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03:29:47

홍익대학교 야구부

파일:홍익대학교 흰색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학 정보
역사 캠퍼스 도서관
입시 학교 법인 사건 사고
교육
학부 대학원 학사 제도
학생 정보
학생 활동(학생회/동아리) 출신 인물 야구부
}}}}}}}}}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ffffff 홍익대학교}}}]] 야구부
(Hongik University)
창단 1987년
지역 세종권[1]
감독 장채근
코치 김대익 · 남재욱[2] · 백승훈 · 정성훈
우승 기록[3] 8회
웹사이트 -

역대 전적
대회 우승 준우승 4강[4]
<colbgcolor=#ffffff,#191919> 대통령기 '04, '16 '94, '13, '19[5]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93, '00, '17 - -
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 - - -
대학야구 춘계/하계/추계리그 '14[6], '16[7] '94[8], '99[9], '13[10] -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 - -

1. 개요2. 출신 선수3. 역대 감독

[clearfix]

1. 개요

홍익대학교의 야구부.

대학야구계에서 약팀으로 머물러 있었으나 장채근 감독의 부임 후 많은 연습량을 부과하며 팀이 환골탈태하였다.[11] 장채근 감독 이후 전국대회 결승전 무대를 여러 차례 밟았으며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던 팀은 우승의 맛을 알기 시작했다.

홈구장은 화성시 기안동에 있다. 그러나, 체대(산업스포츠학과)가 세종캠퍼스라 선수들은 전원이 세종캠퍼스 소속이다.

포수 출신인 장채근 감독의 전문적인 지도를 받고자 고교 유망주 포수들이 타 대학 진학 대신 홍익대를 선택하는 케이스가 많아졌다고 한다.[12]

2019년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에 결승전까지 진출하였으나 장채근 감독이 8회에 심판 판정에 불복해 선수단을 철수시킴에 따라 몰수게임이 선언되어 아쉽게 준우승을 기록했다.

2020년 홍익대 코칭스태프는 장채근 감독을 위시하여 김성규, 서창기[13], 정성훈 코치로 구성하였다.

창단 후 첫 전국 대회 우승[14]을 차지한 김해고등학교 야구부의 박무승 감독이 감독 부임 전 홍익대 코치로 경력을 쌓았으며 홍익대 코치 당시 장채근 감독으로부터 돈 주고도 살 수 없는 많은 지도 노하우를 배웠다고 하며 감사를 표했다.

2022년 전국체육대회/야구 일반부에서 세종선발로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23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선수 출신이던 김대익 부경고 코치를 영입해 코칭스태프를 보강했다.

2023년 전국체육대회/야구 일반부에서 출전하여 세종선발로 준결승까지 갔으나 충남 대표 단국대한테 0:8 7회 콜드게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

2. 출신 선수

학번 이름
88 김성용, 김상모, 김상엽, 민원기, 서정민, 이영복
89 계기범, 최규하, 이희진, 김철 노희석 이재학 이경문 장대희 김우철
90 최상덕 김경열 이성준 류진호 이상민 강창수 권혁돈 강석우
91 문희성, 염규빈 김상영 최장원 이동희 윤형석
92 김선영, 김태형, 김현민, 서한규, 엄종수, 우승진, 이승엽, 정경배, 정영환, 황언태
93 김택형, 박경원, 이정규, 임진수, 정효진, 황인호
94 강경원, 권성오, 김우석, 오충원, 이기쁨, 이병수, 이정훈, 전남, 조정권, 표세랑
95 김성훈, 백현종, 오창선, 이종원, 조윤주, 황대하
96 김기호, 방정훈, 양세규, 윤현식[15], 이주환, 장재혁, 정진용
97 고상천, 박신성, 손관철, 송양관, 이성수, 이신철, 이용우, 전상준
98 김경식, 김세중, 문정환, 박세훈, 이갑, 정동헌, 황석주
99 강정원, 강희성, 곽봉석, 김용기, 양용수, 엄인규, 이영욱, 조인신, 차일목, 최창호
00 김효언, 맹진영, 석지훈, 신인섭, 이성재, 정영수, 지호남, 최순호
01 김민하, 송재훈, 신창수, 신춘식, 윤승균, 이기남[16], 최홍진, 한정석
02 양영동, 오주헌, 오종민, 이덕영, 정진호[17]
03 김강섭, 박상민, 안효암, 오장훈, 육정현, 윤여명
04 박성민, 박원배[A], 박종연, 배준신, 이수현, 전영남, 전영환, 전준건
05 강제동, 김문종, 박승현, 서승원, 신한빛, 이주오, 전진영, 최동신, 황성웅, 황솔
06 김선민, 김재호, 이민재, 이준호, 최윤석, 한상집, 홍승창
07 김대우, 김현수, 박준범, 신희광, 이용균, 조호인, 한성구
08 김재민, 박새바로, 이강민, 이상우, 이철민, 장두영, 정정우, 조순식, 황인준
09 구승민, 권민구, 박민성, 배장원, 이충희, 이흥련, 전준형
10 김영광 , 양효석, 정광운, 최용제, 허정민
11 김승훈, 박동준[19], 이정현, 조영완, 허승혁
12 김관일, 김재영, 김진건, 노민호[A], 장현우, 조영호, 조원빈
13 김민섭, 김재헌, 나원탁, 신현식, 원혁재, 전세민[21], 허률
14 김영옥, 안도원, 이연주, 이태훈, 전상수, 최우혁, 최태환
15 김승환, 김주형, 박상원[B], 박재훈, 박지원, 신관식, 장성훈, 최경모, 최준혁
16 강희욱, 김동욱, 박지훈, 설재민, 윤종휘, 이거연, 전광석, 최태성
17 권혁찬, 김대현, 김록희, 박근엽, 박문휘, 박용민, 박준석, 이정훈[23], 이진석
18 공인욱, 김태환, 이민수, 이상빈, 이용진, 이정원, 임근우, 최시우, 최진완
19 강민균, 김시원, 김지형[B], 배영빈, 서동욱, 이윤오, 이지훈, 이진호, 조일현, 표동헌[B]
20 기민성, 김대원, 김동희, 김범근, 김진섭, 박경식, 박상목, 박지현, 원민기, 이장민
21 강재윤, 김성민, 김지용, 박규민, 박철현, 서영준, 서하민, 손성찬, 엄찬식, 이민우
23 엄상현[26]
중퇴 손경수(92), 성민규(01), 손호영(13), 안다훈(13), 김경묵(19)

3. 역대 감독

대수 이름 재임 기간 선수 경력
초대 강태환 1987년 ~ 1990년 대구상고 - 한전
2대 박종회 1991년 ~ 1999년 중앙고 - 성균관대
3대 김형석 2000년 ~ 2002년 신일고 - 중앙대 - OB
4대 정병규 2002년 ~ 2011년 충암고 - 인하대
5대 장채근 2011년 9월 ~ 현재 광주상고 - 성균관대 - 해태


[1] 밑의 지도는 홈구장이 위치한 화성시이며 선수들은 세종캠퍼스에 있는 산업스포츠학과 소속이다.[2] 실업야구 농협 팀에서 선수 생활 후 제주국제대 감독, U-23, 유니버시아드 대표팀 수석 코치, 고양 위너스 감독 역임.[3] 대통령배+전국대학야구선수권+협회장배/주말리그 왕중왕전+춘계리그+추계/하계리그+전국종합야구선수권[4] 4강 진출의 경우는 최근의 기록만 남아 있다.[5] 심판판정에 항의하면서 선수단을 철수시켜 몰수패[6] 춘계[7] 춘계[8] 춘계[9] 추계[10] 추계[11] 선수들이 야구부를 이탈하고 관두는 선수들이 많았다고 한다. 손호영도 1학년 때 자퇴했다.[12] 초-중-고 야구부 사정상 포수 전문 코치까지 두기에는 어려워 포수 기본기를 익히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장채근 감독은 포수 지도를 해달라는 고교 야구부의 요청을 많이 받는다고 말했다.[13] 쌍방울 레이더스 창단 멤버 출신으로 순천효천고등학교 야구부에서 오랜 기간 감독과 야구부장을 역임하였다.[14] 2020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15] 현 군포시리틀야구단 감독[16] 대불대에서 편입[17] 제주산업정보대에서 편입[A] 송호대에서 편입[19] 제주산업정보대에서 편입[A] [21] 동강대에서 편입[B] 제주관광대에서 편입[23] 강릉영동대에서 편입[B] 제주관광대에서 편입[B] [26] 2025년 얼리 드래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