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21:32:45

인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인신공양 풍습 人柱에 대한 내용은 히토바시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인주.png

1. 개요2. 역사3. 제조법

1. 개요

印朱

도장을 찍기 위해 인면(印面)에 묻히는 붉은색 물감 재료. 인육(印肉), 주육(朱肉), 인니(印泥), 도장밥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슈니쿠(朱肉)라고 부른다.

모든 서류에 도장을 찍던 시절에는 사무실, 학교, 관공서, 군대 등에서 필수품이었고 기업에 입사하면 개인에게 지급되는 기본 문구에 반드시 들어 있었지만 21세기 들어서는 전자서명이나 서명으로 대체되어 거의 쓰이지 않는 물건이 되어서 본 적이 없는 사람도 많다. 다만 사무실이라면 반드시 있는 물건이기도 한데 외부에 제출하는 문서에는 직인을 찍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기관 내부결재문서 중에는 아직도 담당자들의 도장을 직접 찍어야 하는 것들이 꽤 있는지라[1] 공무원들도 필수품으로 하나씩은 가지고 있다. 특히 주민센터라면 임시신분증가족관계증명서에는 지금도 직인을 수동으로 직접 찍는 경우도 많은 데다 인감증명서의 존재 때문에 더더욱 필수다.[2] 제일 많이 보이는 사무실은 공인중개사 사무실. 이 쪽은 일반 인주 대신 기본이 매표 모루도 인주고 문구류 쪽에 관심이 있다 하는 사람은 바로 사치하타행.

한국에서 보이는 것은 주로 매표인주, 고급형으론 사치하타[3]가 있다. 매표인주 외에도 화신인주 등이 있지만 사실상 독점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매표인주 이외의 제품은 찾기 힘들다. 다른 회사들 제품은 없어도 매표인주는 어느 문구점에 가든지 반드시 배치해 둔다.

2. 역사

춘추, , 시기에는 봉니(封泥)가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간독을 썼기 때문에 이것을 끈으로 묶어 매듭을 짓고 진흙을 이겨 발라 밀봉한 후 위에 도장을 찍었는데 진흙 덩어리를 봉니라고 불렀다. 이 방법은 위진남북조시대까지 사용되었다.

·에 이르러 간독 대신 비단종이가 쓰이면서 봉니 대신 물, 봉밀, 주사 따위를 섞어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물이 마른 후 주사가 떨어져 나오기 때문에 명나라에 와서는 기름을 넣어 제조했다.

3. 제조법

전통적 제조법은 황화수은이 주성분인 주사와 알칼리 용액의 반응물인 은주(銀朱)에 피마자 기름, 목랍, 송진을 녹여 넣고 쑥잎이나 한지를 첨가해 반죽해 굳힌다.

기름이 들어가기 때문에 찍고 나면 종이에 기름기가 살짝 퍼진다. 대신 물이 묻어도 지워지지 않고 도장에 고르게 묻기 때문에 화합물 염료 잉크를 스폰지에 묻힌 속칭 '스탬프 인주'[4]보다 도장이 깨끗하게 잘 찍힌다. 쓰다보면 인주 찌꺼기가 도장면의 파인 부분에 축적돼 글자가 번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위 사진에서 청소솔이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장 큰 단점은 한 번 톡 묻혀서는 도장이 절대 예쁘게 안 찍힌다는 것이;다.[5]

도장을 많이 사용하는 일본에서는 스탬프패드형 인주가 대세라 한국식의 인주를 오히려 낮설어 한다.# 나고야시에 소재한 사치하타(シヤチハタ)라는 회사에서 만드는 인주를 최고로 친다. 한두 번 톡 묻혀도 도장이 예쁘고 깔끔하게 찍히면서도 인주가 잘 안 번지기 때문이다. 선거용 도장이 엄청 잘 찍히는데 그걸 만드는 회사가 바로 이곳이다.[6][7]

[1] 오만가지 대장에는 도장을 직접 찍어야 한다.[2] 인감을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때는 인감을 대장에 직접 찍어야 한다.[3] 한국에서는 사치하타로 주로 불리지만 원어는 シヤチハタ(Shachihata), 즉 '시야(샤)치하타'이다. 특이하게 영어 표기는 Shachihata(샤치하타)임에도 카타카나로 표기할 때 ヤ가 요음이 아닌데 이쪽이 모양이 이쁘다는 이유에서라고.[4] 스탬프 패드를 말한다. 원본대조필, 결재란 같은 온갖 스탬프를 찍는 데 쓰는 그것이다. 이 중 빨간색 스탬프패드를 인주로도 많이 쓴다.[5] 스탬프패드를 인주 대용으로 쓰는 또 다른 이유이자 사치하타 인주가 도장을 많이 찍는 업계(특히 공인중개사)에서 사랑받는 이유다. 단, 은행이나 관공서에선 도장을 찍을 일이 많아도 너무 많이 찍어서 사치하타 인주 같은 비싼 물건을 쓰면 돈 감당 못한다. 매표화학 박스에 공기관, 정부조달도 한다고 적혔다. 가끔 가다 담금주 병을 축소한 듯한 인주통이 보이는데 너무 많이 찍어서 보충용 주육으로 작은 것을 넣으면 금세 떨어지니 한번에 많이 충전하려는 의도.[6] 단, 대선, 총선, 지선 같은 대한민국이 자체 주관하는 선거에선 안 쓴다.[7] 여기 인주는 염료 대신 안료를 넣어 제작한다. 재료부터가 고급이라 비싸다. 중형 하나에 7~8천 원쯤 하는데 한국산 대형 한두 개쯤 살 돈이다. 주로 음식, 부품 포장지에 찍는 용도로 사용하는 넘버링용은 값이 중형 하나에 3~4만으로 뛴다. 잉크도 공장에서 쓰는 만큼 많이 들어가는데 큼직한 초대형 잉크통이 11만 원이나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