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2f241d>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f241d><colcolor=#fff> 투수 | 1 마쓰이 · 11 다르빗슈 · 22 밀러 · 25 레이놀즈40인 · 27 피베타 · 34 킹IL-15 · 37 제이콥 · 38 시어스40인 · 40 애덤IL-15 · 44 머스그로브IL-60 · 50 모레혼 · 56 에스트라다 · 58 페랄타 · 60 크루즈40인 · 61 월드론40인 · 65 코르테스IL-15 · 66 모건 · 68 하트 · 72 로드리게스40인 · 75 수아레스 · 76 브리토IL-60 · 78 호잉40인 · 84 시즈 · 97 마리나시오 · 98 바스케스 | |
포수 | 12 캄푸사노40인 · 17 디아스 · 54 퍼민 | ||
내야수 | 2 보가츠IL-10 · 4 아라에즈 · 7 이글레시아스 · 9 크로넨워스 · 13 마차도 · 18 맥코이 · 24 와그너 · 30 시츠 | ||
외야수 | 3 메릴 · 5 로리아노 · 21 오르넬라스40인 · 23 타티스 Jr. · 29 존슨 · 32 오헌 | ||
''' | |||
|
잰더 보가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
2013 | 2018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16 | 2019 | 2021 | 2022 |
| ||||
알렉세이 라미레즈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잰더 보가츠 (보스턴 레드삭스) | → | 프란시스코 린도어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프란시스코 린도어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잰더 보가츠 (보스턴 레드삭스) | → | 팀 앤더슨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팀 앤더슨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잰더 보가츠 (보스턴 레드삭스) | → | 코리 시거 (텍사스 레인저스) |
2019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IL | OF | LAA | OF | LAD | OF | ||||||
BOS | SS | NYY | 2B | ||||||||
WSH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NYM | 1B ||
MIN | DH | PHI | C | |||
HOU | SP | HOU | SP | NYM | SP | WSH | SP | WSH | SP |
SD | RP | MIL | RP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72번 | ||||
결번 | → | <colbgcolor=#0d2b56><colcolor=#fff> 잰더 보가츠 (2013) | → | 카를로스 리베로 (2014)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번 | ||||
자코비 엘스버리 (2010~2013) | → | 잰더 보가츠 (2014~2022) | → | 저스틴 터너 (2023)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2번 | ||||
트렌트 그리샴 (2020~2022) | → | 잰더 보가츠 (2023~) | → | 현역 |
<nopad> | |
<colbgcolor=#2f241d><colcolor=#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No.2 | |
잰더 보가츠 Xander Bogaerts | |
본명 | 산더르 얀 보하르츠 Xander Jan Bogaerts[1] |
출생 | 1992년 10월 1일 ([age(1992-10-01)]세) |
아루바 오라녀스타트 | |
국적 |
(
) |
신체 | 186cm | 99kg |
포지션 | 유격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BOS) |
소속팀 | 보스턴 레드삭스 (2013~202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3~) |
계약 | 2023 - 2033 / $280,000,000 |
연봉 | 2025 / $25,000,000 |
등장곡 | Lil Baby - Freestyle |
에이전트 | 보라스 코퍼레이션 |
후원사 | 아디다스 |
|
1. 개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소속 유격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잰더 보가츠/선수 경력 | ||||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플레이 스타일
수비에 대한 평가는 2022년 전후로 나뉜다. 이전엔 타격에 비해선 한참 못한 수비를 보여줬었기에 수비에는 늘 저평가를 받았었다. 그러나 2022년에는 갑자기 수비력이 대폭 향상되며 골드 글러브 후보에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3] 2022 시즌에 수비 지표에서 탁월한 개선을 보임으로써 150게임 bWAR 5.8을 기록했고, 그 덕분에 시즌 후 FA 시장에 나올 유격수 중 트레이 터너를 제치고 넘버원 위치에 오를 수 있었다. Ranking the Top 25 Shortstops of the 2022 MLB Season[4] 이후로도 수비수치는 괜찮게 나오고 있다.
보가츠의 또 다른 장점은 바로 뛰어난 내구성. 유격수[5]치고는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데 2017 시즌 초, 엄지손가락 부상을 당한 후 그 부상을 달고도 시즌 내내 출전했을 정도로 근성도 있는 편[6]이다. 2018년 136경기 출전 말고는 매년 140경기 이상 꾸준히 출전 하고 있다. 이러한 철강왕 기질이 그가 30대에 접어드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11년이라는 초장기 계약을 맺을 수 있던 원인이 되었다는 평이 많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5. 여담
6. 관련 문서
[1] ˈsandər ˈboxarts[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이적 이후론 이 점이 더욱 부각되어 팬들에게 까이는 중이다.[3] 다만 제레미 페냐에게 밀려 수상은 실패했다.[4] 하지만 실제 계약에서는 터너가 10년 3억 달러 계약(필라델피아 필리스)을 따낸 데 반해, 보가츠는 11년 2억 8천만 달러(샌디에이고 파드리스) 계약을 따내는 데 그쳤다. 보가츠의 2022년이 FA로이드였다는 의심 역시 있고, 나이도 터너 쪽이 더 어리기에 실제 계약에서는 손해를 볼 수밖에 없었다. 당장 무지막지한 수비력으로 6 정도의 WAR을 찍은 댄스비 스완슨은 이들보다 훨씬 적은 총액의 계약을 맺었다.[5] 일부 유격수들은 내구성 하락을 피하기 위해 다른 포지션도 겸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메이저리그 역대 최고의 철강왕 타자 칼 립켄 주니어도 말년에는 3루수로 전향했다.[6] 하지만 엄지손가락 부상을 달고 출전을 강행하다 보니 타격 성적은 2014년 이후로 가장 좋지 않았다. 결국 시즌 종료 후 바로 수술대에 올랐다.