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 성우 | ||||
특기 (1948) | 남 | |||||
여 | ||||||
제1기 (1954) | 남 | 김수일, | ||||
여 | 고은정, 김소원, | |||||
1955 | 남 | |||||
여 | ||||||
제2기 (1956) | 남 | |||||
여 | ||||||
1957 | 남 | |||||
여 | ||||||
제3기 (1958) | 남 | |||||
여 | ||||||
1960 | 남 | |||||
여 | ||||||
제4기 (1961) | 남 | |||||
여 | ||||||
제5기 (1961) | 남 | |||||
제6기 (1962) | 여 | |||||
1963 | 남 | |||||
여 | ||||||
제7기 (1964) | 남 | 김종성, | ||||
여 | ||||||
제8기 (1965) | 남 | |||||
여 | 정민희 | |||||
1966 | 남 | |||||
여 | 박영남, | |||||
제9기 (1967) | 남 | |||||
여 | 김순환, | |||||
제10기 (1968) | 남 | |||||
여 | ||||||
제11기 (1969) | 남 | |||||
여 | ||||||
제12기 (1970) | 남 | 김규식, 김세한, | ||||
여 | 김정미, 손정아 | |||||
제13기 (1971) | 남 | 김도현, | ||||
여 | 강연숙, | |||||
제14기 (1972) | 남 | |||||
여 | ||||||
1973 | 남 | |||||
여 | 김민, 박은숙, | |||||
1975 | 남 | |||||
여 | ||||||
1976 | 남 | 설영범, | ||||
여 | ||||||
제15기 (1977) | 남 | |||||
여 | 강미형, 고선형, | |||||
1978 | 남 | |||||
여 | ||||||
1979 | 남 | |||||
여 | 강희선, | |||||
제16기 (1980) | 남 |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 ||||
여 | 서미옥, 이연희, | |||||
제17기 (1982) | 남 | |||||
여 | ||||||
제18기 (1983) | 남 | 강구한, | ||||
여 | ||||||
제19기 (1984) | 남 | 김태웅, | ||||
여 | ||||||
제20기 (1986) | 남 | 박규웅, | ||||
여 | ||||||
제21기 (1988) | 남 | 강수진, | ||||
여 | 문일옥, 송덕희, | |||||
제22기 (1990) | 남 | |||||
여 | 김순영, | |||||
제23기 (1992) | 남 | 구자형, | ||||
여 |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 |||||
제24기 (1994) | 남 |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 ||||
여 | 김수진, 김진주, | |||||
제25기 (1995) | 남 | |||||
여 |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 |||||
제26기 (1997) | 남 |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 ||||
여 |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 |||||
제27기 (1999) | 남 |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 ||||
여 |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 |||||
제28기 (2000) | 남 |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 ||||
여 | ||||||
제29기 (2002) | 남 | 박찬희, 신찬혁, 유호한, 윤동기, 이재웅, 홍진욱 | ||||
여 |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 |||||
제30기 (2003) | 남 |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 ||||
여 |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 |||||
제31기 (2005) | 남 |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 ||||
여 | 박지윤, | |||||
제32기 (2006) | 남 | |||||
여 |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 |||||
제33기 (2008) | 남 |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 ||||
여 |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 |||||
제34기 (2009) | 남 |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 ||||
여 |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 |||||
제35기 (2010) | 남 |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 ||||
여 |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 |||||
제36기 (2011) | 남 |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 ||||
여 |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 |||||
제37기 (2012) | 남 |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 ||||
여 |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 |||||
제38기 (2013) | 남 |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 ||||
여 |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 |||||
제39기 (2014) | 남 |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 ||||
여 |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 |||||
제40기 (2015) | 남 |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 ||||
여 |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 |||||
제41기 (2016) | 남 |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 ||||
여 |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 |||||
제42기 (2017) | 남 |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 ||||
여 |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 |||||
제43기 (2018) | 남 |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 ||||
여 |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 |||||
제44기 (2019) | 남 |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 ||||
여 |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 |||||
제45기 (2020) | 남 |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 ||||
여 |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 |||||
제46기 (2021) | 남 |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 ||||
여 |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 |||||
제47기 (2022) | 남 |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 ||||
여 |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 |||||
제48기 (2023) | 남 |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 ||||
여 |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 |||||
제49기 (2024) | 남 |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 ||||
여 |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아랫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가운뎃줄로 한다. | }}}}}}}}} |
<colcolor=#fff> KBS 성우극회 18기 성우 | |
강구한 Kang Koo-han | |
<colbgcolor=#000000> 출생 | 1958년[1] 12월 31일 (65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배우자 권현수, 슬하 2녀 |
소속 | KBS 성우극회 18기 (프리랜서) |
활동 시기 | 전속: 1983년 ~ 1988년 프리랜서: 1988년 ~ 현재 |
취미 | 바둑, 독서, 낚시 |
[clearfix]
1. 개요
젊은 시절 |
2. 활동
더빙의 신에서 후배 성우들이 성우의 길을 걷게 된 계기를 묻자, 지금은 사라진 TBC에서 개최한 전국 성대모사 대회에 나가고 싶다던 대학동기의 부탁을 받고 스토리를 써준 적이 있는데 그 친구를 따라 방송국에 접수를 하러 갔다가 라디오에서 KBS 성우공채 광고를 듣고 응시하게 되었고, 대회에선 대상을 수상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후배 성우 강수진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강수진과 빛의덕후단의 하루만 네가 되고 싶어 오디오 웹툰 명품조연 특집에 출연하여 다시 한 번 언급했다.3. 연기
사악하면서도 지적인 로우톤이 매우 인상적인 베테랑 성우다. 각종 악역(☆)[2]을 맡았고 대표적으로 프리즌 브레이크에서 교도관 브래드 밸릭을 연기해서 절륜한 악역 연기를 펼쳤으며,[3] 은하철도 999 비디오판에서는 기계백작을 열연해서, 일본판만큼 사악한 연기를 보여줬다. 이외에도 교활하고 지능적인 악역이나 매국노 같은 배신자 속성의 악역들을 열연하기도 했다.애니메이션 뿐 아니라 우주특공대 바이오맨의 닥터맨, 지구특공대 가글파이브의 데스마르크 대원수, 파워레인저 엔진포스의 힐메키데스,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의 암흑종 데보스 등 특촬물에서 최종 보스를 비롯한 여러 악역들을 맡았고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에서 희대의 악역인 양광수를 맡으면서 팬들을 크게 놀라게 했다.
그리고 악역이나 악인이 아니라도 대척점에서 주인공을 가로막는 캐릭터도 꽤 많다. 예를 들어 《원피스》 아론, 센고쿠 해군 원수, 《몬스터》 룽게 경감, 《헬싱》 알렉산더 안데르센 그리고 《지구용사 선가드》 허탕만 형사 등이다.
그중에서도《몬스터》가 투니버스에 방영했을 때 맡은 룽게 경감은 원작 초월이라는 칭송까지 나왔다. 국내 더빙을 들은 시청자들 사이에서 '룽게 경감은 한국인이냐' 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 말이 필요 없다. 직접 보자. 팟캐스트인 더빙의 신 에서 다시 한번 선보인 룽게 경감 연기. 더욱 중후하고 분위기 있는 목소리가 되었다. 본인은 목소리가 조금 가라앉아서 제대로 못했다고 하는데 정작 듣는 사람들은 감탄 연속. 목소리가 가라앉아서인지 더욱 중후해졌다. 한 댓글의 평가에 따르면 오리지널 버전은 베테랑 형사의 현장 시뮬레이션, 더빙의 신 버전은 범인을 반드시 잡겠다는 의지를 가진 냉혈한이라고.
그 외에 길티기어 시리즈의 슬레이어 같은 간지폭풍 미중년 연기에도 능하다. 드물게 미청년 역을 맡은 적이 있는데, 어른 기철이, 무로이 카구, 라스칼 선생님, 무스 등이 그 예.[4] 그리고 2013년에 한자와 나오키에서 오랜만에 청년 역을 다시 맡았다.
반면, 검정 고무신의 할아버지같은 노인역이나 부드럽고 자상한 배역도 잘 소화해 낸다. 란마 1/2에 등장한 주진창 역을 보면 개그 캐릭터 및 SD건담에서 야잔 게이블을 맡으면서 산소부족증 같이 골 때리는 모습을 멋지게 소화해내는 그야말로 다재다능한 성우다.
일례로 2023년 에너지 드링크 레드불(TV 광고) "롱보드를 타는 견공"편을 보면 그의 코믹 연기의 진정성을 볼 수 있다.
정말 2차 대전 당시 독일군 장교나 군대 장교 이미지가 딱 어울리는 목소리를 가진 성우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영화 《쉰들러 리스트》의 아몬 괴트 역은 명연기 중 하나. 《헬싱》 인터뷰에서도 본인의 이름 석 자를 널리 알렸다는 작품이라고 소개하며 언급했다.
여러 게임 더빙에도 참여한 전적이 있다. 대표적으로 헤일로 시리즈의 제이콥 키예스와 하프라이프 2의 월리스 브린. 이중 하프라이프 1의 장비를 정지합니다가 강구한 성우가 더빙했다고 아는 사람이 가끔 있는데, 절대 아니다.[5] 그냥 목소리가 하도 비슷해서 착각한듯. 하프 라이프 시리즈에 본격적으로 참여한 것은 하프 라이프 2의 브린 박사부터이다. 게임 오프닝의 17지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를 시작으로 게임이 끝날 때까지 잊을 만하면 들을 수 있다.
외화에서는 선배 이정구와 함께 게리 시나이즈를 전담하고 있다. 다만, 포레스트 검프에서는 동기인 최병상이 맡았다. 직속 동갑 선배인 김준과 듀오로 나오는 작품이 많다. 그리고 상종못할 핵폐기물급 악역도 많이 맡는다.
더빙의 신에서 밝히기를 지금이야 동기들 중에서 제일 잘 나가지만, 전속 시절 5년간에는 함성 지르는 정도의 아주 자잘한 배역외에는 일거리가 없었고, 그나마 들어온 대사가 있는 역할이 편지 왔어요!를 외치는 집배원 역할이었다고 한다. 본인은 주인공역에 욕심이 있어 성우로서의 길에 들어섰는데, 동기들 목소리가 무척 잘생긴 왕자님에 걸맞다는 느낌이 들어 도리어 자기가 묻혀버린 것 같았다고 했다. 그래서 후배들에게 자신을 쌈마이 성우라고 소개했다.
이후 성우극회실 옆 화장실에서 자주 리딩 연습을 하던 선배님의 모습이 생각나 틈만 나면 화장실 한칸으로 달려가 신문 사설 읽기 등으로 자신만의 캐릭터 연기를 위해 피나는 노력과 연습을 했다고 한다. 또한 주인공 배역보다는 인상에 남는 다양한 조연 캐릭터로 밀고 나가는게 수많은 성우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나름의 연구도 했는데, 다행히 이게 결실을 맺어 1980년대 중순 대영비디오 애니메이션에서 배역 가리지 않고 다양한 연기를 하면서 커리어가 쌓여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이 시절 대영비디오에서 낸 비디오판에서 맡은 배역 가운데 악역이 많았다.
그러던 중, 1990년대 중반에 쉰들러 리스트의 한국어 더빙의 오디션 공지가 극회실 게시판에 걸린 것을 보고 아몬 괴트 역이 눈에 들어와 꼭 배역을 따내야겠다 마음먹고 철저히 캐릭터를 연구해 극적으로 캐스팅이 되었다고 한다. 강구한 성우의 뒷이야기에 따르면 이 영화를 만든 감독인 스티븐 스필버그가 더빙판 배역 캐스팅에 참여한터라 "아몬 괴트 역은 Mr.Kang으로 해주세요."란 지명을 받아서 지금도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6] 이 아몬 괴트 역을 계기로 침착하면서도 지적인 악역을 맡아달라는 요청이 많이 들어와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단, 악역 전문 성우란 수식어가 고마우면서도 다른 배역도 자신이 있는데 캐스팅이 자주는 안 되어 살짝 아쉬운 듯. 성우 팬들에게 연기력은 인정받았지만 배역에 있어서 성우 나름대로의 애로사항은 있는 듯하다. 이에 대한 반작용때문인지 검정 고무신의 기영이네 할아버지와 흑신 도사, 루팡 3세의 알마로스, 몬스터의 하인리히 룽게, 지구용사 선가드의 허탕만 형사 같은 비악역 캐릭터들에 많은 애착이 간다고 언급했다.[7] 그래서인지 실제 후배인 양석정과 더불어서 악당 전문이라 말하는 것은 싫어한다. 오죽하면 강수진의 니밥내밥에서 하루만 네가 되고 싶어 명품 조연 특집에 출연했을 때 다음 생에 태어나면 선한 역을 좀 하고 싶다며 맡은 배역들이 악역이라서 다 죽는다고 한탄할 정도. 최근 들어 더빙을 맡은 작품들에서 목소리가 이전보다 더욱 무게감이 더해지고 있다.
여담으로 취미는 바둑, 독서, 낚시인데 성우로서 성공하기 위해 기다리는 자세를 배우다보니 낚시에 빠졌고, 전략적인 준비를 고민하다보니 바둑을 배우게 되었다고 하고, 역대 등장인물 배역들(특히 장,노년층)을 맡을 때 하게체나 자네란 말을 주로 많이 사용한다.
연극 배우도 해서 그런지 드라마 배우로 MBC에서 방영한 《제4공화국》에 취조관 역할로 출연한 적이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출연한 것은 9화인데 정작 엔딩 때 이름이 나오지 않았다가, 다음 회차인 10화에 기재되었다.
2021년에는 후배 성우 홍시호가 기획한 화산귀환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 종남파의 종리곡 역으로 참여했으며 그 이후 또 다른 후배 성우 강수진이 기획한 네이버 웹툰 하루만 네가 되고 싶어의 오디오 코믹스에서 테시온 벨리아르 역을 맡게 되었다.
2020년대 들어 나이가 노령인 캐릭터를 맡아 목소리도 꽤 나이가 들어보인다. 하긴 나이도 이제 예순을 넘겼으니. 피노키오의 제페토나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후유츠키 코조 그리고 스파이 패밀리의 도노반 데스몬드, 원신의 풀치넬라등이 그런 배역들이다. 하지만, 마징가Z의 브로켄 백작이나 오버워치2의 라마트라 목소리를 들어보면 여전히 옛날 톤 목소리 연기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반요 야샤히메의 키린마루의 경우 초반에는 캐릭터와 성우 본인의 연령대의 차이로 인해 많은 시청자들이 미스캐스팅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의외로 중후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목소리로 연기하여 이러한 우려를 잠재웠다.
4. 여담
- 포세이돈이 모티브인 캐릭터를 상당히 많이 맡은 것으로도 알려져있다.
5. 주요 출연작
자세한 내용은 강구한/출연작 문서 참고하십시오.6. 수상 내역
- 1986년 KBS 방송의 날 우수연기상 수상
- 1988년 KBS 라디오 연기대상 신인상 수상
- 2005년 KBS 성우 연기대상 우수연기상 수상
7. 관련 문서
[1] 그동안 1956년, 1957년 12월 11일 생으로 알려져왔는데 강구한 본인이 1958년 12월 31일 생이라고 밝혔다. 2018년 12월 31일에 환갑을 맞이했다.[2] 애니메이션 쪽으로는 비슷하게 악역전문 성우인 나카타 조지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다.[3] 여담으로 괴도 조커에서는 제이슨 소장(원판은 긴가 반죠)을 맡았는데, 한 편만 나왔는데도 원판보다 후덜덜한 싱크로율을 보여 많은 시청자에게 충격을 주었다.[4] 다만 무로이 카구나 라스칼 선생님은 타 방송사 성우들 연기가 더 유명해서 그냥 묻혔다.[5] 하프 라이프 1은 배급사 직원 3명이 더빙한 것이라는 카더라가 있다. 보이스웨어를 썼다는 의혹도 있으나 보이스웨어로는 그 오묘한 비명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애초에 강구한 성우였다면 항목이 개설될 일이 없었다.[6] 직접 방한한 것은 아니고, 테이프 녹음 방식의 오디션.[7] 강구한 성우 曰 "이런 역할에 나를 뽑아준 PD들은 정말로 대단한 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