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0:01:51

알리(브롤스타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름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017dda><colcolor=#fff>
숫자 ~ ㄹ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
ㅁ ~ ㅂ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
ㅅ ~ ㅈ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
ㅊ ~ ㅎ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
}}}}}}}}}
⠀[ 희귀도순 ]⠀
## 희귀도순 나열 시작
<colcolor=#fff><nopad>
기본
브롤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
<nopad> 희귀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
<nopad> 초희귀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
<nopad> 영웅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
<nopad> 신화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
<nopad> 전설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
울트라
전설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nopad> 기간
한정
[[버즈 라이트이어(브롤스타즈)|
파일:버즈 라이트이어_204x126.png
파일:토이 스토리 시리즈 로고.svg
버즈 라이트이어
]]
⠀[ 역할군별 ]⠀
## 역할군별 나열 시작
<colbgcolor=#017dda><colcolor=#fff>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탱커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어쌔신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서포터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컨트롤러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저격수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투척수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

}}} ||
관련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레코드 (구 마스터리) · 스킨 · 칭호메타 및 성능 · 템플릿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브롤스타즈의 93번째 브롤러
<rowcolor=#000,#fff> 카제
#!if d1_2 != null
, [[|]]
알리
#!if d2_2 != null
, [[|]]
트렁크
#!if d3_2 != null
, [[|]]


알리
ALLI
파일:Alli_Portrait.png
<colbgcolor=#f00,#f00><colcolor=#fff> 등급 신화
역할군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어쌔신(ASSASSIN)
코드 네임 Alligator
출시일 얼리 액세스
2025년 6월 26일
정식 출시
2025년 7월 3일
성우 리더 루이
플레이어 칭호 악녕히 계세요

1. 개요2. 대사 목록3. 핀4. 스프레이5. 스탯6. 스킬
6.1. 특성6.2. 일반 공격 - 스웜프 스와이프(SWAMP SWIPE)6.3. 특수 공격 - 스토커(STALKER)6.4. 가젯
6.4.1. 악어 밥 주기(FEED THE GATORS)6.4.2. 냉혈(COLD-BLOODED)
6.5. 스타 파워
6.5.1. 도마뱀 재생력(LIZARD LIMBS)6.5.2. 분노의 추격자(YOU BETTER RUN, YOU BETTER TAKE COVER)
7. 성능
7.1. 모티스, 미코와의 비교7.2. 장단점7.3. 변천사 및 비판7.4. 모드별 평가
8. 상성9. 세팅10. 팁11. 스킨
11.1. 기본 스킨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수렵 채집가 알리(HUNTER GATHERER ALLI)
12. 업데이트 내역13. 기타

1. 개요

파일:brawlalli.png
Oh, your scream is cute! Do it again.
비명소리 귀엽다! 다시 해 줘.
Alli is the shy mechanic of the Love Swamp. She loves to get her hands dirty, by either fixing broken machines or... mercilessly stalking other Brawlers. If you're walking home late at night and hear an odd noise, it's probably Alli trying to say hello.
알리는 사랑의 늪의 수줍은 정비공입니다. 고장 난 기계를 고치는 걸 좋아하지만... 때로는 다른 브롤러들을 무자비하게 쫓아다니며 손을 더럽히는 것도 즐기죠. 밤늦게 귀가 중에 어딘가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린다면, 아마 알리가 인사하러 온 걸지도 몰라요.

사랑의 늪 트리오의 마지막 멤버이며 정비공으로 일을 하고 있다.

2. 대사 목록

호주식 억양을 구사하며 대사에 윌로우가 언급된다. 역시 좋아하는 듯하다
Ha! Hold me hissy stick, I'm going in!
하! 내 쉭쉭 막대 좀 들어줘, 내가 출동한다!
Let's get snapping! Ah ah!
물어뜯어버리자! 앙 앙!
Show me your scars, ya flaming galah!
네 흉터 좀 보여줘, 이 고약한 멍청아!
Kiss a croc! It brings good luck.
악어에게 키스해줘! 그럼 복이 온다고.
G'day, ya bogan beauties!
안녕, 개차반 같은 이쁜이들아!
What's the goss, kangaroo boss?
어떻게 지내, 캥거루 보스?
Love bites! Ah ah! And so do I!
사랑은 깨물지! 앙 앙! 나도 그래!
Swamp croc is ready to rock!
늪지대 악어는 파티할 준비가 됐다!
Ha ha, watching Brawlers from the bush!
흐흐, 덤불 속에서 브롤러 지켜보기!
You can't hide from me, mate!
나한테서 숨을 순 없을 걸, 형씨!
Outback rules, city fools!
아웃백이 최고야, 도시 멍청이들아!
리스폰 시 대사
Ha, you move like a headless chook!
하, 너 꼭 머리 없는 닭처럼 움직이는구나!
Bloody ripper, mate!
끝내주네, 형씨!
No drama, mate!
호들갑 떨지 마, 형씨!
Haha, sweet as!
하하, 끝내주네!
Deadset legend!
진짜 전설이지!
This is going straight to the pool room.
이건 곧장 당구장으로 보내야지.
Bonza!
훌륭해!
I mainly watch, but sometimes I learn.
난 주로 지켜보기만 하지만, 가끔 배우기도 한다고.
Willow! You watching? 'cause I'm watching you!
윌로우! 지금 보고 있어? 왜냐하면 난 너 보이거든!
Ha! That was mad as, bro!
하! 그거 미쳤는데, 형씨!
What a beauty!
끝내주네!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Ugh, careful, mate! You'll bruise the tomatoes!
윽, 조심해, 형씨! 토마토가 멍들겠어!
Ugh, now I'm mad as cut snake! Hiss!
윽, 나 이제 뚜껑 열렸어! 쉭!
Ah, nice try, drongo!
으, 시도는 좋았어, 멍청아!
Oi!
야!
Ah, time to leg it!
으으, 도망쳐야겠어!
Ah, go back to the bush, ya bogan!
으으, 덤불 속으로 돌아가, 고약한 놈!
You call that a bite? That's a nibble, mate. Ah ah!
그것도 문다고 문 거냐? 야금거리기밖에 안 되잖아, 형씨. 앙 앙!
Love hurts. You will, too.
사랑은 고통스럽지. 너도 곧 그렇게 될 거야.
Ah, crikey!
으으, 젠장!
That's it! No more Mr. Nice Sheila!
그래, 좋아! 이제 착한 소녀 씨는 없다!
Oi! Watch it, ya drongo!
야! 조심해, 멍청아!
Bite me? Oh, I'll bite back! Ah!
날 물려고? 오, 그럼 나도 물 거야! 앙!
Ugh, kiss my crusty croc, sweetie!
윽, 내 거칠거칠한 악어에 키스해라, 이쁜아!
피격 시 대사
Haha, you'll be 'right!
하하, 너 괜찮을 거야!
Take a bite out of that! Ah!
그거 한번 베어물어봐! 앙!
In a while, crocodile![1]
조만간 보자, 크로커다일아!
See you later, alligator![2]
또 보자, 앨리게이터야!
Too easy, mate!
너무 쉽잖아, 형씨!
Flattened like roadkill in the Outback!
아웃백에서 로드킬 당한 것처럼 납작해졌구나!
That's not a knife! This is a knife!
그건 칼도 아냐! 이런 게 바로 칼이지!
Dingo bingo!
딩고 빙고!
Ha ha, didn't mean to follow you... much.
흐흐, 널 쫓아가려는 건 아니었어... 그렇게 많이는.
Ha ha, I know your every move!
흐흐, 넌 내 손바닥 안이야!
No worries, mate.
걱정 말라고, 형씨.
Tail whip to the face!
얼굴에 꼬리 한 방!
Ya dodgy wombat!
이 수상한 웜뱃아!
Out of my swamp, ya pelican!
내 늪에서 나가, 펠리컨 같은 놈아!
I know your blood type!
나 네 혈액형 알아!
You left your scent! *sniffs* Delicious!
너 네 냄새를 남겼구나! *킁킁* 맛있네!
Oh, your scream is cute. Do it again.
오, 너 비명소리 귀엽다. 다시 해줘.
적 처치 시 대사
Pesky bin chicken!
성가신 따오기 같으니!
Ow! I stacked it!
아야! 나 넘어졌어!
Ow! Strewth, that stings...
아야! 맙소사, 너무 아파...
Willow!
윌로우우우!
Bested by a bunch of brawling bush-bogans.
싸우는 덤불 멍청이들한테 당했구나.
These are real crocodile's tears!
이건 진짜 악어의 눈물이라고!
So, this isn't a date?
그래서, 이거 데이트가 아니었어?
Pain must be your love language.
아프게 하는 게 네가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인가 보네.
Time to haunt your dreams!
널 꿈속에서 괴롭힐 거야!
Ugh! I'm devo, mate!
윽! 나 충격 받았어, 형씨!
사망 시 대사
You're in croc country now! Ah!
악어 나라에 온 걸 환영한다! 앙!
Straight from the billabong[3]!
호수에서 곧바로 튀어나간다!
Cop this, ya mongrel!
어디 한번 잡아보시지, 잡종견 같은 놈!
♫La la lala la.[4]
♫랄 랄라 랄 라.
(흥분에 찬 웃음소리)
*gasps* Willow?
허억, 윌로우?
Ha... I see you.
으흐흐... 네가 보여.
Channeling pure swamp ninja energy!
순수한 늪지대 닌자의 힘을 쏟아부어주지!
Oh, one with the mulch, mate!
오, 난 뿌리 덮개[5]와 하나가 될 거야, 형씨!
Silent like a gecko fart.
도마뱀붙이 방귀처럼 고요하게.
Quiet as a dunny in the desert.
사막 위의 화장실처럼 조용히.
Bush mode activated!
덤불 모드 발동!
Camo croc, ready to rock!
위장 악어, 파티 준비 완료!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rowcolor=#fff>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상태 희귀도 대사
파일:alli_neutral.png Neutral
일반
swarm croc is ready to rock!
파일:alli_happy.png Happy
일반
파일:alli_sad.png Sad
일반
Bloody ripper, mate!
파일:alli_angry.png Angry
일반
파일:alli_gg.png GG
희귀
파일:alli_clap.png Clap
희귀
박수 소리
파일:alli_thanks.png Thanks
영웅
Been a while, crocodile!
파일:alli_phew.png Phew
영웅
Love hurts You will, too!
파일:alli_special.png Special
영웅
파일:alli_facepalm.png Facepalm
컬렉터
- }}}}}}}}}}}}
  • 핀이 체스터를 닮았다는 평이 많다.

4. 스프레이

<rowcolor=#fff> 스프레이
파일:alli_Spray.png
렌치를 들고 있는 알리의 손이 그려져 있다

5.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파일:Icon_health.png HP || 이동 속도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3700 빠름
(770 = 2.57타일/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4070
3 4440
4 4810
5 5180
6 5550
7 5920
8 6290
9 6660
10 7030
}}}}}}}}} ||
11 7400

평타 메커니즘상 비교가 될 수밖에 없는 모티스, 미코와 비교하면 모티스보다는 낮고 미코보다는 높은 체력을 가졌다. 얼리 액세스 기간에는 만렙 기준 8400이라는 매우 높은 수치였으나 2025년 6월 30일 패치로 7800으로, 2025년 7월 23일 패치로 7400으로 감소되었다.

6. 스킬

6.1. 특성

파일:Icon_Ability.png 특성 - 공중 이동(HOVER)
파일:Traits-Hover.png 물 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파일:Icon_Ability.png 특성 - 분노(ENRAGED)
파일:Traits-Enraged.png HP가 50% 미만일 때 적을 추적하면 브롤러가 격분하고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6]

이브, 안젤로, 주주, 셰이드, R-T(분리 모드 중 머리 한정)에 이어 물 위를 이동할 수 있는 6번째 브롤러다.

다른 브롤러들과 달리 덤불 속에서는 움직임이 땅 위와 비교해 조금 더 조심스럽게 변하며, 물 위로 가면 물 속에서 헤엄치는 외형으로 바뀐다.

또 알리만의 특성으로 화면 안에 HP가 50% 미만인 적이 있으면 체력 옆에 분노 아이콘이 뜨며, 체력이 50% 미만인 적에게는 눈 모양의 아이콘이 뜬다.[7]

또한, 분노의 대상인 상대에게로 이어지는 발자국이 생기며, 발자국을 따라 이동할 시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8]

이 특성은 상대의 HP가 50% 이상으로 회복돼도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며, 지속 시간은 체력바 옆의 아이콘으로 확인 가능하다.

HP가 50% 이하인 브롤러는 부쉬에 숨어있어도 발자국으로 이어진다.

분노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상대의 숫자에 제한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특성 중 하나인 분노는 사실상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워윅의 W 스킬의 기본 지속 효과를 빼다 박은 수준이다. 시야에 없는 적이 표시되는 것부터 그 적에게 향할 때 이동 속도가 증가되는 것까지 똑같다.

6.2. 일반 공격 - 스웜프 스와이프(SWAMP SWIPE)

파일:skill-attack_new.png <colcolor=#000,#ddd> Alli dashes forward, swiping as she goes. When in a bush or water, Alli will leap forward instead. The range of Swamp Swipe scales with her movement speed.
알리가 앞으로 돌진하면서 무기를 휘두릅니다. 덤불이나 물에 있는 경우, 돌진하는 대신 앞으로 뛰어오릅니다. 공격 범위는 알리의 이동 속도와 비례합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1300 ||<width=25%>사정거리
근거리(3타일)[9] ||<width=25%>대쉬 재장전 속도
느림(2.1초) ||<width=25%>점프 재장전 속도
매우 느림(2.8초) ||
파일:브롤_알리_일반공격.gif
{{{#!folding [레벨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13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1430
3 1560
4 1690
5 1820
6 1950
7 2080
8 2210
9 2340
10 2470
}}}}}}}}} ||
11 2600 }}}}}}

주주와 유사하게 자신이 서 있는 지형물에 따라 다른 일반 공격을 가진다.[10] 땅에 있을 때에는 모티스처럼 돌진 공격을 하고, 물이나 부쉬에 있을 때에는 미코처럼 벽을 넘어다니는 곡사형 돌진 공격을 하며 공중 공격을 시전하는 동안에는 대부분의 공격을 회피한다.[11][12]

두 번째 특징으로는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돌진 사거리가 길어진다. 알리 자체의 패시브인 분노에 붙은 이속 증가로도 발동시킬 수 있으며, 맥스나 재용 등의 이동 속도 버프와 함께라면 더 길어진다. 대신 반대로 둔화에 걸리면 돌진 사거리가 에드거 평타 사거리 수준으로 짧아지니 주의.

참고로 일반 공격 사이의 딜레이가 상당히 짧으며, 이 때문에 미코와는 달리 점프 공격으로 싸우면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공격을 적중시키기가 굉장히 어렵다.[13]

6.3. 특수 공격 - 스토커(STALKER)

파일:Super_image1.png <colcolor=#000,#ddd> Alli gains stealth (pulsing invisibility). Attacking does not break stealth. The next main attack she does will deal increased damage based on the enemy's current health percent. The higher their current health, the more damage Alli will deal!
알리가 은신 상태(깜빡이는 투명화)로 변합니다. 공격을 해도 은신이 해제되지 않으며, 다음 일반 공격이 적의 현재 HP에 비례해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즉, 적의 HP가 높을수록 알리의 공격이 더욱 강력해집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지속 시간
7초 ||<width=25%>현재 HP(%)에 대한 추가 피해량
+25% ||<width=25%> ||<width=25%> ||
기타
{{{#!folding [레벨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스탯]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스탯] .. 3
4
5
6
7
8
9
10
}}}}}}}}} ||
11 [스탯] }}}}}}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깜빡이는 은신 상태가 되며, 추가로 다음 일반 공격의 피해량이 증가한다. 강화된 일반 공격은 릴리의 1스파와는 다르게 적중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 시 소모되고 추가 피해량은 적 현재 체력의 25%이다.[17] 최소 대미지는 3600, 최대 대미지는 5200이다.

이렇게 보면 레온의 특수 공격과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중대한 세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첫 번째로, 알리의 은신은 '깜박이는 은신'이다. 따라서 은신을 쓰는 동안 총 두 번 알리의 모습이 잠깐 드러났다가 사라진다. 두 번째로, 레온과 달리 알리는 이 상태에서 일반 공격을 써도 은신이 풀리지 않는다. 세 번째로는 은신 지속 중 새 특수 공격을 채우면 레온은 기존 은신이 풀리기 전까지 재사용할 수 없지만[18] 알리는 재사용해서 지속 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19]

참고로 은신과 일반 공격 강화는 별개의 효과라서, 사용 후 은신이 끝날 때까지 공격을 전혀 하지 않아도 어쨌든 특수 공격 이후 첫 일반 공격은 강화된 피해량으로 들어간다.

나뭇잎이 주위에 돌아다니는 이펙트가 있으면 강화평타가 준비되어 있다는 뜻이다.

6.4. 가젯

6.4.1. 악어 밥 주기(FEED THE GATORS)

파일:Alli-GD1.png <colcolor=#000,#ddd> The next main attack heals Alli for 100% of the damage dealt.
다음 일반 공격이 적에게 입힌 피해량의 100%만큼 알리를 치유합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10초

알리가 다음 공격으로 가한 대미지에 비례하여 체력을 회복한다. 1회만 적용되기 때문에 특수 공격을 사용한 후에 쓰는 것이 효율이 더 좋다. 피해 기어, 하이퍼차지, 8비트의 특수 공격, 러프스의 특수 공격, 벨의 표식 등으로 증가된 대미지도 포함하여 회복하는지는 불명.

탱커 상대로 좋은 가젯이다. 쿨타임 10초에 무난한 성능이지만, 2가젯이 워낙 좋아 픽률에서는 밀린다.

6.4.2. 냉혈(COLD-BLOODED)

파일:Alli-GD2.png <colcolor=#000,#ddd> Alli becomes enraged for the next 4 secs. Can only be activated when an enemy is visible.
다음 4초 동안 분노 상태가 됩니다. 적이 보일 때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14초

알리의 특성인 격분을 즉시 발동할 수 있다. 적이 보여야 한다고 써있는데, 이는 실제로 보여야 하는 것이 아닌 화면 안에 존재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적이 부쉬에 있어도 발동이 되며 적을 추적할 수 있다. 두 스타 파워가 모두 격분과 관련된 만큼 1가젯보다 활용도가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2스파와 연계하면 모티스 2가젯에 이속 증가, 적 위치 파악이 달린 괴물 같은 성능의 가젯이다. 사실상 알리의 고정 가젯인 셈.

훈련장에서 사용 시 머리 위에 헤일로 표시만 뜨고 격분 상태가 되지 않는다. 훈련장의 로봇들을 브롤러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인 듯.[20]

2025년 6월 30일 지속 시간이 6초에서 4초로 너프되었다.

6.5. 스타 파워

6.5.1. 도마뱀 재생력(LIZARD LIMBS)

파일:Alli-SP1.png <colcolor=#000,#ddd> While enraged Alli regenerates health faster out of combat after only 1.5 seconds.
분노 상태일 때, 알리가 전투에서 벗어난 후 단 1.5초 만에 더 빠르게 체력을 회복합니다.

의 첫 번째 스타 파워와 비슷한 스타 파워. 틱과는 다르게 조건부이고 0.5초 더 오래 걸리지만 알리는 체력이 더 많기에 쓸모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틱과 비슷하게 회복 기어와 좋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후술할 두번째 스타파워가 두번째 가젯과 완벽한 시너지를 내기때문에 픽률이 밀린다.

6.5.2. 분노의 추격자(YOU BETTER RUN, YOU BETTER TAKE COVER)

파일:Alli-SP2.png <colcolor=#000,#ddd> Alli reloads 25% faster while enraged.
분노 상태일 때 탄환을 25% 더 빠르게 재장전합니다.

애쉬의 두 번째 스타 파워와 매우 흡사한[21] 스타 파워. 모티스의 2가젯과도 비슷하다. 증가량은 좀 더 낮지만 스타 파워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고, 2가젯과 조합해 즉각적으로 효과를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좋은 스타 파워로 평가된다. 스타 파워가 발동하면 재장전 시간이 2.1초에서 1.575초가 된다.

알리의 재장전 속도를 크게 늘려주기 때문에 첫 번째 스타 파워보다 훨씬 많이 사용되었고, 재장전 속도 증가율이 감소되었다.

여담으로, 영문명 기준 가장 긴 스타 파워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는 호주에 대한 노래인 'Down Under'[22]의 가사 일부인데, 악어가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라는 것에서 착안한 네이밍으로 보인다.

7. 성능

모티스, 미코의 능력을 합친 기동형 암살자로, 전세를 뒤엎는 능력을 가지지 않은 대신 지형을 자유롭게 드나들고 부쉬의 적을 탐지할 수 있는 강력한 패시브로 이 단점을 훌륭하게 상쇄시킨다.

모티스나 미코도 추격전이나 스로어를 상대로 우월한 상성을 보이지만 알리는 그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지형만 갖춰진다면 벽과 물을 간단히 넘나들어 기습 및 도주가 가능한데다가 체력이 50% 이하면 적을 탐지할 뿐더러 발자국을 따라가면 이속이 증가하는 능력까지 갖춰서 개인전에서는 끈질긴 추적 능력을 발휘한다. 특수 공격은 상대한테 극딜을 박아넣으면서도 일시적인 투명 능력을 얻게 되는데, 해당 능력은 레온처럼 완전 투명이 아닌 대신 난전 중에 지속적으로 발동하여 은신보다 공격당할 상황을 최대한 피하는 용도로 활용이 된다.

이러다보니 알리는 지형의 의존성이 굉장히 극심한 편이다. 조건부로 지형을 누구보다 자유롭게 넘는 능력은 분명 무시 못할 강점이지만 항시 적용되는 능력이 아니고, 개활지에선 대다수의 강점이 봉쇄되며 재장전 속도가 빨라도 전반적으로 모티스의 하위호환에 가깝다.[23] 격분도 본인이 추적 혹은 탐지를 하는데 도움이 될 뿐 팀에게 이익을 주진 않으며, 기동성도, 생존력도 상기한 두 브롤러에 비하면 애매한 편이다.

게다가 기동형 브롤러가 으레 그렇듯 운용 난이도가 엄청 높을 뿐더러, 상성도 극심하게 타는 점도 당연히 고려해야 한다. 물론 특수 공격의 한 방 대미지만큼은 엄청나게 강하지만, 알리 본인도 이동속도가 매우 빠름도 아닌 빠름이고, 공격의 사정거리도 이동거리에 비례하는 이례적인 특성을 가져서 접근 자체에 주의를 거듭해야 한다.

그러나 격분이라는 메리트와 벽을 넘는 특성은 여전히 무시못할 강점이고, 후딜레이가 거의 없는 연사 속도 덕분에[24] dps가 여타 돌진형 브롤러와는 궤를 달리한다. 사실상 해당 장점이 알리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 결과적으로 지형을 넘나드는 기동성과 격분을 비롯한 탄탄한 기본기로 승부를 보는 브롤러이다.

7.1. 모티스, 미코와의 비교

일반 공격이 지형에 따라 각각 모티스, 미코와 매우 흡사하기 때문에 모티스, 미코와의 비교 문단이 존재한다. 다음은 여러 분야에서의 모티스, 미코와의 비교다.
공격력
(DPS 포함)
알리>모티스>미코
알리는 한방 공격력이 모티스, 미코보다 좋고 2스파가 있다면 재장전 속도가 빨라지기에 기본적인 DPS는 좋다. 그러나 점프 공격만 쓴다면 오히려 DPS가 이들보다 떨어진다.
조작 난이도
알리>모티스>미코
알리는 지형을 활용하고, 비교적 짧은 이동기가 있고, 여러 브롤러들이 합쳐진 느낌이어서 더 어려운 편이다.
운용 난이도
알리>미코>모티스
모티스와 미코가 합쳐진 만큼 더 어렵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기동성
알리≒모티스≒미코[25]
돌진과 점프, 모티스와 미코의 일반 공격의 이점만 그대로 가져왔다. 물 위도 걸을 수 있고, 심지어 사정거리가 알리가 더 길고, 이속에 따라 더 멀리 갈 수 있으며, 2스파가 있다면 재장전 속도마저 빨라지므로, 지형만 따라준다면 기동성을 보일 수 있다.
1명의 적과 붙었을 때의 안정성
미코>알리≒모티스
2가젯 격분을 이용한 이속 증가, 나머지 두 브롤러보다 높은 한방딜, 지속딜, 2스파를 이용한 재장전 속도 증가까지. 애모를 다 소모하면 뒤가 없는 모티스와 미코보다 1:1 능력이 강한 편에 속했으나, 다단 너프로 인해 현재는 1vs1 능력이 크게 약해졌다.
1대 다수
모티스>>미코 알리는 지형에 따라 편차 있음[26]
모티스는 다수 전투에 특화된 데다가 다수전에서 판도를 한번에 뒤엎어버리는 특수 공격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모티스가 확실하게 우위를 점한다. 특히 하이퍼차지까지 있다면 둘 다 전혀 비교가 안된다.
접근 빈도
모티스<미코<알리
알리는 모티스, 미코에 비해서 한번 붙으면 확실히 잡기 때문에 접근 빈도가 더 적었으나, 7단 너프를 맞은 이후에는. 오히려 이들보다 접근 빈도가 늘었다.
불리한 브롤러와의 교전
모티스<미코, 알리는 지형에 따라 편차 있음.[27]
알리의 경우 1대 다수와 마찬가지로 물과 부쉬와 벽이 적절히 조합되어 있다면 역관광이 가능하지만, 지형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힘들 때도 있었으나, 다단 너프를 맞은 이후에는 상성폭이 눈에 띄게 좁아졌다.
유리한 브롤러와의 교전
모티스≒미코<알리
앞서 말한 여러 장점으로 인해 압도적이다.
자폭형 소환물 대항력
모티스<알리<미코
모티스는 평타가 돌진이라 소환물, 특히 자폭형 소환물에 매우 취약하고 미코는 점프와 그로 인한 무적 능력으로 소환물의 어그로를 바꿀 수 있고 조건부로 피해를 무력화[28] 시킬수 있지만 갑자기 젬 캐리어 등에게 어그로를 바꾸는 등 때에 따라서 트롤링이 되기도 한다. 알리는 지형에 따라 모티스와 미코의 장단점을 공유한다. 얘는 호버링과 은신 기능도 보유하였기 때문.
PVE[예] 적합도
알리<<모티스<미코
결론부터 말하자면 셋 중 누구도 PVE 모드에서 아예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한다. 굳이 쓴다면 알리를 쓰는것보다 어그로 끌거면 모티스, 회피와 딜링(쇼킹 스메시 보유시)은 미코를 쓰는 게 더 낫다. 알리는 지상 기동력은 모티스보다 딸리고 점프는 특정 지형에서만 가능하며 재장전 속도도 미코보다 느리니 모티스와 미코의 하위 호환이다. 즉 알리는 이론적으로 모티스와 미코보다도 훨씬 더 안좋다.[30]

7.2. 장단점

장점
  • 매우 높은 기동성
    분노 패시브의 이동 속도 증가와 이를 바로 발동시킬 수 있는 2가젯의 존재로 인해 기동성이 매우 높다. 재장선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2스파까지 함께 사용하면 카제를 뛰어넘을 정도의 압도적인 기동성을 보여준다.

  • 체공형 이동기 보유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미코와 같은 체공형 이동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장점을 공유한다.

  • 매우 빠른 공격속도
    미코와 모티스 같이 평타가 이동기인 브롤러는 밸런스를 고려해 다른 브롤러에 비해 공격 간 딜레이가 꽤 크지만, 알리는 그렇지 않아 정말 상대가 반응할 틈도 없이 진입해 공격을 박아넣을 수 있다. 특히 덤불에서 마주친다면 점프 사이 간격이 너무 좁아 숙련자라도 공격을 맞추기 어려울 정도.

  • 특정 상황에서 매우 강력한 1대1 능력
    평지에서의 일반 공격만 두고 본다면 1대1능력이 매우 좋다고 보기엔 어렵지만, 부쉬에서 마주치거나 물속에서 거리를 허용한다면 곡사형 이동기인 일반 공격에 일방적으로 얻어맞기만 하고 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비슷한 미코의 경우에도 착지 타이밍에 맞춰 일반 공격을 사용하는 파훼법이 있기 때문에 사기적이라고는 불리지 않는 반면, 알리는 아무리 상대가 숙련자더라도 착지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우며 이에 대한 패널티로 체력이나 데미지라도 낮아야 하는데 미코보다 체력, 데미지, Dps 모두 크게 앞선다. 요약하면 상대에게 큰 불합리함을 강요하는 스킬셋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패널티가 거의 없는 것이다.
단점
  • 높은 패시브, 가젯 의존도
    분노 패시브의 존재로 인해 매우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를 반대로 말하면 분노 패시브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브롤러라는 것이다. 또한 가젯이 없다면 알리 혼자서는 분노 패시브를 발동시키기 힘들어 가젯의 의존도 또한 매우 높다.

  • 매우 높은 맵 의존도
    체공형 공격은 물이나 부쉬에서만 발동되기 때문에 부쉬가 거의 없는 맵에서는 반쪽짜리이다.

  • 이속관련 CC기에 취약
    평타가 이동기인 다른 브롤러들은 슬로우나 속박에 걸리면 평타로 도망가면 되지만 알리는 평타 사정거리가 이속에 비례하기 때문에 더 취약하다. 속박에 걸리면 이동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아예 도망치지 못한다.

  • 매우 높은 조작, 운용 난이도
    다단 너프를 먹고 점차 부각된 단점. 기본적으로 알리를 잘하고 싶으면 1. 돌진 공격과 점프 공격의 다른 재장전 속도, 2. 이속에 따라 돌진 공격의 사정거리가 다른 것, 3. 맵을 잘보고 골라야 하는 등 난이도로 봐서는 그 어렵다던 모티스, 미코보다도 훨씬 어렵다. 의외로 출시 초기에는 잘 부각되지 않았으나 다단 너프를 먹고 난 뒤에는 재장전 속도, 체력이 애매해져 난이도가 급격하게 올라갔다.[31]

7.3. 변천사 및 비판[32]

사전 체험한 크리에이터들의 후기에 의하면 매우 사기적이라는 평이 대다수였다.

그리고 얼리액세스 이후 실제로 굉장히 사기적인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모티스와 미코의 상위호환이라는 평이 많으며, 분노 패시브와 물 위를 걷는 능력, 투명화 능력까지 있어 육각형 어쌔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에 자체적인 사기성과 더불어, 알리 얼리엑세스와 동시에 생긴 이동 속도 버프가 중첩되는 버그가 분노 패시브와 매우 좋은 시너지를 일으켜 어지간한 브롤러들은 대응도 못하고 순식간에 썰리는 수준이다. 이에 출시 직후 래리 & 로리, 역대급 버프를 받은 직후 프랭크, 켄지의 하이퍼차지 출시 직후 수준의 사기적인 브롤러라는 평까지 나오는 중이다.

일부러 극도로 사기로 내놓고 정식 출시되기 전에 너프한다는 거센 비판의 목소리를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얼리 액세스 기간 도중 키트와 래리 & 로리의 사기성을 충분히 알았음에도 정식 출시되고도 며칠간 고치지 않았던 선례가 있기에 더욱 비교된다. 물론 래리 & 로리처럼 사기 상태로 방치하는 것보다는 낫지만, 애초부터 밸런스를 잘 맞춰서 출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다만 카제 얼리 엑세스의 가격이 워낙 비싼 탓인지 매출이 생각보다 안나와서 일부러 OP 브롤러로 출시했다는 의혹도 있다.

결국 엄청난 사기성이 인정되었는지 얼리 엑세스 단 하루만에 3가지 너프가 예정되었고, 3일 뒤인 6월 30일 너프되었다. 11렙 기준 체력이 8200->7800, 2가젯 지속시간이 6초->4초, 2스타파워의 재장전 속도 증가량이 40%->25%로 줄어든다. [33] 너프의 강도는 강하지만 현 상황을 고려했을때 이로도 부족할 가능성이 높아 찰리래리 & 로리의 선례처럼 너프를 연속으로 받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후 정식 출시되었는데, 너프를 심하게 먹었음에도 매우 강력하다는 것이 중론. 특히 부쉬와 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프 일반 공격은 미코의 준 상위호환이라는 평이 많다. 미코보다 체공 시간이 짧아 컨트롤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는 역으로 연사력이 떨어지는 브롤러 상대로도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 따라서 안티 탱커라도 연사력이 좋지 못하면 조건부로 역카운터 당할 수 있다. 그만큼 암살자 중에서도 상성을 덜 타는 축에 속하는데, 체력도 높아 안정성도 높으며, 스타파워 조건부로 재장전 속도 또한 상당히 빨라져 상당히 사기라는 평.

가젯 또한 강력하다. 1가젯은 알리의 안정성을 높여줘, 3탄창에 상대를 처리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생존 가능성을 높여준다. 2가젯 또한 강력하다고 평가받는데, 알리를 바로 분노 상태로 만들어 2스파와의 연계가 매우 뛰어나다. 2스파 2가젯 조합으로 수시로 탄창을 빠르게 돌리면서 적들을 견제하는 데에도 용이하다.

특히나 유저들은 만약 알리가 정식 출시 전에 매우 심한 너프를 먹지 않았더라면 초창기 키트, 래리 & 로리, 모와 큰 버프를 받은 직후 프랭크와 사실상 동급인 사기 브롤러가 되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너프를 매우 많이 먹은 현재도 자체 성능만 놓고 보면 전 브롤러 1위라는 평가가 다수 있다.[34] 체력을 에드거나 미코 급으로 칼질하거나, 일반 공격의 액티브 타임을 크게 늘리고 대미지를 낮추는 등 팔다리를 자르는 너프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매우 많다.

경쟁전을 시작하자마자 꼴도 보기 싫다는 이유로 맵, 모드를 불문하고 무지성으로 밴을 때리는 유저들이 매우 많으며,[35]몇몇 유저들은 'NO SKILL BRAWLER'라고 칭하는 등 유저들 사이에서 많은 혐오를 받고 있다.[36][37] 그도 그럴 것이 불 같은 근접전 깡패들의 일반 공격 액티브 타임보다도 알리의 액티브 타임이 훨씬 빨라서 이들도 알리에게 대처하기 쉽지 않다. 심지어 일반 공격이 무려 돌진기/점프기이기에 딸피를 만들어도 순식간에 도망가버리며, 심지어 본인이 딸피이기라도 한다면 알리의 재장전 속도가 빨라져 더더욱 잡기 힘들다.[38] 성능 상으로도 사기인 데다가, 접근을 허용하더라도 착지 타이밍을 공략해서 어느 정도 대응할 여지가 있는 미코와 달리 접근을 허용하면 어지간히 근접전에 강한 브롤러가 아닌 이상 아무것도 못하고 죽는 것과, 위에 상술했듯 일방적으로 상대에게 불합리함을 강요하는 교전 방식이 더해져서 많은 유저들에게 욕을 먹고 있는 중인 것이다.

천사 대 악마 2에서 결국 이전 OP캐들 저리가라 할 정도로 역대급 사기 브롤러로 등극한다. 재장전 속도를 높여주는 능력이 있는데, 이를 장착하면 켄지의 와사비 파워를 보는 것처럼 굉장히 전보다 빨리 찬다. 그럼 모티스, 미코도 사기가 아니냐는 말을 할 수 있는데, 공격 속도와 분노 패시브에서 진가가 드러난다. 미코는 생각보다 지상에 닿기까지 텀이 있는데 비해 알리는 매우 빠르다. 또한, 분노 발동 시 풀숲에 숨은 적을 탐지할 수 있고, 2스파 장착 시, 재장전 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 모든 게 합쳐져 풀숲에서 알리를 만난다면 그저 점프에 당하는 것 말고는 거의 수단이 없다고 봐야한다.[39][40] 자신이 알리를 픽했는데 상대에 알리와 알리의 극카운터가 없고 부쉬가 어느 정도 있는 맵이라면, 사실상 그 게임은 이겼다고 봐도 될 정도다.

이동 속도도 우수한데 재장전 속도도 매우 빨라져 알리가 무지성으로 혼자 대시해도 적들을 우수수 쓸어버리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으며, 5vs5에서 게임에 알리가 혼자 있다면 어지간히 못하지 않는 이상 킬이 두 자릿수는 거뜬히 달성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심지어 나머지 팀원 4명의 킬 수 합보다 알리가 따낸 킬이 더 많거나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나머지 9명의 플레이어보다 킬 수가 많은 경우도 볼 수 있다.

때문에 너프를 먹었음에도 매우 사기적인 성능을 보여주고 있기에 대부분의 유저들은 전례없는 고강도의 너프를 연속적으로 가해 아예 관짝에 박아버리던가, 그냥 삭제하는 게 답이다라는 극단적인 평가까지 나올 정도인 데다가 심하면 메가상자 140개 사태마저 뛰어넘을 정도로 심각한 여론도 있는 상황이다. 현재는 거의 모든 게임 모드에서 비정상적인 성능으로 메타를 계속 파괴하고 있다고 봐도 정말로 과언이 아니다.[41] 이런 좋은 성능 덕에 거의 모든 티어표에서 1티어 중에서도 1위 평가를 받는다. 가끔식 카제가 1위에 있을 때도 있으나 그건 천상계 한정이고 알리가 1위로 불릴 때가 훨씬 많은 편이다.

결국 여전히 대부분의 유저들에게 전 브롤러 1위라고 불려 OP 자리를 계속 차지 중이자 체력 감소, 재장전 속도 증가, 평타 딜레이 증가라는 뼈아픈 너프를 받게 될 예정이다. 유저들의 반응은 이미 밸런스와 메타를 때려부술 대로 다 때려부수고 이제서야 너프하냐는 의견이 많다. 또한 너프의 강도가 매우 강력하지는 않으며 너프 이전이 워낙 사기였기에 추가적으로 더 강력한 너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상술했듯 아예 고인 수준으로 강한 너프를 때려 박아야 한다는 다소 극단적인 의견 역시 나오고 있다.

또한 너프 내역에 의해 알리의 액티브 타임을 제외한 공격 딜레이가 0ms, 즉 아예 없다는 것이 밝혀져 더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러프스의 선례처럼 딜이 약하더라도 연사 속도가 빠르면 좋은 입지를 가질 수 있는데, 알리는 딜이 약한 것도 아니고 러프스와 달리 액티브 타임이 있지만 연사 속도가 빠른 너프 전 러프스도 선후딜레이는 보유하고 있었다. 이제 100ms, 즉 0.1초로 너프된다 한들 액티브 타임이 짧은 편이고, 여전히 선후딜레이가 미코보다 짧기 때문에 상대하기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4단 너프를 받는데, 평타 딜레이가 0.1초 생기고 체력이 7800에서 7400으로 감소하며 돌진 평타 쿨타임이 1.9초에서 2.1초, 점프 평타 쿨타임이 2.6초에서 2.8초로 증가했다. 평타 딜레이 증가가 체감이 꽤 된다는 평가가 많으며 옛날처럼 무지성으로 픽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2티어 상위권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다.

그러나 이것은 예상에 불과했으며 너프 이후, 의외로 티어가 매우 많이 내려앉았다.[42] 애초에 현재 메타가 불과 드라코를 필두로 한 탱커 돌진 메타이기 때문에 너프를 강하게 먹은 알리가 버티지 못한 듯 하다.[43] 하필이면 알리의 절대 극상성은 , , 엘 프리모, 게일, 트렁크를 제외하면 전부 준수한 평가를 받는지라, 트로피전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워졌고, 경쟁전에서도 픽할 상황을 거의 만나지 못한다.[44] 더군다나 알리 출시가 1달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유저들의 알리 대처법도 하나둘 습득하기 시작한 것도 악재. 따라서 현재 2티어 하위권에서 3티어 중위권 정도라고 평가받는다. 그나마 알리는 상대 유저의 숙련도 차이에 따라 성능이 요동치는 브롤러라 상대 팀 중 꼭 한 명은 나사가 빠져있는 중위권 이하 구간에서는 대처를 잘 못하는 브롤러만 패면서 운영하는 플레이만큼은 여전히 가능하단 점은 위안. 이로 인해 알리 대처법이 부족한 일부 유저들은 여전히 사기적이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하드 카운터에 가까운 탱커 브롤러 트렁크가 출시되고 난 뒤부터는 3티어 하위권 ~ 현재보다 메타가 알리에게 나빠진다면 4티어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생겼다. 이는 과거의 사지절단 너프를 받은 행크, 체스터, 찰리, 클랜시, 와 비슷한 사례. 그나마 트렁크 출시가 3주나 밀려진 것이 위안이다.

알리의 너프가 더 뼈아픈 점은 이제 알리를 쓰기 확실히 좋은 3대 3 모드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현재는 이전에 나온 같은 신화 브롤러인 찰리, 클랜시, 모와 더불어 과잉 너프의 피해자 취급을 받는 중이다.

다만 1인 플레이 모드에서는 알리의 실력이 받쳐준다면 알리 특유의 좋은 매커니즘을 활용할 수 있고, 바운티의 레이어 케이크 맵에서는 다른 모드들과 비교하기 부끄러울 정도로 여전히 좋은 성능을 자랑하기 때문에, '관짝'까지는 아니라는 평이 대다수다. 또한 승률이 이전에 비해 많이 떨어져서 그렇지, 일부 랭커들은 때때로 알리를 아직 무난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45]

다만 고수들은 알리의 매커니즘을 잘 활용해 무난한 브롤러라고 평가할지언정, 일반적인 유저들에게는 너프 체감이 매우 클 것이다. 운영 난이도와 조작 난이도가 그 모티스, 미코보다도 더욱 어려워져서 랭커들이 좋은 평가를 내려도 유저들은 알리를 플레이하기 힘든 것은 똑같다.[46] 따라서 현재는 슈퍼셀이 의도한 대로 운영 난이도와 조작 난이도가 매우 높지만, 그것을 극복하면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브롤러라 평가되며, 앞으로의 메타에 따라 알리의 티어 변동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47][48]

8월 21일에 알리의 하드 카운터인 트렁크가 얼리 엑세스 패키지로 등장했지만 출시 직후의 더그, 콜레트, 루와 비슷하게 역대급으로 최악의 성능을 보이고 있어 티어에 큰 변동은 없다. 현재는 3티어 하위권 정도로 평가받는 중이지만 나중에 알리와 팸을 제외한 모든 브롤러들이 하이퍼차지를 받을 예정이기에 41시즌 입지는 좋지 않은 편이다. 다만 하이퍼차지 출시를 통한 잠재력이 있는 상황이라 향후 입지는 좋은 편이다. 이전 시즌 래리&로리와 비슷한 상황.

7.4.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49][50]으로 분류하였다.
  • 파일:SHOWDOWN.png 솔로 쇼다운
    대부분의 암살자가 그렇듯 쇼다운 모드에서 준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조건부긴 하더라도 벽을 넘나들 수 있으며, 물 위도 지나갈 수 있는 점으로 인해 기동성이 매우 뛰어난 알리는 쇼다운에서 높은 입지를 지닌다. 특히 벽과 부쉬가 많을수록 더더욱. 다만 탁 트인 맵에서는 활약하기 쉽지 않으나 어찌저찌 특수 공격만 채우면 계속 스노우볼을 굴릴 수 있기에 좋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너프를 받은 이후에는 재장전 속도가 매우 느려져 상자 파밍이 느리고, 딜레이가 생겨서 암살이 힘들어져서 평가가 꽤 내려갔다. 이제는 실력에 따라 평가가 갈린다.
  • 파일:DUOSHOWDOWN.png 듀오 쇼다운
    솔로 쇼다운과 비슷하다. 더군다나 듀오 쇼다운에서는 팀원이 보조해줄 수 있어 기동성이 뛰어나지만 살짝 아쉬운 대미지를 팀원이 잘 보조해 줄 수 있어 이쪽은 맵과 상관없이 알리에게 좋은 모드이다. 다만, 재장전 속도 너프를 받은 이후에는 암살하려다 사방에서 다굴맞고 죽을 수 있으니 주의.
  • 파일:GEMGRAB.png 젬 그랩(맵에 부쉬가 거의 없는 경우), (이중 곡선)
    맞라인전, 상대 젬 강탈, 젬 캐리어 암살 등 젬 그랩의 모든 면에서 알리는 최적화된 스킬셋을 가지고 있다. 다만 오픈맵인 경우에는 운용 난이도가 매우 높다. 너프 이후에는 애모가 매우 부족하고 연타로 적을 처치하는 플레이가 불가능해져서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 파일:BRAWLBALL.png 브롤 볼(뒷마당 월드컵), (센터 스테이지)
    난전이 자주 일어나고 알리의 극카운터들이 자주 나오는 모드라 모드 자체는 기동성이 뛰어난 알리에게 좋음에도 불구하고 상대 조합과 본인 실력에 따라 편차가 심하게 갈린다. 특히 상대에 프랭크 같은 극카운터가 있을 경우 물이 있더라도 알리 입장에서는 매우 난처한데, 브롤 볼에서는 물조차 없어 더 활약하기가 힘들다. 더군다나 프랭크는 대부분 브롤 볼과 핫 존에서 매우 자주 나오기 때문에[51] 알리 입장에서는 큰 골칫거리. 더군다나 오픈맵인 뒷마당 월드컵, 골키퍼의 꿈 같은 맵에서는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한다.
  • 파일:HEIST.png 하이스트
    데미지는 괜찮지만 기본적인 재장전 속도가 매우 느리고 대체 브롤러도 많기 때문에 전혀 쓸 이유가 없는 픽이다. 너프 이후로 금고에 돌진하는 적을 잡을 수가 없게 되어 더더욱 쓸 일이 없어졌다. 결론적으로는 쓸 이유가 전혀 없는 트롤픽이다.
  • 파일:BOUNTY.png 바운티 (레이어 케이크)
    알리는 전반적으로 킬 결정력이 매우 높아 바운티에서 좋은 성능을 차지하지만, 상대의 조합과 맵에 의존을 많이 탄다. 반면, 레이어 케이크에서는 부쉬와 벽이 다량 분포되어 있고, 왼쪽 아래와 오른쪽 위에 물까지 있어서 알리에게 최적인 맵이다. 너프를 당한 현재도 이 맵에서만큼은 밴률과 픽률이 매우 높고 승률도 높은 편이다. 여기에서 알리는 첫 별을 먹고 뻐기는 플레이, 상대팀 진영을 돌면서 자신의 먹잇감만 찾아 먹는 플레이, 상대팀의 어그로를 끌며 상대팀의 에모를 빼는 플레이, 뒷라인에 잠입해 상대의 뒷통수를 치는 플레이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레이어 케이크 맵에서는 알리보다 더 좋은 브롤러를 찾기 힘들 정도로 매우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52]
  • 파일:Hot_Zone.png 핫 존
    전체적으로 존 점거 능력과 탱커 처치 능력이 떨어져 핫 존에서 활약하기 힘들다. 너프 이후 돌진하는 적을 막기 버거워져 더욱 쓸 일이 없어졌다. 하이스트와 비슷한 상황.
  • 파일:Knockout.png 녹아웃
    부쉬가 적고 벽이 많은 벨스 락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맵에 부쉬가 많기 때문에 알리에게 매우 유리하다. 독구름이 올 때에도 몰린 상대를 쉽사리 처치할 수 있는 것은 덤. 게다가 네비게이션 역할도 해 도망친 상대를 추적할 수도 있어 킬 결정력이 매우 높다. 그러나 너프 이후에는 암살 난이도가 급상승해서 실력을 꽤 탄다.
  • 파일:Duels_icon.png 듀얼
    많은 맵에 벽과 부쉬가 적절하게 섞여 있고, 알리는 1명의 적에게는 분노 패시브로 인해 포커싱 능력이 매우 좋으므로 듀얼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알리의 1대1 상성은 암살자치고 넓은 점도 한 몫 한다. 다만 이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나가는 것보다는 두 번째나 세 번째 브롤러로 1라운드에서 특수 공격을 채우고 시작하는 플레이가 권장된다. 알리는 특수 공격이 있다면 불과 프랭크를 제외한 상성을 어떻게든 뒤집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너프 이후에는 암살이 힘들어져서 상성빨을 꽤 탄다.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빅 브롤러]
    일반 공격이 이동기인 어쌔신이 다 그렇듯 말이 필요 없다. 압도적으로 사기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 파일:BOSSFIGHT.png 빅 게임[5인]
    빅 브롤러에게도 일반 봇 판정이 나는지 아닌지 여부가 밝혀지지 않아 빅 브롤러에게 특수 공격 보정 대미지가 얼마나 들어갈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특수 공격 보정 대미지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더라도, 알리는 보스 위치 추적기로 활용할 수 있어 그렇게까지 나쁘진 않다. 특히 빅 브롤러가 투척수일 경우 알리의 상황이 급격히 좋아진다. 대체제가 많은 것이 흠일 뿐.
  • 파일:ROBORUMBLE.png 로보 럼블
    절대로 사용하지 말자. 어그로를 끌면서 봇들을 한번에 잡으면 버틸 만하지만, 애초에 알리는 돌진해서 공격을 하기 때문에 쉽사리 녹아버리고, 크레이지 이상부터는 봇들이 매우 강해지기 때문에 이 전략도 통하지 않는다.[53] 특수 공격 보정 데미지도 큰 의미가 없어 보스전과 달리 평가 상승의 기대조차 없다.
  • 파일:보스전.png 보스전
    그 좋지 않은 로보 럼블보다도 훨씬 더 안 좋다. 다만 특수 공격 보정 데미지가 어떤 매커니즘으로 들어갈지는 밝혀지지 않아 평가 상승을 기대해 볼 만하긴 하다. 다만 보정 데미지가 매우 높은 경우라도 애초에 특수 공격을 채우는 게 힘들며, 슈퍼셀은 이를 버그로 판명해 곧바로 고쳐질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랜덤큐로 알리를 픽한다는 것은 이번 판 내내 트롤을 하겠다고 선전포고하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심지어 알고 보면 그 악명 높은 모티스보다도 안 좋을 정도.[54]

8.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 부쉬와 벽이 많은 맵 한정 공통 + 2번째 스타파워를 장착했다고 가정
    알리의 특성상 맵에 부쉬가 없다면 접근 능력과 기동성이 모티스의 하위호환이 되어 평상시엔 유리하거나 편차가 심한 브롤러들에게도 역으로 질 수도 있다. 따라서 아래 서술할 상성은 알리의 기동성을 살려줄 수 있는 부쉬와 벽이 많은 맵에서 치러지는 전투라고 가정한다.

9. 세팅

<rowcolor=#fff> 주요 빌드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rowcolor=#fff> 차선 빌드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추천 기어
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
  • 냉혈 - 분노의 추격자
    가젯으로 분노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스타파워로 재장전 속도를 늘려 알리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가장 좋은 조합이다.
  • 가젯 이름2 - 스타 파워 이름2
    설명2

  • 가젯은 보통 안전성을 챙기기 위해 보호막 기어를 드는 편이 많으며, 남은 한자리에 피해 기어를 끼는 세팅이 대부분이다. 부쉬가 많은 맵이거나 2가젯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면 속도기어도 괜찮다.

10.

  • 표제
    설명
  • 표제
    설명

11. 스킨

11.1. 기본 스킨

파일:allibrawl.png
같은 사랑의 늪 트리오 멤버 중 상대적으로 외모가 정상적인 모습을 보인다. 긴 머리칼을 가지고 있으며 모델링의 눈매가 체스터를 닮았다는 평가가 매우 많다.

챙 달린 모자를 쓰고 있다는 점에서, 팽과 외모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수렵 채집가 알리(HUNTER GATHERER ALLI)

파일:Rare_SkinBS.png
파일:huntergathereralli.png
희귀도
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29
파일:icon_bling.png 1000

  • 알리의 희귀 스킨. 전체적으로 원시인 프랭크의 복장과 닮았다. 녹색 피부에서 인간형 피부로 바뀌었다. 이는 원시인 프랭크의 컬러 스킨인 석기시대 프랭크 스킨도 인간형 피부로 모델링 되어있다.[101]

12. 업데이트 내역

  • 2025년 6월 26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얼리 액세스 시작
  • 2025년 6월 30일[102]
    파일:Arrow-down-big.png HP가 4100에서 3900으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가젯 '냉혈'의 분노 지속 시간이 6초에서 4초로 감소
    파일:Arrow-down-big.png 스타 파워 '분노의 추격자'의 재장전 속도 증가율이 40%에서 25%로 감소
  • 2025년 7월 3일
    파일:Arrows-switch-big.png 신화 브롤러로 정식 출시

13. 기타

  • 이름은 악어를 뜻하는 영어 단어 alligator에서 가져 왔다. 또한 한글 기준 이름이 '리'로 끝나는 캐릭터들[103] 중 유일하게 영문 기준 -y나 -ie로 끝나지 않고 -i로 끝난다.
  • 카제에 이어 바로 다음 업데이트에 출시 된 여성 어쌔신 브롤러이다. 멜로디 - 릴리와 같은 케이스.
  • 같은 트리오의 윌로우, 안젤로와 다르게 혼자만의 유일한 특징이 좀 있다.
    • 유일하게 이름이 한글 기준 -로로 끝나지 않는다[104].
    • 유일하게 이름이 영문 기준 6글자가 아니다.
    • 외형적으로 혹평을 가장 덜 받았다.
    • 둘과 달리 도트딜을 넣는 공격수단이 없다.
  • 일반 공격이 이동기인 브롤러 중에서 처음으로 물 위를 걸을 수 있는 브롤러이다.
  • 위 설명에도 여성이라 써 있지만 알리의 특이한 외모 때문에 남자라고 착각할 수 있다. 옆으로 돌려본 모습이나 핀, 목소리를 들으면 확실히 여자인게 드러난다.
  • 최초로 얼리 액세스 기간 도중에 너프가 된 브롤러다.
  • 주주와 같이 은신을 쓸 수있는 유이한 신화 브롤러이다. 또한 최초로 깜빡이는 은신을 쓸 수 있는 브롤러다.
  • 참고로 2017년 대릴, 2018년 레온, 2019년 로사, 2020년 , 스프라우트, 2021년 스튜, 엘 프리모, 2022년 버스터, 체스터, 2023년 행크, 코델리우스, 찰리, 2024년 키트, 래리 & 로리, 프랭크, 버즈 라이트이어[107]에 이어 2025년의 슈퍼 OP 브롤러로 등극했다.

[1] while과 crocodile의 라임을 맞춘 말장난.[2] later와 alligator의 라임을 맞춘 말장난.[3] 강의 범람으로 형성된 호수를 가리키는 호주식 어휘이다.[4] 조롱하는 듯한 멜로디로 노래하며, 목소리에 에코가 깔린다.[5] mulch, 토양을 보호하기 위해 덮는 짚이나 나무껍질 따위를 가리킨다.[6] 설명만 보면 알리의 체력과 관련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상대 브롤러의 체력이 50% 아래일 때 발동된다.[7] 이 아이콘은 상대도 확인이 가능하다.[8] 다만, 상대에게로 가는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9] 점프 공격의 경우 4.33타일로 조금 더 길다.[10] 주주와 같이, 있는 지형에 따라 일반 공격 효과가 바뀌는 2번째 브롤러이다.[11] 그러나 사정거리보다 긴 부분에 벽이 있을 경우 사정거리를 넘어 공격되는 미코와 달리, 벽에 박혀 튕겨나오며 공격이 씹힌다.[12] 모티스, 다이너마이크(다이너 점프 스타 파워), 미코, 켄지, 카제(게이샤 모드)에 이어 여섯 번째로 일반 공격에 이동기가 붙은 케이스이자, 물 위 또는 수풀 내라는 조건부긴 해도 미코, 다이너마이크에 이어 두 번째로 일반 공격으로 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브롤러다.[13] 3탄창 기준, 알리는 적과 풀숲에서 싸울 때 총 0.3초간 무적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스탯] [스탯] [스탯] [17] 예를 들어, 현재 체력이 5600인 브롤러를 공격하면 만렙 기준 기본 피해량 2600에 추가 피해량 5600 × 25% = 1400이 더해져 4000의 피해량을 줄 수 있다.[18] 애초에 레온은 일반 공격을 하는 순간 은신이 풀리기 때문에 하이퍼 충전 같은 친선전 특수 모드가 아닌 일반 게임에서는 하이퍼차지 동안만 가능하다.[19] 알리는 은신뿐 아니라 특수 공격 후 첫 일반 공격에 대미지 강화가 같이 있기 때문인 듯.[20] 의외로 이런 경우가 꽤 있다. 예를 들어 프랭크의 파워 그랩 스타 파워도 훈련장의 로봇은 브롤러가 아니기 때문에 로봇을 아무리 때려 부숴봤자 발동하지 않는다. 또 키트의 특수 공격을 로봇에게 사용해도 올라타지 않는다.[21] 너프 전에는 재장전 속도 증가율도 40%로 동일하였다.[22] 국내에선 '식섭송'으로 잘 알려져 있다.[23] 전속력 돌진처럼 일순간에 침투할 기동성을 갖추지 않았으며, 결정적으로 특수 공격으로 한방에 쓸어버릴 잠재력이 없다.[24] 심지어 너프 이전에는 후딜레이가 아예 없었다![25] 지형이 알리에게 유리하다면 알리>미코≒모티스 평지 위에서는 모티스>미코>알리 벽이 많은 맵에서는 미코>알리>모티스[26] 지형이 좋으면 모티스>>알리>미코, 지형이 좋지 않다면 모티스>>미코>알리[27] 지형이 좋으면 모티스<알리<미코, 지형이 좋지 않으면 알리<모티스<미코[28] 소환물의 체력이 깍였거나 2스파를 들고있는 상태 등 자폭 소환물을 한방에 제거할수 있다면 버그인지 자폭 피해를 무시한다.[예] 보스전, 로보 럼블[30] 참고로 악명은 훨씬 먼저 출시해 많이도 얼굴을 보인 모티스가 압승이다(...)[31] 심지어 일부 뉴비들은 그 어렵다던 루미, 카제, 셰이드, 멜로디, 코델리우스보다도 더 어려운 최고난도 브롤러라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32] 비록 기간이 길진 못했지만, 알리 자체의 엄청난 사기성과 천사&악마 2 이벤트의 특성이 합쳐서 로사, 스프라우트, 키트, 래리 & 로리, 버즈 라이트이어에 버금가는 역대급 밸런싱 파괴와 유저들의 엄청난 원성과 불만이 이어졌으며 아래 문단에서도 변천사 뿐만 아니라 사기성과 불합리함에 대한 비판, 유저들의 부정적 인식과 불만을 담은 서술이 많이 생겨났다.[33] 너프와 더불어 이동속도 증가 버그도 고쳐질 것으로 보인다.[34] 다만 최상위권 기준으로는 카제가 더 고평가받는 추세이긴 하다.[35] 알리가 활약하기 매우 힘든 부쉬와 물, 벽이 거의 없는 완전 개활지 맵과 알리의 스킬셋과 맞지 않는 하이스트, 핫 존 등의 모드에서도 밴을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심지어 그러한 맵과 모드에서 양 팀이 모두 밴 하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다. 유저들의 불만과 혐오가 어느 정도까지 치달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36] 애초에 알리는 조작 난이도와 운용 난이도가 상당히 높도록 설계된 브롤러이다. 딱히 큰 실력 없이도 이런 기획 의도를 무시하고 날뛰는 것을 보면 알리가 얼마나 사기인지 알 수 있는 부분.[37] 더군다나, 현재 알리가 날뛰고 있는 시즌은 탱커 메타 시즌이다. 즉 탱커들이 마구 출몰하는 메타에서 탱커 상대로 불리한 암살자 알리가 날뛰고 있다는 것을 보면 자체 성능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38] 이런 알리를 작정하고 따라잡아 공격을 가할 수 있는 브롤러는 생존용 삽을 킨 모티스뿐인데, 애초에 모티스는 알리에게 기본 스펙부터 압도적으로 밀린다.[39] 다만, 그레이의 포탈이나 모티스처럼 일반 공격에 이동기가 있는 경우 재빨리 풀숲을 벗어날 수 있다면 나은 편이다.[40] 이 사기성이 어느 정도냐면, 일반 모드에서는 풀숲에서도 근접전으로 이기기 매우 힘든 R-T나 프랭크를 천사vs악마 능력이 적용된 모드에서 실력만 좋다면 이겨버리는 정도이다. 때문에 이 상태에서 알리를 상대로 확실히 이길 수 있는 브롤러는 특수 공격과 발구르기 가젯을 모두 가진 불과 추가 머스터드 가젯과 특수 공격을 가진 더그 단 둘 뿐이다.[41] 심지어 버즈 라이트이어는 자체 성능도 매우 좋은 편이였으나 무료로 뿌린 점, 중복픽이 가능한 점 등 시스템 상 문제로 벨런스 파괴를 일으킨 반면, 알리는 단순히 높은 스탯과 스킬셋 만으로 이러한 파괴를 만들어 낸 것이다. 브롤러 하나로만 두고 보면 2차 너프 전까지의 알리는 버즈 라이트이어의 사기성을 능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버즈 라이트이어 출시 때처럼 또다시 브롤러들의 레벨이 낮은 무/소과금 유저나 뉴비 유저들은 기존 브롤러들의 트로피를 올리는 것이 불가능해 정상적인 게임 진행이 안 된다고 토로하는 등 각종 원성과 불만이 폭주하였다.[42] 알리 출시 때의 사태를 생각하면 당연하겠지만 유저들의 반응은 버즈 라이트이어의 삭제 때마냥 이제야 너프됐네, 속이 다 시원하다 등의 반응이었다.[43] 물론 암살자인 알리와 전혀 맞지 않은 탱커 메타에서 전 브롤러 1등 성능을 차지하는 것 자체가 심히 이상한 상황이긴 하다.[44] 물론 알리 대처법이 부실한 하위권대의 경우 밴은 여전히 많이 당한다.[45] SOMEONE의 40시즌 2번째 티어표 기준 2티어 하위권[46] 심지어 일부 초보자 유저들은 그 어렵다던 카제와 비슷할 정도로 매우 어렵다고 한다.[47] 다만 현재 메타에서 알리의 엄청난 조작 난이도를 극복했다 하더라도 2티어 하위권 정도의 성능만 낼 수 있다보니, 랭커가 아닌 일반 유저가 평가한 티어리스트에서는 알리를 4티어로 평가하기도 한다.[48] 추후에 탱커들이 대거 너프를 받거나 안티탱커가 급부상하는 등 탱커 메타가 끝나게 되면, 알리의 티어가 다시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알리는 약간 많지만 애매한 체력을 보유하고 돌진형 공격을 사용하는데도 불구하고, 지형지물만 잘 활용하면 , 프랭크, R-T, 더그를 제외하고 상성을 뒤집을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탱커 메타가 끝나기만 한다면 알리의 티어가 다시 오를 가능성이 높다. 다만 트렁크의 출시로 그게 언제 될지는 모른다...[49]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50]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51] 젬 그랩, 하이스트에서도 나오긴 하지만 그나마 조합을 짠 경우가 아니면 자주 나오지는 않는다.[52] 사실상 랭커들은 행크, 셰이드와 함께 레이어 케이크 1픽 3대장으로 묶어 평가한다. 카제, 보니, 릴리, 스프라우트 등도 자주 나오지만 카제는 애초에 너무 사기라 무조건 밴을 당할 것이기 때문에 볼 일이 거의 없고, 보니는 무지성 1픽으로 뽑기에는 셰이드 등의 하드 카운터가 있다. 릴리와 스프라우트는 조합으로 파훼가 너무 쉬운 탓에 막픽으로 많이 쓰인다.[53] 1가젯을 사용하면 이 문제는 해결되는 편이긴 하다.[54] 물론 알리보다 훨씬 오래된 모티스는 베타 버전부터 있었던 오래된 브롤러이기에 인식은 모티스가 훨씬 안 좋다.[55] 알리는 전반적으로 모티스, 미코와 유사한 상성을 지녔으며 이 둘 보다 불리한 상성을 극복하기 쉬운 편이었으나 7단 너프 이후로는 상성폭이 눈에 띄게 좁아졌다.[56] 평지 모드에서 압도적인 상성이며, 부쉬 모드에서도 압도적인 상성이거나 약간 상성이 갈리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두 모드 전부 불리한 경우 볼트체 표시.[57] 그나마 볼트체 처리하지 않은 탱커 브롤러들의 경우 근접 대응력이 낮은 편이라 상황에 따라서는 할 만한 편.[58] 최대 극상성. 우선 기본적인 체급부터가 너무 높아 알리가 3탄창을 전부 써도 불에게 유효타를 넣기 어렵고, 불은 알리를 2-3탄창에 지울 수 있어서 매우 까다롭다. 설령 특수 공격 보정 평타+부쉬 기습으로 불의 일반 공격 한 대를 씹고 접근해도 여전히 3탄창 컷이 안 나는 데다 불은 2탄창만에 알리를 잡아낸다. 심지어 조금이라도 위험해지면 불 입장에서는 그냥 특수 공격으로 도망가버리면 그만이다. 따라서 실제 전투 상황에서 불을 이기기는 아예 불가능하다고 봐도 된다. 알리의 생명인 지형을 파괴할 수도 있다는 점은 덤.[59] 엘 프리모의 특수 공격 + 가젯 콤보는 선후딜레이 거의 없는 알리에게도 매우 치명적이며, 체력도 전 브롤러 중 2위라 잡는 것만으로도 한 세월이 걸린다. 그나마 엘 프리모의 일반 공격 연사력이 떨어진다는 점은 위안이나, 엘 프리모 입장에서는 그냥 알리가 평타를 다 빼기를 기다리다가 특수 공격으로 알리에게 돌진하면 그만이다.[60] 얘도 체급이 문제인데, 기본 체급 자체도 높은데 로사의 특수 공격인 보호막은 알리의 평타를 간지러울 정도로만 만든다. 그나마 연사력이 떨어지고 이동기가 없어 치고 빠지기 전략으로 야금야금 특수 공격 셔틀로 이용해 먹을 순 있으나 딜레이 너프를 받은 지금은 도박에 가까운 행위에 가깝다.[61] 알리가 잡기에는 체력이 워낙 높은 데다가 자동으로 차고 특수 공격을 이용하면 도주하는 알리를 바로 따라잡을 수도 있다. 근접전 능력을 약간 희생하고 기동성이 더 높아진 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나마 벽에 취약한 이동기로 인해 벽이나 부쉬가 많은 맵에서 도망칠 때는 벽을 파괴할 수 있는 불과 달리 확실히 알리 잡아내기는 쉽지 않은 편이라는 것이 위안.[62] 다만 재키가 실수로 헛방을 날렸을 경우, 그대로 점프로 뛰어들어서 때리면 이길 수 있다. 재키의 핵심 기술이라 불리는 친절한 반격 스타파워가 부쉬맵에서의 알리에게는 미코와 비슷하게 잘 통하지 않고 재키 역시 재장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63] 다만 미코와 마찬가지로 2스파를 착용한 재키는 알리가 절대 못 잡는 극상성이지만 사실 2스파의 성능이 1스파에 비해 저열해 만날 일은 거의 없다는 점이 위안이다.[64] 체급도 문제지만 빠른 이동 속도까지 보유했기 때문에 상대하기 어렵다. 그나마 비비의 일반 공격은 딜레이가 있기에 회피하여 때릴 수 있다는 것은 위안.[65] 불과 더불어 가장 어려운 상대. 알리 입장에서는 모든 브롤러 체력 1위인 프랭크를 잡는 것 조차 불가능한데. 프랭크는 피해를 받을수록 연사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체력이 낮아질수록 알리의 점프 공격이 무색할 정도로 연사력이 빨라진다. 더군다나 판정도 매우 좋아 알리가 착지하기 전에 프랭크가 평타를 사용해도 가끔 알리가 맞아버리는 불상사가 나오기도 한다. 특히 프랭크의 특수 공격은 매우 치명적인데, 특수 공격 자체는 선딜레이가 매우 길어 알리 입장에서는 피해버리면 그만이지만, 프랭크의 특수 공격은 범위 안에만 있다면 알리에게 극도로 중요한 존재인 부쉬와 벽을 전부 밀어버릴 수 있다. 프랭크가 부쉬와 벽을 밀어버리면, 알리는 그냥 돌진 공격과 은신만을 이용해야 하는데, 심지어 상술한 부쉬와 벽이 많은 맵에서 있다는 내용만 보더라도 알리는 벽과 부쉬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런 부쉬가 없어지면 알리의 가망이 사라지는 꼴. 그러므로, 프랭크는 알리 입장에서 쇼다운이나 듀얼에서, 심지어 3대3이나 5대5에서도 상대에 프랭크가 있다면 알리는 해당 게임을 이길 가능성이 0에 수렴한다. 그저 상대가 완전 알리의 밥이 있거나 우리팀이 잘 해주기를 빌 수밖에 없다. 너프 이후로는 더 심해졌는데, 상대에 프랭크가 있다면 상대 중 투척수가 없는 이상 그냥 못 이긴다고 봐야된다. 팀전에서는 어쩌면 불보다도 더한 최대의 하드 카운터라고 할 수 있다.[66] 체력 자체도 높고 맞을수록 기동성과 대미지가 강해져 상대하기 까다롭다.[67] 1스파 한정 극상성. 다만 1스파가 없으면 그나마 할 만하다고 해도 애초에 샘은 1스파를 거의 무조건 사용하니 사실상 극카운터라 보면 된다. 역시나 체급과 데미지가 높아 상대하기 까다롭다.[68] 역시나 체급이 문제이다. 더군다나 보호막 가젯 딸깍으로 알리의 피해량을 대폭 흡수시킬 수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행크가 특수 공격이 없다면 근접 대응력이 빈약하기에 특수 공격 보정 평타를 이용해 강력한 대미지와 행크의 풀차징 일반 공격 하나 씹고 접근하면 그나마 승산이 있다.[69] 그나마 버스터의 특수 공격은 알리의 돌진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은 위안이다. 물론 2가젯은 매우 조심해야 한다.[70] 프랭크, 불과 비등하거나 그 이상인 극상성. 알리는 모티스와 미코를 합친 일반공격을 가지고 있으며, 공교롭게도 둘 모두 더그한테 극도로 불리한 상성관계를 지닌다. 그중에서도 특히나 체공 평타의 경우 이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보면 되는데, 애초에 미코의 최대 극상성 브롤러가 더그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쉽다. 재장전 속도도 미코보다 느린 것은 덤. 특수 공격이 없어도 이기는 게 극도로 어렵지만 특수 공격까지 있는 더그는 알리 혼자서는 절대로 잡을 수 없는 불과 프랭크를 능가하는 최악의 절대 극상성이다.[71] 얘도 체급이 문제인데, 탱커 중에서도 체력이 상위권인데다가 최면으로 끌어와 끔살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낮은 데미지 때문에 초반에는 할 만한 편[72] 메그 모드일때는 질 수가 없는 먹잇감이지만 메카 모드의 경우 높은 스펙과 준수한 근접 대응력으로 인해 상대하기 어렵다.[73] 드라코가 일반 모드일때는 일반적으로 비등하지만 2가젯을 이용해 드라코가 피 1로 버틸 수 있다. 특히 드라코가 드래곤에 탑승한다면 2스파 한정으로 피흡 + 매우 높은 연사력으로 알리를 순식간에 녹여버릴 수 있다.[74] 알리의 평지 일반 공격은 모티스의 하위호환이라 기동성 면에서도 모티스에게 뒤처지며, 모티스는 미코의 카운터라는 점도 생각하면 수풀에서 마주치더라도 알리 입장에서는 모티스를 상대하기 까다롭다. 과거에는 모티스 입장에서도 알리를 잡기 힘들었으나 알리가 너프를 받은 지금은 모티스가 잡기 쉬워진 편.[75] 과거에는 그리프와 마찬가지로 편차가 극심하게 갈린 상대였지만, 알리가 다단 너프를 받고 불리해졌다. 우선 에드거의 근접전 능력은 알리와는 궤를 달리하며, 공격 3방을 모두 맞추면 알리가 이기긴 하지만 사거리가 짧은 편인데다 무지성으로 돌진하는 초보자 에드거가 아닌 이상 멍청하게 맞아주지 않고 거리 조절을 하면서 때릴 것이다. 오픈맵이어도 상성이 불리한 건 덤.[76] 이전에는 알리가 유히한 상성이었으나 알리의 너프와 키트의 하이퍼차지 출시 이후 상성이 뒤집혔다.[77] 우선 켄지는 알리처럼 일반 공격으로 돌진도 하지만 크게 베기 스킬을 활용해 거리 조절을 할 수 있고 흡혈 패시브와 2가젯 치유의 김초밥, 2스파 절치부심을 활용한 높은 안정성과 생존력, 빠른 재장전 속도 까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근중거리 전투력이 알리보다 높다.[78] 체력이 매우 낮지만, 잘못 접근했다간 나니의 특수 공격-일반 공격 콤보를 맞고 끔살당한다. 단타형 공격인 만큼 2가젯에 취약한 것은 덤.[79] 체급이 무시 못할 정도로 차이나고 알리의 일반 공격 3탄창을 버티기 때문에 부쉬에서 만나도 버즈 입장에선 맞은 뒤에 특수 공격으로 스턴을 걸어서 역관광시키면 그만이다. 또한 알리 특성상 부쉬에 숨어서 일반 공격이나 특수 공격으로 진입각을 볼 것인데 이러면 버즈의 패시브에 의해 운용을 방해받는다. 다만 버즈의 특수 공격을 점프로 회피할 수 있다는 점은 덤. 다만 버즈의 특수 공격은 체공기에는 끊기지만, 돌진기에는 끊기지 않아 평지 위에서 버즈의 특수 공격을 잘못 맞기라도 하면 부쉬나 물로 달려가는 게 아닌 이상 못 피한다.[80]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극카운터지만 일부 상황에서는 역카운터가 될 수도 있다. 부쉬 밖에서는 그냥 모티스와 비슷한 상성 관계로 완전히 극카운터이나, 부쉬에서 게일을 마주치면 토네이도 가젯을 쓰더라도 미코와 비슷하게 대미지를 넣고 다시 튕겨저 나와 오히려 게일이 잡기 힘들어진다.[81] 운이 좋거나 오티스의 피지컬이 나쁘다면 특수 공격을 회피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까진 아니지만, 특수 공격에 맞기만 하면 그냥 아무것도 못하고 죽는다. 사거리도 길어 초반에 특수 공격을 채우기도 까다롭다. 오티스의 특수 공격 빠졌을 때 기습하자.[82] 레일을 타고 이리저리 돌진하는 척을 저지할 폭딜기나 CC기가 없어 일방적으로 로드킬 당한다. 체급도 상당히 높은 것은 덤. 그러나 알리 또한 기동성이 좋은 편이라 피할 수 있는 것은 위안. 다만 피하기만 할 수 있고 척에게 대미지를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엄밀히 말하자면 대미지를 넣을 순 있는데, 넣자마자 바로 로드킬 당해버린다.[83] 위에 "알리의 기습에 대처가 가능한 브롤러"에도 포함된다. 그나마 부쉬에서 쉘리의 특수 공격을 점프로 피하면 승산은 있지만 쉘리가 알리의 착지 타이밍에 특수 공격을 쓰면 답이 없다. 쉘리가 2스파라면 알리가 3탄창 컷을 할 수 없다는 것도 한 몫한다.[84] 이 부류에서 가장 어려운 상대이자 불, 프랭크, 더그 다음가는 극상성. R-T 유저의 숙련도가 낮다면 착지 타이밍을 잘 맞추지 못할 수 있어 딜레이가 있는 분리 모드의 일반 공격을 피해서 때리면 어찌저찌 이길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분리 모드의 폭딜은 탱커도 버틸 수 없을 정도로 강하기에 근접전을 하면 일반적으로 알리는 그냥 갈려나간다. 알리는 R-T를 4탄창을 사용해야 잡을 수 있는데, R-T는 2탄창만 사용해도 잡을 수 있다. 특히나 R-T가 2스파라면 부쉬에서 만나도 근접전에서 절대 이길 수 없다. 합체 모드여도 1가젯이 있다면 접근하기 까다롭고, 멀리서 거리를 허용하지 않고 표식으로 견제만 해줘도 성가시다. 게다가 물 위로 도망치려 해도 R-T 또한 분리 상태에서는 물 위를 지날 수 있는 것 또한 악재. 다만 특수 공격과 1가젯이 모두 없는 R-T를 특수 공격으로 기습하면 어렵지 않게 잡을 수 있다는 것이 위안이다.[85] 원래 그리프는 상성이 심하게 갈리는 브롤러 중 하나였으나, 체력 너프와 공격 딜레이 추가로 상대하기 까다로워졌다. 너프 이전에는 부쉬에서 마주쳤을 경우 알리가 그리프의 특수 공격을 정통으로 맞더라도 보호막 기어를 착용하지 않았다면 600, 보호막 기어를 착용했다면 1500의 피를 남겨 딜레이가 없는 알리의 특성상 역공하기에는 충분한 체력이였지만 너프 이후로는 그리프 특수 공격을 정통으로 맞으면 매우 위험하며, 점프한다 하더라도 딜레이 추가로 그리프는 평타를 더 쉽게 맞출 수 있게 되었다. 특수 공격도 이전보다는 맞추기 쉬워진 점은 덤. 재장전 속도 너프로 피하면서 접근하는 방법도 막힌 것도 문제가 있다. 평타를 한 대라도 빠진 상태로 접근하면 알리는 그리프를 절대 못 잡는다. 경기 회복 스타파워와 근거리 폭딜 때문. 따라서 너프 이후에는 평지 위에서는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성이 되었으며, 부쉬에서도 알리가 좀 더 불리한 상성이 되었다. 그나마 특수 공격이 없을 때 기습하면 승산이 있다는 것이 위안.[86] 일단 체스터는 강력한 근접폭딜을 가지고있어, 3-4타에 알리가 삭제당하며, 너프로 연속으로 공격할 때 딜레이가 생겨서 딜레이가 적은 체스터가 먼저 삭제한다. 체스터의 일반 공격은 8.33타일로 길어서, 일방적인 원거리 견제도 가능하다. 만약에 체스터가 보호막기어를 가지고 있다면 알리의 3탄창을 모두 버티며, 특수 공격들은 넉백, 스턴, 도트딜, 슬로우, 깡힐회복으로 알리의 처치가 어렵게 한다. 특히 슬로우는 짧은 알리의 사정거리를 더 짧게 만든다.[87] 부쉬와 벽 여부와 상관없이 매우 유리한 브롤러들, 즉 맵을 안 타고 항상 유리한 브롤러들은 볼드체 표기한다. 다만 볼드체 표기한 브롤러들 중 일부도 벽을 파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3대3에서 운용상 난이도가 올라가니 팀전일 경우 주의해야 한다.[88] 물이나 부쉬에서 기습하면 쉬운 상대이지만 평지에서는 상당한 난적이다. 근접 대응력이 우수하고 특수 공격이 없을 때는 접근하기 쉽지 않아서 은근 까다로울 수 있다. 평지에서 로리가 소환되면 오히려 불리해지는 상성이지만, 특수 공격으로 기습하면 이길 수 있다.[89] 알리는 물 위를 다닐 수 있는 암살자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암살자 상대로 어느 정도는 대항할 수 있는 주주라도 알리를 상대하기 극도로 까다롭다. 주주가 그리그리를 소환해도 알리의 체급도 나름 높아 그냥 무시하고 접근하면 된다.[90] 래리 & 로리 다음으로 조심해야 하는 투척수. 넉백시키는 1가젯으로 알리의 돌진을 1차적으로 차단할수 있고, 일반 공격도 즉발이고 자가힐이 되는 장판이어서 근접대응이 준수하다. 거기다가 특수 공격은 이동기여서 튈수 있다. 그러나 자체 체력이 매우 낮고, 한방딜이 부족해서 웬만해선 잘 처리 가능하다.[91] 다만 이쪽은 벽과 부쉬를 쉽게 파괴할 수 있기에 운용상으로는 까다롭다.[92] 가젯과 특수 공격으로 벽과 부쉬를 파괴하면 운용 난이도가 매우 높아지니 팀전일때는 상대하기 까다롭다.[93] 이 중 대부분은 평상시엔 알리가 불리하거나 상성이 갈리지만, 부쉬에서 마주치면 알리가 매우 유리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 마디로 맵에 따라 상성이 갈리는 경우이다.[94] 스튜의 돌진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알리의 선후딜레이가 없어 암살자의 하드 카운터라 불리우는 스튜라도 알리를 상대하기 쉽지 않다. 다만 너프 이전에는 알리 쪽이 부쉬기습을 하거나, 특수 공격을 통해 기습하면 스튜 쪽이 급격하게 불리해졌으나 선후딜레이 너프를 받아 스튜가 조금 더 유리해졌다. 그나마 스튜의 돌진 딜레이보다 알리의 돌진 딜레이가 여전히 짧아 스튜가 1스파를 들거나 예측을 하지 않는 이상 스튜가 기습 대처를 잘 하지 못하기에 아직까지는 그렇게 어려운 상대는 아니다.[95] 둘 다 지형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고, 그만큼 상성 편차도 심한 편. 알리 입장에서는 벽 속에 들어간 셰이드를 잡을 방법이 없으나 셰이드 입장에서도 알리의 특수 공격 기습을 대응할 수단이 적기 때문.[96] 투척 브롤러임에도 불구하고 까다롭다. 개활지에서는 도트 데미지 때문에 특수 공격 사용에 제약이 생기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착탄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근접 대응력도 나쁘지 않으며 무엇보다 부쉬나 물에서 기습해도 윌로우 측에서 2가젯으로 대응해 재장전 속도가 느린 알리 특성상 한 탄창이라도 씹히면 불리해진다. 특수 공격으로 알리를 조종해봤자 크게 의미는 없지만 기습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있다. 그래도 어디까지나 투척 브롤러이기 때문에 알리의 특수 공격으로 기습하거나 벽을 넘어서 때리면 이길 수 있다.[97] 이들은 단계에 따라 상성이 극과 극으로 갈린다. 낮은 단계에서는 알리가 유리하지만 높은 단계에서는 알리가 불리해진다.[98] 알리는 물 위를 이동할 수 있고 미코는 물 위를 이동할 수 없지만, 사실 이건 별 의미가 없다. 미코가 물 위를 못 지나다닌다는 약점은 반대로 생각하면 알리 역시도 미코를 때리려면 물 밖으로 나와야한다는 소리다. 즉 녹아웃의 강경 노선 같이 맵 전체가 물로 도배되어 있지 않은 이상 물의 존재는 알리와 미코의 승패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 현재는 알리의 체급 너프와 더불어 미코가 알리를 상대하는 방법이 연구가 되어서 이전만큼 유리하다고 보기 힘들어졌다.[99] 모드에 따라 상성이 갈린다.[100] 평상시에는 팽이 유리하나 알리가 팽의 2가젯이 빠졌을 때 접근하거나 부쉬에서 마주쳤을 경우 연사력이 낮은 팽은 위험해질 수 있다. 알리의 체력 또한 넉넉한 것은 덤.[101] 참고로 원래 인간이 아닌 브롤러가 인간 모델링 스킨을 받은 세 번째 사례이다. 첫 번째는 CCTV 포코.[102] 이로 인해 알리는 최초로 얼리 액세스 기간 도중 너프된 브롤러가 되었다.[103] 쉘리, 발리, 래리 & 로리, 베리, 찰리, 릴리, 올리, 알리[104] Willow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윌라고 표기하는 게 맞다.[105] 체스터는 눈매, 팽은 전체적인 얼굴형과 모자가 닮았다.[106] 이 점 때문에 알리의 목소리를 듣기 전까지는 알리를 남자로 착각한 유저들도 있었다.[107] 기간 한정 브롤러인지라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