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바이메탈릭 주화(Bi-metallic Coin) 또는 복재질 주화(複材質鑄貨)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금속(=바이메탈)을 소재로 하여 주조한 주화(경화)이다.두 가지 이상 금속을 섞은 '합금 주화'와는 다른 분류이다. 하나의 합금으로 구성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중심부와 외연부에 서로 다른 홑원소 금속 또는 합금을 배치한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다. 홈이 파여진 중심부와 링부분을 따로 만들어 끼워 한꺼번에 압인하는 방법으로 만든다. 또한 도금으로 만드는 주화는 일반적으로는 바이메탈 주화로 보지 않는다.
디자인적으로 우수해서 기념 주화에 바이메탈 주화가 채용되기도 하지만, 위조 방지를 목적으로 통용주화의 고액권에 채용되기도 한다. 지폐의 경우와 달리 주화의 경우 위조방지장치가 어렵지만[1] 바이메탈 주화의 경우 그 자체로 주화의 위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2]
유통 목적으로는 제작비가 많이 들어 고액권에 주로 사용되며, 처음으로 유통목적으로 만들어진 바이메탈 주화는 1982년부터 2001년까지 발행된 이탈리아의 500리라 주화이다.
2. 목록
2.1. 현재 통용중인 경우
2024년 현재 정식으로 통용중인 바이메탈 주화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가나다 순).통화 | 주화 |
| 1, 2세디 |
| 5랜드 |
| 5, 10페소 |
| 100프랑 |
| ½디나르 |
| 1, 2, 5, 10, 20페소 |
| 5, 10디르함 |
| 20루피 |
| 10우기야 |
| 10메티칼 |
| 2루피야 |
| 5, 10레우 |
| 100필스 |
| 2루블 |
| 2, 5풀라 |
| 5볼리비아노 |
| 1, 2레프 |
| 1헤알 |
| 1, 2리얄 |
| 10루피 |
| 25, 50센트 |
| 20달러 |
| 1달러 |
| 500드람 |
| 50개픽 |
| 100레크 |
| 20, 50, 100, 200디나르 |
| 5, 10, 20콴자 |
| 1비르 |
| ½디나르 |
| 10페소 |
| 1,000숨 |
| 1, 2유로 |
| 10셰켈 |
| 1파운드 |
| 10, 20루피 |
| 500엔 |
| 20달러 |
| 2라리 |
| 250프랑 |
| 50코루나 |
| 100, 500페소 |
| 1, 5길더 |
| 100에스쿠도 |
| 100, 200텡게 |
| 2달러 |
| 5, 10, 20실링 |
| 250프랑 |
| 500, 1,000페소 |
| 5페소 |
| 10바트 |
| 2, 5마르카 |
| 1, 2마나트 |
| 50쿠루쉬, 1리라 |
| 1발보아 |
| 1, 2파운드 |
| 2, 5솔 |
| 2, 5즈워티 |
| 20페소 |
| 100, 200포린트 |
| 200, 500프랑 |
| 100프랑 |
| 200프랑 |
2.2. 과거에 통용된 경우
이전에 바이메탈 주화가 통용되었으나 현재는 중지된 경우는 다음과 같다(가나다 순).[3]통화 | 주화 |
| 1, 2나이라 |
| 1, 2파운드 |
| 50, 100루블 |
| 2라트 |
| 2, 5리타스 |
| 10파타카 |
| 5, 10콰차 |
| 1볼리바르 |
| 20, 50피아스터 |
| 25파운드 |
| 1, 2페소 |
| 20리알 |
| 250, 500리알 |
| 500, 1,000리라 |
| 1,000루피아 |
| 500리엘 |
| 100, 200에스쿠도 |
| 10프랑 |
| 10마르카 |
| 10달러 |
3. 트라이메탈 주화
예전에는 바이메탈 주화가 신기술이였다면 이제는 트라이메탈(Tri-metallic coin) 주화도 존재하는데, 3종류의 금속을 결합한 것이다.최초의 트라이메탈 주화는 1992년 프랑스 20프랑 주화로 엄연히 통용 목적으로 발행되었으나, 지폐를 대체할 정도로 활발히 유통되진 않았으며 얼마 있지 않아 유로를 도입하였기 때문에 현재는 보기 힘든 편이다. 이후 한동안 트라이, 테트라 메탈 주화를 통용주화로 도입한 나라가 없었으나, 2018년 모리타니 20우기야 주화에 새로 도입되었다.
[1] 위조 방지를 목적으로 테두리에 문자를 압인하거나, 고전적인 방법으로 테두리에 톱니를 파기도 하지만 한계가 있다.[2] 위조범의 장비 수준으로 두 소재의 단단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 그렇다고 대충 만들면 단박에 티난다.[3] 다만 일부는 기념 주화로 여전히 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