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0:49:03

M6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fffff,#191919>M101A1S, M102, M119A1, M119A2, M119A3, M198R, M284, M777, M777A1, M777A2, M777ER, XM907, XM297E2
박격포 M120, M120A1, M121, M224, M224A1, M252, M252A1, M252A2, M327R, Mk.2 Mod.0, Mk.2 Mod.1R, Mk.4 Mod.0R, RMS6L, XM905, XM326
무반동포 M3, M3A1, M3E1, M67R, M136, M136A1
함포 Mk.7R, Mk.12R, Mk.38 Mod.0, Mk.38 Mod.2, Mk.38 Mod.3, Mk.45 Mod.2, Mk.45 Mod.4, Mk.46 Mod.2, Mk.75 Mod.0, Mk.110 Mod.0, Mk.51
전차포 M35, M68A1, M68A2, M81E1, M81E1, M162, M256, XM360
기관포 다포신 GAU-8/A, GAU-12/U, GAU-22/A, M61A1, M61A2, M197, XM301
단포신 Mk.12R, GAU-23/A, L/60R, M39, M39A1, M39A2, M39A3, M230, M230A1, M230LF, M242, XM813, XM913
※ 윗첨자S: 비축 또는 예포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상태
취소선: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1. 개요2. 상세3. 상세4. 프로토타입
4.1. T254E14.2. T254E24.3. T254E3
5. 변형
5.1. M685.2. M68E15.3. M68A15.4. M68A1E45.5. M35
6. 면허 생산형
6.1. KM68A1 (대한민국)6.2. M68T (튀르키예)6.3. M64 L71A (이스라엘)
7. 탄약
7.1. 분리철갑예광탄(APDS-T)7.2. 날개안정분리철갑예광탄(APFSDS-T)7.3. 대전차고폭예광탄(HEAT-T)7.4. 대전차연습예광탄(TP-T)7.5. 플라스틱고폭예광탄(HEP-T)7.6. 대인예광탄(APERS-T)7.7. 백린연막예광탄(WP-T)7.8. 연습/훈련탄
8. 운용차량
8.1. 아메리카8.2. 유럽8.3. 아시아
9. 관련 화포10. 미디어
10.1. 게임

1. 개요

미국에서 로열 오드넌스 L7을 기반으로 개발된 52구경장 105mm 구경 강선 전차포. M48A5, M60, M1 에이브람스 등 미군 제식 주력전차의 주포로 운용되었다.

2. 상세

3. 상세

4. 프로토타입

4.1. T254E1

영국제 L7A1 전차포의 미군 제식명으로 각진 수평 쇄전식 폐쇄기와 배연기를 갖춘 영국제 X15/L52 포신을 사용했다.

4.2. T254E2

나중에 M68로 채택된 시제형으로 X15E8 포신과 둥근 형상의 폐쇄기 블럭과 수직 쇄전식 폐쇄기를 사용하여 우리가 흔히 아는 M68 외형을 갖추게 된다. M60 전차 프로토타입에 운용되었다.

4.3. T254E3

1975년 T254E2 포신 내부에 크롬 도금을 한 형식으로 2문만 제작되었다.

5. 변형

5.1. M68

기본형으로 T254E2를 제식화하였다. M116 포가를 사용하여 M60 전차 주포로 운용되었고 이후에 M48A5 전차 주포로도 사용되었다. 비슷한 시기 이스라엘의 마가크 전차, 티란 전차 주포로도 사용되었다.

5.2. M68E1

M140 포가로 변경되었고 유리섬유 재질의 서멀 슬라브(열차폐관)가 장착되었다. M60A1/A3 계열 전차 주포로 운용되었다.

5.3. M68A1

1980년 M1 에이브람스 전차 주포로 운용하기 위해 개발된 개량형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열차폐관과 정적 포구 감지기, 탄피 배출 시 승무원 및 무전기 등 각종 장비 보호를 위한 탄피방출보호가대가 추가되었다.

5.4. M68A1E4

스트라이커 장갑차 기반 화력지원차량인 M1128 MGS 주포로 설계된 저반동포다. 가끔씩 M68A2로 지칭되기도 하나 정확하지 않다. 반동력을 줄였음에도 초기에는 머즐 브레이크(포구 제퇴기)가 달렸으나 이후 제거되었고 자동장전을 위해 폐쇄기가 반대로 달렸지만 배연기는 정방향으로 제대로 달려있다.

5.5. M35

M8 뷰포드의 주포로 M68A1 기반으로 개발된 저반동포로 M8은 취소되었지만 그 대신 M10 부커의 주포로 사용되었다.

6. 면허 생산형

6.1. KM68A1 (대한민국)

M68A1를 국산화 한 대한민국의 면허 생산형으로 M48A5K 계열, K-1 전차(K-1E1) 주포로 운용된다. M1A1 이전 M1 에이브람스 전차 주포를 베이스로 하는 만큼 K-1 전차에 운용되는 KM68A1의 폐쇄기 후방의 탄피배출보호가대, 폐쇄기 옆 공축기관총 대용량 탄약통 등 모두 M1 전차의 M68A1과 사양이 동일하다.

초기에는 기아중공업에서 면허 생산되었으나, IMF와 기아그룹 도산을 거쳐 현대위아에서 제조된다. K-1(E1) 전차 중에서도 포신수명이 다한 단차의 주포를 주기적으로 신품 교환해주기 때문에 20년대에 들어서도 단종되지 않았다.

6.2. M68T (튀르키예)

튀르키예의 M68 면허 생산형으로 1980년대 MKE 사에서 생산되었다. M48A5T1/T2 전차 주포로 운용된다.

6.3. M64 L71A (이스라엘)

파일:attachment/M60 패튼/magach6.jpg

이스라엘의 M68 면허 생산형으로 흔히 샤리르(Sharir) 전차포라고도 한다. 초기 메르카바 Mk.1~2 계열 및 미국 M60A1 전차를 개량한 마가크 6 계열, 영국 센추리온 전차 개량형인 숏 칼 달렛의 주포로 운용되었다.

7. 탄약

105×617mmR 규격에 해당

7.1. 분리철갑예광탄(APDS-T)

  • 미국
    • M392
    • M728

  • 이스라엘
    • M111
    • M413
    • M426

7.2. 날개안정분리철갑예광탄(APFSDS-T)

  • 미국
    • M735
    • M774
    • M833
    • M900

  • 대한민국
    • K270
    • K274
    • K274N (가칭)

  • 일본
    • 93식

7.3. 대전차고폭예광탄(HEAT-T)

  • 미국
    • M456
  • 대한민국
    • KM456A1

7.4. 대전차연습예광탄(TP-T)

  • 미국
    • M490

  • 대한민국
    • KM490

7.5. 플라스틱고폭예광탄(HEP-T)

  • 미국
    • M393

7.6. 대인예광탄(APERS-T)

  • 미국
    • M464


7.7. 백린연막예광탄(WP-T)

  • 미국
    • M416

7.8. 연습/훈련탄

  • 대한민국
    • K293 적재훈련연습탄

8. 운용차량

8.1. 아메리카

  • 미국
    • M48A5
      M48A4(M48 차체+M69 포탑) 개발 이전에 M60 전차 개발 과정에서 M48 패튼에 M68 주포의 시제형을 장착한 프로토타입 전차(M48A1E1)가 제작되었으며, M60 전차가 등장한 이후 1975년 M60과 최대한 호환되는 부품과 M68로 주포를 개량하여 군수보급 효율을 높인 M48A5로 개량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이스라엘 이외 여러 M48 운용국에서도 M68/L7 계열로 주포를 교체하는 등 M48A5에 준하게 개량을 했던 경우가 많았다. 전량 퇴역
    • M60 전차
      M48과 유사한 터틀백 포탑을 장착한 M60의 경우 M68, 롱노즈 포탑 M60A1/A3 계열에 M68E1이 운용되었다. 현재는 주방위군에서도 전량 퇴역
    • M1 에이브람스
      M1A1 이전 초기형 M1과 IPM1 전차 주포로 M68A1이 운용되었다. 현재는 전량 M1A1 급으로 개량되거나 비축분으로 치장
    • M8 뷰포드
      M35 저반동포를 장착한 미군의 차기 공수전차였으나 취소
    • M10 부커
      M35 저반동포를 장착한 미군의 차기 공수전차
    • M1128 MGS
      M68A1E4를 장착한 스트라이커 장갑차 기반 MGS였으나 퇴역

8.2. 유럽

8.3. 아시아

  • 대한민국
    • M48A5K
      1978년부터 M48A5에 준하게 개량한 전차로 도입 시기상 미제 M68(A1)을 직도입하거나 이후 포신수명 초과 등으로 면허생산형 KM68A1으로 혼용 또는 교체[1]하여 운용될 가능성이 있다.
    • K-1 전차(K-1, K1E1, K1E2)
      면허생산형 KM68A1을 운용.

  • 일본
    • 74식 전차
      일본 자료에서는 JSW에서 면허생산한 L7A1 포신에 M68과 유사한 둥근 형상의 수직 쇄전식 폐쇄기를 결합한 주포를 운용한다고 추정하는데 실제 단차 내부 모습을 보면 약실이 M68 계열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영문판 위키는 M68, 오죽하면 전차 시뮬레이터 게임인 워썬더에서는 L7A3 면허생산형이라고 하는 등 다 제각각인데 적어도 L7A3은 L7A1와 같이 각진 수평 쇄전식 폐쇄기를 쓰기 때문에 신빙성이 낮다. 24년 3월 전량 퇴역 예정
  • 이스라엘

    • 티란 2/5 - 순정 상태의 소련제 T-55는 100mm D-10 계열 강선포를 장착하였지만 이스라엘군중동전쟁에서 적군의 T-55를 대량 노획한 뒤 이스라엘 무기 체계에 맞도록 마개조해서 운영한 Tiran 시리즈에는 105mm 강선포가 장비되었다. 그 가운데 Tiran 4/5Sh, Tiran 5 Blazer, Ti-67S(Samovar1), (시제 모델까지 포함했을 시) Samovar2 등이 M68 시리즈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 메르카바 전차 - 이스라엘군의 전차로 Mk.2까지 장착되었다. Mk.3부터는 이스라엘에서 개발한 120mm 활강포를 장착한다.
    • 마가크 전차 - 이스라엘 군의 전차로 정확히는 마가크 3(M48 패튼 개량형)부터 탑재하였다. 마가크3부터 마가크6까지는 미제 M68 강선포를, 마가크6B형 부터는 마가크7까지는 M68의 라이선스 제품인 샤리르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 센추리온 전차(이스라엘 숏) - 기존 센추리온 전차와는 달리 이스라엘 제식의 숏(שוט/ Sho't, 히브리어로 채찍)전차의 일부는 미제 M68 강선포를 라이선스 생산한 '샤리르'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컨티넨탈 AVDS-1790-2A 디젤 엔진과 엘리슨 CD850-6 변속기를 결합한 신형 파워팩을 탑재한 '숏 칼' 시리즈중 세번째 개량형 기멜과 네번째인 달렛에 탑재되어있다.

9. 관련 화포

10. 미디어

10.1. 게임

  • 워 썬더
    냉전기 서방 표준 주포로 워 썬더 지상군, 그 중에서도 미국과 이스라엘 트리의 경전차, 중형전차 주포로 등장한다. M60 같이 냉전 초기 전차부터 M1 에이브람스, 메르카바, M1128 경전차 등 비교적 최신 장비에도 쓰이는 BR 7.0~10.0 구간대 사골 전차포다.
    동시대 소련제 100/115mm 전차포에 비해 장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차탄 싸움에 유리하지만 M60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열악한 파편량, 미국 장비 중에서 독일, 소련 전차에 비해 한단계 낮은 날탄(고증상 M833을 받아야 하는데 M735 주기 등)을 줘서 고통받게 하기, 어느 이점도 없이 허접한 날탄으로 120/125mm 활강포 전차 만나게 하기 등 억까를 당해서 우회 및 측면 약점 사격이 강요되었으나 전국가 105mm 중 원탑인 M900 날탄, 장갑 고증화(단일 주조장갑 전차 장갑 너프) 및 분철탄 버프, 무인포탑(AGS, 스트라이커) 등으로 많이 정상화 되면서 전처럼 막연한 출혈을 강요받지 않게 되었다.

[1] M68 계열 특성상 포신과 폐쇄기의 신속한 분해결합이 가능한데, 이는 주포 교환시 포탑을 들어내어 폐쇄기까지 통째로 들어낼 필요없이 크레인/호이스트 같은 중장비로 포신만 살짝 들어서 폐쇄기와 결합을 풀고나서 폐쇄기가 멀쩡하다는 가정하에 포신만 다시 갈아끼우면 된다. 이는 M1/K-1 전차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