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판사르반드방 302는 냉전기에 개발된 스웨덴군의 병력수송장갑차 겸 보병전투차이다.1.1. 제원
Pansarbandvagn(판사르반드방) 302 (Pbv 302)[1]Pbv 302제원 | |
개발사 | 헤글런드 & 소네르 주식회사[2] |
제조사 | BAe 시스템즈 지상사업부-헤글런드 주식회사 |
중량 | 13.5t (A형) 14t (B, C형) |
전장 | 5.3m |
전폭 | 2.9m |
전고 | 2.5m |
엔진 | 볼보 펜타 THD-100 6기통 디젤 엔진 (A형) 볼보 펜타 THD-100B 6기통 디젤 엔진 (B, C형) |
변속기 | ??? |
현가장치 | 토션 바 |
최대출력 | 270마력 (A형) 280마력 (B, C형) |
최대속도 | 66km/h (도로), 8km (수상) |
톤당 마력 | 19.29hp/t |
항속거리 | 300km |
도섭 가능 심도 | 수륙양용 |
주무장 | 이스파노-쉬자 m/47D 20mm 기관포 1문 |
부무장 | Ksp 58 7.62mm 기관총 1정 |
탄약 적재량 | 30mm 기관포탄 505발 7.62mm 기관총탄 1,000발 |
탑승인원 | 승무원 3명 + 기계화보병 6~8명 |
방어력 | 불명 |
장갑 | 균질압연장갑 + 부가장갑 전면 23mm |
2. 상세
1960년대 개발된 차량이지만 2001년부터 2007년까지 현대화 개조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2015년까지 스웨덴 육군이 운용했다. 현재는 Strf 90이 스웨덴군의 주력 보병 전투 장갑차가 되어 퇴역했다.스웨덴 육군에 Pbv 301의 대체가 필요해지자, 처음에는 미군의 M113을 고려해 보았으나 스웨덴 육군의 운용 요구에 맞춘 개조가 필요해졌고 그 비용이 상당하리라 예상되었다. 그래서 스웨덴의 방위산업체 헤글런드 소네르(Hagglund & Soner, 현: BAE)社가 개발한 국산 차량이 Pbv 302이다. 1961년 말 개발을 시작해 1962년 12월 시제차가 제작되고 1965년 개발 완료 1966년부터 1972년까지 약 750대가 생산되었으며 2000년 기준 스웨덴 육군이 병력수송 장갑차 540대와 계열차량 203대를 보유하고 있고, 국제연합 평화유지군으로 유고슬라비아 내전에 투입된 스웨덴 육군이 실전에 사용한 바 있다.압연 방탄강판을 용접해 제작한 차체의 여러 부분은 성형작약탄(HEAT)에 대한 방어력을 강화하고, 도하 능력을 갖추기 위해 이중 구조로 설계되었다. 차체 중앙의 조종석에 탑승하는 조종수는 앞에 장비한 잠망경 3개를 사용하며, 차체 우측에 탑승하는 차장은 잠망경 5개를 사용해 주위를 관측. 차체 좌측에 기관포 터렛(1인용)과 사수가 탑승, 터렛에는 사수용 잠망경과 기관포용 8배율 망원조준경이 있다. 엔진 등 동력장치는 차체 아래에 눕혀서 배치했다. 그 덕분에 3명의 승무원 모두 차량 전방에 탑승한다. 전방 파도막이 밑에 엔진 쪽에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해치가 있다.
하차 보병칸의 후방문은 M113 같은 램프가 아니라 좌우로 열리는 도어를 사용한다. 램프 구조는 열고 닫는게 느리기 때문에 굳이 도어를 채택했다고. (같은 이유로 다른 군에서는 CV90에서 램프형 후방문을 주로 쓰는데, 스웨덴군의 CV90(Strf 90)는 도어형을 채용했다.) 열었을 때 90도에서 고정하는 래치가 있으며, 닫을 때는 문 하단의 래치를 발로 밟아서 풀고 닫으면 된다. 보병칸 상단 해치는 유압으로 자동으로 열리는 구조이며 차장이 스위치를 관제한다. 차장이 실수로 상단 해치 스위치를 건드리지 않도록 하는 락도 있다. 상단 해치는 좌 우 2짝의 중앙 방향으로 접히는 문 형태이며, 굉장히 크기에 열면 내부 보병 전원이 서서 외부를 향해 사격할 수 있다. 차량이 서서히 진격하는 와중에 보병이 상단 해치를 열고 보병이 좌우로 사격하는 전법을 고려했다. 또한 보병들이 외부 관측을 도울 수 있기에, 항공기나 헬기 발견에 꽤 도움이 된다고. 상단 해치 가장자리에는 파이프 형태의 안전 장치가 있는데, 보병이 서서 여기(해치 모서리)에 총기를 올려놓고 있으면 그 무게로 파이프가 아래로 눌리고, 이것이 상단 해치의 유압 체크 밸브를 건드려 해치가 함부로 닫히지 않게 해 준다. 다만 해치 닫을때 이걸 건드리면 안 되니까, 파이프를 잡지 마시오 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또한 터렛이 360도 회전할 수 있기에, 열린 해치 방향까지 가지 않게 사격각을 제한하는 버튼이 보병칸 내부에 있다. 보통 하차보병조 6명은 안쪽을 보는 방향의 의자에, 보병 분대장과 부분대장은 후방문 바로 앞의 바깥쪽을 보는 방향의 의자에 앉는다. 의자는 매우 간소한 접히는 형태이며 안전벨트가 달려 있으나, 신속한 하차를 위해 안 채우는 일도 잦았다. 그러다 차량이 덜컹이면 튕겨나가서 나뒹구는 일이 다반사였다고. 그래서 보병칸을 볼풀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했다. 보병칸 중앙에는 탄약과 분대지원화기를 적재한다. 기관총이나 무반동포 거치용 고정 랙도 있다.
Pbv 302는 넓은 궤도와 높은 출력 중량비와 우수한 비율의 정지 기동성을 가졌기에 2.4m 깊이의 참호와 1m급의 수직 장애물 통과가 가능했고, 낮은 접지압에 의해 여름 물 웅덩이나 겨울 눈 속에서 운용이 가능 하고, 다소 준비시간이 필요하지만 수륙 양용으로도 운용 할 수 있다. 차량 전방에는 조종수가 상체를 내밀고 수동으로 펼쳐야 하는 파도막이가 있다.[3] 수상 추진은 순전히 궤도에 의존한다. 독특하게도 물에 잠겼을 때 궤도 상단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움직이며 물살을 역행하는(그래서 수상 추진 효율을 떨어트리는) 부분의 수류를 도로 후방으로 되돌리는 (또는 후방에서 온 수류와 부딪혀 차체를 밀어주는) 디플렉터 구조가 있어서, 궤도 추진 치곤 약간 속도가 더 나오는 편. 궤도 전방 상단의 머드가드 형태의 물건이 디플렉터이다. 빌지 펌프는 차체 우측에 있으며, 물에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작동시켜야 한다. 덧붙여, 빌지에 물을 채워둔 상태에서 맘에 안 드는 장교가 지나갈때 펌프를 켜서 물을 끼얹는 짓을 하기도 했다는 썰이 있다.
시제형에서는 퇴역한 사브 29 툰난 전투기에서 떼어낸 이스파노-쉬자(Hispano-Suiza)社의 804형 20mm 기관포를 포탑에 장착했는데, 원래 이것은 철갑탄 10발들이 탄창과 유탄 135발이 탄띠 3개가 장전되지만, 탄띠식 급탄장치는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힘들어 전투시 운용이 어렵다고 생각 되었기 때문에, 그 대신 m/47D(HS.404의 스웨덴 제식명) 20mm 기관포를 위아래를 뒤집어 장착하고 다목적용 30발 탄창 10개를 터렛 내부에서 갈아끼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터렛 공간이 좁고 사수가 혼자 사격도 하랴 묵직한 탄창 교환도 하랴 꽤 힘들다고. 탄약은 철갑소이탄으로 대체되었다. 기관포는 거너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터렛 중심축이 아니라 우측면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런 구조는 연사하면 반동으로 터렛이 조금씩 돌게 되기에, Pbv 302는 터렛에 이걸 보정하는 토크 컴펜세이터를 추가했다. 터렛 수평회전 손잡이에는 사격용 방아쇠(버튼형)도 장착되는데, 자동사격용 방아쇠와 단발사격용 방아쇠 2개가 달렸다. 이 방아쇠는 전자석으로 작동하며, 비상용의 기계식 방아쇠도 따로 있으나 자동사격만 된다. 터렛 외부에는 6개×1회의 연막발사기가 있다. 기관포용 배연기 팬도 있는데 굉장히 시끄럽다. 보병칸과 비슷하게, 터렛이 조종수 해치 방향을 쏘지 않게 차단하는 사격각 제한 버튼이 조종수 해치에도 있다.
Pbv-302 시리즈는 주력 전차(MBT)와 전투기 등등을 독자 개발한 스웨덴이 개발한 차량답게 공간장갑을 채용하는 등 신기술을 적용한 장갑차라는 평가를 받았다. 위에서 보다시피 세세하고 세심하게 신경 쓴 구석이 많은 양질의 차량이다. 다만 차량 자체는 신뢰성 있으나 매일매일 일상 정비를 부지런히 해 주지 않으면 탈 나기 쉽다는 평.
차체 전면장갑의 디자인은 소련군의 IS-3 중전차에 적용된 것과 유사한 형식의 경사장갑이다. UN 파견시 총탄이나 포탄 파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차량 내부에 스폴 라이너를 추가로 까는 일이 많았고, 보스니아와 코소보에서는 차량 외부에 세라믹 방탄판을 추가로 덧붙이기도 했다.
퇴역 이후 비축물량이 2024년 발표에 따라 전부 우크라이나로 공여되었다.
3. 바리에이션
3.1. Pbv 302A
표준 병력 수송/보병 전투 장갑차형3.2. Pbv 302B
엔진을 강화하고 부가장갑과 파편 방지용 스폴 라이너를 단 버전.3.3. Pbv 302C
강화된 서스펜션, 새 전조등과 플레어 발사기 등을 장비한 개량형. 주로 유엔과 KFOR 작전에 사용한다.3.4. Pbv 302 Mk.2
기관포를 25mm 기관포로 교체한 보병전투차.3.5. Stripbv 3021[4]
대대 , 여단 지휘관 및 기타 지휘관의 C3I 지휘 차량.3.6. Epbv 3022[5]
포병 관측 화기 관제 요원을 위한 전선관측차.3.7. Bplpbv 3023[6]
반드카논 1 자주포 중대 부속 포병 중대 포병관측차량.3.8. Rlpbv 3024[7]
무선 통신을 관리하는 무선 통신 차량.3.9. Prlpbv 3025[8]
포대관측차량.3.10. SrsPbv 3026[9]
의무후송장갑차.3.11. Bgbv 82[10]
구난 장갑차.3.12. Brobv 941[11]
가교 장갑차.3.13. Ikv 91 [12]
Pbv 302을 기반으로 개발된 수륙양용 경전차. 부품 호환률도 제법 된다고 한다.4. 관련 항목
5.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Strv m/41R | Strv m/42R | Strv 74(H/V)R | 셔먼 VX/R | 셔먼 VCX/R | 셔먼 IBX/R | 셔먼 IIIX/R | 처칠 Mk.IIIX/R | 코멧X/R | 1호 전차X/R | 5호 지휘전차 A형X/R | 티거IIX/R | | |||||
MBT | 1세대 | Strv 81R | Strv 101(R)R | Strv 102(R)R | ||||
2세대 | Strv 103(A/B/C)R | Strv 103DP | Strv 104R | Strv 105P | T-72X | | |||||
3세대 | Strv 121(A/B)S | Strv 122(A/B) | | |||||
3.5세대 | Strv 122(C/D) | {Strv 123(A/B)} | |||||
경전차 | Pvstrv AMXX/R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C/R | U-SH | Tgb m/42R | Patgb 180S · 202 · 203S | Patgb 360 | Tgb 16 | 피라냐 IIIC | {Patgb 300} | ||||
궤도장갑차 | M113X/R | Strf 90(B/C) | Pbv 302R | Bv 308/309 | Bv 206 | BvS 10 | Bv 202R | Pbv 301R | Pbv 401· 4020 | Pbv 501R | Pvrbv 551R | |||||
차량 | 소형 | Ptgb 5 | Tgb 11 · 13 · 21 | CUCV | 볼보 TP 21R · L3304R | 샌드캣 | ||||
트럭 | 볼보 FMX · TL31R | 스카니아 4시리즈 · SBA111R | Pltgb 903R | Tgb m/1941R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Bkan 1(A/C)R | 아처 | ||||
자주박격포 | Grkpbv 90 묠니르 | |||||
돌격포 | Sav m/43R | Spj fm/43(43, 43-44)P | Stug III Ausf.(D/G)X | |||||
자주보병포 | Ikv 72R | Ikv 73R | Ikv 102R | Ikv 103R | Ikv 91S/R | |||||
대전차 자주포 | Pvkv m/43R | Pvkv IIP | Pvkv IIIP | Pvkv IVP | Pz.Jg 38(t)X | 마르더 IIX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Lvkv m/42P | Lvkv fm/43R | VEAK 40P | Lvkv 9040 | ||||
단거리 대공 미사일 | Tgb 21 | Lvrbv 701R | Lvrpbv 4016R | EldE 98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gbv 120 | ||||
전투공병차량 | ingbv 120 | |||||
교량차량 | M3 | BroBv 120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X: 테스트용으로만 도입(외제) ※ 윗첨자P: 프로토타입(자체 개발) ※ ※ 윗첨자C: 노획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Pansarbandvagn은 궤도장갑차를 뜻한다.[2] Hägglund & Söner AB. 현재는 BAe에 합병된다[3] 이 문서 상단에서 두번째 사진은 파도막이를 뗀 상태이다. 전방에 세로로 붙어 있는 파이프 같은 것이 파도막이 거치 및 펼치기 위한 작동 구조. 이렇게 파도막이 떼고 운용하는 일도 잦았다는 듯.[4] Stridsledningspansarbandvagn(스트리스레드닝스판사르반드방) 3021[5] Eldledningspansarbandvagn(엘디에드닝스판사르반드방)3022[6] Batteriplatspansarbandvagn 3023[7] Radiolänkpansarbandvagn 3024[8] Pjäsrekognoseringspansarbandvagn 3025[9] Sjuktransportpansarbandvagn 3026[10] Bärgningsbandvagn 82[11] Brobandvagn 941[12] Infanterikanonvagn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