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13:27:12

김영윤


金令尹 / 金令胤
?[1] ~ 684년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1. 개요

신라의 무장. 김흠순의 손자이자 반굴의 아들로 김유신의 조카 손자이자, 외손자이자 김서현만명부인의 증손자

2. 생애

경주시 사량부 출신. 금관가야계 명문가 출신에 임전무퇴의 상징이 된 아버지의 명성 때문에 자신도 평소부터 명예절개를 자부했다고 한다.

신문왕 때인 684년, 금마저(익산)에서 일어난, 일종의 신라 내 고구려 유민 자치 지역이었던 보덕국(報德國)[2]의 고구려 유민들의 반란을 토벌하는 데 참전했는데, 이 싸움에서 신문왕이 고구려 유민들을 모아 만든 부대인 황금 서당의 보기감으로 참전했고 그가 출진할 때 사람들에게 "내가 이번의 출정으로서 가족이나 친구들로 하여금 오명을 듣지 않게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덕국의 고구려 유민들의 저항이 매우 완강했고 진영도 단단해서 다른 장수들은 궁지에 몰린 적은 쫓는 법이 아니며, 고구려 유민들이 지치기를 기다리고 일단 물러날 것을 합의했으나 김영윤은 "장수는 전투에 임해 용맹해야 하고 진격만이 있을 뿐 후퇴가 있을 수 없다"고 말하며 다른 부대가 다 철수할 때 자기 휘하의 부대만 이끌고 고구려 유민들과 싸우다가 끝내 전사했다. 아버지 반굴의 죽음, 외삼촌인(당숙이기도 하다) 김원술이 직접적인 패전 책임이 없었는데도 그저 살아 돌아왔다는 이유만으로 가문에서 쫒겨난 것을 생각해보면 그에게는 전사 외의 다른 선택지는 없었다.

그의 전사 소식을 들은 신문왕은 "역시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며 반굴과 김영윤의 의열을 기렸다고 한다.

3. 둘러보기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1] 7세기 중반 추정[2] 신라가 세운 괴뢰 국가이나, 옛 고구려의 관직 체계를 사용하는 등 어느 정도 자치는 이루어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