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21:00:22

태국 바트

THB에서 넘어옴

||<-3><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9c3><#9c3>동남아시아의 통화
파일:라오스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
라오스 킵캄보디아 리엘베트남 동
파일:태국 국기.svg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태국 바트필리핀 페소인도네시아 루피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말레이시아 링깃싱가포르 달러브루나이 달러
파일:미얀마 국기.svg파일:연방준비제도 휘장.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미얀마 짯미국 달러, 동티모르 센타부

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99ff><colcolor=#fff> 아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위안, 파일:대만 국기.svg 신대만 달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달러,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바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페소,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루피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링깃,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달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달러,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타카(#),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투그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루피(#),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루피(#),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타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텡게(# / ※)
중동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디나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디나르,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디나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신 셰켈,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리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리얄(#)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로, 파일:영국 국기.svg 파운드 스털링,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프랑,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크로나,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크로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로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코루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즈워티,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포린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루블(사실상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리라(#)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달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달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페소,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헤알,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페소(#)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운드(#),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실링(#)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달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달러,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달러(# / ※)
범례: 제한적으로 환전 가능 (#), 외화→원화로만 환전 가능 (※) }}}}}}}}}

태국 바트
บาทไทย
파일:฿.jpg
ISO 4217 코드 THB
중앙은행 태국은행
사용국
[[태국|]][[틀:국기|]][[틀:국기|]]
기호 ฿
동전 25, 50사탕, ฿1, ฿2, ฿5, ฿10
지폐 ฿20, ฿50, ฿100, ฿500, ฿1,000
인쇄처 태국 왕립 조폐국

1. 개요2. 환전3. 환율4. 10진법 이전 바트화5. 근대화 바트화
5.1. 1차5.2. 2차5.3. 3차5.4. 4차5.5. 5차 (일본 발행)5.6. 6~7차5.7. 8차 (미국 발행, 1946)5.8. 9차 (1948 ~ 1953)5.9. 10차 (1968)5.10. 11차 (1969)5.11. 12, 13차 (1978)5.12. 14, 15차 (1994, 2005 ~ 2011)5.13. 16차 (2012 ~ 2018)5.14. 17차 (2018 ~ 현재)5.15. 기념권5.16. 동전
6. 환율 추이 관련
6.1. 태국 바트의 아시아 금융위기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600px-BankOfThai.jpg

태국의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THB. 외래어 표기법에 맞춰 '밧'이라고도 부르며, 보조 단위로는 싸땅(สตางค์)[1]이 있다. 다만 이 보조단위는 1/2(50싸땅), 1/4단위(25싸땅)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25싸땅을 1쌀릉(สลึง)이라고 부르는 게 기본. 기호는 ฿.[2] "밧"이라는 단어의 기원은 무게단위. 옛날 시암 지방에서는 은전을 통화로 써왔는데 그 기준이 되는 한 푼이 대략 15g이었던 것이다. (정확히 1밧은 15.244g , 1쌀릉은 3.811g 이다. 비교되는 한국의 한 돈은 3.75g)

바트화 자체의 역사는 거의 근현대 태국 역사와 동일시 될 정도로 오래되었다. 근대화 동전은 라마 3세에 의해 1835년 처음 등장했고, 근대화 지폐는 정부에 의해 1851년에 등장했다. 그러나 이는 거의 어음 수준이었고 실질적인 현대형 지폐는 1902년에 처음 등장해 중앙은행에서도 1902년 발행분을 최초로 인정하고 있다. 이후 본격적으로 현대 통화 체계를 구축한 중앙은행은 1942년 4월 28일에 등장했다.

인플레이션은 약 4.1%인데 최대 10%대까지 오를 정도로 대외 쇼크에 약하다. 그럼에도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 달러 다음으로 보통 태국 바트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강력한 통화이다.

2. 환전

바트화 살 때의 수수료율이 높은 곳은 NH농협은행이고, 낮은 은행이 우리은행이다. 대략 평균 수수료는 4~5% 내외이다.

국내에서 환전을 할려면 우리은행에서 하는 것이 제일 좋다. 사설환전소도 나쁘지 않지만 소액권 시재가 적고 구권의 보유량이 의외로 많을 것이니 유의. 물론 태국 현지에서도 구권은 사용이 제약이 없다고 하지만. 만약 은행에서 바트화를 파는 경우는 현행권 및 16차 구권은 받아주지만, 14~15차 구권은 지점에 따라 받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그 이하의 시리즈는 은행에서 유선으로 문의해야 한다.

외화 선불카드의 경우, KEB하나은행의 글로벌페이 스마트카드가 바트를 지원한다.[3] 2020년 11월 기준 1바트당 36~37원 선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표준환율은 대략 1천원에 25바트, 1달러에 30바트, 1유로에 35바트, 1파운드에 40바트 정도한다.

아래쪽은 태국 현지에서 환전이 가능한 통화 목록이며 환전소/은행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기준은 2022년 2월 11일 기준이다.

굵은 글씨는 주로 많이 환전되는 외국 지폐이다.

슈퍼리치 환전소 시세
P&P 파라곤 환전소 환율 시세
  • 2022년 11월 9일 기준 20년 흐름 (천원당 기준)
  • 최고치: 32.2(2014년 5월, 6월, 7월) / 최저치: 25.1(2019년 8월)

3. 환율

4. 10진법 이전 바트화

1897년 이전의 바트화 체계로, 파운드 스털링같이 복잡한 단위들이 있었다.
  • 1창 = 20탐릉 = 80밧
  • 1밧 = 2마용 = 4살룽 = 8페앙 = 16시크 = 32시오 = 32파이 = 64앗 = 128솔롯
  • 1앗 = 100비아

5. 근대화 바트화

놀랍게도 1942년 중앙은행 등장 이후 엄청난 개정과정과 숱한 우여곡절을 견뎌왔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 번도 디노미네이션을 치르지 않았다. 각 시리즈별로는 호환이 가능하며, 전 통화가 사용 가능한 법정통화로 남아있다. 다만 시중에서는 위폐로 의심하는 경우도 있다보니 최대 2개 시리즈 정도까지만 용인하는 분위기이고, 국내에서는 구권이면 얄짤없이 교환 거부당한다. 물론 2022년 기준으로는 16차 정도는 어느정도는 교환해주며, 15차도 가끔씩 해준다.

5.1. 1차

1902년에 발행되었는데 한쪽 면에만 인쇄한 점이 특이사항. 정확히 100년 뒤인 2002년에는 이 점을 이용해서 기념권을 발행했었다.
파일:태국 바트 1902.jpg
각 위치별로
1000바트 20바트
100바트 10바트
견양 5바트
1바트

5.2. 2차

1925년 라마 6세 때 영국에서 발행.

앞면에는 옛날식 디자인에 흔히 들어가는 끈목형 장식방사형 배경을, 뒷면에는 왕실 경작식을 공통으로 넣었다.

종류는 1, 5, 10, 20, 100, 1000바트 6종.
앞면 공통 뒷면 공통
파일:태국 1000바트 앞면 1925.jpg 파일:태국 1000바트 1925.jpg

5.3. 3차

1934년에 발행되었으며, 태국지폐 최초로 국왕의 얼굴이 들어갔는데 그 주인공은 라마 7세.

이듬해 1935년 하직하자마자 라마 8세로 교체되었다.
앞면 뒷면
파일:태국 1바트 앞면 1934.png ฿1 수판나홍 파라사뭇 체디 사원
파일:태국 5바트 1934.png ฿5 에메랄드 부처 사원
파일:태국 10바트 1934.png ฿10 매핑 강의 풍경
파일:태국 20바트 1934.png ฿20 강변 풍경

5.4. 4차

이때는 태국과 영국이 나누어서 발행했었다.

도안의 경우 아래 9차와 색깔 정도만 빼면 구성과 도안이 유사하며, 1000바트권이 유일한 차이점.
앞면 뒷면
파일:태국 1000바트 1939.jpg ฿1,000 두시다비롬 파빌리온 아난타 사만콤 궁

5.5. 5차 (일본 발행)

특이하게도 해당 시리즈의 견양권은 일본[8]에서 발행되어서인지 한자로 ''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51.jpg 50사탕 없음 방콕 왕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52.jpg ฿1 푸민 사원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53.jpg ฿5 왓 벤차마포빗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54.jpg ฿10 왓 포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55.jpg ฿20 방파인 별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56.jpg ฿100 왓 아룬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57.jpg ฿1,000 방콕 왕궁

5.6. 6~7차

해당 시리즈 역시 9차와 색깔을 제외한 구성과 도안이 일치하며, 50바트권이 유일한 차이점이다.
앞면 뒷면
파일:태국 50바트 1945.jpg ฿50 왓 벤차마포빗 아난타 사만콤 궁
  • 6차와 7차 사이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해 나라가 난리통이 돼버려 해외(인도네시아, 영국 외)에서 급히 찍어다 조달했었다. 중앙은행에서는 이를 특별발행권이라 부르고 있다.

5.7. 8차 (미국 발행, 1946)

시기상 2차 대전 직후에 발행된 긴급발행권에 가까운 성격의 시리즈.

1, 5, 10, 20, 100바트화의 5종으로 모조리 비스무리한 모양으로 등장했다.

5.8. 9차 (1948 ~ 1953)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91.jpg ฿1 왓 포 아난타 사만콤 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92.jpg ฿5 프라 빠톰 체디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93.jpg ฿10 파라칸 요새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94.jpg ฿20 방콕 왕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095.jpg ฿100 왓 아룬의 사원
  • 1953년에 라마 9세의 초상을 약간 손보았다.

5.9. 10차 (1968)

태국은행 명의로 발행한 첫 권종.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01.jpg ฿100 수판나홍

5.10. 11차 (1969)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11.jpg ฿5 아폰피목 쁘라삿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12.jpg ฿10 왓 벤차마포빗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13.jpg ฿20 아난타나가랏[9]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14.jpg ฿100 왓 프라께오 및 왕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15.jpg ฿500 프라 쁘랑 삼

5.11. 12, 13차 (1978)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31.jpg ฿10 쭐랄롱꼰 기마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32.jpg ฿20 찬타부리 기마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33.jpg ฿50 프라차티뽁라 상, 아난타 사만콤 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34.jpg ฿100 코끼리 기마상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35.jpg ฿500 쫄랄록 상, 왓 프라깨오

5.12. 14, 15차 (1994, 2005 ~ 2011)

1994년에 처음 등장해 2005년에 완성된 시리즈.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1.jpg ฿20 라마 8세, 아난다 마히돌 다리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2.jpg ฿50[10] 라마 4세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3.jpg ฿100 라마 5세와 6세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4.jpg ฿100
(신권)
라마 5세, 노예제 폐지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5.jpg ฿500 라마 1세와 2세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6.jpg ฿500
(신권)
라마 3세, 왓 랏차나다람의 로하 쁘라삿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7.jpg ฿1,000 중년기의 라마 9세 부부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58.jpg ฿1,000
(신권)
라마 9세와 빠삭 졸라시드 댐

5.13. 16차 (2012 ~ 2018)

2012년 1월 12일부터 처음 등장하여 푸미폰 국왕의 사망 이후에도 1년 이상 더 발행한 시리즈.

2016년 10월 13일 푸미폰 국왕이 별세하면서 도안 교체의 가능성이 생겼으나, 후계자인 마하 와찌랄롱꼰 국왕보다 존경을 많이 받는 관계로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진 않았으며, 오히려 2017년부턴 뒷면을 푸미폰 국왕 일생을 다룬 그림이 들어간 기념권종으로 대체하여 발행하였다.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61.jpg ฿20 어린 시절의 푸미폰 국왕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62.jpg ฿50 즉위 초기의 푸미폰 국왕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63.jpg ฿100 시골에서의 푸미폰 국왕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64.jpg ฿500 연설하는 푸미폰 국왕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65.jpg ฿1,000 즉위 60주년 기념식의 푸미폰 국왕

5.14. 17차 (2018 ~ 현재)

와찌랄롱꼰 현 국왕의 초상화가 들어간 지폐이다. 우선 20~100바트권부터 발행하였으며, 500, 1,000바트권은 7월 28일부터 유통된다.

뒷면에 역대 짜끄리 왕조 국왕들을 저액면부터 2명씩 순서대로 배치시킨 것이 특징.

2022년부터 20바트는 폴리머 재질로 바뀌어 발행된다.
뒷면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81.jpg ฿20 라마 1세 쫄랄록 대왕과 라마 2세 풋릇란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82.jpg ฿50 라마 3세 쩨사다보딘과 라마 4세 몽꿋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83.jpg ฿100 라마 5세 쭐랄롱꼰 대왕과 라마 6세 와치리웃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84.jpg ฿500 라마 7세 프라차티뽁라와 라마 8세 아난타
파일:attachment/태국 바트/baht185.jpg ฿1,000 라마 9세 푸미폰 대왕과 라마 10세 와찌랄롱꼰

5.15. 기념권

태국 바트화는 다른 통화와는 그 수준을 달리하는 엄청난 수량의 기념권이 존재한다. 게다가 그 내용이 죄다 왕실 관련된 것들이라 농담 삼아 태국은행이 돈으로 외화벌이한다고 할 수준.

단순하게 기존지폐 위에다가 첨쇄한 종류를 제외하고도 아래와 같다.
기념권 기념내용
파일:฿60(1).jpg ฿60
(1987)
푸미폰 국왕 60번째 생일[11]
파일:฿500(1).jpg ฿500
(1996)
푸미폰 국왕 즉위 50주년
파일:฿50.jpg ฿50
(2000)
푸미폰 국왕과 시리킷 왕비 결혼 50주년[12]
파일:฿100(1).jpg ฿100
(2002)
태국 지폐 발행 100주년
파일:฿100(2).jpg ฿100
(2004)
시리킷 왕비 72번째 생일
파일:฿60(2).jpg ฿60
(2006)
푸미폰 국왕 즉위 60주년
파일:฿16.jpg ฿1+5+10[13]
(2007)
푸미폰 국왕 80번째 생일
파일:฿100(3).jpg ฿100
(2010)
푸미폰 국왕과 시리킷 왕비 결혼 60주년
파일:฿100(4).jpg ฿100
(2011)
푸미폰 국왕 84번째 생일
파일:฿80.jpg ฿80
(2012)
시리킷 왕비 80번째 생일
파일:฿100(5).jpg ฿100
(2012)
마하 와찌랄롱꼰 왕자 60번째 생일
파일:฿100(6).jpg ฿100
(2015)
시린톤 공주 60번째 생일
파일:฿500(2).jpg ฿500
(2016)
시리킷 왕비 84번째 생일
파일:฿70.jpg ฿70
(2016)
푸미폰 국왕 즉위 70주년
파일:฿100(7).jpg ฿100
(2020)
마하 와치랄롱꼰 2019 왕립대관식 기념
파일:฿1000.jpg ฿1,000
(2020)
마하 와치랄롱꼰 2019 왕립대관식 기념

5.16. 동전

정확히 9종류가 있으나 실제로는 6종류만 쓰이며, 범용성까지 고려한다면 쓸만한 동전은 1, 2, 5, 10바트 네종류밖에 없다.[14]

현재 유통중인 동전은 1986년(불기 2529년)~1988년(불기 2531년)[15] 사이에 체계가 자리잡혔다. 1바트가 1986년에 나왔으며, 1~50사탕은 1987년, 5바트와 10바트는 1988년에 나왔다. 원래 2바트 동전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2005년(불기2548년)부터 등장하였다. 2008년에 국왕 초상화를 리뉴얼하면서 5, 10바트 동전을 제외한 모든 동전의 재질 변경이 있었다. 이후 2018년부터 마하 와치랄롱꼰 라마 10세 국왕의 초상화로 교체한 동전을 발행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뒷면의 도안도 그의 모노그램으로 통일했다.

10바트 바이메탈 동전의 경우 위조범들의 주요 타켓이 되어 가짜동전이 많이 돌고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무게 뿐만아니라 은행(환전소)에서 외국동전을 잘 받아주지 않으려는 이유 역시 이것이다. 실제로 말레이시아 1링깃 (약 300원) 동전도 위조가 흔해서 탈락시키고 폴리머 지폐를 발행하는 쪽으로 선회하였다. 따라서 10바트도 지폐로 돌아갈 가능성이 아주 없지만은 않다.

파일:Baht Coins.png
  • 1~10사탕[16]
    환율로 환산하면 약 0.33원(33전)(1사탕), 1.65원(5사탕), 3.3원(10사탕) 정도인 매우 작은 단위의 동전이다. 1987년부터 은행간의 차액결제와 민트세트용으로만 발행중인 동전으로 연간 발행량도 수만~수십만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 25사탕
    현재 구권과 신권이 섞여 유통중이지만 점차 신권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환율로 따지면 한국의 10원짜리와 액면가가 비슷하다. 소득 수준을 고려하면 30원이 넘어가는 동전인데도 마트,편의점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가게에서는 물건가격이 1바트 단위이기 때문에 쓰기가 매우 힘들다. 게다가 버스요금도 50사탕 단위라 그냥 애물단지에 불과하다.
  • 50사탕
    이것도 뭐 버스탈때 빼고는 쓸데가 없다. 50사탕 20개로 10바트를 계산하려고 해도 되려 불쾌한 티를 내며 안받아준다. 편의점에서나 받아줄 동전.
  • ฿1
    잔돈으로 많이 쓰인다. 50원짜리보다 약간 크기가 작으며 하루종일 관광을 하고 다니면 어느새 수북하게 쌓여있다. 태국은 팁문화가 발달해있기에 10바트 미만의 한자리 단위는 그냥 절삭해서 안받는게 큰돈들이지 않으면서 좋은 인심도 쓰고 잔돈도 안생기게하는 방법이다.
  • ฿2
    시중에서 가장 보기 어려운 동전. 현재 유통중인 동전중에 가장 늦게 도입되었다. 은색의경우 1바트짜리와 혼동될수 있기에 뒷면에 유성펜이라고 동전에 크게 '2'라고 적어놓고 쓰는 상인들도 많다. 금색은 구 25사탕, 50사탕에 쓰이던 재질과 동일하다. (물론 지금은 붉은색 구리로 바뀜) 여담으로 2바트 동전 한정으로 중국, 정확히는 중국인초조폐총공사(CBPMC)에서 만든다.
  • ฿5
    가장 대중적인 동전. 버스를 탈때나, 팁을 줄때, 간단한 물건을 살때 등등 아주아주 자주쓰게 될 동전이다. 크기는 우리나라 백원짜리하고 똑같으면서[17] 가치는 2배정도 크기에 물가가 상대적으로 싼 태국에서는 쓰기가 편리하다. 그리고 5바트와 10바트 주화 한정으로 한국조폐공사 에서 만든다.
  • ฿10
    5바트 다음으로 많이 쓰게 될 동전. 크기는 우리나라 500원과 같다. 단위 맞춰서 지불하기에도 좋은 권종이지만 5바트와 20바트짜리의 사용량이 매우 많은지라 사용량에서 콩라인을 유지하는 중이다. 태국 동전중 유일하게 점자가 있다. 앞에서 서술했듯이 5바트와 10바트 한정으로 한국조폐공사에서 만든다.

6. 환율 추이 관련

6.1. 태국 바트의 아시아 금융위기

1997년 대한민국 IMF 외환위기의 원인중 하나였던 사건이다. 조지 소로스헤지펀드들이 단체로 태국 금융시장을 공격해서 무너뜨린 여파가 대한민국까지 들이닥친 것인데, 정확히는 1997년 5월 15일에 태국이 환율을 이용해 점차 드러나는 외환적자를 채워보고자 진행한 자본통제를 발표하면서 시작점을 끊었다. (이를두고 똠얌꿍 위기라고 한다(...)) 7월 2일 태국은행은 바트화의 가치를 기본 20%이상 연속적으로 끌어내리면서 ฿25/$(1990~1996년 평균)였던 것을 ฿29/$(1997년 후반기)까지 폭락 시켰다.

더 이상 내리지 않겠다는 선언 이후에 변동환율제라는 새로운 카드를 내놓은 태국 정부에 위기감을 느낀 외자본 주주들이 긴급히 발을 빼는 바람에 붕괴, 결국 IMF에게 170억 달러를 빌려쓰게된다. 이를 갚으려 긴급히 바트화 회수에 나선 정부의 피흘리는 노력으로 바트화는 ฿55/$(1998년, 1.8¢/฿)까지 대폭락하였다. 하지만 이후 천천히 회복하면서 02년 ฿45/$(2.2¢/฿), 08년 ฿30/$(3.3¢/฿), 13년에는 ฿33/$(3¢/฿)까지 회복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다만 그 후유증으로 인근 관련국인 필리핀, 말레이시아 그리고 특히 인도네시아[18]를 완전히 초토화시키고 한국은 물론, 러시아브라질, 아르헨티나까지 영향이 퍼져나갔다. 이와는 반대로 일본, 베트남, 싱가포르, 홍콩, 대만과 같은 경우는 방어하는 데 성공하였다.[19]

7. 기타

태국이 불교국가다보니 연도표기시 불력(佛曆)을 병기하고 있다.

한국의 하나은행에서 보통으로 취급하는 외화이다. 지폐 현찰은 대부분 100바트권를 준비해두는 편. 다만 1000바트권은 의외로 15차 구권이 좀 있다.

지폐 전면에는 모두 태국 국왕 (라마 9세라마 10세)의 초상이 그려져 있어 태국법 (국왕불경죄)에 의해 지폐를 일부러 훼손하거나 지폐가 들어있는 지갑째로 밟기만 해도 경찰에게 잡혀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인도차이나에서 꽤 강한 국가인 태국의 돈이다 보니, 인도차이나에서 자주 통용되는데 어찌 보면 더 강한 대한민국 원이 이런 면에선 좀 진다. 한국의 주변국은 일본 엔, 중국 위안이 통용되는데, 이 화폐들은 세계적으로도 강력한 화폐들이다.

8. 둘러보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51931 10%, #F4F5F8 10%, #F4F5F8 15%, #2D2A4A 15%, #2D2A4A 85%, #F4F5F8 85%, #F4F5F8 90%, #A51931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A51931> 상징 통 트라이롱
역사 역사 전반
사회 사회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태국 국왕 · 태국 총리 · 짜끄리 왕조 · 2020년 태국 민주화 운동
외교 외교 전반 · 태국 여권 · ASEAN · APEC · IPEF
경제 경제 전반 · 태국 바트
국방 태국군 · 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태국
교통 수완나품 국제공항 · 돈므앙 국제공항 · 푸켓 국제공항 · 철도 환경(태국국유철도 · 방콕 도시철도) · 차오프라야 익스프레스 보트 · 클롱 샌 샙 보트 · 뚝뚝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세계유산 · 송끄란 · 쑤타이 · 태국어(태국 문자) · 태국 영화
관광 관광 전반 · 방콕 왕궁 · 왓 아룬 · 왓 포 · 왓 프라깨오
스포츠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 타이 리그 1 · 태국 풋살 국가대표팀 ·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 무에타이
지리 방콕 · 이싼
민족 태국인 · 중국계 태국인 · 말레이계 태국인
}}}}}}}}} ||}}}


[1] 외국인들 입장에선 일반적으로 사탕 혹은 사땅이라 부른다.[2] 비트코인과 비슷한데, 이는 원래 바트화 기호인데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가져다 쓴 것이다.[3] 신한 글로벌멀티카드는 바트를 지원하지 않는다.[4] 미얀마 짯은 미얀마 현지 혼란 탓에 방콕이나 관광지에서는 환전이 어느 정도 제약이 좀 있으며 국경에서의 환전도 마찬가지이며 쿠데타 이후 짯에서 바트으로 환전 수수료가 엄청 상승했다.[5] 네팔 루피부터 스리랑카 루피는 태국 경제 상황에서 따라서 환전 수수료가 최소 2% ~ 최고 30%까지 나온다.[6] 소수의 태국 현지 환전소 중에 슈퍼리치 환전소에서 2월 초순에 취급했는데 수수료가 무려 20 ~ 50%[7] 스코틀랜드 파운드는 소수의 태국 현지 환전소[20]와 은행에서만 가능하며 환전 수수료율은 영국 파운드와 동일하거나 약간 높다. 하지만 맨 섬 , 건지, 저지, 포클랜드, 세인트 헬레나, 지브롤터 파운드는 태국 현지에서 환전 불가능[8] 대장성 외쇄국인지 일본 정부인지는 불명.[9] 왕실용 유람선[10] 초반엔 폴리머였으나 나중에 면소재로 바뀌었다.[11] 이 지폐는 KBS스펀지에서도 소개된 적이 있다.[12] 비슷한 도안의 고액판도 있는데 액면가가 무려 50만 바트로 약 1,900만원에 달하는 어마무시한 액면 때문에 구경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데다가, 크기도 장난 아니게 크다. 그렇다고 특별히 비싼 무언가를 주입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거의 부자들의 장난감 혹은 기부용 증서나 다름없다.[13] 이게 뭔 말인고 하면 앞면에는 1, 5, 10바트짜리를 나란히나란히 붙여놓고 뒷면은 통째로 푸미폰 국왕의 인생 연대기를 그려 넣었다. 때문에 필요성도 못느끼겠지만 잘라다 쓸 수도 없다. 일단 정의하기엔 16바트 짜리라고도 한다.[14] 사탕은 정말 길바닥에 떨어져도 안줍고, 동전이 귀찮다며 버려지거나,방콕 시내 유명 관광지나 공항 길바닥을 잘 보면 다른나라의 동전들도 많이 떨어져 있다팁박스에 지폐속에 숨겨 버리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15] 태국의 불기는 한국보다 1년이 늦다.[16] 첫 등장시부터 은행 차액결제용으로 발행되어 시중에서 찾아보기 힘들다.[17] 그래서 가끔 100원 동전 묶음에 5바트 동전이 섞여들어가는 경우가 있다.[18] 인도네시아의 경우는 아예 물가교란으로 인한 폭동 때문에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던 독재자 수하르토조차도 이걸 해결하지 못하고 실각했고 다시는 권력을 되찾지 못한채 10년 뒤인 2008년에 사망했다.[19] 그러나 일본의 경우 이후 잃어버린 10년이 본격화되는 데 이게 영향을 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