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0:59:44

루미(브롤스타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름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017dda><colcolor=#fff>
숫자 ~ ㄹ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
ㅁ ~ ㅂ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
ㅅ ~ ㅈ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
ㅊ ~ ㅎ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
}}}}}}}}}
⠀[ 희귀도순 ]⠀
## 희귀도순 나열 시작
<colcolor=#fff><nopad>
기본
브롤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
<nopad> 희귀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
<nopad> 초희귀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
<nopad> 영웅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
<nopad> 신화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
<nopad> 전설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
울트라
전설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nopad> 기간
한정
[[버즈 라이트이어(브롤스타즈)|
파일:버즈 라이트이어_204x126.png
파일:토이 스토리 시리즈 로고.svg
버즈 라이트이어
]]
⠀[ 역할군별 ]⠀
## 역할군별 나열 시작
<colbgcolor=#017dda><colcolor=#fff>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탱커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어쌔신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서포터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컨트롤러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저격수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투척수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

}}} ||
관련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레코드 (구 마스터리) · 스킨 · 칭호메타 및 성능 · 템플릿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브롤스타즈의 90번째 브롤러
<rowcolor=#000,#fff> 핑크스
#!if d1_2 != null
, [[|]]
루미
#!if d2_2 != null
, [[|]]
재용
#!if d3_2 != null
, [[|]]


루미
LUMI
파일:Lumi_Portrait.png
<colbgcolor=#FF0000><colcolor=white> 등급 신화
역할군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DAMAGE DEALER)
코드 네임 Morningstar
출시일 얼리 액세스
2025년 3월 27일
정식 출시
2025년 4월 3일
성우 투울리 파주
플레이어 칭호 헤드뱅잉 마스터


1. 개요2. 대사 목록3. 핀4. 스프레이5. 스탯6. 스킬
6.1. 일반 공격 - 철퇴 주의보(GOOD MORNING... STAR)6.2. 특수 공격 - 폭발적인 비트(BLAST BEAT)6.3. 가젯
6.3.1. 도화선(HIT THE LIGHTS)6.3.2. 발이 꽁꽁꽁(GRIM AND FROSTBITTEN)
6.4. 스타 파워
6.4.1. 42% 연소(42% BURNT)6.4.2. 하프 타임(HALF-TIME)
6.5. 하이퍼차지 - 드럼 솔로(DRUM SOLO)
7. 성능
7.1. 장단점7.2. 변천사7.3. 모드별 평가
8. 상성9. 세팅10. 팁11. 스킨
11.1. 기본 스킨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어둠의 기사 루미(DARK KNIGHT LUMI)11.2.2. 페르세포네 루미(PERSEPHONE LUMI)
12. 업데이트 내역13. 기타

1. 개요

파일:Lumi_BS.png
You miss a beat you pay the price.
한 박자라도 놓치면 대가를 치러야 할 거야.
A passionate metalhead and a talented drummer, Lumi traded her drumsticks for morning stars when she got her job at Starr Park. She controls elements of ice and fire, which reflects her shy nature and her burning passion for music!
뛰어난 드럼 실력을 지닌 열정적인 헤비메탈 팬입니다. 스타 파크에 취직하며 드럼 스틱 대신 철퇴를 손에 쥐게 되었습니다. 루미는 얼음과 불의 원소를 다루며, 이는 그녀의 수줍은 성격과 음악을 향한 불타는 열정을 그대로 보여주죠!
  • 매드 이블 저택 트리오의 2번째 멤버이다. 철퇴 2개를 휘두르고 다니며 드라코의 짝사랑 상대라고 한다. 포지션은 드럼을 맡고 있다.

2. 대사 목록

대사 일부에서 핀란드어를 구사한다.

멋들어진 디자인과 달리 목소리가 하이톤이어서 깬다는 평가가 많다. 관용어나 숙어, 속담, 명언같은 독백이 많이 들어가서 호불호가 갈린다.
Let's leave the cat on the table.[1]
툭 터놓고 얘기해 보자고.
Serving blast beats and broken teeth!
폭발적인 비트와 치아 분쇄를 제공하지!
One, two, one two three four!
하나, 둘, 하나 둘 셋 넷!
Let's take this up a notch!
좀 더 재미있게 가보자!
This is deeply uncomfortable.
이거 엄청 불편하네.
Are we done yet?
아직 멀었어?
Mosh pit ruleless!
무법의 모쉬 핏!
Let's kick some pylly![FIN]
엉덩이 좀 걷어차러 가자!
Going in at 200 beats per minute.
200 BPM 돌입 중.
Nyt mennään 200 BPM.[FIN]
200 BPM 돌입 중.
Let's jump into cold water!
찬물 속으로 뛰어들어 보자!
Tulta munille![FIN][5]
놈들의 그곳을 노려라!
Just get out of my way!
그냥 내 앞에서 비켜!
I get my kicks from my sticks!
내 스틱은 스릴을 불러오지!
Anta tulla lunta tupaa ja jäitä porstua![FIN]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7]
리스폰 시 대사
Drum roll please! Ba dum tsh.
드럼 롤 주세요! 두 둠 칫.
I won! Yay! Can I go home now? [8]
내가 이겼어! 야호! 이제 집에 가도 돼?
This was a victory like wearing victory pants.
승리의 바지를 입는 것 같은 승리였어.
Didn't miss a beat!
한 박자도 놓치지 않았지!
I ran to the finish like a moose in a swamp.
늪에 빠진 무스처럼 결승선을 향해 달렸지.
Voitto kotiin![FIN]
승리를 가져왔어!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Even the smallest cow has horn.
가장 작은 소조차도 뿔을 가지고 있지.
Pain doesn't kill, but it makes you weak.
고통은 널 죽이진 않지만, 약하게 만들어.
Pain makes you grow, and suffering refines you.
고통은 널 성장시키고, 괴로움은 널 단련시켜.
Life is not just dancing on roses.
삶이란 그저 장미 위에서 춤추는 것이 아니야.
Pain is weakness leaving the body.
고통이란 나약함이 몸에서 빠져나가는 것.
Metal drummers don't tap out.
메탈 드러머는 굴복하지 않아.
Paradiddle of pain.
고통의 좌우 연타구나.
I haven't got time for this.
이럴 시간 없어.
Ah!
아악!
피격 시 대사
And so the forest answers as you scream.
인과응보다.[10]
You miss a beat, you pay the price.
한 박자라도 놓치면 대가를 치러야 할 거야.
Guess you can't handle my tempo.
내 템포를 감당할 수 없었나 보네.
I wish you all the stamina.
스태미나 회복을 빌어줄게.
You just got drum-rolled!
너 방금 드럼 롤 당했어!
Joy and sorrow walk hand in hand.
기쁨과 슬픔은 손에 손 잡고 걷는다네.
I rock it, you just roll it.
난 흔들고, 넌 그냥 뒹굴고.
There's still space behind the sauna.
널 끝장내버리겠다.[11]
I double-kicked you to oblivion!
더블 킥으로 널 흔적도 없이 날려버렸다!
The deceased do not complain!
죽은 자는 불평하지 않지!
적 처치 시 대사
I'm throwing my spoon in the corner.
운명을 달리했구나.[12]
Burnt my butt and sat on the blisters.
엉덩이를 데이고 물집을 깔고 앉았네.
Ei auta itku markkinoilla.[FIN]
소 잃고 외양간 고쳐봤자 소용 없어.[14]
Ei hätä ole tämän näköinen.[FIN]
비상사태는 이런 모습이 아니야.[16]
I'm feeling a little offbeat.
살짝 이상한 느낌이 들어.
Metal breakdown.[17]
메탈 붕괴.
Crashing like a cymbal.
심벌즈처럼 부딪혔네.
Guess I missed a beat?
나 박자를 놓친 건가?
I won't be getting up from this.
난 여기서 일어서지 못할 거야.
The drums of doom are calling.
파멸의 드럼들이 날 부르는구나.
Ojasta allikkoon.[FIN]
설상가상이구나.[19]
Aika aikaa kutakin, sanoi pässi kun päätä leikattiin.[FIN]
너도 언젠간 똑같이 당하게 될 거다.[21]
(비명소리)
사망 시 대사
Ooooo!
우우우우우!
Drums of doom go boom boom boom!
파멸의 드럼이 쾅 쾅 쾅!
Blast beat!
폭발적인 비트!
Drums of destruction!
파괴의 드럼!
Time for some Brawler breaking beats!
브롤러 파괴 비트를 연주할 시간이다!
Breaking the sound barrier!
음속 장벽을 돌파한다!
Heittää löylyä kuin sauna majuri?[FIN]
장조의 사우나처럼 불을 던지는가?
Soittaa kuin hullu myrskyn keskellä![FIN]
태풍 속에서 미치광이처럼 부른다!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rowcolor=#fff>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상태 희귀도 대사
파일:lumi_neutral.png Neutral
일반
drum roll please,ba dum tsh.
파일:lumi_happy.png Happy
일반
I won! Yay! Can I go home now?
파일:lumi_sad.png Sad
일반
Burnt my butt and sat on the blisters.
파일:lumi_angry.png Angry
일반
Are we done yet?
파일:lumi_GG.png GG
희귀
Voitto kotiin!
파일:lumi_clap.png Clap
희귀
박수 소리
파일:lumi_thanks.png Thanks
영웅
I rock it, you just roll it.
파일:lumi_phew.png Phew
영웅
Life is not just dancing on roses.
파일:lumi_special.png Special
영웅
Let's leave the cat on the table.
파일:lumi_facepalm.png Facepalm
컬렉터
I'm throwing my spoon in the corner. }}}}}}}}}}}}

4. 스프레이

<rowcolor=#fff> 스프레이
파일:lumi_spray.png
  • 루미가 날리는 철퇴가 그려져 있다

==# 마스터리 #==
||<|2><tablewidth=96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rowcolor=#fff><bgcolor=#ad4d37><height=70>
파일:mastery_empty_wood.png
우드
파일:mastery_empty_bronze.png
브론즈
파일:mastery_empty_silver.png
실버
파일:mastery_empty_gold.png
골드
<rowcolor=#fff>IIIIIIIIIIIIIIIIII
-
파일:coin.png
1000 코인
파일:PP.png
150 PP
파일:Credits_Icon.png
100 크레딧
파일:PP.png
300 PP
파일:coin.png
2000 코인
파일:Credits_Icon.png
200 크레딧
파일:lumi_facepalm.png
Facepalm 핀
파일:lumi_icon.png
플레이어 아이콘
파일:icon_mastery_title.png
칭호:
헤드뱅잉 마스터


300
800
1500
2600
4000
5800
10300
16800
24800

파일:icon_mastery_point.png

5.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파일:Icon_health.png HP || 이동 속도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2600 보통
(720 = 2.4타일/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2860
3 3120
4 3380
5 3640
6 3900
7 4160
8 4420
9 4680
10 4940
}}}}}}}}} ||
11 5200

원래는 체력이 3000이었지만 2025년 4월 후반에 체력이 200 너프당하고 6월 중반쯤 또 체력이 200 너프당했다. 스탯만 보면 그리 특출나지도 않았고 특별한 점도 없다. 일반적인 물몸 원거리 브롤러보다 조금 더 체력이 많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후에 상술할 뛰어난 원거리 및 근거리 대응력과 지향하는 전투 방식에 가려져 낮은 체력이 부각되는 문제점은 아니다.

6. 스킬

6.1. 일반 공격 - 철퇴 주의보(GOOD MORNING... STAR)

파일:skill-attack_new.png <colcolor=#000,#ddd> Lumi throws one of her morning stars. She can throw both of her weapons, with her third attack recalling them, dealing damage to any enemies caught in their path!
2개의 철퇴 중 1개를 던집니다. 루미는 무기 2개를 모두 던질 수 있으며, 세 번째 공격에서는 던진 무기를 되돌려 경로상의 모든 적에게 피해를 줍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600 ||<width=25%>귀환 피해량
900 ||<width=25%>재장전 속도
매우 빠름(0초) ||사정거리
장거리(7타일) ||
특수 공격 충전량: 10.35% / 15.525%[24]
투사체 속도: 3400[25] / 4000[26]
투사체 폭: 1.13타일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귀환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600 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660 990
3 720 1080
4 780 1170
5 840 1260
6 900 1350
7 960 1440
8 1020 1530
9 1080 1620
10 1140 1710
}}}}}}}}} ||
11 1200 1800 }}}}}}

탄창 1개마다 철퇴 2개를 던진 후, 다음 공격으로 2개를 동시에 다시 회수한다. 이때 세번째 탄창은 비의 충전된 공격처럼 노란색으로 변한다.

만렙 기준 철퇴 하나당 1200 대미지로 그리 강력하진 않으나, 회수할 수 있다는 변수를 이용해 방심한 적을 공격할 수 있다. 회수할 때는 1800 대미지를 입힌다.

2개의 철퇴가 날아갈 때와 회수될 때 모두 맞힌다면 최대 레벨 기준 6000 대미지를 입힐 수 있다. 처럼 철퇴를 회수하면 즉시 탄창을 얻는 메커니즘을 감안하면 뛰어난 폭딜과 지속딜을 지닌 우수한 공격이다. 또한 출시 직후의 찰리처럼 일반공격간의 딜레이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아무리 체력이 높은 탱커라도 루미의 일반공격 연타에 맞는다면 체력이 순식간에 녹아버리기에, 중거리에서 상당히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더해서 철퇴를 상대 뒤로 가게 놓은 후, 상대와 심리전을 할 수 있다. 상대 입장에서는 루미가 언제 철퇴를 회수할지 모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철퇴를 신경쓰면서 루미와 철퇴 사이에 서지 않게 해야 하고, 이는 상대의 무빙을 제약해 팀이 더욱 상대를 처치하기 쉽게 만든다.

철퇴를 던져 이지선다를 거는 방식으로 아예 좁은 길목을 못 지나가게 막아버릴 수도 있다.

거리가 있는 적에게 한번에 대미지를 입히려면 먼저 하나의 철퇴를 사용한 뒤, 다음 철퇴를 던져 적을 맞힘과 동시에 철퇴를 회수하면 3000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 먼저 하나의 철퇴를 사용하지 않으면 딜레이 때문에 상대가 피할 수 있다.

사망한 후 부활할 때 모든 브롤러는 탄창을 1개만 가지고 부활하는데,[27] 예외로 루미는 안젤로, 행크 등 차징형 브롤러를 제외하고 모든 탄창을 가지고 부활하는 유일한 브롤러다. 일반 공격 특유의 매커니즘 때문인 듯. 덕분에 특히 브롤 볼에서 공을 들고 골을 넣으러 오는 상대에게 폭딜을 넣기 쉽다.

속사포 추가 모드에서 심각한 버그가 있었다. 속사포 모드에서 루미의 철퇴에 적이 맞으면 던진 철퇴를 다시 회수할 수 없어 특수 공격만 사용 가능하거나 죽는 수밖에 없었다. 속사포 모드는 적이 일반 공격에 맞으면 탄창을 0.25개 채워주는 모드인데, 루미는 최초 철퇴를 던지는 두 개의 탄창이 모두 사라져야만 던진 철퇴를 회수하는 노란 탄창 하나로 바뀌고, 속사포 모드에서는 던진 철퇴에 적이 맞으면 탄창이 조금 채워져 버려 회수하는 노란 탄창으로 변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그로 추정된다. 특히 루미가 OP로 잘 쓰이는 시절 추가 모드가 등장하는 클럽 메가 저금통 이벤트가 진행된 탓에 이를 모르고 속사포 모드에서 루미를 선택한 모든 플레이어가 고통받았다. 다행히 메가 저금통이 종료된 후 패치로 고쳐졌다.

이름은 Good Morning (좋은 아침) 과 Morning Star (철퇴) 을 유머스럽게 합쳐놓았다. 이는 루미의 불과 얼음같은 성격을 잘 반영하는 센스있는 작명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상 탄창이 무제한이다. 철퇴 2개를 던지고 얼마 안 돼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한 걸 또 바로 던질 수 있고, 그 시간도 짧기 때문.

6.2. 특수 공격 - 폭발적인 비트(BLAST BEAT)

파일:Super_image1.png <colcolor=#000,#ddd> Lumi pounds the ground three times, causing explosions that deal area damage. The third explosion briefly snares enemies, making them unable to move but still able to attack.
바닥을 3번 내리쳐 폭발을 일으키며 광역 피해를 줍니다. 세 번째 폭발은 적을 잠시 속박해 움직일 수 없게 합니다. (단, 공격은 계속 할 수 있습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최대 폭발 피해량
1400 ||<width=25%>사정거리
장거리(7.33타일) ||<width=25%>폭발당 피해 증가량
20%[28] ||<width=25%>속박 시간
1초 ||
특수 공격 충전량: 20%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1000 1200 14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1100 1320 1540
3 1200 1440 1680
4 1300 1560 1820
5 1400 1680 1960
6 1500 1800 2100
7 1600 1920 2240
8 1700 2040 2480
9 1800 2160 2620
10 1900 2280 2760
}}}}}}}}} ||
11 2000 2400 2800 }}}}}}

바닥을 3번 내리쳐 광역 피해를 준다. 루미 주변에 일직선으로 원이 3개 생기는데, 사거리 끝에 있는 원에 맞으면 공격은 가능하나 잠시동안 움직일 수 없는 효과인 속박이 1초동안 걸린다.[29] 궁극기는 벽을 관통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속박된 적은 공격이 가능하긴 해도 그 자리에 그대로 고정되어버리기 때문에 자신을 향한 공격에 그대로 노출된다.

다만 같이 나온 핑크스처럼 CC기에 결함이 있는데, 일단 시전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기 때문에 잘 조준하더라도 이동속도가 빠른 브롤러들은 웬만해선 피할 수 있고, 속박에 걸리면 이동속도가 100% 감소하는 방식이라 만약 상대가 이동속도 증가 버프를 받는다면 느리게나마 움직일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또한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가 아이러니하게도 공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루미가 속박 시스템의 유일한 보유자라면 장점이지만, 속박이라는 것 자체가 공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속박을 걸고도 혼자라면 상대방의 견제 와 짧은 속박 시간 때문에 잘 못 잡는 경우가 허다하다. 속박을 잘 써먹으려면 철퇴 2개를 깔고 궁을 써서 속박시킨 다음, 멀리서 안전하게 회수대미지로 잡는게 제일 좋다.

그러나 이보다 더한 단점이 바로 완전히 이동이 막히는게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격을 할 수 있는 스턴 느낌이 아니라 조이스틱으로 이동하기가 힘든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즉, 하차를 키고 음표를 줄줄이 달아 이속이 빨라진 멜로디나 로봇 질주가 발동된 리코 같은 경우에는 조금이나마 움직일 수 있다. 심지어 모티스의 일반공격, 브록의 가젯이나 파이퍼의 궁 같은 모든 회피기는 속박이 걸려도 작동을 한다. 그러니 속박은 최대한 채널링 스킬[30]이나 회피가 없는 브롤러에게, 또는 회피기 사용을 유도할 때만 쓰도록 하자.

속박 판정은 좋은 편이지만 상술했듯이 딜레이가 있어 잘 맞는 편은 아니다.

속박과 별개로 대미지는 어마어마하게 쎄서 웬만한 빈사 상태 브롤러들은 모두 잡을 수 있다.

속박 판정이랑 대미지 판정이랑 별개인지 속박은 걸리지만 대미지는 안 들어가는 경우가 가끔 있다. [31]

6.3. 가젯

6.3.1. 도화선(HIT THE LIGHTS)

파일:Lumi_Gadget.png <colcolor=#000,#ddd> Lumi iginites her morning stars on the ground, producing flames which damage nearby enemies for 3.9 seconds. Damage per second: 360
철퇴를 바닥에 내리쳐 불꽃을 일으키며, 주변의 적들에게 3.9초간 피해를 줍니다. 초당 피해량: 360
재사용 대기 시간: 14초
효과 범위(반지름): 2.5타일

던진 철퇴에 불꽃을 일으켜 주위에 초당 일반 공격 피해량의 60%의 지속 피해를 입힌다. 불꽃은 해당 위치에 3.9초동안 지속되어 최대 4번 즉 240%의 피해를 가한다.

철퇴를 던지지 않은 상태라면 루미가 바라보는 바로 앞에 불이 붙게 된다. (철퇴가 날아가고 있어도 해당 위치에 불이 붙는다.)

피해량이 초당 360밖에 안되는 데다가 장판의 지속시간이 3.9초로 짧다. 초당 피해량도 약할 뿐더러 지속시간 또한 짧은 편이라, 전체적으로 활용하기 애매해다. 게다가 페니의 불꽃탄처럼 적이 장판 위에 있을때만 피해를 입히기에, 상대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생존기로도 활용할 수 있는 2가젯에 비해서 활용도가 낮다. 전체적으로 딜 넣는 용도의 가젯 이지만, 딜도 적고 차라리 2가젯으로 적을 묶어두고 일반 공격으로 때리는 게 더 나은 편. 그나마 장점이라면 초당 대미지가 360이라, 2가젯의 피해량보다 아주 조금 체력이 많은 적을 상대할 때 좋다. 다만, 그마저도 2가젯으로 이동 방해해서 철퇴로 공격하면 그만이라 폐급 가젯이라는 여론이 대다수다. 사실상 불과 얼음이라는 컨셉을 맞추기 위해 만든 소모용 가젯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픽률을 높이려면 리코나 칼의 가젯처럼 많은 대미지 버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판 이름의 유래는 메탈리카의 데뷔곡인 Hit the Lights에서 따왔다.

6.3.2. 발이 꽁꽁꽁(GRIM AND FROSTBITTEN)

파일:Lumi_Gadget2.png <colcolor=#000,#ddd> Lumi creates freezing winds around her morning stars on the ground, creating a slippery surface for 3.9 secs.
철퇴 주위 바닥에 차가운 바람을 일으켜 3.9초 동안 표면을 미끄럽게 만듭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23초
효과 범위(반지름): 2.5타일

던진 철퇴 주변에 차가운 바람을 일으킨다. 의 빙판에 붙어있는 미끄러짐 효과와 동일하지만 데미지는 없다.
1가젯과 마찬가지로 철퇴를 던지지 않았다면 루미가 서있는 위치에 장판이 생성된다.

범위는 당연히 루의 궁극기보단 작지만 철퇴가 두 개여서 동시에 두 길목을 틀어막고 적들의 진입을 방해할 수 있어 그 활용도와 변수 창출 능력이 무궁무진하다.

루와는 다르게 얼어붙는 효과는 없지만, 궁극기의 효과를 가젯으로 공짜로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는다. 가젯과 철퇴를 조합하면 상당히 넓은 범위를 틀어막아 버릴 수 있고, 가젯에 발이 묶인 상대에게 궁극기를 써서 확실하게 처치할 수도 있다. 여러모로 1가젯에 비해 활용도가 높은 가젯.

2025년 4월 패치로 가젯 사용 시 효과음이 생겼다.

영어판 이름은 노르웨이의 메탈밴드 이모탈의 곡 'Grim and Frostbitten Kingdoms'에서 따왔다.

원래는 장판 위에 올라갈 경우 초당 일반공격 데미지의 10%만큼 도트데미지를 입었으나 2025년 7월 긴급 밸런스 패치로 삭제되었다.

6.4. 스타 파워

6.4.1. 42% 연소(42% BURNT)

파일:Lumi_StarPower.png <colcolor=#000,#ddd> The explosions from Lumi's Blast Beat also set the area on fire for 4 seconds. Fire damage also scales with explosion damage. Damage per second for the biggest explosion: 560
특수공격으로 발생한 폭발이 4초간 주변을 불태웁니다. 화염 피해량은 폭발 피해량에 비례하며, 가장 큰 폭발은 초당 560의 피해를 줍니다.

특수 공격 범위에 불길이 생긴다. 원이 커질 때마다 불길 대미지도 커진다. 불길은 각 특수 공격 범위 대미지의 20%에 해당하는 대미지를 매초마다 입힌다. 페니 포탑의 공격과 같다.

궁극기 가장 끝 사거리에 있는 원에 자체적으로 속박이 달려있기에, 한두번은 확정적으로 560의 불길 피해량을 입힐 수 있다. 다만 그 이후로는 상대가 맞아줄 일이 없기에, 2스파에 비해서 애매하다고 평가받는다.

이름은 미국의 밴드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의 곡 '43% Burnt'에서 따왔다.

6.4.2. 하프 타임(HALF-TIME)

파일:Lumi_StarPower2.png <colcolor=#000,#ddd> Lumi slows enemies hit by her recalled morning stars for 1 seconds.
되돌아오는 루미의 철퇴에 맞은 적이 1초 동안 느려집니다.

돌아오는 철퇴에 맞은 적의 이동 속도가 1초간 느려진다. 던지는 철퇴가 아닌 돌아오는 철퇴에만 적용되지만, 비슷한 게일의 스타파워가 0.5초인 것에 비해 2배나 긴 1초이다. 주주는 무려 3초지만 물이 있어야 하는 조건부인 것을 생각한다면 상당히 강력한 능력. 단, 스타 파워 능력이 적용된 철퇴는 10% 느리게 돌아온다.[32]

이 스타파워가 있으면 돌아오는 철퇴에 맞은 적을 처치하기가 훨씬 수월해지며, 특히 탱커들은 루미에게 접근하는 것 자체가 굉장히 어려워지게 된다. 그냥 루미에게 접근한다면 프랭크도 녹아버리는 수준. 가뜩이나 강력한 평타에 날개를 달아주는 스타파워이다.

스타파워의 명칭은 음악 용어 하프타임[33]에서 따왔다.

여담으로 루미의 특징인 얼음과 불의 능력을 다룰수 있다는 점을 반영해서인지 이 스타파워를 장착한 상태로 철퇴를 회수하면 철퇴가 돌아오는 경로에 눈보라가 날린다.

원래 2초간 이동 속도가 감소하는 능력이었으나, 패치로 1초간 적용되게 되었다. 지속 시간이 반토막이 나는 너프를 먹었음에도 여전히 강력하다.

6.5. 하이퍼차지 - 드럼 솔로(DRUM SOLO)

파일:1000027282.png <colcolor=#000000,#ddd> 영어 설명
특수 공격의 마지막 폭발이 양옆으로 추가 폭발을 일으킵니다.
파일:brawler_speed_icon.png
속도
+26%
파일:skill-attack_new.png
피해량
+25%
파일:brawler_shield_icon.png
보호막
+5%
궁극기의 3번째 영역이 좌우로 확장된다. 본래 궁극기는 세 번째 영역이 딜도 높고 속박 효과가 있었는데 이제 이 하이퍼차지를 쓰면 딜 증가와 동시에 이 범위가 늘어나므로 안 그래도 좋았던 루미가 더 좋아질것으로 예상된다.

출시 당일 기준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순환율은 평타 15회~30회 정도로 느린 편에 속하지만, 벽 뒤에 숨은 상태에서 큰 리스크 없이 적에게 3500이라는 피해를 넓은 범위에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킬 캐치력이 엄청나다고 볼 수 있다. 범위가 세 배 가까이 넓어짐에 따라 2~3명을 노릴 수도 있게 된 건 덤.

7. 성능

철퇴로 시작해서 철퇴로 끝나는 특수한 일반기 매커니즘을 탑재한 대미지 딜러로, 철퇴의 배치 능력을 이용해 라인을 일부 장악하거나, 혹은 배치하기도 전에 회수하고 던지면서 dps를 높이는 전략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되돌아오는 철퇴나 특수기나 전부 벽을 관통하는 판정을 지닌 덕분에 넓은 구역을 사수할 수 있는 것은 덤이다.

지역 장악에 중점을 둔 캐릭터이지만, 철퇴의 dps가 상당히 높기때문에 중거리 인파이팅에도 특히 강점을 보인다. 철퇴 한 사이클을 풀타로 맞는다고 가정했을 때의 총 딜량이 무려 6000으로 무식하게 강력한 편인데, 탄창 관리에 있어 현타가 거의 없다시피 하기에 이 누킹을 지속적으로 퍼부을 수 있다. 2스타파워의 슬로우효과까지 겹치면 후속타의 명중률까지 올라가 루미의 지속전투력이 더더욱 강해진다.

다만 중거리에 특화된 전투 방식이 장점이자 곧 맹점으로 작용하는데, 중장거리에서의 지속싸움은 루미를 이길 자가 없지만 철퇴를 던지고 까는 것 외에 루미가 활약할 방법이 전무한 탓에 초장거리 전에서는 가젯으로 상대를 밀어낼 순 있어도 본인이 직접 사정거리에 진입할 방법이 적으며, 반대로 근접전에서는 제아무리 빨리 철퇴를 회수하려 해도 텀이 있기에 기습에 굉장히 취약해진다. 특수기도 멀어질수록 대미지가 강해지지만 그렇다고 사거리 문제를 극복하기는 어렵고, 속박 효과도 스턴이나 침묵에 비하면 효과가 불안정하다.

특유의 게임 운영 역시 마냥 쉽지는 않은데, 되돌아오는 철퇴 쪽이 1.5배의 피해를 주지만, 되돌아가는 경로가 뻔히 보이므로 철퇴를 미리 깔아두고 누구 하나 걸려라하는 전략은 당연히 안 먹힌다. 철퇴는 어디까지 가젯을 비롯한 라인 차단 목적으로만 깔아두는 것이 좋고, 기본적으로는 철퇴를 빠르게 되돌리고 사이클을 반복해가며 지형을 장악하는 것이 주된 운영법이다. 그렇기에 쉽사리 철퇴를 피하지 못하도록 유리한 지형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고, 동시에 철퇴의 경로를 고려하는 높은 예측력이 요구된다.

정리하자면 우수한 지속딜과 장거리 견제와 지역 장악력, 아군 보조 능력, 변수 창출력, 캐리력을 적절히 겸비한 만능형 브롤러에 가깝다. 그러나 이질적인 평타 조작 메커니즘과, 낮은 체급에 비해 조건부로 인파이팅이 강제되고, 앞서 설명한 능력들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기본기가 상당히 많은데다가 상황판단, 거리조절, 맵 리딩 능력까지 요구되어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런 여러가지 종합적인 요소는 솔랭에서의 성적을 제외하고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아지르와 일맥상통한 점이 많다.[34]

7.1. 장단점

장점
  • 우수한 딜링 지속력
    루미의 기본 공격은 회수하지 않으면 에모가 한 개도 차지 않지만, 대신 탄창을 회수하는 대로 바로 에모가 모두 차기 때문에 1타 - 2타 - 왕복 3타 순으로 공격을 무한정 난사할 수 있어 dps가 높고 일정하다. 속사포 추가 모드를 연상시킬 정도. 무엇보다 이러한 점은 적의 자연 회복 시간을 끊는 데 매우 용이하므로 딜량과는 무관한 장점이기도 하다. 또한, 행크나 안젤로처럼 계속 탄창을 쓰는 브롤러기 때문에, 재장전 속도 감소나 재장전 정지 등의 디버프에서도 무난하게 공격할 수 있다.

  • 왕복 공격으로 인한 높은 변수 창출력
    칼이나 찰리의 장점을 더욱 증폭시킨 느낌이다. 루미의 기본 공격을 3번째로 사용하면 본체를 향해 되돌아오기 때문에 첫 번째와 두 번째 타격이 빗나가더라도 돌아오는 길에 적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되돌아올 때는 벽을 뚫고 돌아오기 때문에 컨트롤 여하에 따라서는 투척병 마냥 벽 뒤의 브롤러를 엄폐사격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던질 때는 벽에 막혀서 바로 되돌아오므로 적 브롤러를 벽으로 몰아세운 뒤에 연속적으로 공격해서 평소보다 높은 딜을 뽑을 수 있는 등 변수 창출력이 높다.

  • 뛰어난 소환수 철거 능력
    2개의 철퇴를 날렸다가 다시 회수할 때 모두 맞혔다면 6000의 대미지를 입힐 수 있다. 거리만 어느 정도 있다면 니타의 곰이나 주주의 그리그리처럼 이동형 소환수도 빨리 처리가 가능하며, 제시나 페니의 포탑 같은 경우 이동하지 않기에 오히려 벽에 가깝게 조준해서 빨리 철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무방비하게 다가오는 탱커에게도 적용되며, 2스파와 조합하면 더욱 좋다.

  • 강력한 영역 장악력
    루미는 기본적으로 철퇴를 던지고 회수하지 않음으로써 적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고, 2가젯으로 상당한 범위에 빙판을 설치해 움직임에 제약을 줄 수 있으며, 궁극기 또한 광역기+CC기이다. 이 능력들을 조합하면 어지간한 컨트롤러 못지 않게 지역을 장악할 수 있으며, 적이 이를 무시하고 들어오면 강력한 일반 공격으로 녹여버릴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 만능형 기대치
    상술한 장점들을 종합하면 나오는 결론. 순간딜, 지속딜 가리지 않고 강력한 딜링은 기본이고, 좋은 변수 창출과 철퇴만 적절히 던져놔도 라인전과 운영, 타라인 개입을 날먹으로 할 수 있고, 아군 보조력도 매우 훌륭하며, 거기에 단독 캐리까지 가능하다. 때문에 루미는 독보적으로 1인큐에 특화된 브롤러이다. 어려운 난이도는 그렇다 치더라도 픽하기만 해도 다양한 부분에서 높은 저점과 고점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은 루미만의 독보적인 장점이다.
단점
  • 매우 어려운 난이도
    상술했듯 루미는 조건부로 매우 높은 저점과 고점을 동시에 가지는 좋은 브롤러이나 그 경지까지 가는 과정이 상당히 험난하기에 사실상 브롤스타즈에서 필요한 대부분의 기본기를 요구하는 것에 가깝다. 후술할 어려운 일반 공격 메커니즘은 당연하고, 맵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 운영, 개입, 스킬샷, 거리조절, 상황 판단 등 모든 부분에서 뛰어나야 하고, 낮은 체급을 가진것에 비해 상황에 따라 인파이팅도 요구된다. 결정적으로 딜러라는 본분을 다하면서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줄 알아야한다.

  • 일반 공격 메커니즘의 상당한 숙련도 요구
    루미의 난이도를 높이는 최대 원흉. 루미의 일반 공격은 두 개의 철퇴를 던져 회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략적인 투척이 필요하다. 잘 사용한다면 적 입장에서 철퇴 두 개와 루미의 위치를 신경쓰는 동시에 맞 라인과 거리조절을 해야 한다는 불합리한 상황을 느끼게 만들 수 있지만, 결국 때에 맞게 영역 장악이라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 내지 못한다면 애매한 성능을 지닌 컨트롤러가 될 뿐이다. 즉, 루미는 철퇴 두 개를 한꺼번에 다룰 수 있는 능력과 스킬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루미는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려운 브롤러들 중 한 명으로 꼽힌다.

  • 낮은 근접 대응력
    루미는 중거리에서는 계속해서 철퇴를 날리고 회수해서 높은 대미지를 줄 수 있지만, 적과의 거리가 매우 가까이 좁혀졌을 때는 뒤에 벽이 있지 않는 이상 무방비해진다. 일반 공격의 메커니즘으로 인해 근거리 대항 DPS가 높지 않고 체력이 상당히 낮기에 순식간에 거리를 좁히는 암살자나 탱커에게 취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게다가 도주기나 넉백기가 전무하기에 근접 대응 능력은 엠즈보다도 더욱 취약한 편. 속박이라는 cc기도 적당한 거리를 둔 궁극기에서만 나올 수 있기에, 거리 조절에 실패해서 초근접 싸움을 하게 된다면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된다.

  • 애매한 cc기를 부여하는 특수 공격
    루미의 특수공격은 다른 CC기[35]에 비해 그 밸류가 낮다. 벽 너머에 있는 적에게 2800의 딜을 줄 수 있는 점에서는 확실한 이점을 지니지만, 순수하게 적의 이동을 봉쇄시킨 후 이득을 보는 각은 제대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1초라는 짧은 지속시간도 문제지만, 루미는 결국 철퇴를 통한 견제 플레이를 통해 장기적인 이득을 취하는 브롤러지, 대릴이나 버즈처럼 순식간에 한 명을 잡으면서 라인을 돌파해버리는 브롤러가 아니기에 속박을 맞라인 적에게 부여해도, 루미 혼자 당당하게 적 앞으로 나와 온전한 폭딜을 넣기에는 무리가 있다. 사거리 차이로 이득을 볼 수 있는 아군 저격수 브롤러나 스로워 브롤러에게 시너지를 기대하고 쓸 수 있는 정도이다.

  • 부족한 기동력
    루미의 사거리는 초장거리까지 닿지 않으며 이동속도는 평범하고 이동기도 없다. 특수기를 맞추는게 아니면 초장거리 저격수를 상대하기 어렵고 특수기를 써도 발동이 빠르지 않기 때문에, 거리 조절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상대 입장에서 빈틈을 노리기 쉽다.

  • 낮은 체력으로 인한 하이 리스크 플레이
    루미는 초근접전이나 초장거리 전투에 특화된 브롤러가 아니기에, 항상 적과의 거리를 신경 써주면서 라인을 밀어줘야 제대로 된 성능이 나온다. 그런데, 라인전이 지속적인 싸움으로 갈수록 루미는 계속해서 철퇴를 던지고 가젯을 사용하며, 회수하기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피해를 입어도 회복 시간을 가질 여유가 부족하다. 루미가 회복을 위해 견제를 포기하고 뒤로 빠지게 되면, 적 팀은 루미와의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진입각을 재기 쉬워지게 되기에 루미는 거리 조절을 계속하면서도 철퇴와 가젯 사용을 반복해줘야 하는데, 루미는 5200이라는 낮은 체력으로 인해 자연치유되는 양이 적고 이를 보완할 만한 회복기도 없다.

7.2. 변천사

첫 공개 당시, 특이한 일반 공격과 예쁜 외형으로 많은 호평을 받았다.

업데이트 미리보기 후에는 조금 애매하다고 평가받는다. 명중률과 체력이 낮아서 생존력이 부족하며, 가젯들도 전부 생존보다는 철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렇다고 철퇴에 생기는 부가 효과가 좋은가 하면 그런 편도 아니다.

현재 시점에서 루미는 성능이 아예 나쁘지는 않아도 약간의 버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그것 때문에 출시 전에 버프를 받고 나왔으며, 출시 이후에는 상당히 강력하다는 평가를 듣는 중. 철퇴를 적 뒤에 놓아 심리전이 가능하며 연사속도가 상당히 빨라 탱커들을 녹일 수 있다. 또한 미니 루 궁극기를 가젯으로 원하는 곳에 생성할 수 있다는 점도 좋게 평가받으며, 궁극기 또한 맞추기 어려운 편이 아니라 좋다고 평가받는다. 경쟁전에서의 입지가 기대되는 캐릭터다.

출시 이후, 운영 난이도가 상당히 어려운 편에 속하지만, 그럼에도 상당히 좋다고 평가받는다. 중거리 순간 폭딜이 말도 안된다는 소리도 많고[36], 가젯을 이용하면 2개의 구역을 점령할 수 있다는 점도 한 몫 한다. 궁극기 패시브 cc기는 다소 애매하다는 평이 많지만, 대미지가 강력하기에 어지간한 브롤러들은 궁극기에 한 번 잘못 맞으면 사실상 확정킬이라고 보면 된다. 때문에 현재로서는 미플, 올리, 행크, 스튜, 미스터 P, 체스터, 칼과 함께 37시즌 메타의 최강자로 평가받는다.

경쟁전에서도 매우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는데, 일반적으로 우리팀이 선픽일 때는 펄을 밴하고 루미를 선픽으로 가져오고, 후픽일 때는 묻지도 말고 일단 루미를 밴하고 시작한다. 혹시나 실수로 루미 밴을 안했는데 뺏겼다면, 그냥 닷지하는 유저도 심상치 않게 보인다. 신규 브롤러이면서 밴을 자주 당하는 루미 특성상, 픽률은 상당히 낮은 편이나 승률은 역대 승률 1위였던 그레이를 넘어서고 거의 75%에 육박할 정도로 극단적으로 높은 승률을 자랑하고 있다.

곧이어 이어진 4월 월별 파이널에서, 예선전에서는 뽑기만 해도 승률의 극단적으로 높아 사실상 이기는 게임을 한다고 볼 수 있었다.[37][38] 게다가 본선에서는 전 지역에서 밴률 100%으로 단 한 판도 얼굴을 비추지 못했다. 이것은 23년 월별 파이널에서의 찰리 이후로 나온 전후무후한 기록이다.

결국 시즌 38 밸런스 패치로 너프를 받게 되었다. 체력이 6000에서 5600으로 감소하고 2가젯 쿨타임이 22초로 증가했지만, 미미한 너프라 입지가 크게 내려가진 않았다. 다만 동시에 켄지가 모티스, 멜로디, 미스터 P만큼 사기적인 하이퍼차지를 받고 OP로 떡상하여 1등 자리는 내주게 되었다.

너프를 받아도 여전히 1티어 최상위권에 있어서 결국 시즌 39 밸런스 패치로 2번째 스타파워 지속 시간이 1초 감소되는 너프를 받았다. 하지만 작은 너프기 때문에 여전히 1티어에 위치할 것으로 보인다.

하이퍼차지가 예고되었다. 시즌 40에 같은 트리오인 드라코와 같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능력은 루미의 특수 공격 3번째 영역이 좌우로 넓어지는 능력이다. 안젤로 하이퍼차지 출시 때와 비슷하게 안그래도 1티어급 브롤러인데 하이퍼차지를 벌써 내는지 의문을 가지는 유저가 많았고[39], 능력도 광역 속박과 대미지로 상당히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가장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루미의 순간적인 중거리 화력은 단 2초 내에 6000hp를 깎아버릴정도로 강력한데, 하이퍼차지 스탯 증가로 이속, 피해량 버프가 되어 순간 화력이 말도 안 될 것이라는 반응이 많다.

메타 또한 루미에게 유리한데, 불과 더그가 리워크를 받고 이들을 필두로 한 탱커 돌진 조합이 잘 쓰이게 됨에 따라, 이들을 속박시키고 팰 수 있는 루미의 입지가 올라갔다. 다만 다소 높은 난이도[40]는 여전해서, 저트로피 유저들은 잘 사용하지 못하는 추세는 있긴 하다. 다만 저점이 다른 브롤러에 꿇리지는 않으면서, 고점이 어지간한 어쌔신 브롤러보다 높은 것이 루미가 사기라고 평가받는 이유이다.

그러나 이런 슈퍼셀도 루미를 가만히 두진 않았다. 2025년 6월 잠수함 패치를 통해 체력을 만렙 기준 400이나 깎아 출시 초보다 더 큰 체력 차이가 나게 되었으며, 결정적으로 철퇴의 사거리가 감소하는 너프를 받았다. 따라서 기존 플레이 방식인 우월한 사거리로 상대를 압박하는 운용이 어려워졌다. 이로 인해 유효타를 입히려면 중근거리가 반필수로 요구되지만 체력마저 어정쩡한 브롤러가 되었다. 또한 이 너프로 개활지에서의 루미의 성능이 상당히 하락했다. 그래도 좋은 성능의 하이퍼차지를 받은 덕에 여전히 1티어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많은 너프를 받고도 계속 1티어를 유지하자 결국 7월 벨런스 패치로 2가젯 쿨타임 증가, 도트딜 삭제 너프를 받았다. 루미한테는 2가젯이 거의 고정이라 이것은 꽤 큰 너프가 되었다. 그렇지만 아직은 대부분의 벽이 많은 맵에서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2티어 상위권으로 평가받는다.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41][42]으로 분류하였다.
  • 파일:SHOWDOWN.png 솔로 쇼다운
    루미의 상자 파밍 능력은 우수한 편이지만, 암살자가 판치는 쇼다운에서는 대응이 매우 어려워 부적합하다. 게다가 명중률도 상당히 낮고 철퇴 특유의 어려운 조작감과 짧은 사거리 때문에 저격수들의 좋은 먹잇감이 되고 만이다. 차라리 안정적인 듀오 쇼다운을 하는 것을 추천.
  • 파일:DUOSHOWDOWN.png 듀오 쇼다운
    일반 공격이 관통이기 때문에 다수를 상대하기 용이하며 체력이 낮은 루미를 지켜줄 팀원이 있기 때문에 솔로 쇼다운과 달리 매우 좋다.
  • 파일:GEMGRAB.png 젬 그랩
    루미의 주력 모드. 철퇴의 라인전 능력도 준수하고 화력도 좋은데다 가젯과 스타 파워의 효과로 CC기도 걸 수 있어 낮은 체력을 제외하면 단점이 없는 수준이다.
  • 파일:BRAWLBALL.png 브롤 볼
    브롤 볼에서는 철퇴로 라인을 쉽게 돌파할 수 있으며, 철퇴를 던져놓으면 사실상 탄창이 무한이라 빠른 드리블을 할 수 있다. 특수 공격의 효과인 속박과 스타 파워 효과인 슬로우도 브롤 볼에서 좋다. 다만 체력과 근접 대응력이 낮은 것은 단점.
  • 파일:HEIST.png 하이스트
    금고에 붙기만 하면 엄청난 대미지를 욱여넣을 수 있고 가젯으로 길목을 틀어막아 방어도 가능하다. 또한 니타, 제시, 페니 등의 소환물도 빠르게 철거가 가능하다. 다만 체력과 기동성이 낮아 금고까지 가는데 어려움이 있고, 루미를 카운터치는 암살자들도 꽤 있어서 1티어 픽까지는 아니고 적당히 좋은 정도이다.
  • 파일:BOUNTY.png 바운티
    저격수나 투척수 상대로 불리하며 체력도 낮기 때문에 아쉬운 성능을 보인다. 그래도 바운티에 장애물이 적절히 섞인 맵들이 꽤 있어 루미가 상대하기 좋은 중거리 브롤러도 상당히 나와 나쁘지는 않다. 다만, 사거리 너프 이후로 평가가 조금 내려갔다.
  • 파일:Hot_Zone.png 핫 존
    젬 그랩과 마찬가지로 지역 장악력이 좋은 루미에게 매우 알맞는 모드. 2가젯으로 길목을 틀어막을 수 있으며 존에 들어오려는 적들에게는 철퇴를 맞추기가 쉽기 때문에 방어에도 좋다. 다만 체력이 낮아 암살을 당하기 쉽고, 타 모드보다 더욱 철퇴를 많이 쓰게 되므로 체력 회복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은 조심하자.
  • 파일:Knockout.png 녹아웃
    저격수와 투척수보다는 사거리가 짧은 편이지만 그 외의 브롤러들을 상대하기 딱히 어렵지 않으며 라인을 장악하기에도 좋고 독구름이 몰려오면 역으로 이들을 녹여버릴 수 있어서 좋은 평가를 받는다. 사거리 너프를 받은 후에도 잘만 쓰면 좋다.
  • 파일:Duels_icon.png 듀얼
    영역 장악에도 좋고 대미지도 훌륭하기 때문에 낮은 체력만 조심하면 딱히 문제될 것은 없다.
  • 파일:ROBORUMBLE.png 로보 럼블
    지역 장악력도 좋고 광역 공격이기에 꽤 좋은 픽이지만 낮은 체력이 (6000) 발목을 잡는다. 이점만 빼면 역시나 흠잡을 때 없어서 팀원의 보조가 있는 파티 플레이에서는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 파일:보스전.png 보스전
    일반 공격의 특성 덕에 지속 딜링이 좋은 편에 속하고 특수공격으로 잠시 보스의 움직임을 봉쇄할 수 있다. 다만 후반으로 갈수록 잡몹 처리가 까다로워지고 사실상 상위호환인 콜트가 있기 때문에 주력으로 쓰기에는 어렵다.

8.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9. 세팅

<rowcolor=#fff> 주요 빌드
파일:Lumi_Gadget2.png파일:Lumi_StarPower2.png
<rowcolor=#fff> 차선 빌드
파일:Lumi_Gadget2.png파일:Lumi_StarPower.png 파일:Lumi_Gadget.png파일:Lumi_StarPower2.png 파일:Lumi_Gadget.png파일:Lumi_StarPower.png
추천 기어
파일:Gear-Shield_Level1.png파일:GadgetGear.png
  • 발이 꽁꽁꽁 - 하프타임
    현재 고정되는 조합. 2스파의 능력으로 적들을 느리게하고, 2가젯으로 적들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는 좋은 능력이다.
  • 도화선 - 42% 연소
    하이스트에서 루미를 사용할 경우 순전히 딜에 몰빵하고 싶을때 쓰는 조합. 역시나 하이스트를 제외하면 쓰이지 않으나 상술된 고정 조합에 밀려 아예 사용되지 않는 다른 조합과는 달리 아주 조금이나마 사용되는 조합이다.
  • 발이 꽁꽁꽁 - 42% 연소
    전혀 채용되지 않는 조합
  • 도화선 - 하프타임
    마찬가지로 전혀 채용되지 않는 조합

  • 기어는 애매한 체력을 보완할 보호막 기어와 긴 가젯의 쿨타임을 줄여줄 가젯 쿨감 기어를 사용한다. 피해 기어도 사용할 수 있지만 피타임을 하지 않고 무빙으로 모든 탄환을 다 피하면서 적들을 다 때릴 수 있는 프로들만 제 성능을 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안정성도 챙기고 좋은 성능의 가젯도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 조합을 선호한다.

10.

11. 스킨

드라코와 비슷하게 얼리엑세스 스킨이 어둠의기사와 관련되있다.

11.1. 기본 스킨

파일:lumi_bs.png
{{{#!folding 승리 & 패배 모션 파일:lumi_win.gif 파일:lumi_lose.gif
승리 모션 패배 모션 }}}
  • 멋진 디자인과 소위 '잘생긴 여자' 스타일의 호감 가는 외모로 큰 호평을 받았다.
  • 승리 시 한 손으로 락앤롤 포즈를 취한 뒤 철퇴를 들고 드럼 치듯 마구 휘두른다. 패배 시 철퇴를 돌리다가 이내 던져버리고 표정을 찡그린다.

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어둠의 기사 루미(DARK KNIGHT LUMI)

파일:Rare_SkinBS.png 파일:기타 스킨.png
파일:DarkKnightLumi.png
희귀도
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29
파일:icon_bling.png 1000

기본 스킨의 루미는 검은색 레깅스를 입고 있지만 어둠의 기사 루미 스킨은 맨다리를 노출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11.2.2. 페르세포네 루미(PERSEPHONE LUMI)

파일:SuperRare_SkinBS.png 파일:icon_skin_category_darkgreek.png 파일:icon_skin_category_olympus.png
파일:lumi_persephone.png
희귀도
초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79
파일:icon_bling.png 2750
[ 전용 핀 ]
파일:emoji_lumi_greek.png
  • 하데스에 의해 명계로 납치당한 페르세포네를 모티브로 한 스킨. 페르세포네가 지상과 명계 모두에 몸담고 있다는 것[69]을 표현하기 위함인지 두 가지 테마[70]에 속해 있다.
  • 일반 공격의 철퇴는 던질 때는 어두운 색이지만 회수할 때는 밝은 색으로 변한다. 땅에 떨어진 철퇴는 밝은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듯이 간헐적으로 움직인다. 특수 공격 이펙트는 왼쪽은 밝은 면, 오른쪽은 어두운 면이다.
  • 승리 시 검은 포탈 속에서 튀어나와 철퇴를 치켜든다. 패배 시 땅에서 튀어나온 하데스 모티스의 손에 붙잡혀 지하로 끌려간다.
  • 외형과 이펙트가 휼륭하다는 평이 많아 평가가 좋다. 슈퍼셀 크리에이터들을 통해 무료 한정 이벤트가 있을 예정이다.

12. 업데이트 내역

  • 출시 전
    파일:Arrow-up-big.png 일반공격의 철퇴당 피해량이 500에서 600으로 증가[71]
    파일:Arrow-up-big.png 일반공격의 특수공격 충전량이 소폭 증가
    파일:Arrow-up-big.png 탄창 탈환 능력 면역 무한 부여
  • 2025년 4월 3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신화 브롤러로 신규 출시
  • 2025년 4월 26일경
    파일:Arrow-down-big.png 체력이 3000에서 2800으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발이 꽁꽁꽁' 가젯의 재사용 대기 시간이 18초에서 22초로 증가
  • 2025년 6월 12일
    파일:Arrow-down-big.png 스타 파워 '하프 타임' 의 슬로우 지속시간이 2초에서 1초로 감소
  • 잠수함 패치
    파일:Arrow-down-big.png 체력이 2800에서 2600으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일반공격의 사거리가 8% 감소
  • 2025년 7월 23일
    파일:Arrow-down-big.png 가젯 '발이 꽁꽁꽁'의 초당 피해량 삭제
    파일:Arrow-down-big.png 가젯 '발이 꽁꽁꽁'의 쿨타임이 22초에서 23초로 증가

13. 기타

  • 이름은 핀란드어로 눈(snow)을 뜻하는 lumi에서 가져온 듯 하다.
  • 최초의 핀란드인 브롤러다.
  • 브롤토크에서 루미의 능력 이름이 어디서 유래됐는지 알고 있냐고 물었고, 이후 실제로 음악 용어나 노래에서 따온 이름인 것이 밝혀졌다.
  • 공개되자마자 외형으로든 능력으로든 뜨거운 호평이 일었다. 외형은 최신에 나온 브롤러들에 비해 비교적 예쁘다는 점에 락 컨셉과 잘 어울려 호평을 받고 있으며, 능력으로는 최근에 나온 브롤러와 같이 다른 브롤러 능력을 합쳐놓은 것이 아닌 철퇴를 이용한 한 칸 에모 시스템으로 창의적이고 용례가 다양할거같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같이 공개된 핑크스가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것과는 반대다[72].
  • 공개된 루미 출시 기념 배경화면을 보면 철퇴들은 단순 철퇴가 아니라 드럼 스틱이다.
  • 올리최면이라는 신규 CC기가 나온 지 두 달 만에 새로운 CC기 속박이라는 능력을 가지고 나오게 된다. 각자만의 개성을 지닌 새로운 CC기를 출시해 게임을 재밌게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은 호평받는 점이다.
  • 불과 얼음을 모두 다룰 수 있다는 설정이 있는데, 이는 스타파워와 가젯의 능력에 반영되어 있다. 1가젯, 1스파는 불의 힘, 2가젯, 2스파는 얼음의 힘을 사용한다.그런데 능력은 얼음이 더 좋다
  • 공식 애니메이션에서 드라코, 엘 프리모[74]와 함께 모티스, 엠즈, 다이너마이크를 상대한다. 위기에 처한 드라코를 철퇴를 휘두르며 구해주는데, 이때 드라코가 쌍따봉을 날리며 달려들자 한숨을 내쉬면서도 미소를 짓는 것을 보면 루미도 드라코에게 어느 정도 호감은 있는 듯하다.[75]
  • 올리부터 루미까지의 브롤러들[76]의 공통점이 많은데, 셋 다 가면을 썼고, 등급도 모두 신화이며 초반에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과 셋 다 고유 CC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77], 스타파워 한개가 나머지 스타파워보다 훨씬 좋은 평가를 받는 점까지 모두 일치한다![78]
  • 현재 버그인지는 모르겠지만 루미의 레코드에서 얻을 수 있는 페이스팜 핀에서 대사가, 그것도 원래 존재하던 핀들에 있던 대사가 아닌 새로운 대사가 출력된다.
  • 정식 출시된지 얼마 안 가 너프를 엄청나게 먹었다. 체력이 3000에서 2800으로 감소하다가 현재는 2600까지 감소하고 일반 공격 사거리도 조금 짧아진데다가 2가젯의 피해량이 없어지고 쿨타임도 1초 늘어난 것에서 엄청나게 너프를 먹은 걸 알 수 있다.

[1] 핀란드어 관용 표현이다.[FIN] 핀란드어가 사용되었다.[FIN] [FIN] [5] 2차 세계 대전 당시 핀란드 군대에서 사용하던 배틀 크라이라고 전해진다.[FIN] [7] 직역하면 '눈이 집으로 들어오고 얼음이 녹게 하라'. 힘들지만 포기할 수 없다는 의미의 핀란드어 관용 표현.[8] 뇌 빼고 들으면 I'm a gay(?)라고 들린다;;[FIN] [10] 직역하면 '그리하여 숲이 네 비명에 응답한다'. 타인에게 행한 대로 돌려받는다는 의미의 핀란드 속담.[11] 직역하면 '아직 사우나 뒤에 공간이 있다'. 이는 핀란드에선 '널 끝장내버리겠다'라는 위협인데, 사우나 뒤쪽은 동물들을 도축하는 곳이기 때문이라고 한다.[12] 직역하면 '구석에 숟가락을 던지다'. 핀란드어 관용 표현으로 '죽다'를 의미한다.[FIN] [14] 직역하면 '시장에서 울어봤자 소용 없다'. 이미 끝난 일을 가지고 한탄해도 소용 없다는 뜻의 핀란드 속담.[FIN] [16] 상황이 보이는 것보다 나을 수도 있다는 말.[17] metal과 mental의 발음이 비슷한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FIN] [19] 직역하면 '도랑에서 물웅덩이로'. 이미 좋지 않은 상황에서 더 나쁜 상황을 마주한다는 뜻의 핀란드 속담.[FIN] [21] 직역하면 '"각자 나름의 때가 있어." 숫양이 머리를 잘리면서 말했다'. 남을 해하려는 자는 자신도 똑같이 해를 입게 된다는 핀란드 속담이다.[FIN] [FIN] [24] 귀환 시 특수 공격 충전량[25] 11.33타일/초[26] 13.33타일/초[27] 탄창이 1개인 비, 칼, 찰리 등은 탄창이 아예 없는 채로 부활하고 게이지 형식인 앰버는 전체 탄창의 3분의 1만큼만 가진 채로 부활한다.[28] 첫 타격 시 1000, 이후 1200, 1400으로 증가한다.[29] 이동이 가능한 대신 공격이 불가능한 오티스의 침묵의 반대인 능력이다.[30] 프랭크의 궁 등[31] 상대가 궁극기가 다 시전된 직후에 궁극기 범위에 들어가면 속박만 걸리는 듯 하다.[32] 되돌아오는 투사체 속도가 4000에서 3600으로 감소한다.[33] 하프타임이란 음악 안에서 한 마디의 소요 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비트의 갈라짐을 반으로 하는 것으로 리듬이 절반이 되는 느낌이 들게 함으로써 느려지는 효과를 낸다. 즉, 이동속도 감소 효과를 부여하는 스타파워의 능력과 어울리는 작명이라 볼 수 있다.[34] 둘 다 원거리 견제, 광역/지속딜을 모두 수행가능, 우수한 지역 장악력, 뛰어난 변수 창출, 막강한 캐리력, 육각형 스펙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스킬샷+거리조절+정확한 상황 판단+맵 리딩 능력의 요구, 이질적인 평타 메커니즘, 낮은 체급에 비해 조건부로 요구되는 인파이팅, 낮은 근접 대응 능력, 등의 단점도 동일하다. 둘다 각각의 게임 내에서도 매우 어려운 난이도를 가졌다는 것 역시 동일하다.[35] 스턴, 최면, 넉백 등[36] 약 2초만에 6000의 대미지가 들어간다.[37] 강팀과 일부 우승 후보팀도 루미를 내주는 바람에 예선전에서 패배한 사례도 있다.[38] 예선전에서의 밴률은 약 90%, 픽률은 거의 10%로 밴을 안 당했다면 무조건 모습을 비췄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39] 다만 앞으로 2-4시즌 이내로 전부 하이퍼차지를 내는 것이 계획이므로 어차피 빠른 시일 내에 받을 운명이긴 하다.[40] 그래도 모티스나 디이너마이크, 미코나 카제 등보다는 훨씬 쉽다.[41]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42]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43] 루미는 어쌔신이나 초장거리 저격수, 투척수 상대로 불리하다. 다만 브록, 미코, 스프라우트, 보니, 펄을 제외하면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역전 가능한 상성들이다.[44] 이동가가 1개뿐인 어쌔신 브롤러들은 진입각을 잘못 잡는다면 역관광을 당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릴은 아예 특수 공격을 2번이나 충전할 수 있는 데다가 후술할 에드거와 마찬가지로 특수 공격이 자동으로 충전되고 루미의 애매한 순간 딜량 때문에 강철 후프로 딜을 버텨낸다. 다만 대릴이 특수 공격이 없는 동안에는 일방적으로 두드려 팰 수 있는것이 위안이다.[45] 이동기가 돌진기인 암살자 브롤러들은 진입각을 잘못 잡으면 역관광을 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에드거는 아예 점프로 진입하는 데다가 루미의 애매한 순간 딜량 때문에 피흡으로 버틸 수 있다.[46] 일반 공격이 이동기이고, 장거리 돌진 게이지가 차면 순식간에 접근할 수 있다. 루미는 철퇴의 돌아오는 속도가 그렇게 빠르지 않는데 모티스가 빈틈을 파고들기 쉽다. 루미는 체력이 낮아 모티스의 삽질 3방에 썰려나간다. 벽 앞이면 그나마 낫지만 모티스가 2가젯이나 특수 공격을 동원해서 진입하면 버겁다.[47] 절대 극상성. 일반적으로 루미는 탄창 탈환/제거 능력에 면역이지만, 이상하게도 미코만은 미코가 1스파를 사용 시 탄창이 사라진다. 미코가 탄창을 뺏어버리면, 루미는 재장전이 안 되기 때문에 만약 철퇴가 돌아오는 평타를 가지고 있는 채 탄창을 뺏긴다면, 루미는 아예 공격이 불가능하게 된다. 버그인지 아닌지는 몰라도, 아무튼 이러한 현상이 없더라도 미코의 일반 공격은 점프이기 때문에 루미가 상대하기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탄창 속도가 느린 루미 특성상 돌아오는 철퇴는 일반적인 반응 속도로도 그냥 피하며, 루미 입장에서도 점프하는 미코를 맞추기가 여간 쉬운 것이 아니다. 더군다나 루미는 기본 체력 자체가 꽤 낮게 잡혀있어서 미코의 평타 3방에 그냥 지워진다. 다만 3대3에서는 미코가 협공에 약하기 때문에 그나마 쉽게 상대할 수 있다.[48] 일반 공격이 대미지는 낮지만 전진 베기가 이동기여서 잡기 어렵다.[49] 알리는 미코와 비슷하게 물과 부쉬에서 점프 형식의 공격 방식을 가지고 있어, 순식간에 접근해 녹여버릴 수 있다. 게다가 알리의 특수 공격 또한 은신으로 루미에게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50] 브록이 사거리도 더 길고 루미의 이속이 보통이라 맞추기도 쉽다. 게다가 3대3에서도 루미는 철퇴 유지를 통해 라인을 밀어주는 브롤러인데 브록은 사거리 안으로 못 들어오게 할 수 있어 운영으로도 루미를 쉽게 잡을 수 있다. 만나면 이속 빠른 팀원에게 맡겨야 한다.[51] 사정거리와 스탯 모두 보니가 앞서며, 보니가 특수 공격이 있으면 에드거처럼 체공기로 기습할 수 있어 상당히 까다롭다.[52] 사거리가 R-T가 우세이며 원거리에서 명중률이 낮은건 R-T나 루미나 마찬가지이지만 체력 또한 R-T가 크게 앞서고 어떻게든 때려볼려고 접근하려다 일반 공격 2방 + 2가젯에 삭제당하기에 원거리 교전은 상당히 불리하다. 다만 어떻게든 거리를 어느정도 좁히는데 성공한다면 2가젯이나 특수 공격으로 기동성을 제한하고 근중거리 폭딜로 녹여버릴 수 있다. 분리 모드 또한 이동기가 없기에 철퇴로 일방적으로 때릴 수 있지만, R-T도 합체모드로 상대해야 유리하다는 것을 알기에 순순히 분리모드로 바꿔 줄 일이 없다.[53] 2차 공격을 포함하면 진의 사정거리가 길며, 딜량은 낮아도 체력이 낮은 루미에게는 부담스럽다. 그래도 교전 능력은 루미가 강하지만 진이 특수 공격의 그랩으로 루미를 끌어온다면 그대로 죽을 수 밖에 없다.[54] 체력이 투척수 중 1위이며 1가젯과 2스파를 이용한 강력한 생존력에 의해 돌아오는 철퇴에 맞아도 어느 정도는 버티며, 특수 공격 cc기인 속박에 맞아도 공격이 가능하기에 특수 공격을 사용해서 루미의 진입각을 차단 시킬 수 있다. 스프라우트 측이 벽을 잘 활용한다면 루미보다 사정거리 차이가 많이 나게 되고 그롬처럼 적중 난이도가 매우 높은 것은 아니여서 투척수 중 가장 어려운 상성이다. 근접하면 확정적으로 이긴다는 것이 위안이지만 부쉬 기습 이외에는 스프라우트가 그냥 접근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면 접근할 방법이 없는 데다가 반응속도가 좋으면 특수 공격으로 거리를 벌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55] 사정거리가 매우 길어 은근 상대하기 까다롭다. 다만 그롬의 평타 적중률은 매우 저조하기 때문에 무빙을 잘 친다면 루미 쪽도 이길 수 있다.[56] 윌로우의 일반 공격은 근접 즉발에다가 도트딜까지 있어서 지속적인 불리함을 강요당하고 잠수 가젯으로 속박까지 피해버릴 수 있다. 게다가 루미의 철퇴 공격은 매우 강력한 탓에 윌로우의 특수 공격에 맞으면 아군 진영이 그야말로 무너질 수 있다. 다만 자체 성능이 좋지 않아 자주 볼 일은 잘 없는 것이 위안이다.[57] 물 위에는 철퇴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히는 루미가 조금 더 불리한 편이다.[58] 최대 극상성. 기본적인 사정거리가 루미와 비슷하지만, 대미지를 루미보다 훨씬 안정적으로 넣을 수 있으며, 대미지 자체도 루미보다 높기에 조심해야 한다. 특히 펄의 열기 게이지가 전부 차 있다면, 특수 공격을 적중시켜서 속박을 시켰다 하더라도 원거리 2-3탄창에 루미가 먼저 지워진다. 그래도 펄은 평타 도중 방향 전환이 어렵기 때문에, 2가젯을 이용해 얼음 장판을 깔거나 열기 게이지가 없을 때 기습하면 아예 승산이 없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교전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대이다. 또한, 루미의 너프 이전에도 미코와 더불어 몇 안되는 하드 카운터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는 브록, 스프라우트보다 더한 카운터라고 볼 수 있다. 혹시라도 마주치면 바로 도망치자. 또한 3대3이라면 그 미코보다도 어려운 최대 극상성이 될수도 있다.[59] 프랭크는 초반에는 일반 공격 중 이동이 불가능하기에 루미의 폭딜에 매우 약하다. 다만 근중거리전은 무조건 루미가 지기 때문에 거리 조절을 잘해야 한다.[60] 초반에는 사정거리가 짧고, 이동기도 없어서 유리하다. 다만, 루미를 끌어당기는 2가젯과 스크린 보호막으로 철퇴를 막을 수 있는 특수 공격은 조심해야 한다.[61] 단, 루미의 에모가 모두 빠진 상태에서 그림자 영역으로 끌려갈 경우 재장전이 불가능해지므로 그것만큼은 조심해야 한다.[62] 다만 특수 공격은 조심해야 한다.[63] 이쪾은 사정거리가 루미보다 짧고 그리프는 원거리 견제력이 약하기에 거리 조절하면서 견재하면 어렵지 않다. 2가젯과 특수 공격에 제대로 걸리면 그대로 확정킬인건 덤.[64] 딜량은 낮으나, 2차 공격을 포함하면 미스터 p의 사정거리가 더 길어서 원거리 교전이 비슷하고, 특수 공격을 깐다면 지속적인 짐꾼 공습에 탄창을 빼먹기 쉬우며, 자연 회복도 방해하니 상당히 짜증나는 편이다. 그래도 루미는 광역이라 여러 마리가 뭉쳐있을 경우에는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고 특수 공격이 있으면 벽 뒤에 있는 거점을 철거할 수 있어 낫다.[65] 사정거리는 비슷하지만 대미지는 루미가 더 높아서 평소에는 루미가 조금 더 유리하지만 핑크스가 특수 공격을 깐다면 철퇴의 속도가 매우 느려지고, 적군의 투사체 속도가 높아지기에 까다롭다.[66] 다른 탱커들과 비슷하지만 기동성이 더 빨라서 궁이 없으면 접근을 허용하기 쉬워 상대하기 어렵다. 최대한 거리를 내주지 않으며 상대해야 한다.[67] 거점이 다 깔리면 레일을 타고 돌진해 루미를 로드킬 낼 수 있으나, 거점 근처에 가지 않으면 된다.[68] 특수 공격이 없는 드라코는 멀리서 농락하기는 쉽지만 특수 공격을 채운 드라코는 드래곤 모드로 변신해 빠른 이동 속도와 피해 감소 효과를 통해 루미의 철퇴를 이리저리 회피하거나 피해량을 최소화 하면서 돌진해 접근할 수 있어 다소 까다롭다 2스파 2가젯 조합을 통한 생존력도 매우 높은 것은 덤. 그래도 루미 입장에서는 2가젯으로 미끄러지는 장판을 깔거나 특수 공격으로 속박을 거는 것으로 대처할 수 있다.[69] 원전 신화에서 페르세포네는 일 년 중 여섯 달은 지상에, 나머지 여섯 달은 명계에 머무른다. 여름 기간인 3달 동안만 머무른다는 이야기도 있다.[70] '하데스의 전설'과 '올림포스의 전설'.[71] 일반 공격 피해량 계수를 사용하는 가젯의 피해량도 같이 상승했다.[72] 핑크스도 궁 능력은 개성 있어서 게임 내적으로는 나름 호평이다.[73] 가끔씩 켄지와 켄지의 아내인 카제하고도 엮이는 편이다.[74] 매드이블 저택 트리오가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타로 나왔다.[75] 이후 브롤스타즈 샌디에이고 코믹콘 행사에서 루미와 드라코는 서로 짝사랑 하는 사이라고 밝혀졌다.[76] 올리, 핑크스, 루미.[77] 올리는 적 브롤러를 따라오게 하는 최면, 루미는 공격 외의 다른 행동은 할 수 없는 속박이 있다.핑크스도 이름은 없지만 2가젯을 활성화한 상태로 적 브롤러를 적중하면 못 움직임과 동시에 피해도 안 받는 능력이 있다.[78] 올리는 궁극기 사용시 많은 양의 보호막을 주는 2스파 레니게이트, 핑크스는 일반공격이 적중시 상대의 재장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1스파 그대로 멈춰라, 루미는 돌아오는 철퇴에 맞으면 1초간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2스파 하프타임. 핑크스의 경우는 둘 다 눈에 보이는 변화는 별로 없어서 폐급 중에 그나마 나은 걸 고른 셈이라고 쳐야할 것이다. 윌로우나 칼의 1스파처럼 어느 순간 스타파워가 적용 안 될 수도 있는데 그러면 되게 낭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