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1 01:36:53

M197

M197 기관포
M197 Automatic Gun
파일:m197_profile 0.jpg
<colbgcolor=lightgray,#2c2c2c> 종류 기관포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folding 【펼치기 · 접기】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개발 제너럴 일렉트릭
생산 제너럴 일렉트릭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기종
원형 M61
제원
전장 182.8cm
중량 60kg
구경 20mm
탄약 20×102mm
급탄 벨트형 탄띠
작동 방식 전기점화식
개틀링식
발사 속도 최대 1500RPM
유효 사거리 1,500m
최대 사거리 4,000m }}}
1. 개요2. 역사3. 특징4. 운용 국가5. 종류
5.1. M1975.2. XM3015.3. GPU-2/A
6. 매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 해군MH-60S 씨호크 다목적헬기 훈련 영상 일본 육상자위대AH-1S 코브라 공격헬기 훈련 영상
M197은 M61 발칸 기반의 20mm 개틀링 기관포이다.

2. 역사

파일:m134_on-ah1g.jpg
AH-1G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XM64 포탑

베트남 전쟁이 한창인 1967년, 미 육군에서는 UH-1B~D 이로쿼이 무장헬기AH-1G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 운용을 통해 당시의 주적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 보유한 DShK 중기관총 등의 근접 대공 체계의 위협에 맞서기에는 여러모로 화력이 부족했던 M134 기관총을 더 높은 구경의 다른 기종으로 대체하려는 계획이 세워졌다.
파일:xm-m61_yuh1b.jpg
YUH-1B 이로쿼이 무장헬기XM-M61

여기에는 기총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제너럴 일렉트릭 사의 M61A1 발칸을 소형화시키는 방안이 받아들여져 저속 항공기에 맞게 포신 길이와 발사속도를 줄인 M195Mk.40 FFAR 발사기가 합쳐진 XM35 무장 시스템의 시험 운용을 거친 다음, 3열 포신의 XM-M61이 M197이라는 새로운 제식명으로 바뀌어 곧바로 실전에 쓰이기 시작했다.
파일:m197_ah1z 0.jpg
AH-1Z 바이퍼 공격헬기A/A49E-7(V4) 포탑

서서히 시간이 흘러 M97[1] 계열 포탑에 탑재된 형태가 가장 보편적인 무장으로 자리 잡히면서 YOV-10D 브롱코 야간작전용 경공격기(NOGS) 등의 기타 항공기에 급조 또는 성능 시험 목적으로 적용되기도 했으며, 발전형 공격헬기(AAH) 사업을 통해 AH-64 아파치 공격헬기를 도입한 미 육군과는 달리 쌍발형 AH-1J 씨 코브라 공격헬기 계열의 개량과 운용을 고집한 미 해병대는 물론 대한민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의 제식 수명이 수십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3. 특징

파일:aa49e7_sheet 0.png
A/A49E-7의 구성과 조향각도

M61 발칸의 중량 절감을 위해 포신이 6개에서 3개로 줄어들어 반동이 1/4로 낮추어져 주로 경비행기헬리콥터에서의 사용에 용이해졌다. 구경 자체는 동일하므로 기존의 20mm M53 철갑소이탄(API)이나 PGU-28A/B 고폭소이철갑탄(SAPHEI)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수평 200도, 수직 60도 회전이 가능한 M97 및 A/A49E-7 계열의 무장 시스템에 통합된 형태가 가장 많이 쓰이며, 이론적인 발사 속도는 분당 750발 가량인데 클러치 등을 조정한다면 2,000발 이상으로 올릴 수도 있으나 보통 30발에서 50발 정도로 냉각을 겸해 끊어서 쏘는 것이 대부분이다.

신뢰성 높은 작동 메커니즘과는 다르게 탄걸림 현상이 발사횟수의 30% 이상을 차지 할 정도로 매우 잦았는데, 2011년에 메깃 디펜스(Meggit Defense Systems) 사의 비탄띠식(Linkless feed) 급탄 시스템으로 교체된 이후로 어느정도 개선되었다.

4. 운용 국가

5. 종류

5.1. M197

파일:m197_mh60s 1.jpg
MH-60S 씨호크 다목적헬기의 M197

AH-1G 휴이 코브라 공격헬기의 부족한 화력을 보완하기 위한 M61 발칸 기반의 원형으로, 기수 하단의 포탑 형태가 가장 많이 쓰이며 그외에는 베트남 전쟁 시기에 A-4 스카이호크 공격기배터리모터와 비탄띠식 20mm 탄약 300발이 내장되는 GPU-2/A 외장 기총(Gun Pod) 이력을 바탕으로 미 해군MH-60S 씨호크 다목적헬기 외부 측면의 파일런에 달려서 운용되기도 한다.

5.2. XM301

파일:xm301_rah66 0.jpg
RAH-66 코만치 정찰공격헬기의 XM301

RAH-66 코만치 정찰공격헬기에 맞춘 시험 개량형으로, 2004년 부로 해당 사업이 좌초되면서 양산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5.3. GPU-2/A

OV-10 브롱코를 위해 설계된 건포드 형.

6. 매체

AH-1/대중매체 참조. 여기에 달리면 웬만하면 나온다 보면 된다.

7.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fffff,#191919>M101A1S, M102, M119A1, M119A2, M119A3, M198R, M284, M777, M777A1, M777A2, M777ER, XM907, XM297E2
박격포 M120, M120A1, M121, M224, M224A1, M252, M252A1, M252A2, M327R, Mk.2 Mod.0, Mk.2 Mod.1R, Mk.4 Mod.0R, RMS6L, XM905, XM326
무반동포 M3, M3A1, M3E1, M67R, M136, M136A1
함포 Mk.7R, Mk.12R, Mk.38 Mod.0, Mk.38 Mod.2, Mk.38 Mod.3, Mk.45 Mod.2, Mk.45 Mod.4, Mk.46 Mod.2, Mk.75 Mod.0, Mk.110 Mod.0, Mk.51
전차포 M35, M68A1, M68A2, M81E1, M81E1, M162, M256, XM360
기관포 다포신 GAU-8/A, GAU-12/U, GAU-22/A, M61A1, M61A2, M197, XM301
단포신 Mk.12R, GAU-23/A, L/60R, M39, M39A1, M39A2, M39A3, M230, M230A1, M230LF, M242, XM813, XM913
※ 윗첨자S: 비축 또는 예포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상태
취소선: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추축군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냉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현대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1] 미 공군항공장비 완제품 제식명 명명법(ASETDS)에 따른 A/A49E-7(V)로도 불린다.[2] 주장에 따르면 1986년 2월 14일 이란-이라크 전쟁 도중 수출형 AH-1J 씨 코브라의 M197로 이라크군MiG-21 1대를 격추하고 Mi-24 등과의 교전에도 쓰였다고 하며, 이란 혁명의 여파로 미국으로부터의 부품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자체 개량된 판하 2091(پنها)투판(توفان)에도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