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용품 🧺 | |||
<keepall>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6c65,#006c65><colcolor=#fff,#fff> 🍳 주방용품 | 조리기구 | 부엌칼 · 주방가위 · 집게 · 국자 · 프라이팬 · 냄비 · 냄비받침 · 주걱 · 도마 · 가위 |
주방 청소용품 | 수세미 · 행주 · 식기건조대 · 주방세제 (관련문서 : 설거지) | ||
저장용품 | 컵 · 접시 · 그릇 · 반찬통 · 수저 · 호일 · 비닐봉투 · 지퍼백 · 주방 랩 · 수저통 | ||
식사기구 | 젓가락 · 숟가락 · 포크 | ||
🛁 위생용품 | 개인위생 용품 | 휴지 · 물티슈 · (양치질 - 칫솔 · 치약) · 이쑤시개 · 비누 · 샴푸 · 바디워시 · 클렌징폼 · 린스 · (타올 - 샤워타월 · 이태리 타올) · 발밀이 · (화장품 - 스킨 · 로션 · 립밤) · 손톱깎이 · 족집게 · 빗 | |
성 위생 용품 | 생리대 · 탐폰 · 생리컵 · 윤활제 · 젤 | ||
🧹 청소용품 | 세탁/건조용품 | 세제 · 락스 · 섬유유연제 · 빨래판 · 빨래망 · 옷걸이 · 빨래집게 · 빨래건조대 | |
청소/폐기 용품 | 걸레 · 탈취제 · 분무기 · 휴지통 · 빗자루 · 뚫어뻥 · 쓰레받기 | ||
📱 전자제품 | 정보전달 제품 | 핸드폰(또는 스마트폰) · 컴퓨터(모니터 · 키보드 · 마우스 · 마우스패드 · 스피커 · 인터넷 · USB 드라이브 · USB 허브) · 오디오 · 전자시계 · 셋톱박스 | |
생활 전자제품 | 세탁기 · (냉/난방 제품 - 에어컨 · 선풍기 · 난로) · 고데기 · 전기밥솥 · 헤어드라이기 · 청소기 · 전등 · 오븐 · 토스터 · 전자레인지 · 냉장고 · 건조기 | ||
회선/연결 제품 | 멀티탭 · 콘센트 · 충전기 · 보조 배터리 | ||
📗 문구 | 메모 | 책 · 공책 · 수첩 · 포스트잇 · 메모지 · 종이 | |
필기도구 | 샤프 · 볼펜 · 연필 · 지우개 · 마커 · 수정테이프 · (가상 저장 공간에 필기 - 키보드 · 마우스) | ||
기타 | 도장 · 인주 · 테이프 · 가위 · 자 · 연필깎이 · 연필꽂이 |
1. Sharp
- (칼날 등이) 날카로운, 뾰족한, 예리한
- (특히 변화가) 급격한
- 선명한, 뚜렷한
출처: 네이버 어학사전.
1.1. 흑연 필기구 샤프펜슬
재플리시이자 콩글리시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펜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펜슬#|]][[샤프펜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2. NBA의 농구선수 셰이든 샤프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소속의 농구선수1.3. 일본의 전자기기 업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기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기업)#|]][[샤프(기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4. 음악 부호 ♯
음악에서 사용하는 기호로, 영어로는 sharp, 한국어로는 올림표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샵이라고도 읽는데, 국립국어원에 따른 외국어 표기로는 '샤프'이다. ♭(플랫)의 반대로 악보에 붙으면 장조가 개당 4개 올라가고 음표에 붙으면 개당 반음이 올라가는 기호이다. 1개일 경우 반음 2개의 경우엔 온음이 올라간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표(음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조표(음악)#샤프|샤프]][[조표(음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5. 미군의 성희롱/성폭행 예방/대응 프로그램 SHARP
Sexual Harassment/Assault Response and Prevention1.6.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휴고 사흐베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휴고 사흐베이#|]][[휴고 사흐베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7. 명일방주의 오퍼레이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명일방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명일방주)#|]][[샤프(명일방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8. 대한민국의 가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RP#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RP#|]][[S#ARP#|]]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Sharpe
2.1. 샤프 지수
금융상품의 질을 평가하는 척도. 보통 평균수익률(return)-무위험이자율(risk-free rate)[1]을 높이로 하고 수익률의 표준편차(risk)를 밑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그리면, 그 삼각형의 기울기가 샤프 지수와 동일하다.샤프 지수는 리스크의 크기와는 별 상관이 없다. 리스크가 커도 수익률이 크면, 샤프 지수는 리스크가 작고 수익률도 작은 경우과 비슷하게 나온다.[2]
하지만 리스크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 평균 수익률을 수익률의 표준편차로 나누므로, 수익률이 해마다 들쑥날쑥 할수록 수치가 낮아지고, 반대로 매년 수익률이 비슷비슷하면 수치가 높아진다. 시장은 항상 변화하므로 셈플 기간이 길면 길수록 수익률의 표준 편차가 커질 수밖에 없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프 비율이 높게 나온다면 제법 리스크가 낮은 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
2.2. 버나드 콘웰의 작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샤프 시리즈#|]][[샤프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국채 이자율보다 수익이 높아야 제대로 된 금융 상품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샤프 지수의 정의는 무위험이자율이지만 일단 (미국)국채는 노 리스크라고 보므로 국채 이자율로 봐도 무관하다. 국채 이자를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는 모라토리엄 선언, 즉 국가 부도 상황밖에 없는데, 미국이 부도가 날 정도면 이미 금융 상품이고 뭐고 없는 상황이기 때문. 평균 수익률에서 리스크 없이 얻을 수 있는 수익률(=미 국채 이자율)을 차감한 것이 진정한 수익률이라고 보는 것이다.[2] 고지마 히로유키, '통계학 입문', 박주영 역, 지상사, 2009, p.8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