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교수이자 정당인}}}에 대한 내용은 [[김찬형(1960)]]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찬형(1960)#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찬형(1960)#|]]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배우}}}에 대한 내용은 [[김찬형(배우)]]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김찬형(배우)#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김찬형(배우)#|]]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교수이자 정당인: }}}[[김찬형(1960)]]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찬형(1960)#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찬형(1960)#|]]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배우: }}}[[김찬형(배우)]]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김찬형(배우)#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김찬형(배우)#|]]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 김찬형 金燦亨 | Kim Chanhyung | |
| 출생 | 1997년 12월 29일 ([age(1997-12-29)]세) |
| 부산광역시 | |
| 국적 | |
| 학력 | 양정초 - 경남중 - 경남고 |
| 신체 | 183cm | 83kg | AB형 |
| 포지션 | 내야 유틸리티(3루수, 유격수, 2루수)[1]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16년 2차 6라운드 (전체 53번, NC) |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16~2021) SSG 랜더스 (2021~2025) |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1년 12월 13일~2023년 6월 12일) |
| 등장곡 | The Score - 〈Unstoppable〉 |
| 응원가 | 구단 자작곡 2[2][3] |
|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 |
| 소속사 | 유에이컴퍼니[4] |
| 가족 | 부모님, 형 김주형[5], 조카[6] |
| |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찬형/선수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찬형/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 |
| 김찬형의 타격폼[7] |
어린 선수답지 않게 슬라이더, 커브 등 변화구 공략이 수준급이다. 특히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는 공에 잘 대처하는데, 사이드암 투수 상대로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9] 2스트라이크 이후 대응력이 좋아지면서 삼진도 많이 줄었다. 다만 득점 찬스나 주자 상황에 따른 타격은 아직 더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 중요한 상황에서 불리한 볼카운트로 몰린 뒤 끌려가는 경향이 있다.
배트 적극성이 굉장히 높은 타자[10]로, 배팅 찬스에서 높은 확률로 스윙한다. 존 내 공에 대한 배트가 나올 확률인 I-Swing%이 73.7%로 굉장히 높고, 존 바깥의 공에 대한 배트가 나올 확률인 O-Swing% 역시 35.2%로 높으며 헛스윙도 많다. 타석당 투구수도 3.30개 밖에 되지 않으며 삼진율이 그리 높지도 않음에도 볼넷을 얻어내는 능력이 떨어져서 BB/K도 리그 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다만 컨택은 2019 시즌 82.6%을 기록해 유격수 중에선 좋은 편으로, 특히 I-Contact%(존 내 공에 대한 컨택성공률) 비율이 91.5%로 리그 평균 이상을 기록했다. BABIP도 0.317로 팀내 유격수 중에서는 그나마 좋은 편이다. 하지만 2021년부터는 isod가 .100을 넘기는 등 선구안을 어느 정도 개선했다.
하지만 상무 전역 이후에는 수비 뿐만 아니라 타격에서도 침체된 모습을 보였고, 2024년의 발목 부상 이후로는 사실상 타격 매커니즘이 망가져버리며 2025년 1군에서 0.178의 타율로 극도의 부진을 겪었으며, 선수 본인이 이른 은퇴를 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3.2. 수비
| |
| 김찬형의 호수비[11][12] |
그러나 데뷔 초반 받았던 기대에 비해 성장이 정체되어 있다. 특히 강점으로 꼽혔던 수비가 약점으로 변해버렸는데, 2020 시즌 들어서는 커버리지와 포구, 송구 등 모든 면에서 퇴보된 모습을 보여주어 팬들에게 쓴소리를 들었고 2021 시즌에는 백업으로 경기에 나와 잦은 수비실책을 범하며 팬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 프로야구에서 수비율 90%가 안되는 내야수가 1군에서 살아남은 경우는 찾기 어렵다. 동갑인 박준영이 2021 시즌 공수에서 안정감을 보이면서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어 최근에는 2루수로도 출장하는 상황.
아직 1군 무대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14] 그럼에도 팀내 내야 자원 중에서는 가장 기량발전 가능성이 높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1군 백업급으로 나서기에는 부족함이 없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며, 벤치에서 출전기회 역시 많이 부여하고 있다. 아직 보여줄 것이 많이 남은 성장 가능성 높은 유망주로 NC 팬들은 손시헌의 빈자리를 노진혁과 함께 빈틈없이 메워주길 기대하고 있었다만... 결국 터지지 못하고 SSG로 이적하게 되었다. SSG는 2021 시즌 리그 실책 상위권으로 수비가 불안한 팀인만큼 확실히 수비 부분에서 좋은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하지만 SSG에서도 잊을만하면 대형 실책을 저지르는 수비 불안은 해결하지 못했다. SSG는 김찬형을 내야 유틸리티보다 3루수 최정의 백업 및 미래 3루수 자원으로 생각해서 2:1 트레이드에 나섰던 것이기 때문에, 상무 전역 이후에도 실책이 이어지자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1군 경험을 쌓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결국 2025년까지 개선하지 못했다.
3.3. 주루
발이 느린 편으로 도루 RAA(평균대비 도루 득점기여) 2019년 -1.13, 2020년 -0.44로 유격수들 중 리그 하위권을 기록했으며, 주루센스도 부족해 팬들도 그에게 도루를 기대하지 않는다.4. 여담
- 한 살 위 친형 김주형도 야구선수다. 부산에서 태어나 양정초등학교, 경남중학교, 경남고등학교까지 쭉 한 팀에서 함께 뛰었으며 고교 정상급 유격수로 활약한 동생과는 달리 형은 신인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해 홍익대학교로 진학했다. 홍익대에서 주전 유격수로 활약한 끝에 2019년 신인드래프트에서 10라운드 94순위로 키움 히어로즈에 지명되며 간신히 프로 입성에 성공했다. 2019 시즌 김주형이 1군 데뷔에 성공하며 김주형-김찬형은 KBO리그 역사상 26번째 1군 형제 선수가 되었다.# 첫 맞대결은 2020년 5월 26일 창원 키움전으로, 이 날 김주형은 3루수, 김찬형은 유격수로 각각 선발 출장했다. 또한, 이날 김찬형이 결승타를 때려내어 수훈인터뷰를 했는데, 인터뷰에서 형을 언급하기도 했다.
- 팀컬러와 맞지 않게 꽤 달변이다. 엔튜브 에필로그 영상이나 셀프캠 영상에서 재기발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김형준, 김태진과 잘 어울려 다니는 것으로 보인다. 그 김태진이 트레이드로 KIA로 가자 매우 아쉬워했다.#
- 앞서 형과 함께 언급된 2020년 기사에서 김주형이 말하기를 평소에 직설적으로 얘기를 하는 편이라고 한다. 하루는 형에게 '일단 수비부터 잘해야 한다, 공격 다 필요 없고 무조건 수비에 집중해서 수비를 잘 해라. 그래야 1군에 붙어 있는다'고 조언해줬다고.
- 2018 시즌 데뷔 첫 4타수 4안타 맹활약을 펼친 후 가진 수훈인터뷰에서 "제 이름을 외치면 팬들이 다 '열심히 하는 선수, 잘하는 선수', 그렇게 기억되는 게 저의 꿈입니다."라고 말했다.[15] 이날 부모님에게 감사함을 표하며 울먹이기도 했다.영상
- 2020년 3월 엔튜브 인터뷰에서 팀 최고참 지석훈이 마음이 가는 후배로 김찬형을 꼽았다. 스프링캠프 기간동안 지켜보니 훈련이든 자기관리든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서 새롭게 봤다고.#
- 시즌을 거듭할 수록 향상되는 타격 성적에 비해 수비는 점점 퇴보하고 있어 NC 팬들에게는 애증의 선수가 되고 있다. NC 다이노스 갤러리의 갤주였던 모창민이 2021년 4월 27일 은퇴하자 김찬형이 새로운 갤주로 뽑혔을 정도였으나 얼마 안 가 트레이드되어 엔갤은 한 달 사이에 갤주 두 명이 사라지는 진풍경을 맛보았다.
- 트레이드를 통보받은 당일, 아침에 호텔 앞 스타벅스에 사람이 많아 커피를 마시지 못해서 시무룩해 있었다고 한다. FA로 NC에 오게된 이용찬과의 만남도 있었지만 갑작스레 SSG로 이적하게 되어 NC 동료들과 마지막 인사를 고하게 되었다.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 김찬형은 스타벅스데이 이벤트가 진행되던 SSG의 문학 3연전에 1군으로 등록되었고, 대주자로 득점하며 스타벅스 커피를 얻어마시며 속상함을 해소했다고 한다.
- 추신수의 둘째아들 건우와 굉장히 많이 닮았다.[16] 모르고 보면 김찬형의 어린 시절 사진으로 착각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 2021년 6월 30일 경기에서 추신수가 유독 김찬형을 잘 챙겨주는 모습이 중계에 포착된 뒤[17] 김찬형과 추신수의 둘째아들이 닮은 것이 자연스럽게 알려지면서 여러 야구팬들에게 화제가 되었다. 쓱튜브에서도 이를 놓치지 않고 바로 관련 영상을 찍었는데, 본인은 이를 모르고 있다가 사진을 보고서야 진짜 닮았다며 놀라움을 숨기지 못했다.[18][19]
- NC 시절부터 키우기 시작한 포메라니안 강아지 '로이'가 있다. 근데 김찬형의 말을 듣지 않아서 항상 김찬형을 서열 꼴찌로 만든다고. 가끔씩 인스타그램을 통해 로이의 사진을 올리기도 하니, 관심이 있으면 체크해보자.
- 형 김주형의 언급에 따르면, SSG로 이적하면서 창원을 떠나 인천으로 오게 되자, 자취를 그만두고 가족들이 집을 합쳐 같이 인천에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 형네 가족은 야구 아카데미 운영 때문에 다시 부산으로 내려갔다고 한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 김찬형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20 |
| NC 다이노스 등번호 17번 | ||||
| 박정준 (2015) | → | <colbgcolor=#af917b><colcolor=#00275a> 김찬형 (2016) | → | 민태호 (2017~2019) |
| NC 다이노스 등번호 5번 | ||||
| 이상호 (2016. 9. 22.~2016) | → | 김찬형 (2017~2020) | → | 김민수 (2021) |
| NC 다이노스 등번호 6번 | ||||
| 김태진 (2019~2020. 8. 12.) | → | 김찬형 (2021~2021. 5. 20.) | → | 정현 (2021. 5. 21.~2022. 4. 28.) |
| SSG 랜더스 등번호 6번 | ||||
| 정현 (2021~2021. 5. 20.) | → | 김찬형 (2021. 5. 21.~2021) | → | 고명준 (2022) |
| SSG 랜더스 등번호 5번 | ||||
| 김재현 (2022) | → | 김찬형 (2023~2025) | → | 결번 |
[1] 1루수를 제외한 내야 전포지션 소화 가능하다. 1루수로는 통산 1이닝밖에 출장이 없다.[2] 오! 안타 김찬형(짝짝) 오! 안타 김찬형(짝짝) 오오오오 랜더스 위해 안타 김찬형~ ×2[3] 기존 응원가가 여론이 매우 안좋은 탓에 갈아엎었다고 한다.[4] 구. 유니버스 스포츠 매니지먼트[5] 전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6] 형 김주형의 자녀다.[7] 2021년 5월 27일자 KT전 2루타영상[8] 2018 시즌 타출장 .232/.308/.289 wRC+ 55.5, 2019 시즌 타출장 .277/.322/.355 wRC+ 85.3.[9] 2019 시즌 슬라이더 구종 타율 0.333, 커브/체인지업 구종 타율은 2할 6푼 안팎을 기록했고, 사이드/언더핸드 상대 타율도 매우 좋다.[10] 2019 시즌 스윙률은 52.4%로, 100타석 이상 선 유격수 중 1위의 기록이다. 2위가 손시헌, 3위는 노진혁인 것이 특이점.[11] 2021년 5월 23일 LG전영상[12] 정말로 보기 드물다는 홍창기의 병살타 장면이다. SSG 내야진 중에서 수비개선이 많이 필요하다고 언급되는 김찬형과 박성한이 이루어낸 더블플레이인지라 더 의미있는 수비다.[13] 비슷한 20대 초중반 나이대에 비슷한 수비이닝을 소화하고 있는 류지혁, 강로한, 박계범, 박찬호 등의 유격수 유망주들 보다 수비 스탯상 한 발 앞선 모습을 보여주었다. 애초에 NC 2군에서 도태훈, 조원빈 등과 경쟁하다가 주전 유격수 자리를 일찌감치 평정하고 1군 백업으로 올라온 자원이다. 도태훈은 2/3루수로 출전하다가 상무로 입대해 1/3루수를 맡다 제대해 팀에 복귀했고, 조원빈은 마지막까지 경쟁하다 대졸로서 병역 해결이 급해 현역으로 입대했다 방출되었다.[14] 가령 포어핸드 그립으로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타구를 백핸드로 처리하려다가 더듬는다던지 하는 모습이 가끔 보이는데, 1군 경험이 많아질수록 강습타구 대처가 전혀 안되는 모습을 보여 팬들에게 실망을 안기고 있다.[15] 이는 고등학생 시절 인터뷰에서도 언급했던 말이다.#[16] 여담으로 추신수와 김찬형은 같은 지역인 부산 출신이다.[17] 특히 김찬형이 솔로 홈런을 터트렸을 때는 그야말로 기쁨에 겨워 미쳐 날뛰는 추신수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18] 그런데 쓱튜브가 보여준 사진은 첫째인 무빈이 사진이다. 어쨌거나 형제라 그런지 무빈이와도 상당히 닮았다.[19] 이로 인해 추신수의 성을 따서 "추찬형"이라는 별명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