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3:24:19

Best Girl Contest/연도별 기록/2024-2028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st Girl Contest/연도별 기록
1. 2024년
1.1. 예선1.2. 전개1.3. 결선
1.3.1. 8강1.3.2. 4강1.3.3. 결승
1.4. 전시 경기1.5. 시즌 총평
2. 2025년
2.1. 예선2.2. 결선
2.2.1. 8강2.2.2. 4강2.2.3. 결승
2.3. 전시 경기2.4. 시즌 총평
3. 2026년
3.1. 예선3.2. 결선
3.2.1. 8강3.2.2. 4강3.2.3. 결승
3.3. 전시 경기3.4. 시즌 총평
4. 2027년
4.1. 예선4.2. 결선
4.2.1. 8강4.2.2. 4강4.2.3. 결승
4.3. 전시 경기4.4. 시즌 총평
5. 2028년
5.1. 예선5.2. 결선
5.2.1. 8강5.2.2. 4강5.2.3. 결승
5.3. 전시 경기5.4. 시즌 총평

1. 2024년

결국 운영진은 부정투표의 향연을 더 이상 버티지 못해서, 2024년 6월부터 7월까지 22시즌의 국제 사이모에 리그가 그랬던 것처럼 BGC 2024를 마지막으로 본선을 끝낼 예정이었다. 이 대회는 고토 히토리, 시이나 마히루, 니시키기 치사토, 호시노 아이 등의 첫 참가에, 이제껏 성불하지 못한 현랑 호로메구밍의 2분기 방영 버프가 예정되어 역대 최대의 혈투가 예고되었다.

허나 2024년 분기별 신인 대회가 없어지지 않고 크런치롤 아니메 어워즈처럼, BGC란 이름을 버리고 Seasonal Salt라는 별개의 대회로 리브랜딩되었고, 이어서 BGC 본선 폐지 역시 번복되어 대회가 거의 죽었던 상황에서 다시 살아난 기적[1]을 연출해냈다. 하지만 그 정도로 지옥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추후 운영진의 허락이 없는 한 2020년대 내내 대회에 온갖 만행을 저질러 왔던 데이트 어 라이브BGC의 모든 본선과 전시 경기를 대상으로 한 진영 밴이라는 모토 역사상 초유의 외적 제재를 당하게 되었다.

한편 무엇보다도 이번 시즌에 절대로 남성부나 혼성부는 열리지 않는다는 암울한 소식이 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24 여성부 예선 및 본선의 득표 수도 부정투표의 여파를 맞아 작년의 2/3로 크게 감소하며 이 두 부문의 미래 전망 역시 더욱 불투명해졌다.

1.1. 예선

  • 16강
    • vs
    • vs
    • vs
    • vs
    • vs
    • vs
    • vs
    • vs
예선 결과는 BGC에 역대 2번째로 찾아온 천지개벽. 가장 눈에 띄는 건 쇠퇴기 거대 진영 5개가 모두 본선에 진출하며 TOP 32시드 중 절반이 쇠퇴기 출신으로 채워졌고, 그 중 핵심 5명[2]이 8시드 안에 든 것. 이는 명운전 여파로 인한 8흉수 체제 붕괴 후, 1년 가까운 대혼란에 휩싸였던 모토계에 새로운 패권 구도나 싸움의 씨앗이 싹틀 수도 있게 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결과였다. 개중에서도 2023년도 모토의 뜨거운 감자로 자리잡은 봇치 더 록!【최애의 아이】가 BGC에서 진영으로서 역사적인 초강세를 작년 전시 경기에 이어 올해에도 이어나가고 있으며, 체인소 맨파워스파이 패밀리 진영은 향후 예상치 못한 다크호스 포지션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고인물 중에서는 현랑 호로메구밍이 방영 버프로 2, 4시드를 받으며 우승 사정권에 들었으나, 블라디레나 밀리제, 니시미야 쇼코 같은 BGC 중견 강자 + 쇠퇴기의 철퇴를 직접 맞은 바이올렛과 리제로 & 카구야님 진영은 눈에 띄게 전력이 약화된 모습[3]을 보였다. 사실상 패권기와 확장기 출신 캐릭터들도 최상위권을 제외하고는 모조리 휩쓸려나가는 모토계 3차 대멸종의 영향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게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사실상의 논외인 2시드 현랑 호로를 제외하고 1~2세대 출신 캐릭터 중에는 케이온!이 주역 다섯을 모두 100시드 안에 랭크(미오(41) 아즈사(52), 리츠(57), 유이(67) 츠무기(83))시키며 가장 활약했으며, 마마마 진영의 마도카(31)와 호무라(51), 츤데레의 대명사 타이가(44), C.C.(79), 하루히(93)까지 약 10명 가량이 100시드 안에 랭크되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1.2. 전개

[ 예선 시드 TOP 32 - 출신 시대 정리 | 펼치기 · 접기 ]
* 폭발기(1명) - 현랑 호로(2)
  • 여성부 본선 1~5라운드에서는 다음의 경우에 해당하는 경기 결과만 목록으로 작성한다.
    • 우승 후보(top 8시드)가 포함된 경기
    • 모토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캐릭터[A]를 포함한 경기
    • 위계별 참가 현황은 여제-패왕(0/3), 거성(2/4), 강호(4/8), 중견(11/16)으로 해당자는 총 17명.
  • {{{#!folding [ 대업셋 목록 | 펼치기 · 접기 ]
512강 50시드(9개), 256강 40시드(6개, 진행), 128강 30시드, 64강 20시드, 32강 10시드 이상의 격차를 뒤집은 경기 목록을 표기한다.}}}
  • {{{#!folding [ 512강 전개 | 펼치기 · 접기 ]
본선 1라운드는 총 18경기에서 업셋이 일어났으며, 주요 캐릭터 중에서는 시이나 마시로카토 메구미가 탈락하였다.}}}
  • {{{#!folding [ 256강 전개 | 펼치기 · 접기 ]
본선 2라운드는 현재까지 총 10경기에서 업셋이 일어났으며, 주요 캐릭터 중에서는 사쿠라 치요가 탈락하였다.}}}
  • {{{#!folding [ 128강 전개 | 펼치기 · 접기 ]
  • () vs ()
  • () vs ()
  • () vs ()
  • () vs ()
  • () vs ()
}}}
  • {{{#!folding [ 64강 전개 | 펼치기 · 접기 ]
  • () vs ()
  • () vs ()
  • () vs ()
  • () vs ()
  • () vs ()
}}}
  • {{{#!folding [ 32강 전개 | 펼치기 · 접기 ]
  • () vs ()
  • () vs ()
  • () vs ()
  • () vs ()
  • () vs ()
}}}

1.3. 결선

1.3.1. 8강

  • vs
  • vs
  • vs
  • vs

1.3.2. 4강

  • vs
  • vs

1.3.3. 결승

  • vs

1.4. 전시 경기

Seasonal Salt로 재구성된 뒤 처음으로 개최된 겨울 전시 경기는, 지난 분기부터 이어진 장송의 프리렌의 극초강세[7]가 꺼질 기미가 없어 보였다. 그러나 8강의 연이은 업셋으로 위벨을 제외한 모든 프리렌 진영과 던전밥의 외로운 2시드 에이스 마르실 도나토가 광탈했고, 그 자리를 메이메이히이라기 우테나 + 미나카미 사요가 채운다. 초반에는 언더독으로 거의 주목을 못 받았지만, 결국 애니 버프를 가장 잘 받은 마법소녀를 동경해서가 1분기의 다크호스 진영[8]으로 부상하였고, 결국 결승에서 우테나가 위벨에게 압승하며 우승했다.

1.5. 시즌 총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2025년

2.1. 예선

2.2. 결선

2.2.1. 8강

2.2.2. 4강

2.2.3. 결승

2.3. 전시 경기

2.4. 시즌 총평

3. 2026년

3.1. 예선

3.2. 결선

3.2.1. 8강

3.2.2. 4강

3.2.3. 결승

3.3. 전시 경기

3.4. 시즌 총평

4. 2027년

4.1. 예선

4.2. 결선

4.2.1. 8강

4.2.2. 4강

4.2.3. 결승

4.3. 전시 경기

4.4. 시즌 총평

5. 2028년

5.1. 예선

5.2. 결선

5.2.1. 8강

5.2.2. 4강

5.2.3. 결승

5.3. 전시 경기

5.4. 시즌 총평


[1] 물론 남성부에겐 그런 기적이 없어서 명복을 빌어야 하겠지만(...)[2] 고토 히토리가 1시드, 요르 포저가 4시드, 호시노 아이가 6시드, 키타가와 마린이 7시드, 니시키기 치사토가 8시드를 받았다. 하지만 시이나 마히루라이트 노벨의 몰락 여파를 맞아 300시드 아래에 그쳤다.[3] 특히 참가 자격이 있는 8흉수 중 제로투100순위 이상 아래로 역사적인 시드 대추락을 하며 확장기 말의 업보를 가장 크게 되돌려받았으며, 다른 멤버 나카노 미쿠 역시 10시드 이상 하락하면서 메이저 대회 사상 2번째(첫 번째는 애캐토 2022)로 나카노 니노에게 시드가 밀려버렸다.[4] 단, 분열기 주류 출신 중 가장 높은 시드를 받은 캐릭터는 지탄다 에루(64)이다.[A] 모에 토너먼트 여성부 위계 여제, 패왕, 거성, 강호, 중견 해당자(신성 제외).[6] 2016 국사모 4강의 리매치. 당시 2244 vs 2203으로 이리야가 승리하였다.[7] 위벨 1시드, 칸네 3시드, 제리에 4시드, 젠제 5시드로, 비록 경쟁자가 약한 것은 감안해야 하지만 작년 4분기 페른 + 프리렌의 화력을 한참 상회하는 수준.[8] 반면 이즈모 텐카 혼자 19시드에 그친 마도정병은, 방영 전 국내 주목을 많이 받았지만 애니의 혹평 때문에 폭망하고 말았다. 이렇게 세계 인기의 벽을 느낀 건 나혼렙 역시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