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3:44:26

20-80 스케일



1. 개요2. 세부 항목에서의 20-80 스케일
2.1. 80: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2.2. 70: 아주 뛰어난 재능2.3. 60: 평균을 넘는 우수한 재능2.4. 50: 리그 평균의 재능2.5. 40: 리그 평균 이하2.6. 30: 선수가 가진 심각한 단점2.7. 20: 리그 압도적 최악 수준
3. 종합적 평가에서의 20-80 스케일4. KBO리그에서의 20-80


1. 개요

야구 선수들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1950년대, LA 다저스의 단장인 알 캄파니스는 60-80의 평가기준을 도입하였다. 다만 이는 최저점-최고점간 범위가 너무 촘촘하여 시각적인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60-80, 0-60 등 선수 평가 스케일 범위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제시된 이후, 최종적으로는 정규분포를 기준으로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잡는 T점수를 이용하여 최저점을 20, 최고점을 80으로 잡는 지표가 가장 대중화된 방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1]

T점수에 따른 백분위는 다음과 같다.
<rowcolor=#ffffff> 점수 백분위
<colbgcolor=#001840><colcolor=#ffffff> 80 상위 0.1%
75 상위 0.6%
70 상위 2.2%
65 상위 6.7%
60 상위 15.8%
55 상위 30.8%
50 상위 50%
45 하위 30.8%
40 하위 15.8%
30 하위 2.2%
20 하위 0.1%

단, 스카우터나 구단측에서 모든 선수들을 전수평가해서 이선수는 상위 몇 등이다 하고 줄세울수는 없으니, "이 정도 재능이면 아마 이 정도 위치는 될것이다" 하는 식의 대략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봐야한다.

또한 선수의 기량은 경험이나 훈련의 축적, 기술의 습득, 사생활 문제, 부상이나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예상을 뛰어넘을만큼 발전하기도 하고 급속도로 퇴보하기도 하는등 시시때때로 달라지므로 당연히 평가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아예 엇나가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과거에는 20-80 대신 2-8 스케일을 사용하였으며, 21세기 이후로도 그 영향이 남아 5 단위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나마 55(Above-average)와 45(Fringe-average)는 자주 사용되는 편이지만 65나 35는 별로 사용되지 않으며, 75나 25는 거의 볼 일이 없다.

2. 세부 항목에서의 20-80 스케일

베이스볼 아메리카에서는 2024년판 핸드북에 대한 설명에서 컨택, 파워, 스피드, 구속, 송구 속도 등에 대한 스케일 기준을 제시했다. #
  • 컨택: 시즌 타율
    <rowcolor=#ffffff> 스케일 타율

    80 .315+

    70 .295-.314

    60 .275-.294

    55 .265-.274

    50 .255-.264

    45 .245-.254

    40 .235-.244

    30 .215-.234

    20 < .215
  • 파워: 시즌 홈런
    <rowcolor=#ffffff> 스케일 HR

    80 40+

    70 34-40

    60 28-33

    55 23-27

    50 19-22

    45 14-18

    40 10-13

    30 5-9

    20 0-4
  • 스피드: 홈-1루 도달 시간(초 단위)
    <rowcolor=#ffffff> 스케일 우타자 좌타자

    80 4.00 3.90

    70 4.10 4.00

    65 4.15 4.05

    60 4.20 4.10

    55 4.25 4.15

    50 4.30 4.20

    45 4.35 4.25

    40 4.40 4.30

    30 4.50 4.40

    20 4.60 4.50
  • 구속 : 평균 속구 구속(mph)[2]
    <rowcolor=#ffffff> 스케일 구속 (우완 선발) 구속 (좌완 선발) 구속 (우완 계투) 구속 (좌완 계투)

    80 98+ 97+ 99+ 98+

    70 97 96 98 97

    65 96 95 97 96

    60 95 94 96 95

    55 94 93 95 94

    50 93 92 94 93

    45 92 91 93 92

    40 90-91 89-90 91-92 90-91

    30 88-89 87-88 89-90 88-89

    20 87 이하 86 이하 88 이하 87 이하
  • 송구 속도(포수 기준) : 팝 타임[3]
    <rowcolor=#ffffff> 스케일 팝 타임(초 단위)

    80 < 1.90

    70 1.90-1.94

    60 1.95-1.99

    50 2.00-2.04

    40 2.05-2.09

    30 2.10-2.14

    20 > 2.14

2.1. 80: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의하면 MLB 전체에서 오직 한 선수에게만 특정 툴에 80을 주는 스카우터들도 있다. 2024년 BA는 오타니 쇼헤이의 파워, 코빈 캐롤의 스피드, 데빈 윌리엄스의 체인지업을 예로 들었다.

2.2. 70: 아주 뛰어난 재능[10]

2024년 BA는 프레디 프리먼의 컨택, 블레이크 스넬의 커브볼,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의 송구를 예시로 들었다.

2.3. 60: 평균을 넘는 우수한 재능[14]

2024년 BA는 마커스 시미언의 수비와 잭 갤런의 제구를 예로 들었다.

2.4. 50: 리그 평균의 재능

2024년 BA는 제프 맥닐의 스피드를 예로 들었다.

2.5. 40: 리그 평균 이하

2024년 BA는 라파엘 데버스의 수비와 딜런 시즈의 제구를 예로 들었다.

2.6. 30: 선수가 가진 심각한 단점

2024년 BA는 카일 헨드릭스의 패스트볼을 예로 들었다.

2.7. 20: 리그 압도적 최악 수준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80이 리그 전체에 한두 명 있을 정도인 만큼, 원칙적으로 20 또한 안 좋은 의미로 리그 역사에 남을 만한 수준에 해당해야 한다.

2024년 BA는 마일스 스트로의 파워와 다니엘 보겔백의 주력을 예로 들었다.

3. 종합적 평가에서의 20-80 스케일

75-80 : 프랜차이즈 스타, 1선발 투수.[29]
65-70 : 항구적인 올스타, 2선발 투수.
60 : 때때로 선정되는 올스타, 2~3선발 투수, 최고의 마무리 투수
55 : 상위권 팀의 주전 선수, 3~4선발 투수, 우수한 마무리 투수.
50 : 평균적인 주전 선수, 4선발, 최상급 셋업맨.
45 : 약팀의 레귤러, 강팀의 백업, 5선발, 플래툰
40 : AAAA리거, 스윙맨, 좌타자 스페셜리스트.
30-35: 마이너 전용.
30 미만: 유망주도 아님.

70 수준의 유망주만 하더라도 유망주 전체 1위를 다투는 수준인 경우가 보통이며, 80 수준의 유망주는 몇 년에 한 명만 나오는 아웃라이어로 평가된다. 2024년 팬그래프 Top 100 유망주를 예로 들면, FV(Future value) 70급의 유망주는 전체 1위 잭슨 홀리데이 1명뿐이었고 60~65급 유망주도 리그 전체에서 십여명에 불과한 수준이었다. FV 55급까지 합쳐도 대략 30명으로 각 팀마다 1명꼴로 있는 셈이며, FV 50만 하더라도 전체 Top 100 수준에 각 팀별 톱 유망주 3위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4. KBO리그에서의 20-80

KBO 실정에 맞춘 MLB 측정 점수는 다음과 같으며, 해당 기록은 '시즌 기록'에 한한다. 구속의 경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30]
<rowcolor=#ffffff> 스케일 타율 HR 구속 (우완 선발) 구속 (좌완 선발) 구속 (우완 계투) 구속 (좌완 계투)
80 (상위 0.1%) .321+ 40+ 150+ 148+ 152+ 150+
75 (상위 0.6%) .311-.320 36-39 149 147 151 149
70 (상위 2.2%) .301-.310 32-35 148 146 150 148
65 (상위 6.7%) .291-.300 28-31 147 145 149 147
60 (상위 15.8%) .281-.290 24-27 146 144 148 146
55 (상위 30.8%) .271-.280 20-23 145 143 147 145
50 (상위 50%) .261-.270 16-19 144 142 146 144
45 (하위 30.8%) .251-.260 12-15 143 141 145 143
40 (하위 15.8%) .241-.250 8-11 142 140 144 142
30 (하위 2.2%) .231-.240 4-7 141 139 143 141
20 (하위 0.1%) ≤ .230 ≤ 3 ≤ 140 ≤ 138 ≤ 142 ≤ 140

[1] 최저점이 0이 아니고 20인 이유는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므로 T점수 20은 표준편차의 3배만큼 이동한 값인데 이는 백분위로 따져보면 하위 0.13%에 불과하다. 따라서 0~20 사이를 구분하는것은 0%~0.13%를 굳이 나누는 것이므로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실질적인 최저값인 20을 최저점으로 잡은것이다. 80~100 구간도 T점수 80이 상위 0.13%이므로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최고점으로 잡았다.[2] 우완 선발 투수 기준. 일반적으로 구속이 약간 낮은 좌완 투수의 경우 스케일을 시속 1마일 정도 줄일 수 있고, 1이닝 전력 투구를 하는 불펜 투수의 경우는 스케일을 시속 1-2마일 정도를 추가해야 한다.[3] 투수가 던진 공이 포수 미트에 들어간 순간부터 내야수 글러브에 들어가기까지 걸리는 시간[4] 사실상 80이 최대치라서 80으로 분류되는거지 실질적으로는 파워 80을 찍는 선수들중에서도 최고로 꼽히는 규격외의 파워라고 평가받고있다.[5] MLB 진출전 스카우팅 리포트에서는 70을 받았지만, 미국 진출 후 강도높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벌크업을 거친 이후에는 사실상 80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다저스로 이적한 직후 2024시즌때 나온 평가에서는 파워와 컨택에서 80을 받았다. 위에서 언급된대로 평가는 고정적이지 않다는 말의 좋은 예시라고 할 수 있을듯. 현재 메이저리그 내에서 순수 파워만 보자면 애런 저지, 마이크 트라웃 못지않은 리그 최고 수준이다.[6] 컵스 시절에는 70의 평가를 받았으나 이후 홈런왕을 따낼 수 있을 만큼 발전하며 80으로 올랐다.[7] 야구 역사상 최고속이자 역대 최고의 패스트볼로, 파워에서의 스탠튼과 같은 위치이다.[8] 트라웃은 2020년대에 들어서는 주력이 2010년대보다 줄어들었다.[9] 드래프트 당시에는 70이였다.[10] 주로 플러스-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11] 드래프트 당시엔 60을 받았었으나 마이너를 거치는 동안 완성도가 높아지며 데뷔할 즈음엔 70이 됐다.[12] 당연히 메이저리그 기준으로 70이라는 것이며, KBO리그에선 말할 것도 없이 80이다 그 메이저리그에서도 구종가치 1위 2위등을 여럿 해본 대한민국 최고의 변화구라 할만하다.[13] 다저스 시절까지는 60이었으나 이후 더 발전해서 70까지 평가가 올랐다.[14] 주로 플러스 등급이라고 불린다.[15] KBO 기준으로는 80.[16] 메이저리그에서 뛰던 시절 기준이며, KBO 기준으로는 당연히 80이다.[17] 체인지업도 데뷔 때는 60 스케일을 받았으나 70으로 올랐다.[18] 빅 리그 합류 전에는 압도적인 구속 때문에 80을 받았으나 이후 구속에 비해 무브먼트가 지나치게 밋밋하고 회전수도 낮아 평가가 떨어졌다.[19] 다저스 시절에는 외야수로는 평균 이상의 수비력이였으나 1루수로는 최악의 수비력을 보였다.[20] 메이저리그 진출전 스카우터의 평가이다 진출후 어깨&팔꿈치 수술 이전 데뷔시즌엔 포심 피치밸류 양대리그전체 12위를 찍는등 위력적인 구위였으나 수술 이후엔 구속이나 구위 자체는 메이저에서 중하위권정도가 되었다 다만 컨트롤과 완급조절로 인하여 구종가치는 19시즌 양대리그전체 19위도 찍는등 꽤 준수한 편.[21] 구속이나 커맨드가 아주 훌륭하지는 않지만 타 구종과의 스피드 차이와, 커브를 사용하는 절묘한 타이밍이 곁들여져 꽤나 쏠쏠하게 써먹었다.[22] 다만 2022시즌엔 골드글러브 파이널리스트에 들 정도로 수비가 개선되어 앞으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평가가 반전될 가능성이 있다[23] 메이저리그 데뷔 당시 기준, KBO기준으로는 당연히 매 시즌 20홈런을 기대할 수 있는, 20-80 스케일 기준으로는 60 이상의 훌륭한 파워를 보유했다. 그리고 빅리그에서도 2-3년차를 지나며 급격하게 발전을 이루는 중이다. 2024년 기준으로는 파워는 이제 평균에 근접하며, 컨택이 떨어지는 평을 받는다.[24] 2021년부터[25] 1992년까지. 이후로 제구가 잡히면서 최종보스로 군림한다.[26] 푸홀스와 몰리나는 선수 생활 말년 한정, 던은 선수 생활 후반기 해당.[27] 멘도사 라인의 어원이 된 선수다.[28] 2010년대에도 내구성이 좋지는 않았으나 20을 줄 정도는 아니었는데, 했지만 2020년 이후로는 경기 출전이 불가능한 수준까지 와버리면서 평가가 더 떨어졌다.[29] 여기서의 1선발은 각 팀에 한명씩, 리그 전체에 30명 있는 투수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에 가깝다. 사이영 상 투표에서 상위권에 들고 포스트시즌 진출 팀의 1선발을 너끈히 소화하는 수준.[30] 우완 선발 투수 기준. 일반적으로 구속이 약간 낮은 좌완 투수의 경우 스케일을 2km 정도 줄일 수 있고, 1이닝 전력 투구를 하는 불펜 투수의 경우는 스케일을 시속 2~3km 정도를 추가해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