대릴은 집탄률이 낮아도 초근접전에서는 올리조차 감당하기 힘든 피해량을 갖고 있어 가젯이나 궁으로 최면을 건다는 것은 대릴의 집탄률을 올려주는 것과 가깝다. 또한 탱커들 중에서도 기동성이 엄청나게 좋아서 거리를 벌리려고 해도 뛰어난 기동성으로 금방 따라잡힌다.[36] 일단 에드거는 재장전 속도가 모든 브롤러들 중 가장 빠른 편에 속하고, 피흡 능력으로 올리의 대미지를 무효화시킨다. 에드거는 이동기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벽 뒤로 도망쳐도 순식간에 따라잡혀 처치당한다.[37] 둘 다 근접전이 약하지만 차라리 2가젯으로 DPS를 끌어올릴 수 있고 궁으로 피흡까지 할 수 있는 모티스가 근접전 능력은 훨씬 낫다. 하이퍼차지까지 있으면 그냥 도망가자.[38] 근접 폭딜로 인해 초근접전은 패배할 수 밖에 없고, 거리를 벌리려고 해도 체스터는 사거리가 올리보다 길어 거리를 벌려도 승리가 불가능하다. 체스터가 왕사탕이 있으면 그냥 도망가자.[39] 올리가 무슨 짓을 하든 절대 못 이긴다. 올리의 DPS는 포코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매우 처참해 올리 혼자서는 절대로 프랭크를 저지할 수 없으며, 무엇보다 올리의 존재 의외나 다름없는 최면을 1가젯으로 무효화할 수 있고 특수 공격으로 올리를 기절시켜 올리가 팀원을 노리지 못하게 보호할 수도 있기 때문에 1대1, 3대3에서 모두 올리의 완벽한 카운터이다.[40] 틱의 세팅에 따라 난이도가 매우 크게 변화한다. 틱이 신화기어와 회복기어, '셀프 수리' 스타파워, 최후의 저항 가젯을 장착하고 있을 때에 가장 어렵다. 틱의 신화기어의 유무에 따라 틱의 궁극기 처리를 위한 일반공격의 횟수가 바뀌기 때문에 껄끄럽지만, 셀프 수리와 최후의 저항에 비해선 양반이다. 셀프 수리와 최후의 저항은 환장의 콜라보를 이뤄 올리가 틱을 잡는게 거의 불가능하게 만든다. 셀프 수리의 자연회복 딜레이가 올리의 일반공격의 재장전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세번 연속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면 잡는게 거의 불가능하다. 만약 세번 연속 공격 할 기회가 있더라도, 틱이 최후의 저항 가젯을 사용하면 일반공격 세 방에 죽지 않게되며, 일말의 희망인 올리의 궁극기 마저도 캔슬과 함께 뒤로 밀쳐내기 때문에 올리로 틱을 잡기란 매우 힘들다.[41] 베리의 화력도 약해 올리를 잡기 힘들지만, 베리도 마찬가지로 힐과 가젯을 이용한 뛰어난 생존력으로 잡기 매우 버겁다. 일단 위대한 우정 가젯부터가 대놓고 올리의 특수 공격의 카운터이며, 베리의 특수 공격도 이동기+딜링기라 올리에게 위협적이다.[42] 강한 지속대미지와 궁극기, 가젯 모두 껄끄럽다. 윌로우가 궁극기가 없을 때에 들어가도, 윌로우가 애모 세개를 다 사용 후 가젯을 이용해 올리의 궁극기를 피하게 되면 윌로우가 다음 일반공격에 궁극기를 채워 잡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두번째 가젯인 시선집중이 아니라면 잡기 매우 힘들다.[43] 주주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대처가 가능하지만 문제는 일방적으로 맞기만 하다가 주주의 궁극기가 찼을 때 매우 힘들어진다. 올리의 저열한 일반공격으론 2가젯을 쓴 주주와 그리그리를 매우 처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주 입장에서 올리의 컨트롤 킥 가젯과 특수 공격의 발동을 저지할 수단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완전히 상대가 불가능한 건 아니다.[44] 올리는 데미지가 낮은 브롤러들에게 유리한 상성을 지녔다.[45] 스퀴크는 근접전 능력이 매우 약해서 궁을 적중하면 승리라고 보면 된다.[46] 평타의 사거리가 올리보다 더 길어도 데미지가 낮기 때문에 공중 포격만 조심하면 쉽다.[47] 그레이는 명중률도 빈약하고 데미지도 낮아 그냥 밀고 들어가면 쉽게 상대할 수 있다. 포탈로 도주하는 것만 조심하면 만만하다.[48] 올리는 저지력이 부족한 브롤러들과의 상성이 편차가 갈리는 편이다.[49] 화력이 엄청나게 강하고 특수 공격의 넉백, 다이너 점프 등의 변수가 있어서 컨트롤 킥 가젯으로 접근해놓고도 질 수 있다.[50] 컨트롤 킥 가젯으로 접근해도 방위 프로토콜 스타 파워와 후퇴 명령 가젯과의 조화로 투척수 중에서도 단단한 내구를 지니게 되어서 특수 공격이 있어야만 잡을 수 있다.[51] 사거리야 미플이 더 길고 유도 기능까지도 있어서 좋으나, 재장전 속도가 심각하게 느려서 체력이 낮다면 특수 공격을 사용해 진입해볼 수 있다. 다만, 진입 시 1가젯으로 벽을 쳐서 본인을 가둬 공격을 막거나, 올리를 가둬 달아날 수 있고, 2가젯으로는 접근하자마자 특수 공격을 날려버릴 수 있다.[52] 올리는 체력이 매우 높아서 진의 공격을 어느 정도 맞아주며 진입할 수 있지만, 진을 잡아낼 딜이 턱없이 모자라다는 게 함정이다. 물론 진 역시 올리를 잡을 딜이 나오지 않아서 서로 특수 공격을 채우기 전 까지는 지루한 싸움이 이어진다.[53] 연속 너프로 찰리가 많이 약해졌다고 해도 올리 역시 찰리를 단번에 잡을 딜이 안 나온다. 올리가 특수 공격으로 진입해도 찰리가 맞 특수 공격으로 올리를 고치에 가둬버릴 수 있다.[54] 서로가 서로를 못 죽인다. 올리의 저열한 딜은 기본 스탯이 상당히 낮은 미코를 상대하는 것 마저도 상당히 버겁다. 그래서 벽이 좀 있는 맵에서는 미코의 훌륭한 특수 공격 셔틀로 전락한다. 특수 공격으로 접근해도 미코는 점프로 올리의 공격을 간단히 피한다. 미코에게 올리의 특수 공격이 적중해서 최면이 걸렸다고 해도 난전 상황이 아닌 이상 미코를 확실히 잡아낼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올리 입장에선 가젯과 특수 공격까지 동원해야 미코를 잡을 딜이 겨우겨우 나오고, 미코는 기동성이 매우 좋아서 올리의 공격을 간단히 피하고 어그로를 끌 수 있어서 상당히 까다롭다. 그러나 미코 입장에서도 올리를 절대 만만히 볼 수 없는데, 올리는 체력이 매우 높아서 미코가 올리를 잡으려면 특수 공격으로 접근해 일반 공격 4번을 모두 명중시켜야 하고 상황에 따라서는 고막 주의 가젯까지 써야 하므로 상당히 노답이다. 즉 롤라 <-> 앰버와 비슷하게 서로 만나기 싫은 상대.[55] 서로의 가젯, 특수 공격 유무에 따라 상성이 크게 갈린다. 올리가 가젯과 특수 공격이 있으면 가젯으로 니타에게 최면을 건 뒤 특수 공격으로 한번 더 최면을 걸어서 니타를 괴롭힐 수 있지만, 만약 니타가 특수 공격이 있다면 올리는 관통 공격이지만 딜이 매우 낮아 니타와 곰의 협공을 받아내기가 어렵다. 사정거리는 올리가 근소하게 길긴 하지만 유의미한 차이도 아니여서 올리만 일방적으로 특수 공격을 채우는 플레이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다만 둘다 특수 공격이 없다면 서로가 서로를 최소 5번은 때려야 하기에 승패가 잘 나지 않는다.[56] 행크의 공격은 범위 공격으로 올리의 진입을 막기에 훌륭하나, 공격 준비 시 체력 회복이 되지 않기 때문에 풍선을 불고 있을 때 최대한 공격을 해줘야한다. 올리가 특수 공격으로 진입했을 때 당하면, 공격 자체를 차징할 수 없기 때문에 최면에 당하고 올리네 팀원들 앞으로 끌려가면 거의 죽을 것이다.[57] 쉘리는 근접전이 강하지만 적과의 거리가 멀어질 수록 피해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데, 올리는 사거리가 길어 중거리에서 쉘리가 근접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쉘리를 공격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서로 입히는 피해량이 비슷해져서 체력이 더 높은 올리가 이기게 된다. 특수 공격도 거리를 조절하며 두 번째 스타 파워의 4000 보호막을 얻는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58] 프랭크는 체력이 인게임 1위일 정도로 높은데, 사정거리가 탱커 중에선 올리, 메그 다음으로 사정거리가 긴데, 데미지도 강력해 올리 궁 + 프랭크의 난사만으로도 상대는 녹아버린다. 올리를 프랭크, 맥스와 조합할 시 올리의 접근 능력도 향상되고 뚜벅이라는 프랭크의 단점을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어 좋다.[59] 엠버는 지속 데미지가 강하고 관통+장거리인 몇 안되는 브롤러로어느정도 장거리에서 적을 끌어와도 지원할 수 있으며, 초반 교전력도 상당히 강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맥스와 조합 시 순간적인 라인 교전 능력이 말도 안되게 높아져, 잘만 들어가면 순식간에 모든 라인전을 이겨 있는 진풍경을 볼 수도 있다. 기존의 엠버+맥스도 랭커들 사이에선 사기적이라고 평가를 받았는데, 거기에 올리까지 넣는다면...[60] 다만 거스와 바이런 등은 오픈맵에서 활약을 할 수 있는데, 올리는 벽이 많아야 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좋은 맵들이 서로 겹치지 않는다. 더군다나 올리는 브롤 볼, 핫 존에서 좋은 방면 거스, 바이런은 젬 그랩, 녹아웃에 좋은 등 잘 쓰이는 모드 자체가 다른 것도 덤. 다만 예외적으로 젬 그랩에서 올리를 사용할 경우, 미드 거스 + 사이드 올리 조합을 자주 쓰기도 한다.[61] 2번의 기동성과 교전 능력, 견제 능력이 막강한 브롤러에도 속하는 케이스이다. 이론상 데미지가 강력한 광역 공격 브롤러와 함께 조합한다면 순간적인 한방 능력이 어쌔신 하이퍼차지 저리가라 수준이다.[62] 포코의 경우 2가젯으로 특수공격중 침묵 효과를 풀 수 있어 나쁘지 않다. 탱커인 만큼 포코와의 조합이 효율적인 것은 덤.[게다가] 1번에 있는 브롤러들로만 조합하는 것보다 다른 역할군을 함께 쓰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64] 3번 + 5번의 경우에는 올리와 왕귀형 브롤러 모두 초반이 약하지만 투척 브롤러가 이들을 커버하기에는 근접 대응력이 떨어져 라인이 말릴 수 있으며, 4번 + 5번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데미지가 높은 편이 아니며, 3번 + 4번의 경우에는 팀의 전체적인 근접 대응력이 떨어진다.[65] 올리가 속한 트리오와는 별개의 크루들로 비비, 팽, 오티스, 에드거, 스파이크이다.[66] 파일:올리 마스크 미착용.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